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04Y1 - Accessory module - Google Patents

Accesso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04Y1
KR200462604Y1 KR2020110002032U KR20110002032U KR200462604Y1 KR 200462604 Y1 KR200462604 Y1 KR 200462604Y1 KR 2020110002032 U KR2020110002032 U KR 2020110002032U KR 20110002032 U KR20110002032 U KR 20110002032U KR 200462604 Y1 KR200462604 Y1 KR 200462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ant
jewelry
coupling means
module
inser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룡
김선기
곽나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1000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 모듈은 장신구 본체, 펜던트 및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는 양 끝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고리들을 포함하는 띠 형상이고, 상기 펜던트는 제1 및 제2 삽입홈들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장신구 본체의 제1 및 제2 고리들을 각각 관통하고, 양 끝부분에는 상기 펜던트의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ornament module comprises a ornament body, a pendant and a coupling means. The ornament body has a band shape including first and second rings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pendan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The coupling means penetrates the first and second rings of the ornament body, respectively, and both end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pendant, respectively. .

Description

장신구 모듈{ACCESSORY MODULE}Trinket Module {ACCESSORY MODULE}

본 고안은 장신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용이하고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장신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wel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ewelry module that is easy to wear and change design.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보석 등을 포함하고 이를 장신구에 맞게 디자인하여 세공작업을 거쳐 제작되므로, 제작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한번 세공 되어 완성된 장신구는 그 형태를 일부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변경에 추가적인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신구의 디자인도 추세에 따라 변화하여 오래된 디자인의 장신구는 잘 착용하지 않게 되며, 사용자도 동일한 디자인에 대하여 쉽게 식상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자인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기존의 장신구를 처분하고 새로운 장신구를 구입하여야 한다.In general, since the ornaments include jewelry and the like and are designed through the jewelery work, they are required to produce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once finished jewelry ornaments are not easy to change some of the form, the change will require additional costs. Furthermore, in recent years, the design of the jewelry also changes according to the trend, so that the jewelry of the old design is not worn well, and the user also feels bored with the same design. 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design, he must dispose of the existing jewelry and purchase new jewelry.

또한,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착용을 위한 결합부가 뒷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착용에 다소 불편함이 따른다.In addition, ornaments such as necklaces are often formed in the back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for wearing is somewhat inconvenient to wear.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이 용이하고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의 구조가 필요하다.After all,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of jewelry that is easy to wear and that can change the design.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이 용이하고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장신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ewelry module that is easy to wear and change design.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 모듈은장신구 본체, 펜던트 및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는 양 끝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고리들을 포함하는 띠 형상이고, 상기 펜던트는 제1 및 제2 삽입홈들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장신구 본체의 제1 및 제2 고리들을 각각 관통하고, 양 끝부분에는 상기 펜던트의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jewelr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ewelry body, a pendant and a coupling means. The ornament body has a band shape including first and second rings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pendan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The coupling means penetrates the first and second rings of the ornament body, respectively, and both end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pendant, respectively. .

상기 결합 수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부들을 갖는 M자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은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의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돌출부들 방향으로 각각 휘어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means may be formed in an M shape having two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coupling means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coupling means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한편, 상기 펜던트의 제1 및 제2 삽입홈들은 상기 펜던트의 서로 대칭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pendant may be formed on symmetrical surfaces of the pendant.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펜던트에 삽입되는 결합 수단이 탄성을 가져 양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어 펜던트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보석들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사용자가 취향 및 추세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로 쉽게 제작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means inserted into the pendant is elastic and can be opened or retracted in both direction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pendant, jewelry is provided in various ways, so that the user may have a taste and a trend. It can be chosen to fit, making it easy to make a variety of jewelry.

또한, 장신구 본체와 펜던트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이 자체 체결 구조 역할 및 기존의 장신구에서 신체 착용을 위한 결합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장신구의 착용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the jewelry body and the pendant serves as a self-fastening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coupling portion for wearing the body in the existing ornaments at the same time facilitates the wearing of jewelry.

이와 같이, 선택된 펜던트 및 결합 수단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고,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장신구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lected pendant and the coupling means can be modularized to be inserted and fixed,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hoice, providing an easy-to-assemble, and easily changeable jewelry in various designs to the consum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신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신구 모듈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신구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wel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jewelry modul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ewelry module of FIG. 1 is coupl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신구 모듈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장신구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wel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jewelry module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ewelry module of FIG. 1 is coupled.

도 1,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신구 모듈(100)은 장신구 본체(30), 팬던트(10) 및 결합 수단(20)을 포함한다.1, 2 and 3, the jewelry module 100 includes a jewelry body 30, a pendant 10 and a coupling means 20.

