KR200464186Y1 - 피어싱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피어싱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86Y1
KR200464186Y1 KR2020110000866U KR20110000866U KR200464186Y1 KR 200464186 Y1 KR200464186 Y1 KR 200464186Y1 KR 2020110000866 U KR2020110000866 U KR 2020110000866U KR 20110000866 U KR20110000866 U KR 20110000866U KR 200464186 Y1 KR200464186 Y1 KR 200464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ring
fastening
worn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64U (ko
Inventor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용 filed Critical 서성용
Priority to KR2020110000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8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44C17/0233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using screws or screw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어싱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2개의 바를 고리에 의해 연결하여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어싱용 장신구를 제안하는데 과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신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피어싱 구멍에 끼워져 착용되는 피어싱용 장신구에 있어서, 피어싱 장신구는 링 형태의 고리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고리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1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피어싱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고리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2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피어싱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피어싱용 장신구{omitted}
본 고안은 피어싱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바가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한 피어싱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피어싱은 신체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으로서, 종교 의식이나 미적 표현을 위해 주로 하게 된다.
이러한 피어싱의 형태나 종류로는 가장 일반적인 비드링(bead ring), 장착하기가 편한 써큘라 바벨(circular barbells), 링을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바벨 스튜드(barbell studs), 턱이나 입술에 많이 하는 라블렛 스튜드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장신구는 단순히 형태로서만의 특징을 가지므로 기능성을 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2개의 바를 고리에 의해 연결하여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어싱용 장신구를 제안하는데 과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신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피어싱 구멍에 끼워져 착용되는 피어싱용 장신구에 있어서,
피어싱 장신구는
링 형태를 갖는 몸체에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고리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은 고리부의 제1 체결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1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피어싱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고리부의 제2 체결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2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피어싱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2개의 바 형태의 피어싱 장신구가 고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자유자재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신체에 착용시 다양한 형태를 연출하면서 착용할 수 있어서 외적인 미를 더욱 강조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
도2는 결합도.
도3부터 도5까지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들을 보인 도.
도1은 본 고안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로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제1 피어싱부(100)가 구비되며, 제1 피어싱부(100)의 몸체 양측에는 각각 나사부(101,102)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01)에는 몸체의 지름보다 큰 구형태의 제1 이탈 방지구(103)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며, 또한 나사부(102)는 고리부(110)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구 형태의 제1 체결부(120)에 나사결합된다.
고리부(110)는 폐쇄된 링 구조를 가지며, 구 형태의 제1 체결부(120)와 제2 체결부(130)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이때 제1 체결부(120)와 제2 체결부(130)에는 관통된 체결구멍(121,131)이 각각 형성되어 이에 고리부(110)의 몸체가 삽입된다.
또한 제1 체결부(120)와 제2 체결부(130)가 고리부(110)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하여 체결구멍(121,131)은 고리부(110)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제1 체결부(120)에는 나사홈(122)이 형성되어 제1 피어싱부(100)의 나사부(102)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며, 제2 체결부(130)에도 동일하게 나사홈이 형성되어 제2 피어싱부(140)의 나사부(142)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제2 피어싱부(140)는 제1 피어싱부(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바 형태의 몸체 양측에 각각 나사부(141,142)가 형성되며, 나사부(141)에는 제2 이탈방지구(150)가 나사홈(151)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도2와 같이 서로 체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체결부(120)와 제1 피어싱부(100)가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제2 체결부(130)와 제2 피어싱부(140)도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6 및 도7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데, 제1 피어싱부(100)와 제2 피어싱부(140)로부터 각각 이탈방지구(103,150)를 분리한 다음 신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피어싱 구멍에 각각 제1 피어싱부(100)와 제2 피어싱부(140)의 몸체를 삽입한 후 이탈방지구(103,150)를 체결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때, 신체에 형성된 피어싱 구멍의 위치에 따라 제1 피어싱부(100)와 제2 피어싱부(140)의 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3은 일부분이 개방된 고리부(111)의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그 개방된 부위의 끝 부분은 고리부(111)의 몸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제1 체결부(120)와 체2 체결부(130)가 일부분이 개방된 고리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제1 피어싱부(200)와 제2 피어싱부(230)의 일측에는 각각 제1 체결고리(210)와 제2 체결고리(240)가 각각 형성되어, 두 개의 체결고리(210,240)가 체인 형태로 체결되며, 이러한 체인 형태의 체결로 인해 제1 피어싱부(200)와 제2 피어싱부(230)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제1 피어싱부(200)와 제2 피어싱부(230)의 타측에는 제1 이탈방지구(220)와 제2 이탈방지구(250)가 착탈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로서, 제1 피어싱부(300)의 몸체 일측에 곧바로 관통된 제1 체결구멍(301)이 형성되고, 제2 피어싱부(320)의 몸체 일측에도 동일한 형태의 제2 체결구멍(321)이 형성되어 곧바로 고리부(310)의 몸체가 제1 체결구멍(301)과 제2 체결구멍(321)을 통해 관통삽입되어 장착된 형태이다.
이 형태도 마찬가지로 도3에서와 같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100 : 제1 피어싱부
101,102 : 나사부
103 : 제1 이탈방지구
110 : 고리부
120 : 제1 체결부
121 : 체결구멍
130 : 제2 체결부
131 : 체결구멍
140 : 제2 피어싱부
141,142 : 나사부
150 : 제2 이탈방지구

