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38Y1 -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 Google Patents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38Y1
KR200461738Y1 KR2020090016354U KR20090016354U KR200461738Y1 KR 200461738 Y1 KR200461738 Y1 KR 200461738Y1 KR 2020090016354 U KR2020090016354 U KR 2020090016354U KR 20090016354 U KR20090016354 U KR 20090016354U KR 200461738 Y1 KR200461738 Y1 KR 200461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lower flange
flange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3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6263U (en
Inventor
정수창
Original Assignee
정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창 filed Critical 정수창
Priority to KR2020090016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38Y1/en
Publication of KR20110006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2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3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8Operations for treatment of snoring, e.g. uvulopalatoplas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감이 우수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구강내 기도로 통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충분하게 완화할 수 있는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more particularly, to comfortably snoring and sleep apnea by securing a space leading to the oral airway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t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that can be.

본 고안의 구강내 장치는 i)하부 지지체와 ii)상부 지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i)하부 지지체는 적어도 아랫니의 형상에 따라 아랫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아랫니수용홈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상부로 연장 돌출 되어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형 하부 플랜지;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에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스크류를 통해 연결된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Intraor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i) the lower support and ii) the upper support, the i) lower support is a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teeth; A fixed lower flange extending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to form a protrusion; A screw connected to the fixed bottom flange and a movable bottom flange connected through the fixed bottom flange and the screw,

상기 ii)상부 지지체는 적어도 윗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윗니수용홈부; 상기 아랫니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수용하는 결합홈부; 및 상기 상부 지지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윗니 수용홈부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support includes a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teeth; Coupl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teeth; And a protrusion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pporter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구강내 장치,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Intraoral device, snoring, sleep apnea

Description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Intraoral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본 고안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구강내 기도로 통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충분하게 완화할 수 있는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that prevents snoring and sleep apnea, and more particularly, prevents snoring and sleep apnea that occur during sleep, thereby taking a good night's sleep, and is excellent in fit and effectively fits the patient's con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allevi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by securing a space through the oral airway.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수면 중에는 코골이, 무호흡,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으며, 이 때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The snoring is a loose palate (relatively lighter back part of the mouth ceiling) and palate (called sulcus water, which stretches below the center of the throat and oral palate) as it passes through the narrowed airways due to various causes of respiratory airflow during sleep. This is a breathing noise caused by vibrations in the surrounding structures of the. During sleep, symptoms such as snoring, apnea and insomnia may appear. In severely snoring patients, the air passages may be temporarily blocked due to severe muscle relaxation during sleep or severe obesity, and at this time, no air flows into the lungs. This is called obstructive sleep apnea.

종래에는 코골이를 단지 나쁜 잠버릇 정도로 간주하여 왔으며, 동침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의학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여겼으나, 근래에는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중요한 증상으로서 여러가지 신체적 장애와 심리적 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현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발생 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인두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소아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은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이다Traditionally, snoring has been regarded as only a bad sleep habit, and it has been regarded as having no medical meaning other than disturbing sleep of the sleeping person. Recently,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re important symptoms. As it turns out that it can be accompanied by a lot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Most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patients have anatomical abnormalities that narrow the space of the upper airway, a structure that begins in the nasal cavity and continues to the larynx. Obesity may cause fat accumulation in the neck area, or tissues such as tongue and tonsils may be enlarged, and the space in the neck may be reduced and the upper airway may be narrowed, resulting in snoring and sleep apnea. It is also common for people with abnormally small jaws or short and thick necks. In addition, snoring and sleep apnea occur when the power of the pharyngeal airway dilatation does not overcome the sound pressure in the rib cage caused by the diaphragm. The biggest causes of snoring and sleep apnea in children are amygdala and adenoid hypertrophy

이는 낮 동안 심한 졸음과 피로함을 느끼게 되며, 종종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증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하며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학습 부진이나 발달 지연, 그리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말처럼 얼굴이 길어 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조절되지 않고 장기간 무호흡이 지속될 경우,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서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 질환(폐성 고혈압, 폐성심, 호흡부전)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코골이가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발기부전 등의 성 관련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This can cause severe drowsiness and fatigue during the day, often causing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symptoms of aggressive personality, irritability, anxiety, and depression may appear, and symptoms such as severe headaches due to carbon dioxide accumulation may occur. Children may also have poor learning, delayed development, and breathing through their mouths, which may result in a lengthening face like a horse. If symptoms remain uncontrolled and prolonged apnea may increase the burden on the heart or lung, causing arrhythmia,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left ventricular failure, and lung diseases (pulmonary hypertension, pulmonary heart, respiratory failure). In addition, there are reports that snoring may worsen or cause diabetes or glaucoma, and sex-related problems such as erectile dysfunction may also occur.

