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09Y1 -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 Google Patents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09Y1
KR200463509Y1 KR2020120006005U KR20120006005U KR200463509Y1 KR 200463509 Y1 KR200463509 Y1 KR 200463509Y1 KR 2020120006005 U KR2020120006005 U KR 2020120006005U KR 20120006005 U KR20120006005 U KR 20120006005U KR 200463509 Y1 KR200463509 Y1 KR 200463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ag
chair
shoulder str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유이
Original Assignee
전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이 filed Critical 전유이
Priority to KR2020120006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0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4Hat or coat holde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함몰부와, 상기 각 함몰부를 기점으로 양 측면의 일 지점까지 일정 각도 경사져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가방의 어깨 끈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등이 접하는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를 감싸되, 상기 전면부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쿠션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등받이와 착석 시트 사이 공간에 밀착 안치되는 지지 중량체가 구비되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depressions formed at the upper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depressions are formed at an angle inclined to extend to a point on both sides as a starting point, the depth is formed shall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backrest provided with a groove for fitting a shoulder strap of the bag; The front part of the user's back is formed longer than the rear part to surround the backres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shion protruding for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support weigh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eat seat A back cover provided with a sie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provided with a bag hanger.

Description

가방 걸이가 구비되는 의자{A chair having hanger for bag}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함몰부와, 상기 각 함몰부를 기점으로 양 측면의 일 지점까지 일정 각도 경사져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가방의 어깨 끈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등이 접하는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를 감싸되, 상기 전면부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쿠션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등받이와 착석 시트 사이 공간에 밀착 안치되는 지지 중량체가 구비되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in particular, a pair of depressions formed at an upper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depressions are formed at an angle inclined to extend to a point on both sides start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A backrest formed with a shallow depth and provided with a groove for fitting a shoulder strap of the bag; The front part of the user's back is formed longer than the rear part to surround the backres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shion protruding for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support weigh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eat seat A back cover provided with a sie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provided with a bag hanger.

학교나 도서관 등에서 가방 보관은 책상의 일 측에 구비되는 걸 고리에 걸어 보관하거나, 의자 등받이에 가방의 어깨 끈을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책상과 책상 사이의 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학생들이 지나가면서 가방과 부딪치는 불편한 점이 발생하며, 부딪치는 과정에서 가방 속에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Bags are stored in schools or libraries by hanging on hooks on one side of the desk, or by hanging shoulder straps on the back of chai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passage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becomes narrow, causing inconveniences that students encounter with the bag as they pass b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tents are spilled or damaged in the bag during the bumping process.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으나, 의자 등받이로부터 가방 어깨 끈이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게다가 의자 등받이 가방의 전체 하중을 지탱해야 한다는 점에서, 가방 속의 내용물이 무거운 경우에 의자를 일정한 힘으로 고정하지 않으면 의자 자체가 뒤로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가방이 바닥에 떨어지면 가방이 쉽게 더러워지는 것은 별론으로 치더라도, 바닥과의 충돌 과정에서 가방 속 내용물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 same problem as the former does not occur, but the problem that the bag shoulder strap slips from the back of the chair to fall to the floor often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chair back must support the entire load of the bag, if the contents in the bag are heavy, the chair itself may fall back if the chair is not fixed with a constant force. Even if the bag is easily soiled when the bag falls on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bag may be seriously damaged during the collision with the floo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182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4552호가 있다.Among the technologies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1821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04552.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1821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의자(1)의 등받이(2) 부분 상단에 가방의 어깨 끈을 걸 수 있는 대칭 홈(3)을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은 가방의 어깨 끈을 등받이 부분에 걸쳐 놓았을 때, 어깨 끈이 홈 부분에 밀착된다는 점에서 가방이 등받이 부분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홈의 형상에 따른 제약으로 인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어깨 끈이 홈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가게 되며, 가방 속의 내용물이 무거우면 그 하중에 의해 의자가 뒤로 쉽게 넘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191821, characterized in that the symmetrical groove (3) to hang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on the upper back portion 2 of the chair (1) is characterized. This technology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g does not escape from the backrest in that the shoulder stra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when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is placed over the backrest portion. In this case, the shoulder strap slips easily from the groove, and if the contents of the bag are heavy, the chair may easily fall backward due to the load.

