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61Y1 - Toilet cleaning brush - Google Patents
Toilet cleaning bru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2561Y1 KR200462561Y1 KR2020100003310U KR20100003310U KR200462561Y1 KR 200462561 Y1 KR200462561 Y1 KR 200462561Y1 KR 2020100003310 U KR2020100003310 U KR 2020100003310U KR 20100003310 U KR20100003310 U KR 20100003310U KR 200462561 Y1 KR200462561 Y1 KR 2004625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head
- bag
- connecting portion
- cleaning br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척용 브러쉬은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면에 제1연결부가 형성된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세척부가 형성된 세척헤드; 및, 일단부에 상기 세척헤드의 제1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자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자루에 부착된 세척헤드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세척헤드가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효과가 향상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cleaning brush,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the head body form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the wash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body head; And a bag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rt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washing head at one end and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cleaning head attached to the bag is adjusted while the cleaning head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while providing a toilet cleaning brush for improving the cleaning effect.
Description
본 고안은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루에 부착된 세척헤드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세척헤드가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leaning brush,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cleaning brush that can improve the cleaning effect because the cleaning head is kept in close contact along the surface of the object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 cleaning head attached to the ba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변기를 세척하는 방법은 일정량의 용수를 수장하였다가 일시에 용수를 공급하여 변기내의 이물질을 용수와 같이 흘러보내 세척하였으나 이는 변기내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다음에 사용하는 사람은 불결한 상태에서 용변을 보아야 하므로 불쾌감을 유발시켰고, 용수를 흘려보낸 뒤 재차 용수를 흘려보냈으나 이 역시 완전히 세척되지 않아 불결한 상태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변기의 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인력에 의존하여야만 한다.In general, the method of washing the toilet is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supply water at a time to flush foreign substances in the toilet with the water, but this is not completely removed. Because of the need to see the stool, it caused discomfort, and the effluent was flushed again, but again, because it was not completely cleaned, so it remained unclean, so it was necessary to rely on manpower to completely remove this substance from the toilet.
따라서, 변기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솔(2)이 부착된 솔몸체(3)와, 일단부에 상기 솔몸체(3)가 결합되는 지지봉(1)과,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이용해 변기의 내부를 문질러 이물질을 세척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as shown in Figure 1, the
그러나, 종래의 변기 세척용 브러쉬는 솔(2)이 부착된 솔몸체(3)가 지지봉(1)의 후단측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변기 개구부 내측 상부의 구석부분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솔(2)의 선단부가 구석부분에 접촉한 상태로 문질러 오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봉(1)의 손잡이 부분이 세척의 대상이 되는 부위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세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세척을 위한 자세유지가 어렵고, 지지봉(1)의 손잡이 부분이 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용수에 근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용수나 오물이 묻기 쉬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ilet cleaning brush, since the
또한, 지지봉(1)에 솔몸체(3)가 고정되어 있어 불규칙한 곡면을 갖는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자세를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rush body (3) is fixed to the support bar (1)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ake a posture for washing the toilet bowl having an irregular curved surfac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루에 부착된 세척헤드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세척헤드가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효과가 향상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toilet head for cleaning the toilet is improved cleaning effect while maintaining the close contact along the surface of the object while the angle of the cleaning head attached to the bag is adjusted In providing a brush.
또한,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는 세척부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변기의 상단부 구석부분까지 자세를 쉽게 바꾸지 않고 선 자세로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ifferent size of the washing formed 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brush that can be easily washed in a standing posture without changing the posture up to the upper corner of the toilet.
또한, 자루와 세척헤드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세척헤드의 교환 또는 세척을 위한 분리가 용이한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bag and the cleaning head is selectively detachable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brush for easy replacement for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cleaning head.
또한, 손잡이의 하단부 외주면에 플랜지를 확장 형성하여 세척과정에서 오물이 손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andle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brush to prevent dirt from splashing in the han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면에 제1연결부가 형성된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세척부가 형성된 세척헤드; 및, 일단부에 상기 세척헤드의 제1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자루;를 포함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a head body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washing h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leaning head at one end thereof, and a handle having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여기서, 상기 세척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가 상기 헤드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wash portions having different sizes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ead body,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척헤드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관통하는 연결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hea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on one end of the bag, it is rotated by a connecting pin penetra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assemble as possible.
또한,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부 양측에 세척헤드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toppe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cleaning head.
또한, 상기 자루는 일측에 돌기가 형성된 삽입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요홈이 형성된 삽입홈이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삽입부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g is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on one side, the handle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ag is formed in on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groove on one side.