코골이나 무호흡은 본인이나 배우자, 또는 가족들을 통해 증상을 듣고 진단할 수 있다. 낮 중에 얼마나 졸리는지에 대한 문진을 통해서도 코골이나 무호흡의 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신체검진으로 체중이나 BMI 지수를 측정하거나 외양 특히 얼굴과 목의 모양을 관찰하고 비강, 구강, 인두, 후두의 검진을 병행하여 주된 유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수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자는 동안 호흡, 맥박, 움직임, 코골이, 혈중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을 측정하고, 그 외에 기도의 폐쇄 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상기 기도의 폐쇄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비인두 섬유경을 이용하여 인두부에서 어느 부위가 막히는지를 직접 관찰하거나 방사선 투시 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두개골 계측 방사선 검사로 뼈 부분의 해부학적 지표들을 파악하여 뼈의 구조적인 문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수면 다원검사 시에는 코를 통하여 관을 거치하고 수면의 전 과정을 통해 어느 부위가 막히는지 추적하는 검사도 있다Snoring or apnea can be heard and diagnosed by you, your spouse, or your family. Asking how sleepy you are during the day can also tell you how severe your snoring or apnea is. Physical examination can be used to measure body weight or BMI, or to look at the appearance, especially the shape of the face and neck, and to examine the nasal, oral, pharyngeal, and laryngeal examinations to determine the main cause. For accurate sleep evaluation, the sleep polysomnography is conducted. During sleep, breathing, pulse, movement, snoring, blood oxygen saturation, brain waves, etc. can be measured, and other tests to identify the airway obstru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identify the closed area of the airway, using a nasopharyngeal fibroid, it is directly observed which part of the pharynx is blocked or confirmed by radiographic examination. Cranial metrology radiographs can also identify bone structural problems by identifying anatomical markers in the bone area. During sleep plural tests, a tube is placed through the nose and tracks which areas are blocked throughout the entire sleep process.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Treatment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on-surgical methods and surgical methods.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위험 인자를 줄이는 방법, 약물 치료, 구강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양압을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하여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비강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이 있다Non-surgical treatments include sleeping sideways, reducing risk factors such as weight loss, abstinence, and quitting smoking, medication, oral devices to prevent the tongue from sagging behind the neck, and maintaining positive pressure continuously. Supply to the airways to prevent collapse of soft tissues in the pharynx. The surgical treatment metho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use of snoring, nasal surgery (correction of the nasal septum and inferior nasal palate thickening), pharyngeal surgery (oral pharyngeal plastic surgery to remove the tonsils and oropharyngeal mucosa, high frequency heat) Cleft palate), tongue reduction, head and neck skeletal surgery (stemectomy and hyoid bone incision, bilateral maxillary advancement)

상기 구강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별도의 수술을 요구하지 않고, 자는 동안 기도를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강내 장치는 입에 물고 잠을 자게 하는 것으로 치아 사이에 끼운 기구를 이용하여 아래 턱관절을 당겨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당김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훨씬 넓어지게 하고, 넓어진 기도에 의해 수면 중 호흡을 위하여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회피하면서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이 진동되는 것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The method of preventing the tongue from sagging behind the neck through the intraoral device has been widely used recently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operation and keeps the airway extended while sleeping. Such an intraoral device is a device that prevents snoring by pulling the lower jaw joint by using a device sandwiched between the teeth to sleep in the mouth. By using this instrument, the jaw joint is pulled further apart between the soft palate and its associated neck, tongue root, and tonsils, which widens the air passage through the air and inhaled by the enlarged airways for breathing during sleep. The air passes freely while avoiding parts such as the neck, tongue root, tonsil, and the like, and completely blocks the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and tonsil due to the passage of air.

이와 같은 구강내 장치는 별도의 수술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최근 많이 이용 되고 있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 0089860호가 있다. 종래 코골이 방지기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하나의 기구의 상하면에 윗니(50)들과 아랫니(60)들이 끼워질 수 있는 이물림판(101)을 형성하고 윗니들과 아랫니(60)들을 상기 이물림판(101)에 끼워넣으면 자연적으로 아래턱이 전방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기도가 넓어질 수 있도록 한다.Such oral devices have been used a lot recently because they do not require a separate surgery. As such an oral device, there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 0089860. Conventional snoring mechanism 100 has the shape of the mouthpiec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upper teeth 50 and the lower teeth 60 can b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mechanism Forming the plate 101 and inserting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60 into the foreign matter plate 101 to allow the lower jaw to be naturally pulled forward to widen the airway.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윗니와 아랫니가 코골이 방지기구에 끼워 고정된 상태로 수시간 동안 수면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데, 이러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여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준다.However, the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maintain the sleeping state for several hours while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fixed to the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it is not natural to maintain such a posture Gives a sense of rejection.

