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16Y1 - Toy car - Google Patents

Toy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16Y1
KR200463516Y1 KR2020120001684U KR20120001684U KR200463516Y1 KR 200463516 Y1 KR200463516 Y1 KR 200463516Y1 KR 2020120001684 U KR2020120001684 U KR 2020120001684U KR 20120001684 U KR20120001684 U KR 20120001684U KR 200463516 Y1 KR200463516 Y1 KR 200463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body
wheel
lower sid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6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순
Original Assignee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순 filed Critical 김영순
Priority to KR2020120001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1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승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는 본체(10)의 하측면 후측에 전도방지휠(50)이 구비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승용 완구의 후측에 치우치도록 타더라도 승용 완구의 전방이 상측으로 들려 유아나 어린이가 뒤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riding toy that allows an infant or child to ride comfortably and safely.
The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wheel 50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even if the infant or child rides to the rear side of the riding toy,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lifted to the upper side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hild from falling backwards.

Description

승용 완구{TOY CAR}Riding Toys {TOY CAR}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승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riding toy that allows an infant or child to ride comfortably and safely.

최근 들어, 등록 실용신안 20-0207538호나 공개특허 1990-0002819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타고 놀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승용 완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s shown i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07538 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0-0002819, various kinds of riding toys, which are designed to be used by infants or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이러한 승용 완구는 본체의 하측에 복수개의 휠이 구비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본체에 올라탄 상태에서 발로 바닥면을 밀어 전후진 또는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uch a riding to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infant or child can push the bottom surface with their feet in the state of riding on the main body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r change direction.

그런데, 유아나 어린이들이 승용 완구를 탈 때는 본체 상면의 지정된 위치 뿐 아니라, 후측에 치우치도록 타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승용 완구의 앞쪽이 상측으로 들리면서 승용 완구에 탄 유아나 어린이들이 뒤쪽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However, when infants and children ride riding toys, there are many rides to the rear side as well as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lifted upwards, Falling backwards frequently occurred.

