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92Y1 -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 Google Patents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92Y1
KR200462892Y1 KR20090005095U KR20090005095U KR200462892Y1 KR 200462892 Y1 KR200462892 Y1 KR 200462892Y1 KR 20090005095 U KR20090005095 U KR 20090005095U KR 20090005095 U KR20090005095 U KR 20090005095U KR 200462892 Y1 KR200462892 Y1 KR 200462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uid
inverter
wat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50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0882U (en
Inventor
박인국
박지금
Original Assignee
박지금
박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금, 박인국 filed Critical 박지금
Priority to KR20090005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92Y1/en
Publication of KR20100010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8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리 생활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수돗물 등의 유체(이하 통칭 유체 라함)에 공기를 강제로 혼입시켜 음(-)이온과 용존산소가 풍부한 미세기포 버블 기능수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을 제어하고 공기를 혼입시킬 수 있는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를 고안하였습니다.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의 고안시 유체 자체의 힘을 활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유체역학 중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정리를 응용,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고 기압차를 유도, 공기의 이동을 유도한 구조로서, 유속을 제어하는 수단, 유속이 제어된 유체에 공기를 혼입시키는 수단, 공기 혼입시 유체와 접촉하는 공기흡입노즐의 끝단부 구조, 공기흡입노즐의 효과적인 장착방향 등의 특징적 구조를 가진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를 고안하였습니다.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make microbubble bubble functional water rich in negative ions and dissolved oxygen by forcibly incorporating air into fluids such as tap water (commonly referred to as fluids) commonly used in our lives. To achieve this goal, we have designed a microbubble generating inverter that can control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fluid and incorporate air. Microbubble Creation When the inverter was designed, it was based on utilizing the force of the fluid itself. To this end, it applies the law of continuous and Bernoulli theorem in fluid mechanics to control the flow velocity of fluid, induce the pressure difference, and induce the movement of air. We have devised a microbubble generating inverter with a characteristic structure, such as the end structure of the air suction nozzl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uid when the air is mixed, and the effective mounting direction of the air suction nozzle.

고안된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를 통과한 유체는 음(-)이온과 기포(공기, 용존산소)가 풍부한 기능수가 됩니다. 상기의 기능수는 양(+)이온 성질의 오염물(일반적으로 오염이라고 말하는 것들은 양(+)이온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음(-)이온과 상호작용하여 결합하는 성질을 갖게 됩니다.)과 빠르게 결합되고 결합된 오염결합물은 미세기포의 터짐에 의해 피 오염물과 분리가 더욱 빨라집니다. 그 결과미세기포 생성 인버터를 통과한 통과수는 화학 세제류(삼푸, 린스, 비누 등)의 사용을 절감하는 작용을 갖게 됩니다. 더하여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이 줄어들고 이는 피부나 두피, 머리카락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Designed Micro Bubble Generation The fluid passed through the inverter becomes a functional water rich in negative ions and bubbles (air, dissolved oxygen). The functional water is fast with positive ion contaminants (generally speaking, the contaminants have positive ion properties, which interact and bind with negative ions). Combined and bound contaminants are separated more quickly from contaminants by bursting microbubbles. As a result,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micro-strength generating invert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se of chemical detergents (such as shampoo, rinse, soap, etc.). In addition, the irritation on the skin is reduced, which helps to manage the skin, scalp and hair effectively.

이러한 작용 외에 통과수에 혼입된 공기(용존산소 등)의 양만큼 유체를 절약하는 작용도 가집니다. 공기를 혼입시킨 통과수와 공기유입노즐의 구멍을 막은 채 통과한 일반수를 비교해 보면 공기유입노즐을 통과한 통과수가 일반수에 비해 상당히 가벼운 느낌을 갖게 합니다. 그리고 수압에 따라 15~25%의 유체의 사용량 감소 효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는 통과 유체를 절약하는 작용과 음(-)이온을 증가시켜 세척력이 높아지는 1차적인 효과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화학 세제류 등의 사용이 줄어들어 환경오염을 줄이는 2차적 환경오염의 방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습니다. 본 고안은 에너지 절약과 환경오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그린환경 에너지 절약형 수처리 장치입니다.        In addition to these actions, it also saves fluid by the amount of air (dissolved oxygen, etc.) entrained in the water. Comparing the number of passes through which air is mixed with the number of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air inlet nozzle makes the number of passes through the air inlet nozzle feel much lighter than the normal water. And,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the amount of fluid used is reduced by 15-25%. As a result, the microbubble generating inverter has the primary effect of saving the passing fluid and increasing the cleaning power by increasing the negative ions.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the use of chemical detergents, etc. can be expected to prevent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design is a green environment energy saving water treatment device that proactively copes with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유속변동구조, 기압차,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 유체역학, 연속의 법칙, 베르누이 정리, 공기유입노즐(관), 유체접촉면, 표면구조, 음(-)이온, 양(+)이온, 오염결합물, 통과수, 가압형, 주입형, 고압의 펌프, 에어펌프, 역류, 잠재적 에너지, 정압, 동압, 전압, 베르누이 방정식, 벤츄리관, 유입수, 관경, 베르누이관, 외경, 외경부, 끝단부, 최종토출구, 유입부, 통과부, 토출수, 통과수  Flow Variation Structure, Pressure Difference, Micro Bubble Generation Inverter, Hydrodynamics, Continuity Law, Bernoulli Theorem, Air Inlet Nozzle (Tube), Fluid Contact Surface, Surface Structure, Negative Ion, Positive Ion, Pollutant , Passage, Pressurized, Injection, High Pressure Pump, Air Pump, Backflow, Potential Energy, Static Pressure, Dynamic Pressure, Voltage, Bernoulli Equation, Venturi Tube, Influent, Diameter, Bernoulli Tube, Outer Diameter, Outer Diameter, End, Final Outlet, Inlet, Passing, Discharge, Passing Water