또한, 상기 손잡이는 외측면에 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ushion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쿠션부는 전단부에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ushion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ront end flange portion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연결부와, 상기 관통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고리부 및, 상기 고정고리부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n preferably includes a through connec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 fixing r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rough connecting portion, and a gripping portion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xing ring portion. .
본 고안에 따르면, 자루에 부착된 세척헤드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세척헤드가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효과가 향상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angle of the cleaning head attached to the bag is adjusted to maintain the cleaning head along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brush that improves the cleaning effect.
또한,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는 세척부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변기의 상단부 구석부분까지 자세를 쉽게 바꾸지 않고 선 자세로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bowl cleaning brush that can be easily washed in a standing position without changing the posture to the upper corner of the toilet by differently forming the size of the washing portion formed i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또한, 자루와 세척헤드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세척헤드의 교환 또는 세척을 위한 분리가 용이한 변기 세척용 브러쉬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bowl cleaning brush that can be easily removed for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cleaning head by selectively detaching the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bag and the cleaning head.
또한, 손잡이의 하단부 외주면에 플랜지를 확장 형성하여 세척과정에서 오물이 손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가 제공된다.In addition, by extending the flang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andle is provided a toilet cleaning brush for preventing dirt from splashing in the han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도 1은 종래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자루와 손잡이의 조립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cleaning brush,
2 is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toilet cleaning brush,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toilet bowl cleaning brush,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toilet bowl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of us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view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세척용 브러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는 크게 세척헤드(110)와, 자루(120)와, 손잡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세척헤드(110)는 상면에 제1연결부(113)가 돌출 형성된 헤드몸체(111)와, 상기 헤드몸체(1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강모형태의 세척부가 형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세척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헤드몸체(111)의 양단부에 반구형의 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 및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 사이에 배치되는 제3세척부(112c)로 구성된다. 특히, 크기가 큰 제1세척부(112a)는 헤드몸체(111)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크기가 작은 제2세척부(112b)는 헤드몸체(111)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Here, the washing unit is formed in a different size and the
상기 자루(120)는 일단부에서 홈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헤드(110)의 제1연결부(113)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부(121)와, 타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122)와, 삽입부(122)의 일측에 돌출되는 돌기(122a)와, 상기 제2연결부(121)가 형성된 일단부 양측에는 형성되어 세척부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23)와, 타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쿠션부(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루(120)는 편안한 자세로 세척할 수 있도록 일 영역이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The
상기 손잡이(130)는 일단부에 삽입홈(133)이 형성된 손잡이몸체(131)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몸체(1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쿠션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33)의 일측에는 요홈(133a)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132)의 하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플랜지부(132a)가 확장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몸체(131)는 외측으로 삽입되는 쿠션부(132)가 외측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지거나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편, 상기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는 상기 세척헤드(110)의 제1연결부(113)가 자루(120)의 제2연결부(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를 관통하는 연결핀(1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지금부터는 상술한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자루와 손잡이의 조립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변기 세척용 브러쉬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a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FIG. 8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ssembly part of the bag and handl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is invention, FIG.
먼저,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헤드(110)의 헤드몸체(111) 상면에 형성된 제1연결부(113)에 자루(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가 연결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세척헤드(110)의 헤드몸체(111)는 전단부 외측에 반구형태의 제1세척부(112a)가 형성되고 후단부 외측에 반구형태의 제2세척부(112b)가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외측에는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 사이영역에 제3세척부(112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몸체(1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1세척부(112a)의 크기(D)는 후단부에 형성된 제2세척부(112b)의 크기(d)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자루(120)의 타단부에 조립되는 손잡이(130)는 외측면에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부(13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키며, 쿠션부(132)의 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32a)에 의해 세척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으로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손잡이몸체(131)의 외측에 삽입되는 쿠션부(132)는 플랜지부(132a)가 자루(12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4)에 간섭되어 삽입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자루(1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세척헤드(11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몸체(11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제1연결부(113)와 자루(120)의 제2연결부(121)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를 관통하는 연결핀(1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121)가 형성된 측의 단부 양측에는 스토퍼(123)가 각각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도 7의 (b)와 같이 연결핀을 중심으로 헤드몸체(111)의 전단부가 상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전단부측에 형성된 스토퍼(123)가 헤드몸체(111)의 상측면에 접촉하면서 헤드몸체(111)의 회동각을 제한하고, 도 7의 (c)와 같이 연결핀을 중심으로 헤드몸체(111)의 후단부가 상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후단부측에 형성된 스토퍼(123)가 헤드몸체(111)의 상측면에 접촉하면서 헤드몸체(111)의 회동각을 제한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7B,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자루(120)의 일단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세척헤드(110)의 회동각이 