또한, 이러한 승용 완구는 발로 바닥면을 밀어 승용 완구가 전후진될 때는 발을 바닥면에서 들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riding toy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power, because the foot must be kept in the state of the foot when the riding toy is push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oot.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본체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앉기 위해서는 상면의 넓이가 충분히 넓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유아나 어린이가 다리를 넓게 벌린 상태에서 본체의 상면에 앉아야 하므로, 자세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infant or child to stably s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should be made wide enough. In this case, since the infant or child should s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 the legs wide open, the posture is very uncomfortable. there wa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용 완구의 앞쪽이 상측으로 들려 승용 완구에 탄 유아나 어린이가 뒤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아나 어린이가 편안한 자세로 탈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승용 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lifted to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infant or child in the riding toy from falling back, so that the infant or child can ride in a comfortable pos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d riding toy.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에 유아나 어린이가 탈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핸들(20)과,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된 캐스터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방에 결합된 한 쌍의 전륜(3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후측에 결합된 한 쌍의 후륜(4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후륜(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본체(1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휠(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10 and the handle 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hild 10 is configured to ride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freely And a pair of front wheels 30 coupled to the lower side front of the main body 10, a pair of rear wheels 4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A riding toy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wheel 5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wheel 40 to prevent the main body 10 from lifting upwards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10.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전후방으로 길고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상부통체(11)와, 하측면에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통체(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판(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통체(11)의 중간부에는 양측방향의 폭이 좁은 협경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12)의 양측방향 폭은 상기 상부통체(11)의 양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long in the front and rear, the lower side is opened, the upper cylinder 11, the handle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wheel 30 on the lower side ) And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installed and consists of a lower plate 12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ylinder 11, the width of both sides in the middle of the upper cylinder 11 Narrow narrow portion (11a) is formed, the riding to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lateral width of the lower plate 12 is configured to be wider than the bilateral width of the upper cylinder (11).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형성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1b)의 하측 둘레부에서 하향연장되어 상기 결합공(11b)에 결합된 핸들(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관체(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봉형상의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의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관체(13)에 삽입결합되는 연장부(23)와, 육각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4a)이 돌출형성된 고정부(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4)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오목홈(24b)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4a)이 고정부(24)의 중앙쪽으로 탄성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체(13)는 상기 연장부(23)와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지지부(13a)와, 상기 고정부(24)와 대응되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부(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1b) is coupled to the handle 20,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mposed of an open tubular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hole (11b)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tube 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c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2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b), the handle 20 is a rod-shaped wav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ong Branch portion 21, a rod-shaped vertical portion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21, and a circular ro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portion 22, the vertical portion 22 An extension portion 23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tube 13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tube 13, and the hexagonal tube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3 and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tube 13 A locking jaw (24a) that is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24 is formed to protrude,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4 It is formed so that the recessed groove (24b) extending to the upper side is configured so that the latching jaw (24a) is elastically advanced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24, the support tube 13 is the extension portion ( A toy for riding is provided which comprises an upper support portion 13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23 and a lower support portion 13b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24.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c,12d,12e)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후단에는 중앙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후방 걸림판(12f,12g)이 하향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핸들(20)이 삽입되는 삽입홈(12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recesses (12c, 12d, 12e) to which the front wheel 30,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The front and rear end plates 12f and 12g which are round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forward or rearward are protruded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handle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provided a rid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groove 12h into which 20 is inserted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는 본체(10)의 하측면 후측에 전도방지휠(50)이 구비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승용 완구의 후측에 치우치도록 타더라도 승용 완구의 전방이 상측으로 들려 유아나 어린이가 뒤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wheel 50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even if the infant or child rides to the rear side of the riding toy,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lifted to the upper side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hild from falling backward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의 핸들을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showing a handle of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laminated state of the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 완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면에 유아나 어린이가 탈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핸들(2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후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전륜(30) 및 후륜(4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후륜(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본체(1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휠(50)로 구성된다.1 to 9 illustrate a rid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10 configured to be carried by an infant or a chil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handle 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pair of front wheels 30 and rear wheels 40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re disposed so as to be located behind the rear wheel 40. 10) is composed of a fall prevention wheel 50 to prevent the lifting upwar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전후방으로 길고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상부통체(11)와, 하측면에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통체(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판(12)으로 구성된다.To explain this in detail,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front and rear sides, and having an upper cylinder 11 coupled to the handle 2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wheel on a lower side thereof.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installed and consists of a lower plate 12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ylinder (11).

상기 상부통체(11)는 전후방으로 길고 전후면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방향의 폭이 좁은 협경부(11a)가 형성되어, 상부에서 볼 때 전체 형상이 땅콩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upper cylinder 11 is long in the front and rear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 is configured to be round to form a semi-circular,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narrow narrow portion (11a) in both sides is formed,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overall shape is configured to form a peanut shape.

상기 하판(12)은 양측방향 폭이 상기 상부통체(11)의 양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상부통체(11)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a)에 상부통체(11)의 하단을 끼워 본체(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12)의 양측면은 상호 평행한 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통체(11)의 협경부(11a) 하측에 폭이 넓은 발판(12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lower plate 12 has a width in both sides is wider than the width in both sides of the upper cylinder 11,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2a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ylinder 11, the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cylinder 11 in the groove 12a is configured to assemble the body 10. Preferably,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late 12 are configured to form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a wide foot 12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arrow portion (11a) of the upper cylinder (11).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c,12d,12e)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후단에는 전후방 걸림판(12f,12g)이 하향돌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ure 3 to 7, the front wheel 30, the rear wheel 40 and the recessed portion (12c, 12d, 12e) coupled to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 Is formed, and the front and rear engaging plates 12f and 12g are projected downwar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오목부(12c,12d,12e)는 내부에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The recesses 12c, 12d, and 12e have the front wheels 30, the rear wheels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coupled therein,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 of the main body 10. It reduces the interval between

이때, 상기 전륜(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 형태로 구성되며, 오목부(12c,12d,12e) 중에서 전륜(30)이 결합되는 오목부(12c)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전륜(30)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wheel 3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the caster is free to change direc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mong the recesses (12c, 12d, 12e) of the recess 12c is coupled to the front wheel (30c) )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front wheel 30 can be freely rotatably coupled.

