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52Y1 - Contact terminal - Google Patents

Contact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52Y1
KR200462952Y1 KR2020100012546U KR20100012546U KR200462952Y1 KR 200462952 Y1 KR200462952 Y1 KR 200462952Y1 KR 2020100012546 U KR2020100012546 U KR 2020100012546U KR 20100012546 U KR20100012546 U KR 20100012546U KR 200462952 Y1 KR200462952 Y1 KR 200462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ce
fixed terminal
elastic
piec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4216U (en
Inventor
조영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52Y1/en
Publication of KR20120004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1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5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접속단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고정단자편(10)과 상기 고정단자편(10)에 대해 탄성변형되어 상대 이동되는 가동단자편(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측판(12)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12)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단자편(10)과 평행하게 평행판(14)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단자편(20)은 상기 고정단자편(10)과 연결되는 제1탄성제공부(22)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에서 상기 평행판(14)과 고정단자편(10)의 사이로 통과하도록 평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평행부(24)의 일단부에서 직교하게 직립부(26)가 상기 고정단자편(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직립부(26)의 단부에는 부품과 접촉되는 접촉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8)에서 연장되어서는 제2탄성제공지지부(30)가 상기 고정단자편(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탄성제공지지부(30)는 가동단자편(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선단에는 안착안내편(3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단자의 탄성복원력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잘 견뎌 동작신뢰성이 좋아지고 자동화장비에서 취급이 가능하여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terminal piece 10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ovable terminal piece 20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relative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extends orthogonally and the side plate 12 is provided,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2 is provided with a parallel plate 14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22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has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parallel plate in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22. A parallel portion 24 is provided to pass between the 14 and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 upright portion 26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t right angles at one end of the parallel portion 24, and a contact portion 28 in contact with the component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upright portion 26. It is provided.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30 extends from the contact portion 28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is formed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The width is narrower than other parts. A seating guide piece 32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tip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set more accurately,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to withstand the external shock well, and the handling cost can be reduced in the manufacturing equipment.

Description

접속단자{Contact terminal}Contact terminal

본 고안은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박단소화된 제품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terminal miniaturized to be used in a light and thin shortened product.

최근에 스마트폰, 휴대폰, PMP, PSP, MP3플레이어 등 소형 휴대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형 휴대단말기에서는 그 내부에 사용하는 각종 부품들도 소형화될 수 밖에 없다.Recently, many small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MPs, PSPs, and MP3 players have been released. In such a small portable terminal, various components used therein can also be miniaturized.

스마트폰이나 휴대폰과 같은 것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들도 역시 소형화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과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가 있다.In smart phones and mobile phones, the connection terminals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and other components also have to be miniaturized. For example, there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ntenna or a battery.

상기 접속단자가 소형화되면, 탄성변형력 등과 같은 제품의 특성을 형성하거나 사용중에 이들 특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downsized, it is difficult to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such as elastic deformation force or the like and to maintain these characteristics during use.

그리고, 가동단자가 부품들과 접속되어 탄성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탄성변형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아 접속상태가 흐트러질 염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mov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arts and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ally deformed state is not maintained accurately, which may cause the connection state to be disturbed.

또한, 접속단자를 자동화된 장비에 투입하여 접속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것이 접속단자가 소형화되어 있어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insert a connection terminal into an automated equipment and mount a connection terminal on a printed circuit boar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화된 접속단자의 탄성변형력이 정확하게 설정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force of the miniaturized connection terminal can be accurately set and exert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동단자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caused by the impact or vib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terminal is elastically deform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의 일측에 자동화장비에서 흡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행면이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parallel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used by adsorption in automated equip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자편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서 고정단자편의 상방에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편과 연결되는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의 반대쪽인 자유단부쪽의 제2탄성제공지지부가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자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단자편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안내편이 구비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terminal piece that is seated and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bove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a movable terminal piece having a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a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on the free e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componen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is provided with a seating guide pie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의 40% ~ 60% 사이의 값을 가진다..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is between 40% and 60% of the width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Have ...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게 측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측판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판의 상단에는 상기 가동단자편의 상부에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한 평행판이 구비된다.The side plate is provided to extend orthogonally from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the side plate serves to regulate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parallel to the fixed terminal piece on top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Parallel plates are provided.

