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00Y1 - 잠수용 스노클 - Google Patents

잠수용 스노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00Y1
KR200463200Y1 KR2020110000631U KR20110000631U KR200463200Y1 KR 200463200 Y1 KR200463200 Y1 KR 200463200Y1 KR 2020110000631 U KR2020110000631 U KR 2020110000631U KR 20110000631 U KR20110000631 U KR 20110000631U KR 200463200 Y1 KR200463200 Y1 KR 200463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valve
snorke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11U (ko
Inventor
유근황
Original Assignee
유근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황 filed Critical 유근황
Priority to KR202011000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0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2011/165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comprising two or more air ducts leading from the mouthpiece to the air inlet or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수용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스노클 본체(1)의 좌우의 어느 일측의 팽대부(1a)에 급기실(2)과 배기실(3)이 이중으로 형성된 내부체(1b)를 결합하고 다이어프램으로 된 급기밸브(4)와 원형의 배기밸브(5)를 하나의 지지봉(6)에 스프링과 함께 동축으로 결합하여 급기실(2)의 변실(2c)과 배기실(3)의 변실(3c)에 설치하며, 급기관(7)과 배기관(8)이 이중으로 형성된 관접부(9)를 상기 급기실(2)과 배기실(3)에 연관되게 패킹(g1)(g2)을 개재하여 밀착되게 크러운 너트(10)로 본체(1)에 체결하며, 공기를 공급하는 부구(F)에 연결된 공기도관(D)의 급기도관(d1) 및 배기도관(d2)이 관접부(9)의 급기관(7)과 배기관(8)에 각각 관접되게 접속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동작이 확실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잠수용 스노클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용 스노클 {SNORKEL}
본 고안은 잠수용 스노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용 스노클은 스노클 본체에 공기의 흡입 동작과 배출 동작을 제어하는 2개의 밸브와 공기의 흡입관 및 배출관이 관접되어, 잠수중에 공기를 호흡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스노클의 밸브는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동작의 안전성이 미흡하고 또한 흡입도관 및 배출도관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면 수압에 도관이 압착될 우려가 있고 경질의 도관을 사용하면 잠수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공보 실1990-0003818호(1990. 05. 01.공고)의 스노클은 스노클 본체의 각 흡기관과 배기관이 연결된 흡기실과 배기실 밸브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공기의 흡입시에는 흡기실을 개방하는 밸브가 작동하고 공기의 배기시에는 배기실을 개방하는 밸브가 작동하게 되어 있어 종래의 스노클에 비하여 밸브동작의 안전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으나 좁은 구조체에 밸브가 병렬로 배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의 구조가 작고 다소 복잡하게 되어 조립 제작이 번거로워 생산 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기도관 및 배기도관이 스노클의 전방에 Y자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노클의 취급시 장해를 주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용신안공보 실1990-0003818호의 스노클과 관련된 고안으로서 상기한 등록고안의 미비점을 개선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잠수용 스노클을 안출하였다.
본 고안은 잠수용 스노클에 있어서, 마우스 피스가 형성된 스노클 본체의 좌측이나 우측의 어느 일측의 팽대부(膨大部)에 급기실과 배기실이 이중으로 형성된 내부체를 결합하고 급기실의 급기구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으로 된 급기밸브와 배기실의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밸브를 하나의 지지봉에 스프링과 함께 동축으로 결합하여 급기구와 배기구를 교호로 개폐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급기관과 배기관이 이중관으로 형성된 관접부를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과 연관되도록 패킹을 개재하여 크러운 너트로 본체에 밀착되게 체결하며, 공기를 공급하는 부구(浮球)에 연결된 급기도관 및 배기도관이 내외 이중관으로 형성된 공기도관을 상기 관접부의 급기관과 배기관에 각각 연관되게 접속하여 본체의 한쪽에서 공기도관이 부구 측으로 유도되게 구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노클의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입으로 호흡을 하며, 잠수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부구(浮球)부터 급기와 배기가 이루어진다.
즉 공기의 흡입시에는 반지름이 큰 다이어 플램으로 된 급기밸브가 흡입동작에 의해 급기실의 급기구가 개방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동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봉에 형성된 배기밸브는 배기실의 배기구에 밀착되어 배기구가 차단된다.
또 공기의 배출시에는 배기압력에 의해 상기 급기밸브는 후진되어 급기구가 차단되는 동시 배기밸브는 배기실의 배기구를 개방하게 되어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관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흡기동작과 배기 작에 따라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다이어프램으로 된 급기밸브가 좌우로 용이하게 동작되어 급기실의 급기구를 개폐할 뿐 아니라 급기밸브의 동작과 수반하여 배기밸브도 용이하게 동작되어 배기실의 배기구를 교호로 개폐하게 되어, 밸브동작이 확실하여 호흡이 원활하고 공기의 공급에 대한 안전성이 그만큼 높게 된다.