특히,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 상태로 잠을 청한 사용자들은 수면 동안에 받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아침이 되어도 개운하지 못하고 항상 피곤하고 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코골이 방지장치들은 구조적으로 여러가지 구비 수단을 부가하기도 하여 탈착시 번거로운 점이 있었고, 착용감 역시 좋지 않았다. 또한, 제작비용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악 및 하악용 구강내 장치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으면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탈착이 용이하면서 제작공정도 비교적 간단한 구강내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In particular, users who sleep in such an unnatural posture have a problem that they are not always refreshed even in the morning due to the stress received during sleep and are always tired and sleepy.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device has a structure that adds a variety of means to remove the cumbersome point of detachment, wearing comfort was also poo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expensive. Therefore, while the intraoral device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an be worn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for an intraoral device having an excellent fit and easy detachment and a relatively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효과적으로 구강내 기도로 통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충분하게 완화 및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면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excellent in wearing comfort and effectively secure the space through the oral airway to sufficiently alleviate and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as well as easy to remove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강내 장치는 Or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i)하부 지지체(20)와 ii)상부 지지체(10)로 구성되며, 상기 i)하부 지지체는 적어도 아랫니의 형상에 따라 아랫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아랫니수용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상부로 연장 돌출 되어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형 하부 플랜지;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에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스크류를 통해 연결된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ii)상부 지지체는 적어도 윗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윗니수용부; 상기 아랫니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수용하는 결합홈부; 및 상기 상부 지지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윗니 수용부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를 제공한다.i) the lower support 20 and ii) the upper support 10, i) the lower support is a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t leas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teeth; A fixed lower flange extending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to form a protrusion; A screw connected to the fixed lower flange and a movable lower flange connected to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screw, wherein the upper support includes an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teeth; Coupl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teeth; And an intraoral device (1)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support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and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nwardly. to provide.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윗니 수용홈부(12)는 상기 윗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아랫니 수용홈부(22)는 상기 아랫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2 of the upper support 10 is formed to accommodate all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22 of the lower support 20 can receive all of the lower tee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를 수용하는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결합홈부(13)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the fixed lower of the lower support 20 The coupling groove 13 of the upper support 10 for receiving the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및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7)는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결합홈부(13)는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lower flange 23 and the screw 26 and the fixed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between premolar and molar and between molar tee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ingual or buccal surface of one or more lower teeth, wherein the engaging groove 13 of the upper support 10 is between the premolar, between the premolar and the molar and between the mol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lingual or buccal surface of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본 고안에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는 전면결합면과 후면결합면을 가진 돌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상기 후면결합면(25,29)은 중간 부분에서 굴절되어 형성되며, 굴절각(θ)은 100°내지 170°이고,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과 평행하게 중간 부분에서 동일한 각도로 굴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formed in a protrusion having a front coupling surface and a rear coupling surface, and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intermediate portions. Is formed to be refracted at, and the angle of refraction θ is between 100 ° and 170 °, and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of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parallel to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ormed to be refracted at the same angle.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돌기부(16)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6 of the upper suppor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one.

본 고안에서 상부지지체(10)의 상기 돌기부(16)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측절치와 견치 사이 및 중절치와 견치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협면(3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16 of the upper support 10 are at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ddle incisor, a side incisor, a canine, a middle incisor and a side incisor, between a side incisor and a middle incisor and a middle incisor and a can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본 고안에서 상기 돌기부(16)의 상기 경사면(17)은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측절치와 견치 사이 및 중절치와 견치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치열의 설면(41)의 형상을 따라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is one of the tongue surface 41 of one or more low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ddle incisor, side incisor, canine, middle incisor and side incisor, between side incisor and canine and between middle incisor and canine.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according to the shape.

본 고안에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is formed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it characterized in that by adjusting the screw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tient. .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구강내 장치(1)는 상기 지지체들(10,20)을 착용하게 되면, 하악(40)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한층 넓어지게 하고, 넓어진 기도에 의해 수면 중 호흡을 위하여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회피하면서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이 진동되는 것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intraoral device 1 is worn on the supports 10 and 20, the mandible 40 is advanced forward, thereby allowing air between the soft palate and the neck, tongue root, and tonsils connected thereto. Widen the airway through it, and the air inhaled for breathing by the airway passes freely while avoiding the parts such as the neck, tongue root, tonsil, etc. It is completely blocked in advance.

환자가 본 고안의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20)를 착용하게 되면, 하부지지체(20)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스크류, 이동형 하부 플랜지(27)가 상부지지체의 결합홈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20)의 위치 관계에 따라 하악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When the patient wears the upper support 10 and the lower suppo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the movable lower flange 27 protruding from the lower support 20 is the coupling groove of the upper support The lower mandible is advanced forwar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supporter 10 and the lower supporter 20 while being coupled to.

하악이 앞으로 전진하여 기도를 확보하게 되는 원리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의 후면결합면(29)만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후면결합면(15)과 결합하게 되며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의 전면결합면(24)과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전면결합면(14)은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이동형 플랜지의 전면결합면(28)과 고정형 플랜지의 후면 결합면(25)사이에는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 만큼의 내부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The principle in which the mandible moves forward to secure prayer is as follows. Only the rear coupling surface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7 is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surface 15 of the upper support 10 and the front coupling surface 24 and the upper support of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front engaging surface 14 of (10) does not directly engage, but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engaging surface 28 of the movable flange and the rear engaging surface 25 of the fixed flange as shown in FIG. There is an internal space as much as ↔).