Description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본 고안은 우리 생활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수돗물 등의 유체(이하 통칭 유체 라함)에 공기를 강제로 혼입시켜 음(-)이온과 기포(공기, 용존산소)가 풍부한 미세기포 버블 기능수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본 고안의 기본 전제는 고압의 펌프나 공기압축기 등의 외부에서 동력을 공급해야만 작동하는 외부의존형 장치가 아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외부에너지를 빌리지 않고 유체 자체의 유속에 의해 작용하는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이하 통칭 Inverter 라함)의 제작에 관한 고안입니다. 본 고안은 먼저 유체의 유속을 자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유속변동구조를 만듭니다. 고안된 유속변동구조의 일정한 지점에서 유속이 빨라지고 빨라진 부분의 기압은 대기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기압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유도된 저기압 상태의 일정한 지점에 공기유입노즐을 장착합니다. 장착된 공기유입노즐을 통해 일반 대기압의 공기가 저기압 상태의 유속변동구조로 유입되고 동시에 유체와 접촉됩니다. 이러한 유체의 속도변화와 기압차에 의한 공기유입이 음(-)이온과 기포(공기, 용존산소)가 풍부한 처리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유체역학 중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 응용기술 분야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incorporates air into fluids such as tap water (commonly referred to as fluids) that are commonly used in our lives to create micro-bubble bubble functional water rich in negative ions and bubbles (air, dissolved oxygen). There is a purpose. The basic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must not be an externally dependent device that operates by externally supplying power such as a high pressure pump or air compressor. In other words, it is a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icro bubble generating inver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verters) that operate by the flow rate of the fluid itself without borrowing external energy.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reates a flow velocity variation structure that converts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into its own power. At a certain point of the designed flow variation structure, the flow velocity is increased and the air pressure in the accelerated part becomes a relatively low pressure state compared to atmospheric pressure. The air inlet nozzle is mounted at a certain point in the induced low pressure state. Equipped air inlet nozzles allow air at normal atmospheric pressure to flow into a low velocity flow rate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contact fluid. Continuous law and Bernoulli's theorem application technology of fluid mechanics about the connection device that allows the inflow of air due to the velocity change of the flui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to make the treatment water rich in negative ions and bubbles (air, dissolved oxygen) Field.

기존에 Inverter들은 일반적으로 유체에 공기(용존산소)를 혼입시키기 위해 기술적으로 가압형이나 주입형의 기술을 활용했습니다. 가압형은 고압펌프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체를 가압하여 유속을 강하게 하고 이를 통해 대기압과의 기압차를 유발하여 공기가 흡입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주입형은 유체가 통과하는 관(pipe)에 공기주입관을 만들어 공기압축기로 직접 고압의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가 혼입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소형으로 만들어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고가의 고압펌프나 공기압축기 등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야만 되는 사용장소의 한계와 고비용이 문제가 있었습니다.         Previously, Inverters typically used pressurized or injection techniques to incorporate air (dissolved oxygen) into the fluid. The pressurized type is designed to pressurize the fluid directly through the high pressure pump to increase the flow rate and induce air pressure difference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this. The injection type is designed to mix air by making an air injection pipe into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nd blowing high pressure air directly into the air compressor. However, the methods mentioned above have limitations due to their compactness, and there is a problem of the limitation of the place of use and the high cost of using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n expensive high pressure pump or an air compressor.

최근에 개발된 무전원형 소형의 미세기포 발생 제품들도 실제 사용시 수압에 따라 공기유입관으로 유체가 역류하거나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가 최종토출구보다 낮을 경우 유체가 역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공기 흡입시 흡입음이 지나치게 큰 단점이 있습니다.         Even recently developed non-powered small microbubble products have a problem that fluid flows back to the air inlet pipe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during actual use or when the microbubble generating inverter is lower than the final discharge port.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ction sound is excessively large when inhaling air.