상기 가동단자편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된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 부품과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parallel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mating component, and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촉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된 직립부를 더 구비한다.The contact portion further has an upright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parallel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자편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평행판을 구비하는 측판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서 고정단자편의 상방과 상기 평행판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편과 연결되는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의 반대쪽인 자유단부쪽의 제2탄성제공지지부가 순차적으로 탄성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terminal piece that is seated and fix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parallel plate is formed to extend orthogonall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at the top And a side plate having a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so as to pass between an upper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parallel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on the free end side thereof, which includes a movable terminal piece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sequentially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contacts the part.

상기 평행판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폭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면서 평면도로 볼 때, 선단이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상기 측판이 연결된 반대쪽 단부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된다.The parallel plate has a wider width than that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leading end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pposite end to which the side plate is connected in the fixed terminal piece.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상기 가동단자편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된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 부품과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고정단자편에 안착되는 안착안내편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안내편이 고정단자편상에 안착됨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The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parallel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mponent, and the seating guide pie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t the contact portion and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at the tip end are inclined to be seated. And a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상기 접촉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된 직립부를 더 구비한다.
The contact portion further has an upright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parallel portion.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고안에서는 가동단자편의 동작시에 탄성변형이 2개의 부분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가동단자편의 동작을 위한 탄성변형을 보다 정확하게 만들어낼 수 있다. 즉, 동작의 초기에서는 제1탄성제공부에서만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일정 이상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2탄성제공지지부에서도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되므로 가동단자편의 동작을 위한 탄성변형이 동일한 재질과 사양을 가지는 다른 제품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is sequentially made in two par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roduce the elastic de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That i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operation, the elastic deformation is made only in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and when the predetermined elasticity is made, the elastic deformation is also performed in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Therefore, the elastic de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has the same material and specification. Branch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surely than other product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본 고안에서는 또한 가동단자편이 동작되어 탄성변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졌을 때 가동단자편의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스토퍼부를 두었으므로, 가동단자편의 유동이 방지되어 역시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state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not disturbed when external shocks or vibrations are applied while 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operated and elastically deformed.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그리고, 본 고안의 접속단자는 비록 소형이지만 그 일측에 평행판을 두어 자동화장비에서 흡착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접속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접속단자가 사용되는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althoug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t has a parallel plate on one side so that it can be adsorbed and handled by the automation equipment, so that the work of mounting the connection terminal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automated and the product used for the connec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접속단자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4 and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접속단자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접속단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접속단자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는 고정단자편(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단자편(10)은 판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단자편(10)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단자편(10)이 원판 형상 등 다양한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자편(10)의 형상은 인쇄회로기판의 실장영역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by soldering. Such a connection terminal is made by cutting and bending a single metal plate as a whole.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xed terminal piece 10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a plate that is soldered to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orm of a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but is not necessarily so. For example, the fixed terminal piece 10 may have various plate shapes such as a disc shape. The shap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mounting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고정단자편(10)의 폭방향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측판(12)이 구비된다. 상기 측판(12)은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일측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판(12)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측판(12)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단자편(20)의 직립부(26), 접촉부(28) 및 제2탄성제공지지부(30)와 마주보는 부분은 가동단자편(20)이 배터리나 안테나 등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될 때, 상기 배터리나 안테나가 더 이상 가동단자편(20)을 누르지 못하도록 지지하여 가동단자편(20)이 일정 이상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ide plate 12 extends from on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side plate 12 is formed to be bent orthogonally to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side plate 12 is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as well shown in FIG. 2. In the side plate 12, the upright portion 26, the contact portion 28, and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formed by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When pressed by an antenna to elastically deform, the battery or antenna supports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so that it no longer presses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to prevent elastic deformation.