이러한 내부 공간은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스크류에 위해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악이 상악에 비해 후방으로 빠져 있는 환자라면 환자의 필요에 따라 기도를 좀 더 넓게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는 상기 스크류를 조절하여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 고정형 하부플랜지(27)와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사이에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 만큼의 내부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내부 공간만큼 하악이 앞으로 밀리게 되면서 기도가 좀 더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This internal space can be adjusted in size for the screw connecting the fixed bottom flange and the movable bottom flange. In other words, if the mandible is posterior to the upper jaw, the patient needs to expand the airway more wid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tient.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screw,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6 (b) between the flange 27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3, an inner space as shown by the arrow ↔ is generated and the lower jaw is pushed forward as much as the generated inner space. Can be extended more effectively.

상기 윗니수용홈부(12)와 아랫니수용홈부(22)는 상기 상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윗니 또는 아랫니에 끼어질 때, 착용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에 지지될 수 있도록 윗니 또는 아랫니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2 and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22 are formed i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respectively, when the upper teeth or the lower teeth,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of the wearer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한편, 윗니수용홈부(12)와 아랫니수용홈부(22)는 윗니 또는 아랫니의 어느 하나에 맞춰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윗니들 또는 아랫니들을 한꺼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 모든 윗니들과 아랫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20)에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portion 12 and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22 is formed to be fixed to fit any one of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or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fit a plurality of upper teeth or lower teeth at once. . 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10 and lower supports 2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all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27)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referably one individual.

상기 하부플랜지들(23,27) 및 상기 스크류(26)들은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또는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하부치열의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flanges 23 and 27 and the screws 26 are located on the lingual or buccal surface of one or more low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teeth, between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between molar teeth. Preferably,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and molar or between the mola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buccal side of the lower teeth.

또한,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결합홈부(13)도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한 개의 결합홈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부(13)는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또는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상부치열의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3 of the upper support 10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on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e coupling groove (13). The coupling groove 13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ingual or buccal side of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between premolar and molar and between molar.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ween the molar or between the mola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upper teeth.

상기 구강내 장치(1)는 사람의 치아의 형상에 따라 그 치아의 형상에 맞도록 맞춤식으로 마우스 가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어 미세한 치아구조와 상기 구강내 장치의 형상이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체(10), 상기 윗니수용부 및 상기 윗니 수용홈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하고 있고, 상기 결합홈부(13), 상기 하부지지체(20), 상기 아랫니 수용홈부(22)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하고 있어 제작이 용이하며 별도의 복잡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intraoral device 1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th guar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ooth according to the shape of a person's teeth,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shape and size of the fine tooth structure and the intraoral device It can eliminate a box, and it is excellent in a feeling of wearing.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10,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2 has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the coupling groove 13, the lower support 20,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22 And since the movable lower flange 23 has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oes not have a separate complicated additional means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는 전면결합면과 후면결합면을 가진 돌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상기 후면결합면(25,29)은 중간 부분에서 후면 방향으로 한번 굴절되어 형성된다. 이때의 굴절각(θ)은 100°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is formed in a projection having a front coupling surface and the rear coupling surface,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in the middle portion It is formed by refraction once in the 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angle of refraction θ is characterized in that 100 ° to 170 °, preferably 120 ° to 160 °, more preferably 130 ° to 150 °.

또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7)의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과 평행하게 굴절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결합면(25,29)의 각도에 따라 상기 전면결합면(24,28)의 각도도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이 상기 각도로 굴절되면 상기 하부지지체(20)를 하악(40)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을 하악(40)의 전진 방향으로 당겨주기 쉬운 구조가 되며, 직선으로 형성된 경우보다 한번 굴절된 형상이 인체공학적으로 하부지지체 및 상부지지체의 탈착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기도를 보다 넓게 확장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3 and the fixed lower flange 27 are refracted in parallel with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Therefore, the angles of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also vary according to the angles of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are fitted with the lower support 20 to the mandible 40 when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are refracted at the angle, and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are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pull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ndible 40, and once the shape is refracted,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are more easily detached than the case formed in a straight line. . In addition, the airway can be expanded more widely, thereby effectively alleviating and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돌기부(16)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 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돌기부(1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16)가 두 개로 이루어져 있을 때는, 상기 돌기부(16)가 한 개로 이루어져 있을 때보다 돌기부(16)의 경사면(17)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간 아랫니와 이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하악(40) 및 설근부가 다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protrusions 16 of the upper suppor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referably two protrusions (16). When the protrusions 16 are composed of two pieces, the lower teeth sliding for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s 16 and the mandible moved forward by the lower part than when the protrusions 16 are made of one ( 40) and the proximal muscle part can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being pushed rearward.