이에 외부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고압의 펌프나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유체 자체의 잠재적 에너지를 활용하는 Inverter를 기본으로 하고, 낮은 수압에도 공기가 순조롭게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하고, 최종토출구의 높이가 Inverter보다 높아도 일정한 효과를 가지는 Inverter를 목표로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Therefore, it is based on the Inverter that utilizes potential energy of the fluid itself without using high pressure pump or air compressor that uses external energy, and air flows smoothly even at low water pressure, and the height of the final discharge port is increased. We started to develop Inverter which has a certain effect even if it is higher than Inverter.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기본적으로 유체역학 중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 관련 기술 분야입니다.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관련이론은 비행원리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이론입니다. 즉, 패러글라이더 및 행글라이더 또는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원리는 다음에 정리하는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field of continuity law and Bernoulli's theorem in hydrodynamics. The law of continuity and Bernoulli's theory are fundamental theories explaining flight principles. In other words, the paraglider, the hang glider, or the plane that can fly in the sky is based on the following theorem and Bernoulli's theorem.

먼저 연속의 법칙은 유체가 동일한 관(pipe)을 통해 흐른다면 입구에서 단위 시간당 들어가는 유체의 질량과 출구를 통해 나가는 유체의 질량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입구의 단면적을 A1, 속도를 V1 그리고 출구에서의 단면적을 A2, 속도를 V2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이 됩니다. "A1 V1 = A2 V2 = 일정" 하다는 연속의 방정식이 유도되며 이는 유체가 관을 통해 흘러갈 때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은 반비례함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동일한 관(pipe)의 내경을 조절하면 유체의 속도를 제어 할 수 있습니다.         First, the law of continuity states that if a fluid flows through the same pipe, the mass of the fluid entering per unit time at the inlet and the fluid exiting through the outlet must be equal. Therefore, if the inlet cross section is A1, the speed is V1, the outlet is A2 and the speed is V2, the following equation is established. A continuous equation of "A1 V1 = A2 V2 = constant" is derived, indicating that the velocity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is inversely proportional as it flows through the tube. Therefore, by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ame pipe, you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fluid.

그리고 베루누이 정리는 유체가 모든 방향에 대하여 같은 크기로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정압(Static pressure ; P)이라 하고 유체가 가진 속도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을 동압(Dynamc pressure ; q)이라 한다면 유체의 흐름을 직각되게 막았을 때 판에 작용하는 압력인 전압(Total pressure, Pt)과의 사이에 P + q = Pt 의 식이 성립되며 이는 압력(정압)과 속도(동압)는 서로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관의 내경을 조절하면 유체의 속도를 조절하고 이는 결국 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 합니다.        The Berunui Theorem states that if the pressure of a fluid acting the same magnitude in all directions is called static pressure (P) and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velocity of the fluid is dynamic pressure (q), The equation of P + q = Pt is established between the total pressure (Pt), the pressure acting on the plate when it is blocked at right angles, which means that the pressure (static pressure) and the speed (dynamic press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refore,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ame pipe regulates the velocity of the fluid, which in turn means that the pressure can be controlled.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이론을 응용하여 실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거쳐 최적의 Inverter의 구조를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Inverter의 실제 실험 결과 공기유입노즐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흡입음이 상당히 크게 들려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할 것 같아 공기유입노즐의 상단부에 소음차단 막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압과 토출구의 높낮이에 따라 발생하는 역류성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공기유입노즐의 내부에 체크밸브를 고안하였습니다.
상기와 같은 여러 단계를 종합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외부 의존형 장치가 아닌 유체 자체의 잠재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유체역학 중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를 활용하였고, 공기흡입시 발생하는 흡입음을 차단하기 위해 소음차단막을 적용하였으며, 공기흡입구로 역류하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구조적으로 체크밸브를 고안하여 종래와 다른 고안을 완성하였습니다.
In this design, the above-described theory is applied to complete the structure of the optimum inverter through actual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s a result of the actual experiment of Inverter, the noise generated by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 air inlet nozzle is so loud that it may cause discomfort during use. Therefore, a noise barrier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air inlet nozzle. In addition, a check valve was devised inside the air inlet nozzle to fundamentally block backflow leakage caused by water pressure and height of discharge port.
Incorporating the various step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law of continuity and Bernoulli's theorem of fluid dynamics to utilize the potential energy of the fluid itself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external dependent device, and blocks the inhalation sound generated during air inhala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backflow to the air inlet, a check valve was devised structurally to achieve a design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KIPRIS 등록번호(일자) 10-0824714-0000 (2008.04.17) [Document 1] KIPRIS Registration Number (Date) 10-0824714-0000 (April 17, 2008)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문헌2] KIPRIS 등록번호(일자) 10-0771658-0000 (2007.10.24) [Document 2] KIPRIS Registration Number (date) 10-0771658-0000 (2007.10.24)

[유체의 마이크로 버블 산소부여장치 (Oxygen of Micro Bubble grant system within fluid)]        Oxygen of Micro Bubble grant system within fluid

[문헌3] JP 등록번호(일자) 10-0803832-0000 (2008.02.05) [Document 3] JP Registration Number (Date) 10-0803832-0000 (2008.02.05)