도 4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4552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4552호는 등받이(30) 상단에 가방(110)의 어깨 끈(130)을 끼우기 위한 개구부(50)를 형성되고, 이에 부가하여 개구부(50)의 하단에 가방(110)의 어깨 끈(130)을 걸 수 있도록 걸이 홈(70)이 형성된 가방 걸이부(90)를 제안하는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은 수직 형상의 개구부(50)와 수평 형상의 걸이 홈(70)을 일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전자에 비해 가방 어깨 끈이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 역시 전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방 속의 내용물이 무거우면 그 하중에 의해 의자가 뒤로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030455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304552 has an opening 50 for fitting the shoulder strap 130 of the bag 110 to the top of the backrest 30, in addition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50) of the bag 110 There is a feature that proposes the bag hanger 90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70 to hang the shoulder strap 130. This technique can be seen that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groove compared to the former in that the vertical opening 50 and the horizontal hanger groove 70 are integrated. However, this technology also has the problem that the chair easily falls back due to the load if the contents in the bag are heavy as in the former ca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182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4552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182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0455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방 어깨 끈을 등받이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방 속의 내용물이 무겁더라도 가방의 하중에 의해 뒤로 잘 넘어지는 않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adhere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to the backrest, the chair does not fall well back by the load of the bag even if the contents in the bag is heavy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끼워진 가방 어깨 끈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편안하게 학습에 열중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in which a user can comfortably concentrate on learning without being disturbed by a bag shoulder strap fitted to a backres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착석 시트(1)와, 상기 착석 시트(1)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단부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함몰부(12)가 형성되는 등받이(10)와, 사용자의 등이 접하는 전면부(22)가 후면부(28)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10)를 감싸되 상기 전면부(22)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쿠션(21)이 구비되는 등받이 커버(20)로 이루어지는 의자로서, 상기 등받이(10)에는, 상기 각 함몰부(12)를 기점으로 양 측면의 일 지점까지 일정 각도 경사져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가방의 어깨 끈을 수용하는 홈부(16)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 커버(20)의 전면부(22) 하부에는, 상기 등받이(10)와 착석 시트(1) 사이 공간에 밀착 안치되는 지지 중량체(23)가 구비되어 등받이에 걸려진 가방의 하중에 의해 의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ing seat 1 and a backrest provided with a pair of recesses 12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seating sheet 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10 and the front portion 22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is formed longer than the rear portion 28 to surround the backrest 10,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2 is a cushion 21 protruding forward As a chair comprising a backrest cover 20 provided, the backrest 1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 one point on both sides starting from the recesses 12, and the depth is shall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groove portion 16 is formed so as to receive a shoulder strap of the bag; Under the front part 22 of the backrest cover 20, a support weight 23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10 and the seating seat 1, and is supported by the load of the bag caught on the backrest. To prevent the chair from falling over;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본 고안은 등받이 상부에 한 쌍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와 연결 구성되는 홈부를 부가함으로써 가방의 어깨 끈이 등받이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ir of depressions on the back of the back, and by adding a groove that is connected to the depression so that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does not easily flow out of the back.

또한, 본 고안은 홈부를 구성함에 있어 통상적인 가방의 어깨 끈 두께 형상을 고려하여 상부의 깊이를 깊게 하고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를 얕게 하고, 나아가 보호 커버를 이용하여 등받이를 감싸도록 하여 등받이에 걸린 가방의 어깨 끈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에 걸린 가방의 어깨 끈의 방해를 받지 않고 학습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groove in the shoulder strap thickness of the usual bag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of the upper depth and the lower toward the lower the depth, further cover the backrest by using a protective cover is caught on the backrest By preventing the shoulder straps of the bag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user can concentrate on learning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shoulder straps of the bag caught in the backrest.

또한, 본 고안은 보호 커버의 하부에 일정 중량의 지지 하중체를 부가하고, 이 지지 하중체가 착석 시트와 등받이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자가 가방의 하중에 의하여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support weight of a certain weigh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and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ating seat and the backrest to prevent the chair from falling backward by the load of the bag Do i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 의자의 일 구성도.
도 4는 종래 의자의 다른 구성도.
1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use stat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chair.
Figure 4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hair.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tter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착석 시트(1)와, 등받이(10)와, 그리고 등받이 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1 show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including a seating seat 1, a backrest 10, and a backrest cover 20.

상기 착석 시트(1)는 통상적인 의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나무, 합성수지,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ting seat 1 is provided in a conventional chair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it may be made of wood, synthetic resin, fabrics and the like.

