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32Y1 - 헤어드라이어 노즐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32Y1
KR200462532Y1 KR2020090003671U KR20090003671U KR200462532Y1 KR 200462532 Y1 KR200462532 Y1 KR 200462532Y1 KR 2020090003671 U KR2020090003671 U KR 2020090003671U KR 20090003671 U KR20090003671 U KR 20090003671U KR 200462532 Y1 KR200462532 Y1 KR 200462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air dryer
nozzle
guide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77U (ko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90003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32Y1/ko
Priority to JP2010048875A priority patent/JP2010240388A/ja
Publication of KR20100009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관한 것으로, 공지 구조의 헤어드라이기(1)의 바람이 토출되는 개구부(2)에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개구부(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인입되는 인입공(102a)과, 인입된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공(102b)으로 이루어진 메인노즐공(102)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외측 일면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내측으로 만곡진 선회단계조절돌기(111)가 다수 형성된 선회조절공(11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노즐(10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 상하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 상기 선회조절공(110) 후방 내주면 상하에 형성된 힌지홈(130)과; 일단이 상기 힌지홈(13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의 토출면적을 확대축소하여 송풍이 대상물에 집중 및 확대되도록 마련된 가변송풍부재(140)와;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노브가이드공(120)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홈(130)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선회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노브(150);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 노즐, 가변.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노즐{The nozzle for hairdryer}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드라이어의 전방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노즐의 내측면에 가변송풍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노즐 외측에서 간편하게 조작함에 따라 송풍의 집중 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헤어를 스타일링하거나 건조 등의 필요에 따라 송풍을 가변조절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을 표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외모를 중요시하고,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가꾸고 있다. 즉,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이러한 외모를 가꾸는 것은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뽑내거나 자신만의 개성연출 등을 통해 이성 및 비지니스 등에서 타인보다 우위에 서고 주목받기 위한 방법으로 제일먼저 외모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헤어스타일이다.
이러한 헤어스타일(hairstyle)은 신체를 장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얼굴의 형태나 유행에 따라 여러 가지 헤어스타일로 변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헤어스타일 의 변화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 중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헤어드라이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는 열풍을 이용하여 단백질로 형성된 머리카락을 변형하는 방법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것은 사실이다.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손잡이와 일체로 구비된 본체 내에 열선과 송풍수단이 내설된다. 이렇게 구성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열선이 발열되고, 송풍수단에 의해 바람이 발생되며, 바람이 발열되고 있는 열선을 통과됨과 함께 열선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바람에 전도되어 헤어드라이어 본체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어 대상물에 송풍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의 개구부에는 착탈가능한 별도의 헤어드라이어 노즐이 구비된다. 이러한 헤어드라이어 노즐은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이 헤어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사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노즐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노즐공이 마련된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사용자는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열풍이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노즐공에 따라 분사되도록 되어 다양한 헤어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 어 노즐에 의해 헤어스타일의 맵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됨과 함께 건조하기 위해 사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건조하기 위해서는 분사되는 열풍이 사용자의 헤어(hair)의 일정부분에 집중되게 되면 건조시간이 장시간 걸리게 되어 대부분의 사용자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열풍이 넓게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어 헤어드라이어를 사용시 사용용도에 따라 매번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헤어드라이어 본체로부터 착탈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노즐을 분리하여 헤어드라이어를 사용시, 송풍되는 열풍이 넓게 확대되어 토출됨으로 머리의 건조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나 개구부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비산되어 고정된 머리카락이 흩어지고, 이로 인해 섬세하게 헤어스타일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노즐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넓게 비산확장되어 토출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타일링 하고자 할 경우 열풍이 헤어에 집중되지 못하고, 비산 확장됨으로써, 헤어 스타일을 유지하는 데 많은 시간의 소요된다. 