상기 장신구 본체(30)는 양 끝부분을 이으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는 띠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신구 본체(10)의 양 끝부분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고리들(31, 33)이 형성된다.The ornament body 30 has a band shape that can form a closed curve if both ends. Specifically,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having through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rnament body 10,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31, 33)은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31, 33)과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31, 33)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결합 수단(20)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may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and the through hole may have various shapes. However,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preferably have a minimum size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20 can pass.

상기 장신구 본체(30)는 곡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려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재질을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일례로, 상기 장신구 본체(30)는 복수의 링을 연결한 사슬 형태의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jewelry body 30 is sufficient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easily bent or bent to form a curve.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 suitable material according to taste. For example, the jewelry main body 30 may be formed as a chain of chain form connecting a plurality of rings.

또한, 상기 장신구 모듈(100)은 목, 팔목 및 발목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장신구 본체(30)의 길이 및 폐곡선 형성 시의 직경은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착용하기 적당한 길이 및 직경으로 형성되면 무방하며 이에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ornament module 100 can be worn on various parts of the body, such as neck, cuffs and ankles, the length of the ornament body 30 and the diameter when forming a closed curve is a suitable length to wear on the body part to be worn And diamet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펜던트(10)는 보석 등으로 형성된 다양한 장식용 구조물(15)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펜던트(10)의 상기 장식용 구조물(15)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세공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펜던트(10)가 상기 장신구 본체(30)와 연결되었을 때, 장신구의 외관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던트(10)는 다양한 장식용 구조물(15)로 모듈화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동일한 장신구 본체(30)에 다양하게 모듈화된 상기 펜던트(10)를 번갈아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함으로 인한 싫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펜던트(10)의 교체에 대해서는 상기 결합 수단(20)에 관한 기술과 함께 후술한다.The pendant 10 may include various decorative structures 15 formed of jewelry, etc. The decorative structures 15 of the pendant 10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a user's taste. Thus, when the pendant 10 is connected to the ornament body 30,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of the ornamen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pendant 10 may be modularized into various decorative structures 15, in this case, the user may alternately connect the variously modularized pendants 10 to the same ornament body 30 according to their own preferences. This reduces the weariness of using the same design. Replacement of the pendant 10 will be described later alo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means 20.

이 때, 상기 펜던트(10)는 반드시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은 상기 펜던트(1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과 결합하여 상기 펜던트(10)와 상기 장신구 본체(30)를 연결한다.At this time, the pendant 10 must form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endant 10, respectively, and are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 the ornament body (30).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은 상기 펜던트(10)의 서로 대칭되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이 삽입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펜던트(10)의 외관의 미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may be formed on symmetrical surfaces of the pendant 10, respectively.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are formed to have a minimum area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can be inserted, thereby providing an aesthetic appearance of the pendant 10.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elements.

상기 결합 수단(20)은 상기 장신구 본체(30)의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31, 33)을 관통하여 상기 펜던트(1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수단(20)은 양 끝부분에 상기 펜던트(1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을 포함한다.The coupling means 20 is inserted into the pendant 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of the jewelry body 30. Specifically, the coupling means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pendant 10 at both ends.

상기 결합 수단(20)은 양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것이 용이하게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 수단(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휘어진 M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탄성 재질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휘어진 M자 형상 때문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means 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easily opened or retracted in both directions. On the contrary, since the coupling means 20 is formed in an M-shaped curved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upling means 20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due to the curved M-shaped shape even though it is not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수단(20)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부들을(21) 가지며 중앙부가 부드럽게 휘어진 M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20)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은 각각 상기 결합 수단(20)의 상기 돌출부들(21) 방향으로 휘어져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갈고리 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이 상기 펜던트(10)의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에 삽입되어 상기 장신구 본체(30)와 상기 펜던트(10)를 연결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coupling means 20 may be formed in an M shape having two protrusions 21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smoothly ben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of the coupling means 20 may be curved in the shape of hooks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s 21 of the coupling means 20, respectively. The hook-shaped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of the pendant 10 so that the ornament body 30 and the pendant are provided. Connect 10.

상기 결합 수단(20)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M자 형상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 되어, 상기 결합 수단(20)의 돌출부들(21)의 상부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집게를 집듯 눌러서 힘을 가하면 상기 결합 수단(20)의 하부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장신구 본체(30)와 상기 펜던트(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 수단(20)의 하부가 벌어지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들(11, 13)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 때, 상기 결합 수단(20)을 상기 장신구 본체(30)의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31, 33)과 분리하면 상기 펜던트(10)와 상기 장신구 본체(30)도 분리 된다.The coupling means 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has an elastic force by the M-shape,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s 21 of the coupling means 20 from the outside into the forceps to press the force When applied,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ans 20 is opene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ans 2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jewelry main body 30 and the pendant 10 are coupled, they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23 and 25, which were present, exit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 and 13. At this time, when the coupling means 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ings 31 and 33 of the jewelry body 30, the pendant 10 and the jewelry body 30 are also separated.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상기 장신구 본체(30)와 상기 펜던트(10)를 분리하여 착용하거나 또는 다른 펜던트(10)로 교체 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wear the jewelry body 30 and the pendant 10 separately or replace it with another pendant 10 by the above method.