소정범위내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대상물의 표면굴곡에 따라 세척헤드(110)가 회동하면서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 및 제3세척부(112c)가 대상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적당한 압력으로 대상물을 가압하므로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 및 제3세척부(112c)들이 전체적으로 대상물에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일부 영역의 세척부만 집중적으로 대상물에 접촉하면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또한, 세척헤드(110)의 회전각도가 스토퍼(123)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가압력이 충분히 세척헤드(110)에 전달되므로 대상물의 구석부분까지 손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한편, 상기 자루(120)에 조립되는 손잡이(130)는 도 8에서와 같이 자루(120)의 타단부측에 형성되는 삽입부(122)에 손잡이(130)의 삽입홈(133)이 삽입되면서 조립되는데, 상기 삽입부(12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122a)가 삽입홈(133)의 요홈(133a)에 끼워지므로 손잡이(1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기 세척용 브러쉬는 자루(120)에 부착된 세척헤드(110)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세척을 위해 세척헤드(1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의 표면에 따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세척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gle of the
또한, 세척헤드(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1세척부(112a)와 제2세척부(112b)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different sizes of the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변기 세척 브러쉬를 이용해 변기를 세척하는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에서 'A-1' 및 'A-2'로 표시한 위치를 살펴보면, 변기(T)의 개구부 전단부 내측 모서리(T1)나 후단부 내측 모서리(T2)와 같이 폭이 좁은 공간은 제2세척부(112c)를 이용해 세척한다. 이때,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세척헤드(110)의 제2세척부(112c)를 변기(T)의 개구부 내측 상단모서리(T1,T2)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손잡이(130)를 잡고 변기(T)의 개구부 내주연부를 따라 회전시키면, 제2세척부(112c)가 변기(T)의 개구부 내측 상단모서리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특히, 자루(1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세척헤드(110)가 변기(T)의 다양한 곡면에 대응하여 자루(120)로부터 회동하면서 변기(T)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효과가 향상된다.A state of washing the toilet using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9. First, referring to the positions indicated by 'A-1' and 'A-2' in FIG. 9, a narrow space, such as the inner edge T1 of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part T or the inner edge T2 of the rear end of the toilet T, will be described. Is washed using the
아울러, 'A-3'으로 표시한 위치를 살펴보면, 오물배수구(T3)와 같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공간은 제2세척부(112b)보다 크기가 큰 제1세척부(112a)를 이용해 세척하는데, 이때, 제1세척부(112a)의 상단부가 오물배수구(T3)의 내부 상측면에 접촉되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세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자루(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세척헤드(110)가 변기의 표면을 따라 회동하면서 제3세척부(112c)가 변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A-3', the relatively wide space, such as the waste drain (T3) to clean using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변기(T)의 세척시 종래와 같이 손잡이(130)부분이 변기(T)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변기(T)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세척을 위한 자세유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 등에 이물이 튀는 것이 방지되므로 위생적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cleaning the toilet bowl (T) as described above, as the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ure 1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to 12 are view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헤드(110)의 헤드몸체(111) 상면에 형성된 제1연결부(113)와 자루(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는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를 관통하는 연결핀(1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connecting
이러한 연결핀(140)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연결부(141)와, 상기 관통연결부(141)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서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자루(120)의 외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는 고정고리부(142)와, 사용자가 고정고리부(142)의 단부를 잡아 고정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고리부(142)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파지부(14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고리부(142)는 자루(120)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감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루(120)의 외측면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연결핀(140)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관통연결부(141)가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를 관통하여 자루(120)와 세척헤드(11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관통연결부(141)와 목부로 연결된 고정고리부(142)가 자루(120)의 외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자루(120)측에 고정된다.Looking at the assembly state of the connecting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헤드(110)의 교환이나 세척 등을 위해 자루(120)로부터 세척헤드(1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고정고리부(142)의 말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43)를 잡고 이탈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고정고리부(142)가 자루(12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고정고리부(142)가 자루(120)로부터 이탈하면 관통연결부(141)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관통연결부(141)를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leaning
상기와 같이 제1연결부(113)와 제2연결부(121)를 연결하는 관통연결부(141)가 제거되면, 자루(120)의 제2연결부(121)로부터 세척헤드(110)의 제1연결부(113)가 고정해제되므로, 새로운 세척헤드(110)로 교환하거나 분리된 세척헤드(110)를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rough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110:세척헤드, 111:헤드몸체, 112a:제1세척부,
112b:제2세척부, 112c:제3세척부, 113:제1연결부,
120:자루, 121:제2연결부, 122:삽입부,
122a:돌기, 123:스토퍼, 130:손잡이,
131:손잡이몸체, 132:쿠션부, 132a:플랜지부,
133:삽입홈, 133a:요홈, 140:연결핀,
141:관통연결부, 142:고정고리부, 143:파지부110: washing head, 111: the head body, 112a: the first washing unit,
112b: second washing unit, 112c: third washing unit, 113: first connecting unit,
120: bag, 121: second connection portion, 122: insertion portion,
122a: protrusion, 123: stopper, 130: handle,
131: a handle body, 132: a cushion portion, 132a: a flange portion,
133: insertion groove, 133a: groove, 140: connecting pin,
141: through-connection, 142: fixing ring, 143: gripping
Claims (8)
상면에 제1연결부가 형성된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세척부가 형성된 세척헤드; 및,
일단부에 상기 세척헤드의 제1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자루;를 포함하되,
세척부는 헤드몸체의 전단부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제1세척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헤드몸체의 후단부에서 돌출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척헤드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상기 제1연결부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연결부와, 상기 관통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고리부 및, 상기 고정고리부의 말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고리부는 원형단면의 자루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감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루의 외측면의 절반 이상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용 브러쉬.In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A washing head having a head body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washing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d body; And,
And a bag having a handle formed at a second end there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being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washing head at one end thereof.