상기 등받이(10)는 일정 각도로 굴절된 파이프 또는 봉과 같은 연결 지지 봉(3)에 매개되어 상기 착석 시트(1) 후면에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에 함몰부(12)와 홈부(16)가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The backrest 10 is a par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ating sheet 1 via a connecting support rod 3 such as a pipe or rod bent at an angle to support the user's back.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at the recess 12 and the groove 16 are formed in the backrest.

상기 함몰부(12)는 가방의 어깨 끈이 등받이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등받이(1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12)의 형성 깊이 및 상호 간의 간격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인 가방에 있어 어깨 끈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높이, 그리고 어깨 끈 단부가 상호 간에 벌어지는 각도 등을 감안해서 다양한 형태의 가방 어깨 끈 단부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The depression 12 is a portion to prevent the shoulder straps of the bag from flowing down the backrest,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pai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ing depth of the recess 12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conventional bag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shoulder strap ends are coupled, and the angle between the shoulder strap ends to open each other, etc.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the shoulder strap end of the bag can be easily caught.

상기 홈부(16)는 함몰부(12)에 끈의 단부가 걸려 안정적으로 등받이에 매달려 있는 가방의 각 어깨 끈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함몰부(12)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홈부가 시작되는 기점인 함몰부(12) 부위(17)의 형성 깊이가 홈부가 끝나는 등받이의 측면 부위(18)의 형성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The groove portion 16 is a space for naturally accommodating each shoulder strap of the bag hanging on the backrest hung reliably at the end of the recess 12, and extends to the side by inclining at an angle from the recess 12 It is preferably formed.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depth of formation of the recessed portion 12 portion 17,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formation of the side portion 18 of the backrest at which the groove portion ends.

이는 통상적인 가방의 어깨 끈에 있어, 가방과 접하는 어깨 끈의 단부 부위가 연장되는 하부 부위보다 두껍게 구성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이처럼 형성 깊이가 달라지면 가방의 어깨 끈이 각 홈부(16)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적절하게 안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10) 일 면에 접하더라도 사용자는 돌출되는 어깨 끈의 방해 없이 학습에 열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shoulder strap of a conventional bag, it is considered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ulder strap in contact with the bag is configured thicker than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is way, if the forming depth is different, the shoulder strap of the bag may be properly placed without protruding outward from each groove 16, even if the user's back contacts the backrest 10, the user may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shoulder strap. Without being able to concentrate on learning.

상기 등받이 커버(20)는 등받이(10)를 감싸는 부분으로서, 등받이의 전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등이 접하는 전면부(22)와 등받이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부(28)로 이루어진다. 등받이(10)의 후면에는 가방이 걸려 돌출되기 때문에 후면부(28)는 전면부(22)에 비하여 짧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cover 20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backrest 10, and surrounds the front of the backrest and consists of a front portion 22 and a back portion 28 surrounding the back of the backrest. Since the back of the backrest 10 hangs the bag,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ortion 28 is shorter than the front portion 22.

상기 전면부(22)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쿠션(21)이 구비되며, 전면부(22)의 하부에는 지지 중량체(23)가 구비된다. 상기 쿠션(21)은 사용자의 착석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 중량체(23)는 가방의 하중에 의해 의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등받이(10)와 착석 시트(1) 사이 공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 각도로 굴절되어 착석 시트(1)에 등받이(10)를 매개하는 지지 봉(3)의 상부에 밀착 안치된다.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rt 22 is provided with a cushion 21 protruding forward, and a support weight 23 is provided below the front part 22. The cushion 21 is for improving the seating comfort of the user. The support weight 23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chair from falling back due to the load of the bag,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10 and the seating seat 1, more specifically at a certain angle bends the seating seat ( 1)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3) mediating the backrest (10).