[미세 기포 함유 가수소수,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Hydrogen-ad        [Microbubble-containing hydrogenated wa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Hydrogen-ad

ded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       ded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

nufacturing the same)]        nufacturing the same)]

본 고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① 외부의 동력에너지 보급 없이 자체적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Inverter ② 수도 등의 가정용 배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Inverter ③ 토출구의 높이가 Inverter 보다 높은 경우에도 최저수압이 0.1kg/㎠일때는 높이가 50cm까지, 최저수압이 0.8kg/㎠ 이상이면 높이가 100cm이상에서도 공기가 유입되는 Inverter ④ 수전 개폐시 공기유입노즐로 유체가 역류되지 않고 공기 흡입시 소음이 작은 공기유입노즐 부품개발 ⑤ 공기유입노즐의 끝단부와 유체의 접촉시 최대의 공기가 흡입되는 구조의 부품개발 등 이였습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① Inverter that sucks air by itself without external power energy supply ② Inverter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household pipes such as tap water ③ Even when the height of discharge port is higher than Inverter, the minimum water pressure is 0.1kg / In the case of ㎠, the height is up to 50cm and if the minimum water pressure is more than 0.8kg / ㎠, the air is introduced even at the height of more than 100cm. Development ⑤ Development of parts with the structure that the maximum air is sucked in when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is in contact with the fluid.

본 고안에서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에 있어 실제로 일일이 고안품을 제작하여 실험하지 않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위해 유체역학에 관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의 과정을 거쳐 해결방법을 찾았습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without actually experimenting with the invention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we have found the solution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using the simulation program on fluid mechani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발명의 성과를 내고자 하였습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chieve the results of the invention with the following technical proble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먼저, ① 외부의 에너지 보급 없이 자체적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Inverter를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유체역학 중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연속성의 법칙은 동일선상의 유체는 관을 통해 흘러갈 때 유체 의 속도와 단면적은 반비례함을 알려 줍니다. 그러므로 동일한 관(pipe)의 내경을 조절하면 유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베르누이 정리는 압력(정압)과 속도(동압)는 서로 반비례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동일한 관의 내경을 조절하면 유체의 속도를 조절하고 이는 결국 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실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Canada의 Gorge State 대학의 베르누이 계산식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하였습니다.         First, in order to develop an Inverter that inhales air by itself without supplying external energy, it decided to use the law of continuity and Bernoulli's theorem in hydrodynamic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law of continuity tells us that when a collinear fluid flows through a tube, the velocity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are inversely proportional. Therefore, by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ame pipe, the speed of the fluid can b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Bernoulli's theorem is that pressure (static pressure) and speed (dynamic press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refore,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ame pipe regulates the speed of the fluid, which in turn means that the pressur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we utilized the Bernoulli's calculation application from Gorge State University in Canada, where we could simulate the real world.

② 수도 등의 가정용 배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Inverter를 개발하기 위해 상기 ①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Inverter의 연결부를 조절하여 수도 구경에 맞추었고 동시에 유입부 내경을 12mm이하, 유속증가 부분은 5mm의 내경, 길이는 110mm 이내로 하는 구조로 설계하였습니다.         ② In order to develop an Inverter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household pipes such as water supply, the connection part of the Inverter is adjusted to the tap size based on the simulation of ①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diameter of the inlet is less than 12mm, and the flow rate is increased to 5mm. The length is designed to be within 110mm.

③ 토출구의 높이가 Inverter 보다 높은 경우에도 최저수압이 0.1kg/㎠일 때는 높이가 50cm까지, 최저수압이 0.8kg/㎠ 이상이면 높이가 100cm이상에서도 공기가 유입되는 Inverter를 개발하기 위해 공기유입노즐의 관경을 1mm이하로 하고 외경은 3mm이하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기유입노즐은 ①의 유속증가 부분에서 5mm의 내경부에서 2/3 지점에 ④에서 개발된 공기유입노즐을 장착하는 방법을 택하였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Inverter는 토출구의 높이가 높아도 충분히 공기가 유입되는 효과를 갖게 되었습니다.         ③ Even if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is higher than the Inverter, the air inlet nozzle is developed to develop the Inverter that the air flows even if the minimum water pressure is 0.1kg / ㎠ and the height is 50cm when the minimum water pressure is 0.8kg / ㎠ or more. The tube diameter is set to 1mm or less and the outside diameter is set to 3mm or less. For the air inlet nozzle, we chose to install the air inlet nozzle developed in ④ at 2/3 of the inner diameter of 5mm in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part of ①. Inverters made in this way have the effect of getting enough air even if the height of the outlet is high.

④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기유입노즐의 상단부 공기유입부에 볼 밸브를 넣은 체크밸브형의 구조로 설계하였습니다. 볼 밸브의 내부공간은 공기가 유입될 때는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물이 역류할 경우에는 역류하는 물의 압력에 바로 역류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는 체크밸브형으로 설계하였습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t is designed as a check valve type with a ball valve inserted into the air inlet of the upper part of the air inlet nozzle. The internal space of the ball valve is designed as a check valve type tha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air is introduced and blocking the back flow directly on the back water pressure when the water flows back.