상기 측판(12)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평행판(14)이 구비된다. 상기 평행판(14)은 상기 고정단자편(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12)의 상단에서 측판(12)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평행판(14)은 평면도로 볼 때, 상기 고정단자편(10)이 보이지 않도록 치수가 설계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평행판(14)이 상기 고정단자편(10)의 폭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평행판(14)에서 상기 측판(12)과 연결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가 상기 고정단자편(10)의 대응되는 쪽 단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접속단자의 전체 폭이 평행판(14) 때문에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평행판(14)은 자동화 장비에서 접속단자를 흡착하는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다.A parallel plate 14 is provided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2. The parallel plate 14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12 is formed to be bent orthogonal to the side plate 12. The parallel plate 14 may be designed to have a dimension such that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not visible when viewed in plan view. That is, the parallel plate 14 is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posite end of the end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2 in the parallel plate 14 does not protrude from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is is to prevent the entire width of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coming large due to the parallel plate 14. The parallel plate 14 is a portion on which the portion for absorbing the connection terminal in the automated equipment is seated.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상방에 위치되게 가동단자편(2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단자편(20)은 상기 고정단자편(10)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상기 가동단자편(20)은 예를 들면 배터리나 안테나와 같은 부품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되면서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be positioned above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design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 closer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pressed by a component such as a battery or an antenna and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가동단자편(20)은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일단부와 제1탄성제공부(2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탄성제공부(22)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양단부의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접속단자를 도 3과 같이 측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반원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탄성제공부(22)는 가동단자편(20)의 동작시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connected by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22.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22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in both ends. 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ing terminal is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3, it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first elastic providing unit 22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while elastic deform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에서 상기 고정단자편(10)과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는 평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평행부(24)는 상기 고정단자편(10)의 상방 그리고 상기 평행판(14)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평행부(24)가 반드시 상기 고정단자편(10)이나 평행판(14)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평행부(24)가 상기 고정단자편(10)과 평행판(14)에 대해 평행하게 되는 것이 동작특성상 가장 효율적이다.A parallel portion 24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22. The parallel portion 24 is positioned side by sid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the parallel plate 14. The parallel portion 24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arallel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or the parallel plate 14. However, it is most efficient in terms of opera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parallel portion 24 is parallel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the parallel plate 14.

상기 평행부(24)에서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와 연결된 반대쪽에는 직립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직립부(26)는 상기 평행부(2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평행부(24)에 대해 대략 직교하게 상기 고정단자편(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An upright part 2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provision part 22 in the parallel part 24. The upright part 26 extends in the parallel part 24 and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part 24.

상기 직립부(26)의 상단에는 접촉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28)는 배터리나 안테나와 같은 부품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부(28)는 상기 직립부(26)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직립부(26)의 연장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직립부(26)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접촉부(28)와 직립부(26)는 별도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직립부(26)가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그 끝부분에 상기 부품이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접촉부(28)가 상기 평행부(2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평행판(14)의 면적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평행판(14)과 상기 직립부(26)사이의 간섭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즉, 평행판(14)의 크기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직립부(26)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직립부(26)가 상기 평행부(24)의 끝부분에 직교하게 연장되게 하는 것이 전체 접속단자의 크기를 소형화하기에 가장 좋다.The contact portion 28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portion 26. The contact part 28 is a part where a component such as a battery or an antenna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28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upright portion 26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right portion 26. That is, it is bent and extended at the tip of the upright part 26. However, the contact portion 28 and the upright portion 26 are not to be separated separately. For example, the upright part 26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part contacts the end thereof.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portion 28 extends from the parallel portion 24.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area of the parallel plate 14 more than a certain extent, the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the parallel plate 14 and the upright part 26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the size of the parallel plate 14 should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right part 26. For this purpose, the upright part 26 is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parallel part 24. The extension is best for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entir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접촉부(28)에서 연장되어서는 제2탄성제공지지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는 상기 직립부(26)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는 상기 가동단자편(20)이 일정 이상 동작되어 상기 고정단자편(10)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고정단자편(10)에 지지되면서 탄성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ontact portion 28.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is formed to face the upright part 26.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xed terminal piece 10 when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oper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o approach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는 상기 고정단자편(10)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는 상기 가동단자편(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가 고정단자편(10)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되기 시작할 때는 가동단자편(20)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먼저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이 비해 작기 때문에 먼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extends toward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other portions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This is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to occur before other parts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when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is supported by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starts to elastically deform. In other words, since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art 3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part, the elastic deformation is first performed to provid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폭은 예를 들어 상기 직립부(26)나 접촉부(28)의 폭에 비해 절반정도로 되는 것이 좋다. 즉, 직립부(26) 등의 폭에 비해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폭은 40% ~ 60% 정도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폭이 60%이상의 값을 가지게 되면 탄성변형이 제2탄성제공지지부(30)에 일어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고, 40%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면 탄성복원력의 값이 작아 실질적인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may be about half the width of the upright part 26 or the contact part 28. That is,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30 may be about 40% to about 60% of the width of the upright portion 26, and the like. If the value of 60% or more can not guarantee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30, if the value of 40% or less because the valu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small because there is no practical effect.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의 선단은 안착안내편(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안내편(32)은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가 고정단자편(10)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안내편(32)은 상기 제1탄성제공부(2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는 상기 가동단자편(20)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고정단자편(10)에 가까워질 때, 안착안내편(32)의 선단이 고정단자편(10)에 걸리지 않고 고정단자편(10)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tip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is provided with a seating guide piece 32. The seating guide piece 32 serves to guide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to be accurately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o this end, the seating guide piece 32 extends inclined toward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22. This is because when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close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guide piece 32 is not caught by the fixed terminal piece 10, but the surfac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fixed. This is to allow it to be seated on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used.