또 스노클 본체의 일 측에 급기실과 배기실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각 급기밸브와 배기밸브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측방으로 여유 있게 확장이 가능하여 각 급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밸브동작이 자유롭게 된다.
또 크라운 너트를 분리하면 스노클의 내부체와 관접부가 분리되어 스노클의 사용 후에 간편하게 소제할 수 있고 각 밸브의 조절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도관이 스노클 본체의 어느 한쪽으로 유도되어 있기 때문에 스노클을 사용할 때 공기도관의 장해를 받지 않아, 그만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스노클 본체의 일 측방에 급기실과 배기실이 이중 원형관으로 형성된 내부체를 결합하여 다아프램으로 된 급기밸브와 배기밸브를 하나의 지지봉에 스프링으로 탄동되게 결합하여 급기공과 배기공을 교호로 개폐할 수 있게 설치하고 본체의 팽대부에 공기도관이 연결된 관접부를 내부체와 연접되게 크라운 너트로 체결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호흡시에 급기밸브와 배기밸브가 원활하게 작동되어 수중의 호흡이 용이하고 밸브동작의 확실한 동작에 의해 그만큼 잠수시의 호흡에 대한 안전성이 높게 되다.
또 공기도관이 연관된 관접부를 분리하면 내부체가 분리되어 스노클의 사용 후 용이하게 소제할 수 있고 밸브의 조절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체의 한쪽으로 공기도관이 유도되어 있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의 사용시 공기도관의 장해가 없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스노클 요부의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4은 본 고안의 밸브동작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떠 있는 부구(f)에 연결된 공기도관(D)이 연결된 잠수용 스노클(SN)에 있어서, 마우스 피스(1m)가 형성된 스노클 본체(1)의 어느 일측의 팽대부(1a)에 급기실(2)과 배기실(3)이 이중으로 형성된 내부체(1b)가 내장되고 급기실(2)의 외측 급기구(2a)에는 변좌(2b)가 형성되며, 중앙부의 배기실(3)의 내측 배기구(3a)에는 변좌(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기실(2)의 개구부(2a)를 차단할 수 있는 반지름을 가진 다이어프램으로 된 급기밸브(4)의 중앙 돌출부(4a)에 여러 개의 통기공(4h)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a)의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공(4b)에 지지봉(6)이 관통되어 유연한 스프링(6S)과 와셔(6a) 및 너트(6n)로 급기밸브가 탄성적으로 유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급기밸브(4)에 비하여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된 원형의 배기밸브(5)는 상기 지지봉(6)의 내단부에 고정되어 급기밸브(4) 및 배기밸브(5)가 각각 급기실(2)과 배기실(3)의 변좌(2b)(3b)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호흡에 따라 급기밸브(4)와 배기밸브(5)가 교호로 급기구(2a)와 배기구(3a)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1)의 일측의 팽대부(1a)의 단부측에는 급기관(7) 및 배기관(8)이 이중으로 형성된 관접부(9)의 플랜지(9f)가 패킹(g1)(g2)과 함께 밀착되어 관접부(9)의 플랜지(9f)에 끼워진 크라운 너트(10)의 나사부(10s)가 본체(1)의 일측 나사부(1s)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급기실(2)과 배기실(3)이 급기관(7)과 배기관(8)과 연관되고 부구(f)에 연결된 공기도관(d)의 급기도관(d1)및 배기도관(d2)은 상기 급기관(7)과 배기관(8)과 연관되게 관접하여 구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노클(SN)의 마우스 피스(1m)를 입에 물고 입으로 호흡을 하며, 잠수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부구(F)로부터 공기도관(D)의 급기도관(d1)및 배기도관(d2)을 통하여 공기의 공급과 배기가 이루어진다.
즉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노클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급기밸브(4)와 배기밸브(5)가 각각 급기구(2a)와 배기구(3a)에 밀착되어 있다.
스노클의 공기의 흡기시에는 도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급기밸브(4)가 흡입동작에 의해 급기실(2)의 변좌(2c)에서 분리되어 급기구(2a)가 개방되고 따라서 공기도관(D)의 급기도관(d1)을 통하여 급기실(2)에 유입된 공기는 급기구(2a)를 통하여 급기밸브(4)의 돌출부(4a)에 형성된 여러 개의 통기공(4h)을 거쳐 공급된다. 이때, 급기밸브(4)의 흡입이동에 따라 지지봉(6)에 설치된 스프링(6s)이 압축되고 스프링(S)의 압축에 따라 지지봉(6)의 단부에 형성된 배기밸브(5)는 배기실(3)의 변좌(3b)에 밀착되어 동 배기구(3a)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스노클의 공기의 배기시에는 상기 급기밸브(2)가 배기압력으로 후퇴되면서 급기실(2)의 변좌(2b)에 밀착되어 급기실(2)의 급기구(2a)가 차단되는 동시. 급기밸브(4)의 동작에 수반하여 배기압에 의해 배기밸브(5)가 배기실(3)의 변좌(3b)에서 분리되어 배기실(3)의 배기구(3a)가 개방되면서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구(3a)와 배기실(3)을 통하여 관접부(9)의 배기관(8)을 거쳐 배기도관(d2)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급기동작과 배기동작에 따라 급기밸브(4)가 좌우로 용이하게 동작되어 급기실(2)의 급기구(2a)를 개폐할 뿐 아니라 급기밸브(4)의 동작과 수반하여 배기밸브(5)도 배기압에 의해 배기실(3)의 배기구(3a)를 개폐하게 되어 스노클의 밸브동작이 보다 확실하고 수중 호흡의 안전성이 그만큼 높게 된다.
또 스노클을 사용한 다음 소제할 경우에는 본체(1)의 팽대부(1a)에서 크라운 너트(10)를 풀어 관접부(9)를 본체(1)에서 분리하면, 본체(1)에서 내부체(1b)가 분리되어 급기실(2)과 배기실(3) 및 밸브(4)(5)를 간편하게 소제할 수 있고 용이하게 각 밸브의 조절 및 교체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도관(D)이 스노클 본체(1)의 한쪽으로 위치하고 있어, 스노클을 취급할 때 공기도관의 장애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본체 1a : 팽대부 1b : 내부체 2 : 급기실 3 : 배기실
2a: 급기구 3a : 배기구 2b,3b : 변좌 4 : 급기밸브 4a : 돌출부
4 b : 지지공 4h : 통기공 5 : 배기밸브 6 : 지지봉 6a : 와셔
6n : 너트 7 : 급기관 8 : 배기관 9 : 관접부 10 : 크라운 너트