⑤ 고안 초기에는 공기유입노즐의 유체접촉 끝단부를 일자형으로 제작하여 고안품에 적용시, 공기의 유입이 일정하지 않았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공기유입노즐의 끝단부와 유체의 접촉면을 늘려 공기유입의 체적을 늘리고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공기유입노즐 관경의 끝단부를 ∧형이나 ∩,

Figure 112009025721965-utm00001
형으로 절단하여 공기유입노즐의 끝단부를 5mm 내경에서 4mm부분에 유체의 흐름과 직각이 되게 장착하였습니다. 그 결과 ∧형이나 ∩,
Figure 112009025721965-utm00002
형으로 고안된 끝단부는 - 자형의 끝단부 보다 유체와 공기 접촉 면을 넓히는 결과를 가져왔고 목표하는 수준의 공기가 흡입되어 음이온(-)과 기포(공기, 산소)가 풍부한 통과수가 되었습니다. ⑤ At the beginning of the design, when the fluid contact end of the air inlet nozzle was manufactured in a straight shape and applied to the product, the inflow of air was not constant and bubbles were not gener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air inlet by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and the fluid, and to create a structure in which a large amount of air is sucked,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diameter is
Figure 112009025721965-utm00001
By cutting the mold,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is mounted at 4mm from the 5mm inner diameter so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flow of the fluid. As a result,
Figure 112009025721965-utm00002
The end designed in the form of a-resulted in a wider fluid and air contact area than the end of the shaped, and the target level of air was sucked in, which resulted in the passage of water rich in anion (-) and bubbles (air, oxygen).

본 고안은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를 활용한 벤츄리관의 구조를 응용하였습니다. 벤츄리관의 구조는 외부 동력의 보급 없이 유체 자체의 유속변화를 유도하게 됩니다. 빠르게 변화된 유속은 벤츄리관 내부에 저기압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저기압 상태가 된 벤츄리관 내부로는 대기중의 공기(산소 등)가 흡입됩니다. 흡입된 공기(산소 등)는 유체와 접촉하면서 음(-)이온과 기포(공기, 용존산소)가 풍부한 미세기포가 포함된 기능수를 만들게 됩니다. 이렇게 개발된 Inverter는 다음의 효과를 기대합니다.        This design applies the structure of the Venturi tube using the law of continuity and Bernoulli's theorem. The structure of the venturi tube induces a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fluid itself without supply of external power. Rapidly varying flow rates create a low pressure inside the venturi tube. Atmospheric air (oxygen, etc.) is sucked into the venturi tube under low pressure. Inhaled air (oxygen, et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uid to form functional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rich in negative ions and bubbles (air, dissolved oxygen). Inverter developed like this expect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별도의 외부 동력이 필요 없는 에너지 절약형 장치입니다.        First, it's an energy-saving device that doesn't require any external power.

둘째, 음(-)이온과 공기(산소)가 풍부한 미세기포가 포함된 기능수를 만들어 세척력이 높아지고, 가볍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게 됩니다.        Second, it creates a functional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rich in negative (-) ions and air (oxygen), increasing cleaning power and having a light and soft touch.

셋째, Inverter를 통과한 통과수는 음(-)이온을 증가시켜 세정력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효과는 세제류(샴푸, 린스 등)의 사용을 절감하면서도 충분한 세정력을 얻게 되어 환경오염원을 줄이는 효과를 가집니다.       Third, the passing water through the Inverter increases the cleaning power by increasing the negative ion. This effect reduces the use of detergents (shampoo, rinse, etc.) while also providing sufficient cleaning power,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넷째, 기포가 발생하면서 유체의 체적이 늘어나고 이는 수압에 따라 15~25%의 토출수를 절감하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수처리 장치입니다.        Fourth, the volume of fluid increases as bubbles are generated, which is an energy-saving water treatment device that has a direct effect of saving 15 to 25% of the discharged water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다섯째, 공기압축기, 고압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기에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합니다.       Fifth, it is convenient to install and use because it does not use air compressor or high pressure pump.

여섯째, 미세기포의 파열시 온열효과를 갖게 됩니다.       Sixth, it has a thermal effect when the bubble bursts.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본 고안의 발명을 위해 몇 가지의 기본적 전제를 가지고 시작하였습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e started with some basic assumptions for the invention of this invention.

첫째, 기술적으로 외부의 동력에너지를 사용하는 고압의 펌프나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First, it was technically based on not using high pressure pump or air compressor that uses external power energy.

둘째, 에너지 절약을 위해 고안품을 통과하는 유체 자체의 잠재적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습니다.         Second, we studied how to harnes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fluid itself through the device to save energy.

셋째, 고안품은 낮은 수압(1kg/㎠ 이하)이나 높은 수압(4kg/㎠ 이상)에서도 공기가 순조롭게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하며 현장적응성이 높아야 했습니다.         Third, the product had to flow in smoothly even at low water pressure (less than 1kg / ㎠) or high water pressure (more than 4kg / ㎠) to generate bubbles and have high field adaptability.