본 고안의 접속단자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고정단자편(10)이 솔더링되어 고정된 상태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나 안테나와 같은 부품이 상기 가동단자편(20)의 접촉부(28)에 접촉되어 가동단자편(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부품과 접촉부(28)가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and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soldered and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mponent such as a battery or an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8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 28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가 부품에 의해 눌러져 가동단자편(20)이 탄성변형되어 고정단자편(10)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다. 먼저, 상기 부품이 상기 접촉부(28)에 접촉되어 가동단자편(20)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에서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제1탄성제공부(22)가 상기 가동단자편(20)의 회전중심이 되면서 탄성변형이 일어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착안내편(32)은 상기 가동단자편(20)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부분으로 가동단자편(20)이 어느 정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착안내편(32)의 일측 표면이 상기 고정단자편(10)의 표면과 경사지게 마주보게 된다. 이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4 and 5 sequentially show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by the component,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d toward the fixed terminal piece 10. First, when the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8 and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pressed,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22. As the first elastic providing unit 22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elastic deformation occurs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the seating guide piece 32 is one of the surfaces of the seating guide piece 32 is fixed when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rotated to a part farthes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t faces to the surface of the terminal piece 10 inclined. This is illustrated well in FIG.

계속하여 상기 접촉부(28)가 눌러지게 되면 상기 가동단자편(20)이 상기 고정단자편(10)에 더 인접하게 되고, 상기 안착안내편(32)이 상기 고정단자편(10)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안내편(32)이 상기 고정단자편(10)에 안착된 이후부터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안착안내편(32)이 상기 고정단자편(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에도 제2탄성제공지지부(30)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지만, 본격적으로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은 상기 안착안내편(32)이 상기 고정단자편(10) 상에 안착된 이후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에서는 계속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contact portion 28 is pressed,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is further adjacent to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nd the seating guide piece 32 is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10. . Since the seating guide piece 32 is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10,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Of course, even when the seating guide piece 32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ortion 30, but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earnest in the seating guide piece ( After the 32 is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10).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roviding unit 22 continues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이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30)에서도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상태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접촉부(28)의 상단은 상기 측판(12)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측판(12)의 영역 내에 상기 가동단자편(20)의 자유단부쪽, 즉 접촉부(28), 제2탄성제공지지부(30)가 위치하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졌을 때 가동단자편(2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측판(12)은 상기 부품이 상기 가동단자편(20)을 일정 이상 탄성변형시키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가동단자편(20)의 소성변형도 방지한다.As such, the state of provid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art 30 is well illustrated in FIG. 5.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28 is at abou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2. That is,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that is, the contact portion 28 and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30, is placed in the area of the side plate 12, when the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mov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iece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isaligned or moved. In addition, the side plate 12 serves to support the component so that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does not elastically deform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reby preventing plastic deform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제공부(22)와 제2탄성제공지지부(30)에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접촉부(28)가 부품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5, whil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22 and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art 30, the contact part 28 is more tightly adhered to the component, thereby m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ble. To help.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판(12)이 고정단자편(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특히, 상기 가동단자편(20)이 어느 정도의 강성이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자유단부쪽이 충분히 견딜 수 있다면 그러하다. 그리고 상기 측판(12)에 있는 평행판(14)도 역시 그러하다. 상기 평행판(14)의 역할을 상기 가동단자편(20)의 평행부(24)에서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경우이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ide plate 12 is provid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but is not necessarily so. In particular, i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has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the free end side can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shock or vibration. And so is the parallel plate 14 in the side plate 12. This is a case where the role of the parallel plate 14 can be sufficiently provided at the parallel portion 24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20.

또한, 상기 고정단자편(10)은 실시예의 설명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고정되었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단자편(10)의 일측이 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t can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10 is press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fixed.