또한, 상기 후륜(40)과 전도방지휠(50)은 상기 오목부(12d,12e)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41,42)에 방향조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In addition,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are coupled so as not to be directionally adjusted to the brackets 41 and 42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s of the recesses 12d and 12e.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브라켓(42)은 상기 후륜(40)이 결합되는 브라켓(41)에 비해 상하방향의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전륜(30)과 후륜(40)이 바닥면(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도방지휠(50)은 바닥면(1)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도록 구성된다.4, the bracket 42 to which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has a lower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bracket 41 to which the rear wheel 40 is coupled. 30 and the rear wheel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

상기 전후방 걸림판(12f,12g)은 상기 중앙부가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륜(30)의 전방과 전도방지휠(50)의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승용 완구의 전진 또는 후진시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 사이의 틈으로 작은 장난감이나 다른 유아 또는 어린이의 손발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front and rear latching plates 12f and 12g are round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forward and rearward, and ar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respectively, to advance or advance the riding toy. It function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small toys or limbs of other infants or children into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 of the main body 10 when reversing.

상기 핸들(20)은 티자("T")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방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andle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ee ("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방 상면에는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b)의 둘레면 하측에는 삽입홈(12h)에 결합된 핸들(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관체(13)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s 4 to 7,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1b) to which the handle 20 is coupled,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b) There is a support tube 13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andle 20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2h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그리고, 상기 핸들(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봉형상의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의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관체(13)에 삽입결합되는 연장부(23)와, 육각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4a)이 돌출형성된 고정부(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4)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오목홈(24b)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4a)이 고정부(24)의 중앙쪽으로 탄성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andle 20 includes a rod-shaped grip portion 21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rod-shaped vertical portion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1, and the vertical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23 is formed of a circular ro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22 and extends downward of the vertical portion 22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upport tube 13, and an extension portion 23. It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and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24 is formed with a projection projection (24a)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ube (13) protruding.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24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24b extending upward so that the locking step 24a can be elastically advanced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24.

그리고, 상기 지지관체(13)는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장부(23)와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지지부(13a)와, 상기 고정부(24)와 대응되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부(13b)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tube 13 is composed of a tube body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s, the upper support part 13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art 23, and a hexa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24. It consists of the lower support part 13b which has a cross section.

따라서, 상기 핸들(20)의 하단을 상기 결합공(11b)에 결합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20)의 연장부(23)는 상기 상부지지부(13a)에 결합되어 핸들(20)이 측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하부지지부(13b)와 결합되어 핸들(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걸림턱(24a)은 상기 지지관체(13)의 하단에 걸려 핸들(20)이 결합공(11b)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Therefore, whe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b,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xtension 23 of the handle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13a. Is coupled to support the handle 20 so as not to fall in the lateral or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ixing portion 24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13b to secure the handle 20 does not rotate, the locking jaw (24a) ) Is fixed to the handle 20 is caught i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pe 13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coupling hole (11b).

이때,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핸들(20)이 삽입되는 삽입홈(12h)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h)은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서 상기 핸들(20)이 결합된 위치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2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고 깊이가 깊게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12h into which the handle 20 is inserted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insertion groove 12h is formed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position at which the handle 20 is coupl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long and deep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andle 20. Is deeply concave upwar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승용 완구를 적층하면, 상기 핸들(20)이 삽입홈(12h)에 삽입되어 적층된 승용 완구를 상호 고정하여 승용 완구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9, when the plurality of riding toys are stacked, the handl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h to fix the stacked riding toys to be firmly fixed so that the riding toys do not move. .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 완구는 본체(10)의 하측면에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구비되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승용 완구의 후측에 앉아 승용 완구의 전방이 상측으로 들릴 경우, 상기 전도방지휠(50)에 의해 승용 완구가 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The riding to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front wheel 30,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n infant or a child sits behind the riding toy and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upward. When heard as, is supported so that the riding toy is not lifted by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따라서, 승용 완구의 전방이 상측으로 들려 승용 완구에 탄 유아나 어린이가 뒤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front of the riding toy is lifted to the upper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infant or child riding in the riding toy to fall back.