상기 지지 중량체(23)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금속체, 또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물, 합성수지 등으로 감싸진 상태로 보호 커버의 전면부(22)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24는 등받이(1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이다.The support weight 23 may be made of a metal body having a certain weight, or a synthetic resin having a high hardness, and is preferably provided under the front portion 22 of the protective cover in a state of being wrapped in a fabric,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 Reference numeral 24 is a space in which the backrest 1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첨부된 도 2는 가방의 어깨 끈 단부가 등받이(10)의 함몰부(12)에 걸리고, 각 어깨 끈의 연장부가 홈부(16) 공간에 안치된 상태에서 보호 커버(20)가 등받이(10)를 감싼 상태를 보여준다. 보호 커버(20)의 후면부(28)는 전면부(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등받이(10)에 매달려 돌출되는 가방의 방해를 받지 않으며, 지지 중량체(23)는 지지 봉(3)의 상부에 자연스럽게 안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등받이(10)에 걸려 있는 가방의 어깨 끈의 방해를 전혀 받지 않게 되며, 학습 중간에 사용자가 일어나더라도 가방 속의 무거운 내용물에 의해 의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2, the shoulder strap end of the bag is caught by the depression 12 of the backrest 10, and the protective cover 20 is supported by the backrest 10 while the extension of each shoulder strap is placed in the groove 16 space. Shows the state wrapped. Since the rear portion 28 of the protective cover 20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front portion 22, it is not disturbed by the bag hanging from the backrest 10, and the supporting weight 23 is made of the supporting rod 3. It is naturally placed in the upper part. Accordingly, the user is not disturbed at all by the shoulder straps of the bag hanging on the backrest 10, and the user can prevent the chair from falling back by the heavy contents in the bag even in the middle of learning.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hat the invention can be practiced.

1 : 착석 시트 3 : 지지 봉
10 : 등받이 12 : 함몰부
16 : 홈부 20 : 보호 커버
21 : 쿠션 22 : 전면부
23 : 지지 중량체 24 : 수용 공간
28 : 후면부
1: seating seat 3: support rod
10: back 12: depression
16: groove 20: protective cover
21 cushion 22 front
23: support weight 24: accommodation space
28: rear part

Claims (1)

착석 시트(1)와, 상기 착석 시트(1)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단부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함몰부(12)가 형성되는 등받이(10)와, 사용자의 등이 접하는 전면부(22)가 후면부(28)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10)를 감싸되 상기 전면부(22)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쿠션(21)이 구비되는 등받이 커버(20)로 이루어지는 의자로서,
상기 등받이(10)에는, 상기 각 함몰부(12)를 기점으로 양 측면의 일 지점까지 일정 각도 경사져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가방의 어깨 끈을 수용하는 홈부(16)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 커버(20)의 전면부(22) 하부에는, 상기 등받이(10)와 착석 시트(1) 사이 공간에 밀착 안치되는 지지 중량체(23)가 구비되어 등받이에 걸려진 가방의 하중에 의해 의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가 구비되는 의자.
Seating seat 1 and the backrest 10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eating seat 1, a pair of recessed portions 12 are formed at the upper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ront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e chair is formed of a back cover 20 is formed longer than the rear portion 28 to surround the backrest 10,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cushion 21 protruding forward,
The backrest 10, the groove portion for receiving the shoulder straps of the bag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 a point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12 as a starting point, the depth is shall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 16) is provided;
Under the front part 22 of the backrest cover 20, a support weight 23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10 and the seating seat 1, and is supported by the load of the bag caught on the backrest. To prevent the chair from falling over;
Chair equipped with a bag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KR2020120006005U 2012-07-09 2012-07-09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KR2004635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05U KR200463509Y1 (en) 2012-07-09 2012-07-09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05U KR200463509Y1 (en) 2012-07-09 2012-07-09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09Y1 true KR200463509Y1 (en) 2012-11-12

Family

ID=4756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05U KR200463509Y1 (en) 2012-07-09 2012-07-09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09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402Y1 (en) 2006-12-27 2008-02-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402Y1 (en) 2006-12-27 2008-02-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3860B2 (en) Seat furniture items
US8944514B2 (en) Child support device with seat insert
JP2016120917A5 (en)
JP2015508698A5 (en)
JP2010505507A5 (en)
US9211023B1 (en) Garment hanging system
KR200463509Y1 (en) A chair having hanger for bag
JP6876410B2 (en) Chair
KR101389622B1 (en) A chair
CN203506081U (en) Fence type chair
JP6007080B2 (en) Chair
KR200463593Y1 (en) A sanitary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JP7113538B2 (en) A chair on which items can be hung
JP2013183747A (en) Chair
JP7227833B2 (en) bathtub stand
KR101226155B1 (en) Bag hanger
JP5280701B2 (en) Chair
JP6524576B2 (en) Bathroom handrail and bathroom equipped therewith
KR101251145B1 (en) a chair
JP2009527318A (en) Back support
JP3193443U (en) Portable toilet
JP6461493B2 (en) School bag hanger
JP3193993U (en) Towel rack
JP2005137797A (en) Chair with hanger
KR200455523Y1 (en) Chair with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