상기 돌기부(16)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측절치와 견치 사이 및 중절치와 견치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협면(3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측절치 또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선택되는 상기 상부치열의 협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16)의 상기 경사면(17)은 하부치열의 설면(41)의 형상을 따라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제작되어 윗니 부분에 상기 상부지지체(10)를 착용할 경우 상기 돌기부(16)가 상기 하부치열의 설면(41)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된 하악(40) 및 설근부가 다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기도로 통하는 구강내의 공기통로를 넓게 확장할 수 있고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다.The projections 16 ar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buccal surface 31 of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d incidence, side incisor, canine, middle incisor and side incisor, between side incisor and canine and between middle incisor and can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buccal surface of the upper dentition selected between the lateral incisal or middle incisor and the lateral incisor.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is formed in a gentle curved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tongue surface 41 of the lower teeth, the protrusion 16 when wearing the upper support 10 in the upper teeth portion. Is located on the tongue 41 of the lower teeth. Therefore, the mandible 40 and the proximal muscles moved forward can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wards, so that the air passages in the oral cavity leading to the airway can be broadly expanded, and the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s can be more effectively alleviated and It can prevent.

본 고안의 상기 구강내 장치는 상악과 하악의 전후좌우 이동을 허용하여 구강내 장치를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제작하였고 착용자가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착용자의 치아의 형상에 맞게 일체로 제작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 수 있다. The intraor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allow the mouth and front and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jaw to make the oral device excellent in fit and to make the wearer more easily adaptable.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to fit the shape of the wearer's teet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또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및 고정형 하부플랜지(27)의 상기 전면결합면(24,28) 및 후면결합면(25,29)이 굴절되어 이루는 굴절각(θ)이 100° 내지 170°로 상기 하부지지체(20)를 하악(40)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전면결합면(24,28), 후면결합면(25, 29)을 하악(40)의 전진방향으로 당겨주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어 탈착이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refraction angle θ formed by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and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3 and the fixed lower flange 27 is in a range of 100 ° to 170 °. The lower support 20 is fitted to the mandible 40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coupling surface (24, 28), the rear coupling surface (25, 29)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pull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ndible 40 is removable This is easy.

또한, 본 고안의 구강내 장치에서는 스크류를 조절하여 고정형 하부플랜지와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맞춰 기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다 넓게 확장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traor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screw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to expand the airway more stably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o effectively alleviate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It can prevent.

또한, 상기 윗니 수용홈부(11)에 연장된 돌기부(16)에 의해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기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다 넓게 확장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to be stably fixed by the protrusions 16 extending in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1, the airway is more stably extended and more effectively alleviates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It can prevent.

이하 본 고안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intraoral device 1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강내 장치가 착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구강내 장치를 착용한 후 입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부지지체를 전방으로 당김에 따라 고정형 하부플랜지를 제외한 하부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raoral device of Figure 3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needles of the wearer, Figure 5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mouth is open after wearing the intraoral device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is moved forward as the lower support is pulled forward, except the fixed lower flange.

본 고안의 실시예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의 하부지지체(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아랫니 수용부(21)와, 상기 아랫니 수용부(21)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면결합면(24)과 후면결합면(25)을 갖는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와 상기 스크류(26)에 의해 연결된 이동형 하부플랜지(27)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이에 의해 연결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는 한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대구치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20)에 대하여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치열의 협측면에 위치되도록 제작되었다. 상기 아랫니 수용부(21)는 착용자의 아랫니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아랫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아랫니 수용홈부(22,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니 수용홈부(22)는 상기 아랫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support 20 of the intraoral device 1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21 and a lower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21 as shown in FIG. 3. A fixed lower flange 23, a screw 26, and a movable lower flange 23 and a movable type connected by the screw 26, which are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side and have a front coupling surface 24 and a rear coupling surface 25; It consists of a lower flange (27).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connected thereto are composed of one and the lower support 20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20 so that they are located between the molar tooth The movable lower flange 23 extends upward and is manufactured to be located on the narrow side of the lower teeth. The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21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lower teeth of the wearer,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portion 22 (not shown)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is formed,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22 receives all of the lower teeth It is formed to be possible.

상기 상부지지체(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 수용부(11), 상기 하부지지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아랫니의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와 상기 스크류(26)에 의해 연결된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가 수용되는 결합홈부(13) 및 상기 윗니 수용부의 전면부에서 하부로 형성된 돌기부(16)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the upper support 10 includes an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11, a fixed lower flange 23 of the lower teeth protruding from the lower support, the screw 26, and the fixed lower flange 23. And a coupling groove 13 in which the movable lower flange 27 connected by the screw 26 is accommodated, and a protrusion 16 formed down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부(13)는 한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이에 의해 연결된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7)가 삽입되도록 결합홈부(13)는 대구치들 사이에서 상부치열의 협측면에 위치하도록 제작되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13 is composed of one, so that the movable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fixed lower flange 27 connected by the lower support 20 is inserted. Coupling groove 13 is made to be located in the buccal side of the upper teeth between the molar.