특히, 상기 전도방지휠(50)은 전륜(30)과 후륜(40)이 바닥면(1)에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1)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전륜(30)과 후륜(40)이 바닥면(1)에 밀착된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하려고 할 때, 전도방지휠(50)에 의해 방향전환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wheel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wheel 40 When attempting to change direction in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irection change is prevented by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그리고, 상기 상부통체(11)의 중간부에는 양측방향의 폭이 좁은 협경부(11a)가 형성되므로 어린아이가 상기 협경부(11a)의 양측에 다리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rrow narrow portion 11a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ylinder 11 in both directions, the child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narrow portion 11a so that the legs are positioned without a lot of legs. There is an advantage to sit with.

또한, 상기 하판(12)의 양측방향 폭은 상기 상부통체(11)의 양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되며, 특히, 상기 하판(12)의 양측면은 상호 평행한 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통체(11)의 협경부(11a) 하측에 폭이 넓은 발판(12b)이 형성된다. In addition, both side widths of the lower plate 12 is configured to be wider than both side widths of the upper cylinder 11, in particular,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late 12 is configured to form a parallel line with each other, the upper cylinder A wide scaffold 12b is formed below the narrow part 11a of (11).

따라서, 승용 완구에 탄 유아나 어린이가 발로 바닥면(1)을 밀어 승용 완구를 전후진시킨 후, 발을 상기 하판(12)의 둘레면 특히, 상기 협경부(11a)의 하측에 형성된 발판(12b)에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승용 완구를 타고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fter the infant or child riding on the riding toy pushes the bottom surface 1 with the foot to advance the riding toy forward and backward, the foot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 in particular, on the lower side of the narrow part 11a ( Since it can be placed on 12b),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enjoy riding toys more conveniently.

또한, 상기 핸들(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봉형상의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의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관체(13)에 삽입결합되는 연장부(23)와, 육각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4a)이 돌출형성된 고정부(24)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4)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오목홈(24b)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4a)이 고정부(24)의 중앙쪽으로 탄성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핸들(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b)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관체(13)는 상기 연장부(23)와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지지부(13a)와, 상기 고정부(24)와 대응되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부(13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andle 20 is a rod-shaped grip portion 21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rod-shaped vertical portion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1, and the vertical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23 is formed of a circular ro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22 and extends downward of the vertical portion 22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upport tube 13, and an extension portion 23.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and a lower end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f a fixing part 24 having a locking jaw 24a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ube 13, and an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24 upward. An extended concave groove 24b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jaw 24a can be elastically advanced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24,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hole 11b to which the handle 20 is coupled. The support tube 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ortion 23. It consists of a portion (13a) and, habuji portion (13b) having a cross-section of a hexagon corresponding to the said fixed part (24).

따라서, 상기 핸들(20)을 결합공(11b)에 용이하게 결합하면서도 핸들(2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handle 20 while easily coupling the handle 20 to the coupling hole (11b).

특히, 상기 고정부(24)는 육각관체로 구성되어, 핸들(20)을 상기 결합공(11b)에 결합할 때, 핸들(20)의 전후방향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핸들(20)을 결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ixing portion 24 is composed of a hexagonal tube, when the handle 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b),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andle 20, the handle 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combine.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c,12d,12e)가 형성되어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의 간격을 줄임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후단에는 전후방 걸림판(12f,12g)이 하향돌출되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승용 완구를 타고 놀 때, 작은 장난감이나 다른 유아 또는 어린이의 손이나 발이 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recesses 12c, 12d and 12e to which the front wheel 30,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are coupled. At the same time, the front and rear end plates of the main body 10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1 and the bottom surface 1, and the front and rear locking plates 12f and 12g protrude downward. Or other infants or children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pread of hands or feet.