10: 고정단자편 12: 측판
14: 평행판 20: 가동단자편
22: 제1탄성제공부 24: 평행부
26: 직립부 28: 접촉부
30: 제2탄성제공지지부 32: 안착안내편
10: fixed terminal piece 12: side plate
14: parallel plate 20: movable terminal piece
22: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24: parallel portion
26: upright part 28: contact part
30: second elastic support support 32: seating guide

Claims (12)

인쇄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자편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서 고정단자편의 상방에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편과 연결되는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의 반대쪽인 자유단부쪽의 제2탄성제공지지부가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자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단자편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안내편이 구비되는 접속단자.
A fixed terminal piece seated and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esilient restoring force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second elastic providing support part on the free e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A movable terminal piece having a contact portion for providing a contact with the component,
And a seating guide piec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to be inclined to be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의 절반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3.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is half the width of anoth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의 40% ~ 60%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접속단자.
3.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has a value between 40% and 60% of the width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게 측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측판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판의 상단에는 상기 가동단자편의 상부에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한 평행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ide plate is provided to extend orthogonally from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the side plate serves to regulate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allel plate parallel to the fixed terminal piec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편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된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 부품과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A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parallel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mating component;
And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from the contact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된 직립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7.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upright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parallel portion.

인쇄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자편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평행판을 구비하는 측판과,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서 고정단자편의 상방과 상기 평행판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편과 연결되는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의 반대쪽인 자유단부쪽의 제2탄성제공지지부가 순차적으로 탄성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A fixed terminal piece seated and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side plate formed to extend orthogonally from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having a parallel plate positioned at the top thereof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A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so as to pass between an upper side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parallel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a free e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art; 2. A connecting terminal, comprising: a movable terminal piece having elastic contacting parts sequentially elastically deform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판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폭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면서 평면도로 볼 때, 선단이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상기 측판이 연결된 반대쪽 단부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9. The connecting terminal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arallel plate has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fixed terminal piece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pposite end to which the side plate is connected in the fixed terminal piece.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의 폭은 상기 가동단자편의 다른 부분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10.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of the movable terminal piece.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편은 상기 고정단자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된 제1탄성제공부와,
상기 제1탄성제공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 부품과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단자편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고정단자편에 안착되는 안착안내편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안내편이 고정단자편상에 안착됨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상기 제2탄성제공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The movable terminal pie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movable terminal pie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first elastic providing portion,
A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terminal piece in the parallel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mating component;
And a second elastic provision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formed with an inclined seating guide piece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so that the seating guide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seated on the fixed terminal piece.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된 직립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12.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upright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parallel portion.
KR2020100012546U 2010-12-03 2010-12-03 Contact terminal KR2004629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46U KR200462952Y1 (en) 2010-12-03 2010-12-03 Contact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46U KR200462952Y1 (en) 2010-12-03 2010-12-03 Contact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16U KR20120004216U (en) 2012-06-13
KR200462952Y1 true KR200462952Y1 (en) 2012-10-10

Family

ID=4661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46U KR200462952Y1 (en) 2010-12-03 2010-12-03 Contact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5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87B1 (en) * 2013-12-24 2015-03-09 조인셋 주식회사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20230106806A (en) * 2022-01-07 2023-07-14 이승희 Batter conta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04Y1 (en) *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An contact for handyphone
KR100965854B1 (en) *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Connecting terminal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04Y1 (en) *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An contact for handyphone
KR100965854B1 (en) *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Connecting terminal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16U (en)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7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8885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US8926338B2 (en) Contact member
US8298021B2 (en) Contacting terminal
KR20120080169A (en) Electric contact
KR20150030624A (en) Card Connector
KR200448504Y1 (en) An contact for handyphone
KR102194620B1 (en) Electronic connector
US8628340B2 (en) Connector mounted vertically through a hole in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462952Y1 (en) Contact terminal
US20110294365A1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KR101572971B1 (en) Clip typ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KR101527787B1 (en) Contacting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or
US8182298B1 (en) Probe connector
JP2020004639A (en) connector
KR20200008814A (en)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JP2016081670A (en) Terminal for linear conductor connection
JP2007311427A (en) Electric circuit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5190181A1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KR101400747B1 (en) A terminal contact
US9004959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19017320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US9368894B2 (en) Socket for electronic components
CN210579470U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vehicle-mounte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