상기 윗니 수용부(11)는 착용자의 윗니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이는 도 3과 같이 윗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윗니수용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니 수용홈부(12)는 상기 윗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11 is a portion fitted to the upper teeth of the wearer, which is formed with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2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upper teeth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12 is the upper teeth All are formed to accommodat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는 전면 결합면(24, 28)과 후면 결합면(25,29)을 갖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의 전면결합면(24,28)은 중간 부분에서 후면 방향으로 한번 굴절되어 형성된다. 이때 굴절각(θ)은 100°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결합면(25, 29)는 상기 전면 결합면(24, 28)과 동일한 각도로 평행하게 굴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도는 상기 하부지지체(20)를 하악(40)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을 하악(40)의 전진 방향으로 당겨주기 쉽게 하며 본 지지체들(10,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스크류(26) 및 이에 의해 연결된 이동형 하부플랜지(27)가 상기 결합홈부(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체(20)에 지지된 아랫니와 하악(40)들이 아랫니가 위치하는 위치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lower flange 23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ar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having front engaging surfaces 24 and 28 and rear engaging surfaces 25 and 29, and the fixed lower flanges. 23 and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7 are formed to be refracted once in the rearward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In this case, the refraction angle θ is preferably 100 ° to 170 °.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are refracted in parallel at the same angle as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The angle is fitted to the lower support 20 to the lower 40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coupling surface (24,28) is easy to pull the rear coupling surface (25,29)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lower 40 It facilitates the detachment of the present supports (10, 20). Accordingly, as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connected thereto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 the lower teeth and the lower teeth 40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20. ) To protrude forward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teeth.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의 후면결합면(29)만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후면결합면(15)과 결합하게 되며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의 전면결합면(24)과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전면결합면(14)은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으며, 상기 고정형 플랜지(23)의 후면 결합면(25)과 이동형 플랜지(27)의 전면 결합면(28)사이에는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 만큼의 내부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공간은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스크류에 위해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악이 상악에 비해 후방으로 빠져 있는 환자라면 환자의 필요에 따라 기도를 좀 더 넓게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는 상기 스크류를 조절하여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 고정형 하부플랜지(27)와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사이에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 만큼의 내부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내부 공간만큼 하악이 앞으로 밀리게 되면서 기도가 좀 더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Only the rear coupling surface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7 is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surface 15 of the upper support 10 and the front coupling surface 24 and the upper support of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front engaging surface 14 of (10) is not directly coupled, and between the rear engaging surface 25 of the fixed flange 23 and the front engaging surface 28 of the movable flange 27, Fig. 6 (a). As shown in FIG. 3, there are internal spaces as much as the arrows ↔. This internal space can be adjusted in size for the screw connecting the fixed bottom flange and the movable bottom flange. In other words, if the mandible is posterior to the upper jaw, the patient needs to expand the airway more wid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tient.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screw,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6 (b) between the flange 27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3, an inner space as shown by the arrow ↔ is generated and the lower jaw is pushed forward as much as the generated inner space. Can be extended more effectiv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6)는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좌우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상부치열의 협면에 위치하도록 제작되었다. 상기 돌기부(16)는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지지체의 전면에 상기 윗니 수용부(1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서, 착용자가 입을 다물 경우 아랫니가 상기 돌기부(16)의 경사면(17)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이에 의해 착용자의 하악(40) 및 설근부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6)가 두 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돌기부(16)의 경사면(17)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간 아랫니와 이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하악(40) 및 설근부가 다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s 16 are composed of two, respectively, were manufactured to be located on the narrow surface of the upper tee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middle incisor and side incisor.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16 extends downwardly of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11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pporter,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ide thereof. It slides for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thereby moving the wearer's lower mandible 40 and tongue muscles forward. In addition, the protrusion 16 is composed of two lower teeth that slide for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and thereby the lower mandrel 40 and the lingual muscle moved forward by the push back again It is prevented reliably.

구체적으로는 아랫니가 윗니보다 약간 후방으로 빼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일반적인 착용자의 경우에도 상기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아랫니를 많이 뺄 필요가 없는 착용자의 경우에는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로만 상기 아랫니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아랫니가 상기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아랫니의 위치가 윗니보다 상당히 후방에 놓여져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아랫니를 전방으로 이동시켜도 윗니보다 돌출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본 고안은 이 경우에도 상기 상부지지체(10)의 돌기부(16)의 경사면(17)이 하부치열의 설면(41)의 형상을 따라 제작되어 상기 돌기부(16)가 자연스레 아랫니의 설면에 위치하게 되어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아랫니가 윗니와 같은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평소에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랫니가 윗니에 비하여 종래보다 더욱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lower teeth may be protruded forward than the upper teeth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wearer who keeps the lower teeth slightly behind the upper teeth, and in the case of the wearer who does not need to remove the lower teeth much forward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lower teeth only to the extent that the and lower teeth face each other, and the lower teeth may protrude forward than the upper teeth. In the case of a user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ower teeth is substantially rear than the upper tee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wer teeth often protrude from the upper teeth even when the front teeth are moved forward.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is made along the shape of the tongue 41 of the lower teeth so that the protrusion 16 is naturally located on the tongue of the lower teeth so that the lower teeth are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teeth or the lower teeth I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teeth. In the case of the user whose lower teeth are projected forward than the upper teeth, the lower teeth are more protruding than the upper teeth.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윗니와 아랫니 모두 구강내 장치(1)에 의하여 상하좌우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구강내 장치(1)를 사용하는 것이 편안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치(1)는 전후좌우 이동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위치로 아랫니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장시간 수면시에 윗니 또는 아랫니가 고정되어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한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both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fixed so as not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by the intraoral device 1, so that it is not comfortable to use the intraoral device 1 for a long time. On the contrary, the intraoral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ve the lower teeth to a position where the user feels comfortable by allow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vements. Accordingly, the inconvenience caused by fixing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during sleep for a long time is minimized.