즉,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 완구는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서, 승용 완구가 전후진될 때 작은 장난감이나 유아나 어린이의 손발이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 사이에 끼어 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하측면과 바닥면(1) 사이로 작은 장난감이나 유아의 손발이 들어가게 되더라도, 상기 전후방 걸림판(12f,12g)에 의해 밀려나가게 되므로, 작은 장난감이 승용 완구에 깔려 손상되거나, 유아나 어린이의 손발이 승용 완구에 깔려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riding to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very narrow interval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 of the main body 10, so that when the riding toy is moved back and forth, the small toys or the limbs of the infant or child are lower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 even if a small toy or infant's hands and feet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 of the main body 10, the front and rear locking plate (12f, 12g) Since it is pushed out by, a small toy is damaged on the riding toys, or the limbs of infants or children are spread on the riding toy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핸들(20)이 삽입되는 삽입홈(12h)이 형성되므로, 여러개의 승용 완구를 상측으로 쌓아 적층할 때, 핸들(20)이 삽입홈(12h)에 삽입되어 승용 완구가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여러개의 승용 완구를 효과적으로 쌓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groove 12h into which the handle 2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plurality of riding toys are stacked and stacked, the handl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h. Inserted in and fixed to the riding toys do not move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ffectively stacked and stored several riding toys.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브라켓(42)은 상기 후륜(40)이 결합되는 브라켓(41)에 비해 상하방향의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전륜(30)과 후륜(40)이 바닥면(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도방지휠(50)은 바닥면(1)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브라켓(41,42)은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하고, 전도방지휠(50)의 지름을 작게 구성하거나,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e)의 깊이를 상기 후륜(40)이 결합되는 오목부(12d)의 깊이에 비해 깊게 형성하여, 전도방지휠(50)이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42 to which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has a lower heigh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an the bracket 41 to which the rear wheel 40 is coupled, and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wheel ( While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illustrated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 but the brackets 41 and 42 have the same size and fall prevention. The diameter of the wheel 50 is configured to be small, or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2e to which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2d to which the rear wheel 40 is coupled, thereby conduction. The prevention wheel 50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본체 11. 상부통체
12. 하판 13. 지지관체
20. 핸들 30. 전륜
40. 후륜 50. 전도방지휠
10. Body 11. Upper Body
12. Bottom plate 13. Supporting body
20. Steering wheel 30. Front wheel
40. Rear wheels 50. Fall prevention wheel

Claims (4)