넷째, 최종토출구의 높이가 고안품 보다 높아도 유체가 역류하지 않을 것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Fourth, in principle, the fluid does not flow back even if the height of the final discharge port is higher than the intended product.

이러한 전제조건을 충족하는 Inverter를 고안하기 위해서 유체역학 중 연속성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를 활용하여 유입수와 통과수의 관경을 계산하였습니다. 유입수의 최대 관경은 도1 입수부(1)과 같이 최대 수돗물의 통과 관경을 넘지 않도록 하여 수도배관이나 수도배관에 접속된 샤워기나 호스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도1 내부의 유속증가부(3)의 관경도 유입부와 공기유입노즐을 고려하여 최대 5mm이내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내부의 도1 유속증가부(3) 베르누이관의 내경에 맞추어 도1 공기유입노즐(6)에서 도1 공기유입노즐의 장착지점(4)의 내경 5mm를 고려하여 유속증가부(3)과 연결되는 부분의 외경은 3mm로 하였고 도2 공기흡입공의 내경은 1mm이하로 하였습니다. 도1 공기유입노즐(6)은 유체의 접속부분을 넓게 하여 최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도2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3
형(6-4)로 특수 고안하였습니다. 실제로 도1 특수 고안된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4
형 구조의 노즐(6)은 일반적인 노즐(-자형) 대비 공기 유입량과 기포 발생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In order to devise an inverter that meets these prerequisites, the inflow and passage di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the law of continuity and Bernoulli's theorem in hydrodynamics. The maximum pipe diameter of the influent does not exceed the passage diameter of the tap water as shown in the inlet (1) of Figure 1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shower pipe or hos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r the water pipe.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flow rate increasing part (3) in FIG.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Bernoulli tube shown in FIG. 1, the flow rate increasing part 3 and the flow rate increasing part 3 and the inner diameter 5 mm of the mounting point 4 of the air inlet nozzle of FIG.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rt was 3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suction hole was 1 mm or less. Figure 1 air inlet nozzle (6) is widened to the fluid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maximum air flow in Figure 2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3
Specially designed as type (6-4). In fact, Figure 1 is a specially designed ∧ shape or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4
The nozzle (6)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ir flow and bubble generation compared to the normal nozzle (-shaped).

도1 Inverter의 길이는 접속장치인 점을 고려하여 길이 110mm 이내로 설계하였습니다. 110mm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도1 유입수부(2)는 내경 12mm에 40mm, 도1 유속증가부(3)은 5mm 관경 시작부(7)부터 5mm 내경으로 70mm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이렇게 고안된 장치는 도1 유속증가부(3)은 5mm로 좁아진 부분에서 유체의 유속이 빠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유속이 빨라진 5mm부분 베르누이 관의 1/2지점 에 공기유입노즐을 장착하여 실험하였으나 수압이나 통과수의 최종 토출구 높낮이 위치에 따라 공기유입이 안 되고 공기유입노즐로 유체가 역류하는 현상이 나왔습니다.         1 Inverter is designed to be within 110mm in length considering the connection point. Within the range of 110mm, Figure 1 inflow (2) has a diameter of 12mm and 40mm, and Figure 1 flow rate increasing section (3) has a diameter of 70mm from the beginning of the 5mm diameter (7) to 5mm. In the device designed in this way,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in the portion of FIG. Although the air inlet nozzle was installed at the half point of the 5 mm part Bernoulli tube with the higher speed, the air inflow was not allowed and the fluid flowed back to the air inlet nozz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inal outlet of the water pressure or the passing water.

이에 Canada의 Gorge State 대학의 베르누이 방정식에 관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방정식((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pber.html#beq))으로 유속이 가장 빠르고 압력이 저하되는 지점을 계산한 결과 도1 베르누이 관의 5mm 부분 시작점(7)부터 도1 2/3지점(4)에 도1 공기유입노즐(6)을 장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고안 초기 도1 2/3지점(4)에 일반적인 편평한(-자형) 형태의 공기유입노즐을 장착하여 시험한 결과, 조건에 따라 역류하거나 공기 유입량도 편차가 심하였습니다. 이에 도2 공기유입노즐의 유체 접촉부 끝부분(6-4)을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5
형으로 고안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도 2 공기유입노즐 끝단부의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6
형(6-4)으로 제작된 노즐은 유체와 평행하도록 놓고 실험한 결과 만족할 만한 공기 유입이 되지 않았습니다. 계속된 시행착오 끝에 도1 도면에서 보듯이 도2 끝단부(6-4)의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7
형 노즐을 도1 에서 유체의 진행방향과 직각 되도록 놓고 베르누이 관 내경 5mm에서 공기 유입노즐의 끝단부(6-4)가 내경 4mm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공기유입노즐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확실히 증가하고 유체의 수압이 낮은 상태에서도 역류하지 않았습니다. The simulation program equation (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pber.html#beq) of the Bernoulli equation at Gorge State University in Canada is used to identify the point where the flow velocity As a result, it was most effective to install the Fig. 1 air inlet nozzle (6) from the starting point (5) of the Bernoulli tube of Fig. 1 to the point 2/3 (4) of the Fig. 1 Bernoulli tube. In the early stage of the design, the air inlet nozzle of the general flat (-shaped) shape was tested at the 2/3 point (4). 2, the fluid contact end 6-4 of the air inlet nozzle is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5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a type. 2 is a ∧ type or 부의 of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6
Nozzles made with molds (6-4) were placed parallel to the fluid and did not produce satisfactory air input. At the end of the trial and error, as shown in Fig. 1, the shape or shape of the end 6-6 of Fig. 2,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7
The nozzle was plac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fluid in Fig. 1, and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6-4) was positioned at 4mm inside the Bernoulli tube inner diameter of 5m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nozzle increased steadily and did not flow back even when the fluid pressure was low.