또한 상기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20)는 치아의 형상에 맞도록 맞춤식으로 마우스 가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어 미세한 치아구조와 상기 지지체(10,20)와의 형상이나 사이즈 차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며 장시간 착용되어도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윗니 수용부(11) 및 상기 돌기부(16)와 상기 아랫니 수용부(21)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하고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16)의 경사면(17)이 하부치열의 설면(41)의 형상을 따라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제작되어 윗니 부분에 상기 상부지지체(10)를 착용할 경우 상기 돌기부(16)가 상기 하부치열의 설면(41)에 자연스레 위치하게 되고 상기 윗니 수용부(11)에 연장된 돌기부(16)에 의해 기도를 보다 넓게 확장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10 and the lower support 20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th guard to fit the shape of the teeth to be fine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difference between the fine structure and the support (10,20) Discomfort can be eliminated, there is an excellent fit and there is no discomfort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protrusion 16, the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21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3 is formed integrally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In addition, when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is made in a gentle curved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tongue 41 of the lower teeth, the protrusion 16 is worn when the upper support 10 is worn on the upper teeth. It is naturally located on the tongue 41 of the lower dentition and by the protrusions 16 extending to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11, the airways can be further extended to effectively alleviate and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착용자에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of FIG. 1 is installed to the wearer.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구강내 장치가 착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raoral device of Figure 3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wearer.

도 5는 도 3의 구강내 장치를 착용한 후 입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mouth is open after wearing the intraoral device of FIG.

도 6은 하부지지체를 전방으로 당김에 따라 고정형 하부플랜지를 제외한 하부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is moved forward as the lower support is pulled forward, except the fixed lower flang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 intraoral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10: 상부지지체10: upper support

11: 윗니 수용부11: upper teeth

12: 수용홈부12: receiving groove

13: 결합홈부13: coupling groove

14: 전면결합면14: front mating surface

15: 후면결합면15: Back mating surface

16: 돌기부16: protrusion

17: 경사면17: slope

20: 하부지지체20: lower support

21: 아랫니 수용부21: lower teeth

22: 수용홈부22: receiving groove

23: 고정형 하부플랜지23: fixed bottom flange

24: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전면결합면24: front coupling surface of fixed lower flange

25: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후면결합면25: back coupling surface of fixed lower flange

26: 스크류26: screw

27: 이동형 하부플랜지27: movable lower flange

28: 이동형 하부플랜지의 전면결합면28: front coupling surface of the movable lower flange

29: 이동형 하부플랜지의 후면결합면29: rear coupling surface of the movable lower flange

θ: 전면, 후면결합면(24,25,28,29)이 이루는 각 θ: angle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coupling surfaces 24, 25, 28 and 29