Claims (3)

  1. 잠수용 스노클에 있어서, 스노클 본체(1)의 좌우의 어느 일측의 팽대부(1a)에 급기실(2)과 배기실(3)이 이중으로 형성된 내부체(1b)를 결합하고 다이어프램으로 된 급기밸브(4)와 원형의 배기밸브(5)를 하나의 지지봉(6)에 스프링(6s)과 함께 동축으로 결합하여 급기실(2)의 변실(2c)과 배기실(3)의 변실(3c)에 상기 급기밸브(4) 및 배기밸브(5)를 설치하며, 급기관(7)과 배기관(8)이 이중으로 형성된 공기도관(D)의 관접부(9)를 상기 급기실(2)과 배기실(3)에 연관되게 패킹(g1)(g2)을 개재하여 크라운 너트(10)로 본체(1)에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스노클.
  2. 제1항에 있어서, 급기밸브(4)는 돌출부(4a)에 여러 개의 통기공(4h)이 형성되고 돌출부(4a)에 형성된 중앙공(4b)으로 지지봉(6)이 관통되어 스프링(6s)과 와셔(6a) 및 너트(6n)로 체결되어 있으며, 배기밸브(5)는 지지봉(6)의 단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스노틀.
  3. 제1항에 있어서, 관접부(9)는 관접부(9)에 형성된 급기관(7) 및 배기관(8)이 공기도관(D)의 급기도관(d1) 및 배기도관(d2)가 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스노클.
KR2020110000631U 2011-01-21 2011-01-21 잠수용 스노클 KR200463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31U KR200463200Y1 (ko) 2011-01-21 2011-01-21 잠수용 스노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31U KR200463200Y1 (ko) 2011-01-21 2011-01-21 잠수용 스노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11U KR20120005511U (ko) 2012-07-31
KR200463200Y1 true KR200463200Y1 (ko) 2012-10-29

Family

ID=4687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31U KR200463200Y1 (ko) 2011-01-21 2011-01-21 잠수용 스노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31A (ko) 2018-08-07 2020-02-17 고훈희 수중 호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00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코리아나 스노클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86Y1 (ko) 2007-09-28 2009-10-14 조용출 스노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86Y1 (ko) 2007-09-28 2009-10-14 조용출 스노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31A (ko) 2018-08-07 2020-02-17 고훈희 수중 호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11U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3033B (zh) 一种管中管抽拉龙头
CN109204743A (zh) 用于表面浮潜的面罩
CN210961877U (zh) 内窥镜的阀门及内窥镜
RU2015131852A (ru)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приемной камерой чистого воздуха
RU2011107226A (ru) Адаптер для отсасывающего катетера закрытого типа с промывоч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ATE428881T1 (de) Membranventil und öffnungs-/schliesselement für das ventil
JP2009521273A5 (ko)
KR200463200Y1 (ko) 잠수용 스노클
KR101505648B1 (ko) 코 마스크
CN204017200U (zh) 一种低阻力鼻塞式空气净化器
WO2021068577A1 (zh) 一种潜水眼罩
TW202039310A (zh) 具有壓力平衡裝置之潛水面罩
CN103182140A (zh) 呼吸阀
CN208165232U (zh) 一种呼吸管长度可调的浮潜面罩
CN203953520U (zh) 多用马桶座圈盖
CN202149245U (zh) 负压阀
US9151285B2 (en) Air pump structure
CN208533658U (zh) 管道疏通器
CN208073730U (zh) 净水系统的水泵和具有其的净水系统
CN104015898A (zh) 可自动调节的水下呼吸器
KR20100019012A (ko) 저압 잠수 장치
CN209041678U (zh) 一种用于潜水呼吸器的扳手单向呼吸阀
CN201365462Y (zh) 便捷式脏物吸除装置
CN109056914A (zh) 一种缓闭型密闭排水系统
CN203714166U (zh) 水下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