그리고, 헤어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 될수록 자체적으로 풀리게 되어 헤어 스타일을 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의 유지에 따른 장시간의 헤어드라이어의 가동으로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헤어드라이어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시, 헤어 스타일을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노즐공을 통한 열풍의 집중 과열로 인해 헤어드 라이어의 사용수명을 단축 및 사용자의 헤어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조 시간이 장시간 걸리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헤어드라이어의 전방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노즐의 내주면 양측면에 바람이 토출되는 면적을 제어가능한 가변송풍부재를 설치하여 송풍의 집중 또는 확산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헤어를 스타일링 하거나 건조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송풍을 집중 또는 확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분리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헤어스타일 및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가변송풍부재의 선회각도를 사용자가 노즐 외측에서 간단하게 조정함에 따라 송풍이 헤어에 집중 또는 비산확장되어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헤어의 스타일링 및 건조를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헤어의 손상을 방지는 물론 에너지의 낭비가 방지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은 공지 구조의 헤어드라이기(1)의 바람이 토출되는 개구부(2)에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개구부(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인입되는 인입공(102a)과, 인입된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공(102b)으로 이루어진 메인노즐공(102)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외측 일면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내측으로 만곡진 선회단계조절돌기(111)가 다수 형성된 선회조절공(11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노즐(10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 상하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 상기 선회조절공(110) 후방 내주면 상하에 형성된 힌지홈(130)과; 일단이 상기 힌지홈(13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의 토출면적을 확대축소하여 송풍이 대상물에 집중 및 확대되도록 마련된 가변송풍부재(140)와;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노브가이드공(120)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홈(130)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선회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노브(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송풍부재(140)는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내부에 위치되어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를 통해 인입된 열풍 또는 냉풍이 토출공(102b)을 통해 토출되는 송풍이 집중 및 확대되도록 조절하는 판 형상의 송풍조절판(142)과;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내주면에 상하로 구비된 상기 힌지홈(130)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송풍조절판(142) 후단 상하로 형성된 힌지돌기(144)와; 상기 송풍조절판(142) 일면에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동일선상에 개구형성된 노브삽입공(146)과; 상기 송풍조절판(142)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송풍조절판(142)이 선회되도록 만곡진 곡선을 가진 선회가이드장공(148a)이 형성된 가이드구(1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노브(150)는 일측으로 상하로 대칭되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노브삽입공(146)을 통해 상기 가이드구(148) 내측으로 위치되는 이동바(152)와; 상기 상하 이동바(152) 각각의 일단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에 가이드결합되어 상기 이동바(1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54)와;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일면에 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에 각각 후크결합하여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바(152) 상하측에 대칭형성된 걸림가이드후크(1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의 전방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노즐의 내주면 양측면에 바람이 토출되는 면적을 제어가능한 가변송풍부재를 설치하여 송풍의 집중 또는 확산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헤어를 스타일링 하거나 건조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송풍을 집중 또는 확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분리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헤어스타일 및 건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변송풍부재의 선회각도를 사용자가 노즐 외측에서 간단하게 조정함에 따라 송풍이 헤어에 집중 또는 비산확장되어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헤어의 스타일링 및 건조를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헤어의 손상을 방지는 물론 에너지의 낭비가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요부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요부확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은 공지의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은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냉풍이 인입되는 인입공(102a)과, 인입된 열풍 및 냉풍을 토출하는 토출공(102b)으로 이루어진 메인노즐공(102)을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은 통상의 구성인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을 통해 열풍 또는 냉풍이 토출송풍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송풍의 사용자의 헤어에 집중 또는 비산확대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선회조절공(110), 노브가이드공(120), 힌지홈(130), 가변송풍부재(140), 각도조절노브(150)가 형성된다.
상기 선회조절공(110)은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가 끼움결합되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외측 일면 중앙에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된 상기 선회조절공(110) 내측으로 만곡진 선회단계조절돌기(111)가 다수 형성되어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의 전후 이동거리가 미리 결정되어 후술되는 가변송풍부재(140)의 선회각도가 정해진 이동거리에 따라 결정된 각도로 선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노브가이드공(120)은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가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헤어드라이어노즐(10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 상하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가이드공(120)은 각도조절노브(150)가 전후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힌지홈(130)은 후술되는 가변송풍부재(140)가 힌지결합되어 원활한 선회가 이루어지도록 선회기준점이 되는 것으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의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으로 상기 선회조절공(110) 후방 내주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변송풍부재(140)는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의 토출구(120b)의 토출면적을 조절하여 열풍 및 냉풍의 송풍이 사용자의 헤어에 집중 또는 비산확대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송풍조절판(142), 힌지돌기(144), 노브삽입공(146), 가이드구(148)로 형성된다.