The washing part includes a first washing part protrud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the front end of the head body, and a second was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head body,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washing par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hea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received at one end of the bag,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 first manner. Is rotatably assembled by a connecting pin fasten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pin includes a through connection part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fixing r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rough connection part, and a gripping part bent out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fixing ring part.
The fixed ring portion toilet bowl cleaning brush, characterized in that for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resilient to wrap more than half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to maintain a fix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3310U KR200462561Y1 (en) | 2010-03-31 | 2010-03-31 | Toilet cleaning bru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3310U KR200462561Y1 (en) | 2010-03-31 | 2010-03-31 | Toilet cleaning bru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486U KR20110009486U (en) | 2011-10-06 |
KR200462561Y1 true KR200462561Y1 (en) | 2012-09-21 |
Family
ID=4559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3310U KR200462561Y1 (en) | 2010-03-31 | 2010-03-31 | Toilet cleaning bru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56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49785A (en) * | 2018-11-27 | 2019-02-19 | 丁伟志 | Toilet brush |
CN110946489A (en) * | 2019-12-20 | 2020-04-03 | 吉村信一郎 | Toilet cleaning brush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2821A (en) * | 1998-11-20 | 2000-06-06 | Mac Sankoo Kk | Swing cleaner |
JP2000325259A (en) | 1999-05-19 | 2000-11-28 | Tadako Sawara | Washing implement for toilet bowl or the like |
-
2010
- 2010-03-31 KR KR2020100003310U patent/KR20046256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2821A (en) * | 1998-11-20 | 2000-06-06 | Mac Sankoo Kk | Swing cleaner |
JP2000325259A (en) | 1999-05-19 | 2000-11-28 | Tadako Sawara | Washing implement for toilet bowl or the li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486U (en)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71370A (en) | Cleaning tool with easily detachable web | |
JP2008055139A (en) | Two-way brush for cleaning | |
US8336156B1 (en) | Baby bottle microfiber drying wand | |
JP3722799B2 (en) | Baby bottle cleaning brush | |
KR200462561Y1 (en) | Toilet cleaning brush | |
US20110225751A1 (en) | Toilet brush | |
KR101167115B1 (en) | Shower nozzle having a brush | |
KR200464138Y1 (en) | Bidet that have nozzle washing cover and nozzle washing cover | |
KR100685173B1 (en) | A silicon brush of a baby food bottle | |
KR20120073425A (en) | Brush for cleaning and cleaning apparatus thereof | |
CN101563011A (en) | Floor drain inlet having brush members on upper surface | |
JP3156318U (en) | Cleaning tool | |
KR101963887B1 (en) | Washing Tool for Bottle | |
CN113017465A (en) | Auxiliary cover for toilet | |
KR200463110Y1 (en) | Scrubber for cleaning cups | |
JP2004113801A (en) | Toilet seat | |
US20220265100A1 (en) | Toilet scrubber | |
JP3619727B2 (en) | Nipple cleaning tool for baby bottles | |
KR200225412Y1 (en) | The bottom cleaner of a baby food bottle | |
KR200485093Y1 (en) | Toilet cleaner | |
KR101422769B1 (en) | Toothbrush capable of rotation | |
TWI749608B (en) | Bathing device | |
KR102199478B1 (en) | Cups that can be used by multiple people | |
JP2005224303A (en) | Washing tool | |
KR200225432Y1 (en) | a silicon brush of a baby food bo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