이런 성과로 고안된 Inverter는           Inverter designed with this achievement

첫째로 수압에 의한 역류현상이 없이 수압 0.1kg/㎠에서부터 공기유입이 작동되며 수압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공기가 유입되어 목표로 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Firstly, air inflow starts from 0.1kg / ㎠ without the backflow caused by water pressure, and the higher the water pressure, the more air flows into the target effect.

둘째로 최종토출구의 위치가 Inverter보다 낮을 경우만 작동되는 초기의 성과에서 최종토출구의 위치가 Inverter보다 상당하게 높은 경우에도 충분히 공기유입이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Secondly, in the initial performance that is operated only when the position of the final discharge port is lower than that of the inverter, the result is sufficient air inflow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nal discharge por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verter.

이렇게 Inverter를 통과한 통과수는 세안이나 세발시 월등한 세척력으로 단시간에 세안이나 세발을 끝낼 수 있었으며 이는 물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피부에 닿는 촉감이 매우 부드러워지고 쾌적함을 느끼게 하였습니다.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Inverter was able to finish the washing or washing in a short time with the excellent washing power when washing or washing the hair, which saved water consumption. It also makes the skin feel very soft and comfortable.

상기의 과정을 거쳐 본 고안은 유체의 통과 유량과 사용 가능 유량이 적절하도록 도1 베르누이 관의 유체 유입수부(2) 내경 12mm와 유속증가부(3) 내경 5mm를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유체와 접촉되는 도 1 공기유입노즐(6)의 끝단부를 도2 특수구조 ∧형이나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8
형 (6-4)로 고안한 후 베르누이관에서 통과수의 유속은 가장 빠르며 압력은 가장 약한 부분에 장착하였습니다. 이를 택한 결과 유속이나 토출부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다양한 제반 조건에서도 가장 효율적으로 대기압보다 낮은 저기압 상태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는 대기 중의 공기(용존산소)가 유체 속에 효율적으로 유입되는 결과를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유입된 공기(용존산소)는 Inverter를 통과한 후 유체와 혼합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목표한 음(-)이온이 풍부한 기능수를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미세기포가 포함된 토출수를 만들어내는 에너지 절약형 그린환경 제품인 소형의 Inverter를 완성하였습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12mm inside diameter of the fluid inlet part (2) and 5mm inside diameter of the flow rate increasing part (3) of the Bernoulli tube so that the fluid flow rate and usable flow rate are appropriate. And the end of the air inlet nozzle 6 in contact with the fluid of FIG.
Figure 112012024726806-utm00008
After designing as type (6-4), it was installed in the Bernoulli tube with the fastest flow rate and the lowest pressure. As a result of this selection, it was possible to artificially create a low pressure stat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most efficiently under various conditions regardless of flow rate or height of discharge section. This resulted in the efficient introduction of atmospheric air (dissolved oxygen) into the fluid. In addition, the introduced air (dissolved oxygen) passes through the Inverter and is mixed with the fluid to generate bubbles and create a functional water rich in the desired negative ion. Through this process, we completed a small inverter, an energy-saving green environment product that produces discharge water containing micro bubbles.

도 1은 마이크로 버블 인버터의 전체조립도 및 유입수 통과 단면도   1 is an overall assembly view and a sectional view through an inflow of a microbubble inverter

도 2는 공기유입 노즐의 상세도  2 is a detailed view of an air inlet nozz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도 1     1

1 : 입수부 2 : 유입수부 3 : 유속증가부 4 : 공기유입노즐부DESCRIPTION OF SYMBOLS 1 Inlet part 2 Inflow part 3 Flow rate increase part 4 Air inlet nozzle part

5 : 출수부 6 : 공기유입노즐 7 : 5mm 관경 시작부5: Water outlet part 6: Air inlet nozzle 7: 5mm diameter start part

도 2     2

6-1 : 공기흡입공 6-2 : 역류방지볼밸브 6-3 : 격막공기통과부        6-1: Air suction hole 6-2: Non-return ball valve 6-3: Diaphragm air passage

6-4 :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12
형 끝단부6-4: ∧, ∩,
Figure 112012024726806-utm00012
Mold end