상기 송풍조절판(142)은 토출구(120b)의 토출면적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를 통해 인입된 열풍 또는 냉풍이 토출공(102b)을 통해 토출되는 송풍이 집중 및 확대되도록 조절하도록 상기 토출구(120b)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돌기(144)는 전술한 상기 송풍조절판(142)의 선회기준점으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내주면에 상하로 구비된 상기 힌지홈(130)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돌기(144)는 송풍조절판(142) 후단 상하로 상기 힌지홈(130)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노브삽입공(146)은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의 일단이 전술한 선회조절공(110)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송풍조절판(142) 일면에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동일선상에 개구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구(148)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송풍조절판(142)이 힌지홈(130)을 기준으로 선회되고, 이로 인해 토출구(120b)의 토출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구(148)는 상기 송풍조절판(142)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송풍조절판(142)이 선회되도록 만곡진 곡선을 가진 선회가이드장공(148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은 전술한 선회조절공(110)의 선회단계조절돌기(111)에 의해 결정된 후술되는 각도조절노브(150)의 이동거리에 따라 선회각도가 결정되도록 만곡진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노브(150)는 사용자가 헤어드라이 노즐(100) 외측에서 간단하게 전후이동으로 전술한 상기 힌지홈(130)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가변송풍부재(140)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노브가이드공(1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노브(150)는 이동바(152), 가이드돌기(154), 걸림가이드후크(156)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바(152)는 상기 각도조절노브(150) 일측으로 상하 대칭되어 돌출형 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152)는 상기 선회조절공(1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노브삽입공(146)을 통해 상기 가이드구(148) 내측으로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54)는 상하 이동바(152) 각각의 일단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154)는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에 가이드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노브(150)를 외부에서 전후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바(152)가 전후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 상에서 상기 가이드돌기(154)가 전후이동하게 되어 만곡진 선회가이드장공(148a)의 중심이 변화되어 송풍조절판(142)이 가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가이드후크(156)는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일면에 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에 각각 후크결합하여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바(152) 상하측에 대칭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노즐공(102)의 내주면에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전후이동에 따라 선회각도가 결정되는 가변송풍부재(140)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을 구비한다. 이후,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을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또는 건조하기 위해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이 결합된 헤어드라이기(1)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렇게 전원이 인가되면 헤어드라이기(1)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미도시)와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열풍 또는 냉풍)이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의 메인노즐공(102)을 통해 집중되어 분사된다. 이렇게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의 메인노즐공(102)을 통해 집중 분사되는 바람을 통해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가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바람이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임)
한편,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의 메인노즐공(102)을 통해 분사되는 송풍을 모발에 특정부위에 집중하도록 하여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경우에는 각도조절노브(150)를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각도조절노브(15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바(152)가 이동하고, 이동바(152)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돌기(154)가 만곡진 곡선상의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의 곡선상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선회가이드장공(148a)의 원호상의 곡선의 중심점은 각도조절노브(150)의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에 따라 변화되고, 이에 따라 선회가이드장공(148a)이 형성된 가이드구(148)와 일체로 형성된 송풍조절판(142)이 힌지홈(130)을 기준으로 하향선회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각도조절노브(150)를 선회조절공(110)의 선회단계조절돌기(111)의 마지막 부분을 지나 최종점으로 도달시키면 가이드돌기(154)는 선회가이드장공(148a)의 최종점에 도달하게되고, 이에 따라 변화된 각도조절노브(150)의 이동거리에 대한 선회가이드장공(148a)의 중심점의 변화로 인해 송풍조절판(142)이 최종 선회되어 토출공(102b)의 전체면적이 축소된다.
따라서, 인입공(102a)을 통해 유입되는 열풍 또는 냉풍이 송풍조절판(142)의 하향선회에 따라 축소된 면적을 가진 토출공(102b)으로 배출됨에 따라 송풍이 집중되도록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송풍의 집중순서를 역으로 진행하게 되면 열풍 또는 냉풍이 사용자의 모발에 비산확대되도록 토출구(102b)의 면적이 확대되는 것이다.