Claims (4)

  1. 신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피어싱 구멍에 끼워져 착용되는 피어싱용 장신구에 있어서,
    피어싱 장신구는
    링 형태를 갖는 몸체에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고리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은 고리부의 제1 체결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1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피어싱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고리부의 제2 체결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2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피어싱부로 구성된 피어싱용 장신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리부는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피어싱용 장신구.
  4. 신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피어싱 구멍에 끼워져 착용되는 피어싱용 장신구에 있어서,
    피어싱 장신구는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링 형태의 제1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1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피어싱부와,
    바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일측에는 링 형태의 제2 체결고리가 형성되어 제1 체결고리와 체인형태로 체결되고, 타측에는 신체에 착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몸체의 지름보다 큰 제2 이탈방지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피어싱부로 구성된 피어싱용 장신구.
KR2020110000866U 2011-01-28 2011-01-28 피어싱용 장신구 KR200464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66U KR200464186Y1 (ko) 2011-01-28 2011-01-28 피어싱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66U KR200464186Y1 (ko) 2011-01-28 2011-01-28 피어싱용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64U KR20120005664U (ko) 2012-08-07
KR200464186Y1 true KR200464186Y1 (ko) 2012-12-14

Family

ID=4687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66U KR200464186Y1 (ko) 2011-01-28 2011-01-28 피어싱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8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572A (en) 1982-03-12 1984-12-25 Wilczewski Barbara J Double post earring structure for pierced ears
US7520144B2 (en) 2006-06-02 2009-04-21 Ciccone Gerald A Single earring set for double pierced ears
KR100986185B1 (ko) 2009-10-07 2010-10-07 조철배 귀걸이
KR101005684B1 (ko) 2010-07-08 2011-01-05 신동성 장신구 연결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572A (en) 1982-03-12 1984-12-25 Wilczewski Barbara J Double post earring structure for pierced ears
US7520144B2 (en) 2006-06-02 2009-04-21 Ciccone Gerald A Single earring set for double pierced ears
KR100986185B1 (ko) 2009-10-07 2010-10-07 조철배 귀걸이
KR101005684B1 (ko) 2010-07-08 2011-01-05 신동성 장신구 연결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64U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5368S1 (en) Spherical speaker with hanging strap
USD810843S1 (en) Exercise strap
USD830220S1 (en) Finger ring
USD828467S1 (en) Exercise strap
USD644141S1 (en) Jewelry
USD810612S1 (en) Earring jewelry clip
USD811261S1 (en) Pendant necklace
USD703084S1 (en) Ring, earring or pendant
USD719866S1 (en) Jewelry chain
USD776550S1 (en) Wrist watch
USD814952S1 (en) Pendent personal emergency alerting device
USD831508S1 (en) Wrist watch
USD781159S1 (en) Watch case
USD715184S1 (en) Magnetic clasp
USD786125S1 (en) Brilliant gemstone
USD787981S1 (en) Watch strap buckle
USD811262S1 (en) Pendant necklace
USD782339S1 (en) Watch
USD782338S1 (en) Watch
USD822530S1 (en) Plated ring
USD806580S1 (en) Wrist watch case with band
USD798747S1 (en) Watch
USD719045S1 (en) Chain bracelet
USD821227S1 (en) Watch
USD811243S1 (en)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