Claims (4)

상수도 배관에 직접 연결 외부의 공기를 유체에 용존시켜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인버터 장치에 있어서,        In the inverter device that directly connects to the water supply pipe to create fine bubbles by dissolving the outside air in the fluid, 총길이 110mm의 관으로 유입수부는 길이 40mm에 내경이 12mm, 유속증가부는 길이 70mm에 내경 5mm로 유입수부와 유속증가부 내경의 비가 12대5로 성형된 유입수부와 유속증가부를 구비한 관:        110mm long pipe with inlet and 40mm inflow length, inner diameter 12mm, flow velocity increasing part 70mm and inner diameter 5mm. 유체가 일정한 상수압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길이 40mm,내경12mm의 유입수부, 유입수부에 유입된 유체가 초속 10m/sec이상으로 유속이 증가, 저압을 형성하도록 연속된 내경 5mm, 길이 70mm의 유속증가부을 구비한 관:        Flow rate of 40mm in length, 12mm inside diameter, formed to form constant constant pressure, flow rate of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increases more than 10m / sec per second, continuous inner diameter of 5mm, length of 70mm to form low pressure Tube with parts: 상기의 관에 외경3mm, 내경1mm이고 공기유입노즐 끝단부를 ∧형으로 성형하여 유체와 공기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효과를 낸 공기유입노즐을 5mm 관경시작부에서 유속증가부 2/3지점에 결합한 특징을 가진 미세기포 생성인버터       The air inlet nozzle with an outer diameter of 3mm and an inner diameter of 1mm and having an air inlet nozzle end shaped in a ∧ shape to expand the contact area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luid and the air suction hole. Microbubble generation inverter with a combined feature of 2/3 point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공기유입노즐을 유속증가부 2/3지점인 공기유입노즐결합부에 장착시 ∧형의 끝단부 위치가 5mm 관경의 내부4mm 부분에 도달하여 잔여부분이 1 mm 가 되도록 조정된 결합부를 가진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         When the air inlet nozzle is attached to the air inlet nozzle joint at the 2/3 point increase in the flow rate, the microbubble with the joint is adjusted so that the end of the fin-shaped reaches the inner 4 mm part of the 5 mm diameter and the remaining part is 1 mm. Produce invert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공기유입노즐 끝단부 ∧형태의 외측이 유체의 흐름과 직각이 되도록 고정홈에 장착하는 결합부를 가진 미세기포 생성 인버터.        Air inlet nozzle end A microbubble generating inverter with a coupling part mounted in a fixed groove so that the outside of the ∧ shape is perpendicular to the flow of the fluid. 삭제delete
KR20090005095U 2009-04-28 2009-04-28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KR2004628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095U KR200462892Y1 (en) 2009-04-28 2009-04-28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095U KR200462892Y1 (en) 2009-04-28 2009-04-28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82U KR20100010882U (en) 2010-11-05
KR200462892Y1 true KR200462892Y1 (en) 2012-10-19

Family

ID=4420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5095U KR200462892Y1 (en) 2009-04-28 2009-04-28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9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107B1 (en) 2015-01-08 2016-08-11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the bubble size and contents of bubble, and tha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528U (en) 2006-12-01 2007-05-17 慎幹夫 斉藤 Water flow pump and clean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KR100771658B1 (en) 2006-08-30 2007-11-01 주식회사 네가트론 Oxygen of micro bubble grant system within flu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58B1 (en) 2006-08-30 2007-11-01 주식회사 네가트론 Oxygen of micro bubble grant system within fluid
JP3131528U (en) 2006-12-01 2007-05-17 慎幹夫 斉藤 Water flow pump and clean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82U (en)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4693B2 (en) Micro bubble generator
CN108534361B (en) Water heater
JP2012187346A (en) Shower apparatus
CN204417203U (en) A kind of efflux aerator
CN203525576U (en) Tiny bubble generator
KR101494080B1 (en) Micro bubble forming device to use ceramic ball
KR200462892Y1 (en) Micro air bubble creation inverter
KR200475366Y1 (en) Multi Function Micro air bubble water saving shower head
CN211328956U (en)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WO2010134668A1 (en) Micro-bubble shower device
CN109772608B (en) Energy-saving spraying equipment capable of generating micro bubbles
JP6067201B2 (en) Fine bubble generating method,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etc.
CN112915826B (en) Dissolved air tank and water heater
CN201481755U (en) Multifunctional SPA machine structure
CN210410252U (en)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CN209511234U (en) A kind of noise reduction waste water solenoid valve
CN20946388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massage bathtub
CN113909010B (en) Micro-nano bubble water outlet system
JP3145914U (en) Water faucet mounted type micro bubble generator
CN210545782U (en) Supercharging device for shower head and shower head
WO2023000758A1 (en) Water outlet device and smart toilet
TWM632127U (en) Microbubble negative ion generator
CN217042108U (en) Bubble water generating device for water heater
CN212452957U (en) Impulse type plunger pump flusher
CN220344265U (en) Self-suction foaming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