30: 상악30: maxilla

31: 상부치열의 협면31: Narrowing of upper teeth

40: 하악40: mandible

41: 하부치열의 설면 41: Lower tongue

Claims (9)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에 있어서, In the oral device which prevents snoring and sleep apnea, 상기 구강내 장치는 i)하부 지지체와 ii)상부 지지체로 구성되며, The intraoral device consists of i) a lower support and ii) an upper support, 상기 i)하부 지지체는 적어도 아랫니의 형상에 따라 아랫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아랫니수용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상부로 연장 돌출 되어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형 하부 플랜지;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에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스크류를 통해 연결된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I) the lower support includes a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ccording to at least the shape of the lower teeth; A fixed lower flange extending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to form a protrusion; A screw connected to the fixed bottom flange and a movable bottom flange connected through the fixed bottom flange and the screw, 상기 ii)상부 지지체는 적어도 윗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윗니수용부; 상기 아랫니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를 수용하는 결합홈부; 및 상기 상부 지지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윗니 수용부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Ii) the upper support includes a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teeth; Coupl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teeth; And it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upper support and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 slo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and inclined downward inward,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는 전면결합면과 후면결합면을 가진 돌기형으로 형성되며,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is formed in a protrusion having a front coupling surface and a rear coupling surface,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상기 후면결합면(25,29)은 중간 부분에서 후면방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되며, 굴절각(θ)은 100°내지 170°이고,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of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refrac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the refractive angle θ is 100 ° to 170 °.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의 상기 전면결합면(24,28)은 상기 후면결합면(25,29)과 평행하게 중간 부분에서 동일한 각도로 굴절되어 형성되고, The front coupling surfaces 24 and 28 of the movable lower flange and the fixed lower flange are refracted at the same angle in the middl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rear coupling surfaces 25 and 29, 상기 스크류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형 하부 플랜지와 상기 이동형 하부 플랜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Intraoral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characterized in that by adjusting the screw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ower flange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ti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지지체의 윗니수용부는 윗니수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윗니수용홈부는 상기 윗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The upper teeth receiving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includes an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and the upper teeth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all of the upper teeth. 상기 하부지지체의 아랫니수용부는 아랫니수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랫니수용홈부는 상기 아랫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The lower teeth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includes a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portion, the lower teeth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oral cavity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accommodate all the lower tee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7)를 수용하는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결합홈부(13)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The coupling groove 13 of the upper support 10 for receiving the fixed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movable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al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지지체(20)의 상기 이동형 하부플랜지(23), 상기 스크류(26) 및 상기 고정형 하부플랜지(27)는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The movable lower flange 23, the screw 26 and the fixed lower flange 27 of the lower support 20 ar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teeth,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molar tee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ingual or buccal side of the lower teeth,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결합홈부(13)는 소구치들 사이, 소구치들과 대구치들 사이 및 대구치들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The coupling groove 13 of the upper suppor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ingual or buccal surface of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molar, between premolar and molar and between the molar. Intraoral devic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돌기부(16)는 한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protrusions 16 of the upper support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지지체(10)의 상기 돌기부(16)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측절치와 견치 사이 및 중절치와 견치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치열의 협면(3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The protruding portion 16 of the upper support 10 is located on the buccal surface 31 of one or more upp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ddle incisor, side incisor, canine, between middle incisor and side incisor, between side incisor and canine and between middle incisor and canine. Intraoral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기부(16)의 상기 경사면(17)은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측절치와 견치 사이 및 중절치와 견치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치열의 설면(41)의 형상을 따라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1).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protrusion 16 is along the shape of the tongue surface 41 of one or more lower teet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ddle incisor, side incisor, canine, between middle incisor and side incisor, between side incisor and canine and between middle incisor and canine. Oral device (1)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삭제delete
KR2020090016354U 2009-12-15 2009-12-15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KR2004617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354U KR200461738Y1 (en) 2009-12-15 2009-12-15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354U KR200461738Y1 (en) 2009-12-15 2009-12-15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63U KR20110006263U (en) 2011-06-22
KR200461738Y1 true KR200461738Y1 (en) 2012-08-03

Family

ID=4713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354U KR200461738Y1 (en) 2009-12-15 2009-12-15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3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583B1 (en) * 2012-04-02 2014-02-13 김남구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KR101505773B1 (en) * 2014-03-13 2015-03-26 김해바다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1654279B1 (en) *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2017990B1 (en) 2018-04-20 2019-09-03 김동환 Ji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
KR102011599B1 (en) 2018-04-20 2019-08-16 김동환 Ji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
CA3122991C (en) * 2018-12-11 2022-10-11 Gary B. Wiele An assembly for treatment providing non-invasive controlled positioning and movement of a patient's jaw
KR20220089955A (en)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Anti-snoring apparatus
KR20220089956A (en)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Anti-snoring apparatus with pront extruding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218A (en) * 2003-09-22 2005-04-14 Hiroo Kotani Treatment device for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0787188B1 (en) * 2006-11-17 2007-12-21 이승규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218A (en) * 2003-09-22 2005-04-14 Hiroo Kotani Treatment device for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0787188B1 (en) * 2006-11-17 2007-12-21 이승규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63U (en)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119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9545331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0461738Y1 (en)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JP6899380B2 (en) Oral appliances
US20120227750A1 (en) Dent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7730891B2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DE602014004435C5 (en) Improved device for reducing the lower jaw
US9254219B2 (e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US20070079833A1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including snoring, obstructive sleep apne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method for delivering the same
US20140020691A1 (en) 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medical condition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noring and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 method of optimizing same
KR101361583B1 (en)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US20080190437A1 (en) Dental Orthosis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EP0794749B1 (en) A jaw position-regulating 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US20200323677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439343Y1 (en)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KR101996181B1 (en)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20090090969A (en) Snoring and Bruxism Prevention Mechanisms
KR101273449B1 (en) Nasal breath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25907B1 (en) Linear variable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Goyal et al. Dental consideration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A review
Walerzak et al. Diagnostic algorithm used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a positive ENT history of breathing disorders during sleep
Faiz Ansari et al. Obstructive Sleep Apnea And Its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Gupta et al. Obstructive sleep apnea and edentulism–role of complete dentures/oral appliance from prosthodontics perspective: a review
Mulligan Obstructive sleep apnoea: a dental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