즉,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로부터 토출되는 열풍 또는 냉풍의 송풍의 집중 및 비산확대를 토출구(102b)의 토출면적 조절을 통해 조절함에 따라 헤어스타일 및 건조 등의 작업에 더욱더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에 가변송풍부재(200)를 구비한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노즐(100)을 헤어드라이기(1)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헤어스타일 및 건조시 빠른 작업수행이 가능하고, 간단한 노브작동에 의해 송풍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헤어드라이어 노즐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가능하며,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헤어 모발의 손상 방지 및 나아가 에너지 절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요부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헤어드라이어 2 : 개구부
100 : 헤어드라이어 노즐 102 : 메인노즐공
102a : 인입공 102b : 토출공
110 : 선회조절공 111 : 선회단계조절돌기
120 : 노브가이드공 130 : 힌지홈
140 : 가변송풍부재 142 : 송풍조절판
144 : 힌지돌기 146 : 노브삽입공
148 : 가이드구 148a : 선회가이드장공
150 : 각도조절노브 152 : 이동바
154 : 가이드돌기 156 : 걸림가이드후크

Claims (3)

  1. 공지 구조의 헤어드라이기(1)의 바람이 토출되는 개구부(2)에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개구부(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인입되는 인입공(102a)과, 인입된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공(102b)으로 이루어진 메인노즐공(102)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외측 일면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내측으로 만곡진 선회단계조절돌기(111)가 다수 형성된 선회조절공(11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노즐(10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 상하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과;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의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 상기 선회조절공(110) 후방 내주면 상하에 형성된 힌지홈(130)과;
    일단이 상기 힌지홈(13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토출공(102b)측의 토출면적을 확대축소하여 송풍이 대상물에 집중 및 확대되도록 마련된 가변송풍부재(140)와;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노브가이드공(120)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홈(130)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선회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노브(150);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송풍부재(140)는 상기 메인노즐공(102)의 내부에 위치되어 헤어드라이기(1)의 개구부(2)를 통해 인입된 열풍 또는 냉풍이 토출공(102b)을 통해 토출되는 송풍이 집중 및 확대되도록 조절하는 판 형상의 송풍조절판(142)과;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내주면에 상하로 구비된 상기 힌지홈(130)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송풍조절판(142) 후단 상하로 형성된 힌지돌기(144)와;
    상기 송풍조절판(142) 일면에 상기 선회조절공(110)과 동일선상에 개구형성된 노브삽입공(146)과;
    상기 송풍조절판(142)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송풍조절판(142)이 선회되도록 만곡진 곡선을 가진 선회가이드장공(148a)이 형성된 가이드구(1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노브(150)는 일측으로 상하로 대칭되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회조절공(1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변송풍부재(140)의 노브삽입공(146)을 통해 상기 가이드구(148) 내측으로 위치되는 이동바(152)와;
    상기 상하 이동바(152) 각각의 일단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에 가이드결합되어 상기 이동바(1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선회가이드장공(148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54)와;
    상기 헤어드라이어 노즐(100) 일면에 형성된 노브가이드공(120)에 각각 후크결합하여 상기 각도조절노브(150)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바(152) 상하측에 대칭형성된 걸림가이드후크(1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20090003671U 2009-03-31 2009-03-31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0462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71U KR200462532Y1 (ko) 2009-03-31 2009-03-31 헤어드라이어 노즐
JP2010048875A JP2010240388A (ja) 2009-03-31 2010-03-05 ヘアドライヤーノズ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71U KR200462532Y1 (ko) 2009-03-31 2009-03-31 헤어드라이어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77U KR20100009877U (ko) 2010-10-08
KR200462532Y1 true KR200462532Y1 (ko) 2012-09-13

Family

ID=4309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71U KR200462532Y1 (ko) 2009-03-31 2009-03-31 헤어드라이어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240388A (ko)
KR (1) KR2004625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674A (ko) 2017-11-20 2019-05-29 김성종 헤어드라이기용 송풍가이더
KR102182666B1 (ko) * 2020-07-10 2020-11-24 신건수 워터스크린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60B1 (ko) 2005-06-25 2011-11-25 인텔 코오퍼레이션 서비스 호출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GB2508589A (en) * 2012-12-03 2014-06-11 Jemella Ltd Hair dryer nozzle having a v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88U (ko) 1978-05-10 1979-11-19
KR200297658Y1 (ko) 2002-07-16 2002-12-12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88U (ko) 1978-05-10 1979-11-19
KR200297658Y1 (ko) 2002-07-16 2002-12-12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674A (ko) 2017-11-20 2019-05-29 김성종 헤어드라이기용 송풍가이더
KR102182666B1 (ko) * 2020-07-10 2020-11-24 신건수 워터스크린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40388A (ja) 2010-10-28
KR20100009877U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532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0451656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CN103251199A (zh) 一种具有吹干、梳理和保健功能的智能梳子
US5457894A (en) Implement for styling/drying hair for an air-moving appliance for personal use
CN206896020U (zh) 一种新型直发风梳
US20130000139A1 (en) Accessory for hair treatment device
CN111741695B (zh) 美发设备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EP3133953B1 (en) Hairdressing apparatus
JP2006314787A (ja) 軸方向及び半径方向の流れを持つヘアドライヤー
KR102554855B1 (ko)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CN102726927A (zh) 可调风向吹风机旋风卷发器
KR102321237B1 (ko) 다용도 헤어 스타일러
KR200441353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0451657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KR200297658Y1 (ko) 헤어드라이어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JP2011217996A (ja) ヘアードライヤ
JPH06327514A (ja) ヘアードライヤーのノズル
KR200455793Y1 (ko)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RU27142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и завивки волос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CN201968010U (zh) 可调风向吹风机旋风卷发器
KR20160082445A (ko) 날개 없는 헤어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