상면에 유아나 어린이가 탈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핸들(20)과,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된 캐스터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방에 결합된 한 쌍의 전륜(3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후측에 결합된 한 쌍의 후륜(40)과,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후륜(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본체(1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휠(5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c,12d,12e)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 전후단에는 중앙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후방 걸림판(12f,12g)이 하향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핸들(20)이 삽입되는 삽입홈(12h)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방지휠(50)은 상기 한 쌍의 후륜(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후륜(40)과 삼각형 배치를 이루며, 바닥면(1)에 대해 이격되도록 상기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브라켓(51)이 상기 후륜(40)이 결합되는 브라켓(41)보다 상하방향의 높이가 낮게 구성되거나, 상기 전도방지휠(50)의 지름이 상기 후륜(4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상기 전도방지휠(50)이 결합되는 오목부(12e)의 깊이가 상기 후륜(40)이 결합되는 오목부(12d)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전후방으로 길고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상부통체(11)와,
하측면에 상기 전륜(30)과 후륜(40) 및 전도방지휠(5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통체(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판(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통체(11)의 중간부에는 양측방향의 폭이 좁은 협경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12)의 양측방향 폭은 상기 상부통체(11)의 양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형성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1b)의 하측 둘레부에서 하향연장되어 상기 결합공(11b)에 결합된 핸들(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관체(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봉형상의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의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관체(13)에 삽입결합되는 연장부(23)와,
육각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4a)이 돌출형성된 고정부(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4)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오목홈(24b)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4a)이 고정부(24)의 중앙쪽으로 탄성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체(13)는
상기 연장부(23)와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지지부(13a)와,
상기 고정부(24)와 대응되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부(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so that the infant or child can ride on the upper surface,
A handle 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air of front wheels 30 configured in a caster shape to be freely changeable in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 pair of rear wheels 40 coupl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It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wheel 40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all prevention wheel 50 to prevent the main body 10 is lifted upwards,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recesses (12c, 12d, 12e) to which the front wheel 30,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front and rear engaging plates 12f and 12g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so th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forward or rearwar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an insertion groove 12h into which the handle 20 is inserte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ear wheels 40 to form a triangle arrangement with the pair of rear wheels 40,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 The bracket 51 to be coupled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bracket 41 to which the rear wheel 40 is coupled, or the diameter of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wheel 40. Or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2e to which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coupled is formed to be one of the shape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2d to which the rear wheels 40 are coupled.
The main body 10 is
The upper cylinder 11, which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long in the front and rear and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20,
The front wheel 30 and the rear wheel 40 and the fall prevention wheel 5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consists of a lower plate 12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ylinder 11,
The narrow portion 11a of the narrow width in both directions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ylinder 11, and both widths of the lower plate 12 are configured to be wider than both widths of the upper cylinder 11 in both directions.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a coupling hole 11b to which the handle 20 is coupled,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tube 13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2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b)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hole (11b) consisting of an open tube body,
The handle 20 is
A round rod-shaped gripping portion 21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ircular rod-shaped vertical portion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21,
Extended portion 23 is composed of a circular ro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portion 22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2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tube 13;
Consists of a hexagonal tub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23 to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includes a fixing portion 24 protruding the locking step (24a) is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ube 13,
A concave groove 24b extending upward is formed below the fixing part 24 so that the locking jaw 24a can be elastically advanced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24.
The support tube 13 is
An upper support portion 13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ortion 23;
And a lower support part (13b)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2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20001684U 2012-03-05 2012-03-05 Toy car KR2004635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84U KR200463516Y1 (en) 2012-03-05 2012-03-05 Toy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84U KR200463516Y1 (en) 2012-03-05 2012-03-05 Toy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16Y1 true KR200463516Y1 (en) 2012-11-07

Family

ID=4756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684U KR200463516Y1 (en) 2012-03-05 2012-03-05 Toy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1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23B1 (en) * 2015-10-14 2016-10-05 (주)쁘띠엘린 Riding toy with cushion cover
WO2021040620A1 (en) * 2019-08-23 2021-03-04 Zuru (Singapore) Pte. Ltd. Stackable ride-on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23B1 (en) * 2015-10-14 2016-10-05 (주)쁘띠엘린 Riding toy with cushion cover
WO2021040620A1 (en) * 2019-08-23 2021-03-04 Zuru (Singapore) Pte. Ltd. Stackable ride-o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0190A (en) Infant stroller and chair support unit
KR200463516Y1 (en) Toy car
KR200459089Y1 (en) Tricycle for kids
KR200459090Y1 (en) Tricycle for kids
KR20200001418U (en) Foldable baby stroller
US2482827A (en) Baby vehicle
CA1049584A (en) Infant creeper
JP3126071U (en) baby carriage
CN209888553U (en) Children are with multi-functional swivel chair truckle
EP1481871A1 (en) Auxiliary device that facilitates the movement of standard pushchairs over sandy or similar surfaces
CN206491740U (en) A kind of Toilet for children
KR200342748Y1 (en) Baby carriage
CN203142712U (en) Supermarket shopping trolley
US20160176432A1 (en) Gliding motion apparatus in use with an infant/toddler carrier
KR200477218Y1 (en) Carrier for hip seat
KR20110022889A (en) Car for child with heigh-control funtion
US6042129A (en) All-terrain baby stroller
KR101834290B1 (en)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KR100845611B1 (en) a swing of chair type
JP2014176459A5 (en)
CN210354049U (en) Walk-learning cart with hand push handle
CN211212306U (en) Baby carriage with rollover prevention structure
CN215922299U (en) Sharing formula children safety shallow
KR101442709B1 (en) Swing
CN209467265U (en) A kind of deformation cart with rocking hors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