상기 결합 수단(20)의 돌출부들(21)을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다시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돌아가므로, 벌어졌던 상기 결합 수단(20)의 하부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11, 13)에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23, 25)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장신구 본체(30)와 상기 펜던트(10)가 결합되며 장신구 모듈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hands holding the protrusions 21 of the coupling means 20 are released again, they return to the circle by elasticity,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ans 20 that is opened is retra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11,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23 and 25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13, and the jewelry body 30 and the pendant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jewelry module can be worn.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장신구 모듈(100)은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종류의 보석으로 펜던트(10)를 모듈화하여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jewelr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by modularizing the pendant 10 with various shapes or various kinds of jewelry, the user may easily change the design by selecting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aste. .

또한, 결합 수단(20)이 장신구 본체(30)와 펜던트(10)를 결합하는 역할과 착용을 위한 결합 역할을 동시에 수행 하므로 용이하게 착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means 20 performs the role of combining the ornament body 30 and the pendant 10 and the coupling role for wearing at the same time can be easily worn.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본 고안은 귀금속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보석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신구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ious metal accessory, and has an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the jewelry industry that can select and manufacture jewelry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Claims (5)

양 끝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고리들을 포함하는 띠 형상의 장신구 본체
제1 및 제2 삽입홈들을 포함하는 펜던트 및
상기 장신구 본체의 제1 및 제2 고리들을 각각 관통하고, 양 끝부분에는 상기 펜던트의 제1 및 제2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들이 형성된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장신구 모듈.
Band-shaped ornament body including first and second rings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A pendan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nd
An ornament module comprising coupling mean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respectively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ings of the ornament body, and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pendan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부들을 갖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모듈.The jewel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in an M shape having two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모듈.The jewelry module of claim 2,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의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돌출부들 방향으로 각각 휘어진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모듈. 4. The ornament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coupling means have hook-shaped bends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의 제1 및 제2 삽입홈들은 상기 펜던트의 서로 대칭 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모듈.The jewelry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pendant are formed on symmetrical surfaces of the pendant.
KR2020110002032U 2011-03-11 2011-03-11 Accessory module KR2004626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32U KR200462604Y1 (en) 2011-03-11 2011-03-11 Accesso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32U KR200462604Y1 (en) 2011-03-11 2011-03-11 Accesso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04Y1 true KR200462604Y1 (en) 2012-09-18

Family

ID=4755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32U KR200462604Y1 (en) 2011-03-11 2011-03-11 Accesso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04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13A (en) 1999-03-16 2000-09-26 Purimohanzu:Kk Jewelry connecting implement
KR200366790Y1 (en) 2004-08-25 2004-11-08 박용흠 Necklace for portable device
JP2006204511A (en) 2005-01-27 2006-08-10 Taiyo Pearl Co Ltd Pend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13A (en) 1999-03-16 2000-09-26 Purimohanzu:Kk Jewelry connecting implement
KR200366790Y1 (en) 2004-08-25 2004-11-08 박용흠 Necklace for portable device
JP2006204511A (en) 2005-01-27 2006-08-10 Taiyo Pearl Co Ltd Pend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536B2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D531078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 pin
KR101535640B1 (en)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JP3177051U (en)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KR200462603Y1 (en) Accessory module
KR200462604Y1 (en) Accessory module
KR200443779Y1 (en) Jewelry case for accessory
CN205866197U (en) Watch -type hand lace with three -dimensional stereoeffect
KR20090000517U (en) Decoration for accessary with assistance decoration
KR200467928Y1 (en) Accessory module
KR200465690Y1 (en) Accessory module
CN213096527U (en) Double-chain type bracelet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KR20110043915A (en) Ring
KR200465134Y1 (en) A accessory with multipurpose
KR102420295B1 (en) Ring type accessory
KR200289772Y1 (en) Ornament
KR200456842Y1 (en) Earing
CN101564221A (en) Ornament connection member using lace
KR200284021Y1 (en) Bracelet for personal ornaments
JPWO2006051910A1 (en) Decorative body, necklace with composite body and composite decorative body
KR200335587Y1 (en) Chain for accessories
JP5278659B2 (en) Jewelry
JP3106983U (en) Jewelery using decorative chains
KR200363083Y1 (en) Assessory for neckl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