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63Y1 - 목도리 - Google Patents

목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63Y1
KR200461363Y1 KR2020100001718U KR20100001718U KR200461363Y1 KR 200461363 Y1 KR200461363 Y1 KR 200461363Y1 KR 2020100001718 U KR2020100001718 U KR 2020100001718U KR 20100001718 U KR20100001718 U KR 20100001718U KR 200461363 Y1 KR200461363 Y1 KR 200461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wl
tightening
neck
present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269U (ko
Inventor
김수애
Original Assignee
김수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애 filed Critical 김수애
Priority to KR2020100001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6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목도리의 고유 기능인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와 조화되는 시각적인 만족감을 부여하여 착용의 용이성, 보온성의 향상, 그리고 세련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목의 보온을 위해 감싸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도리의 목이 감싸지는 내측면 좌우측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부에는 조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도리{Muffler}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목도리의 고유 기능인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와 조화되는 시각적인 만족감을 부여하여 착용의 용이성, 보온성의 향상, 그리고 세련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도리는 동절기에 노출되기 쉬운 목부위의 체온유지와, 옷의 맵시 연출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목을 감싸기에 충분한 길이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목도리는 그 주요 기능이 보온성에 일차로 주어지는 관계로 잠온성의 기능을 갖으며, 부드럽고 따뜻한 촉감의 털실 종류로 직조되거나 뜨게 방식으로 제공되며, 주로 겉옷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목을 감싸줌이 보편적인 사용예인 것이다.
평상복 차림에 목도리를 겹겹이 목에 두르는 경우에는 착용에 별다른 문제는 없다고 할 것이지만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에 어울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장과의 바람직한 조화를 위하여 겹겹이 목에 두르는 것은 정장 외부로 너무 돌출되어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목도리를 겹겹이 두르지 않고 목에 걸치고만 있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목도리가 몸이나 목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바람에 날려 떨어지거나 겉옷 밖으로 흘러 내려 행동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목도리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도리에 있어서 내측면의 체결수단 및 외측면의 조임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목도리의 고유 기능인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와 조화되는 시각적인 만족감을 부여하여 착용의 용이성, 보온성의 향상, 그리고 세련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목도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목의 보온을 위해 감싸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도리의 목이 감싸지는 내측면 좌우측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부에는 조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상기 체결수단이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 버튼 또는 벨크로 테이프와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상기 조임수단이 조임끈과 조임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상기 목도리의 공간부에는 보온재가 내재되어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상기 벨크로 테이프의 상측으로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에 의하면, 내측면에 체결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 형성된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조임으로써 목도리의 고유 기능인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와 조화되는 시각적인 만족감을 부여하여 착용의 용이성, 보온성의 향상, 그리고 세련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내측면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외측면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내측면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외측면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목의 보온을 위해 감싸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100)는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도리의 내측면 좌우측에는 한 쌍의 체결수단(10)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부에는 조임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목도리를 착용하기 위하여 목에 걸친 후 목에 겹겹이 두르거나 목에 걸친 후 양측을 묶을 필요없이 상기 체결수단(10)을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착용하여 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목에 착용한 상태가 느슨하여 바람이 목으로 불어 들어오거나 강풍으로 목이나 몸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어 보온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수단(20)을 이용하여 손쉽게 조임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0)은 벨크로 테이프(101) 또는 스냅 버튼(102) 또는 벨크로 테이프(101)와 스냅버튼(10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체결수단(10)은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로 하여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의 암, 수(101', 101")를 상기 목도리(100)의 내측면 좌우측에 각각 부착하거나 스냅 버튼(102)로 하여 상기 스냅 버튼(102)의 암, 수(102', 102")를 상기 목도리(100)의 내측면 좌우측에 각각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와 상기 스냅 버튼(102)로 상하로 배치하여 상기 체결수단(10)으로서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 또는 상기 스냅 버튼(102)을 체결함으로써 목도리를 착용하기 위하여 목에 걸친 후 목에 겹겹이 두르거나 목에 걸친 후 양측을 묶을 필요없이 간단하게 목에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착용함으로써 특히, 정장 차림의 옷맵시와 조화되는 시각적인 만족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수단(20)은 조임끈(201)과 조임홀더(2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조임수단(20)은 상기 목도리(100)를 착용시 목 뒤에 위치하고 상기 조임홀더(202)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임끈(201)을 당겨서 상기 목도리(100)가 목에 보다 밀착되게 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게 할 수 있고 반대로 조작하여 느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1)은 상기 목도리(100)의 내부에 양단이 봉제되어 고정되고 상기 목도리의 외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두 개의 노출공(203)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조임홀더(202)의 두 개의 홀더공(204)에 결합되며, 상기 조임홀더(202)는 조임홀더본체(205)와 상기 조임홀더본체(205)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조임부(206)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홀더본체(205)는 상기 조임홀더본체(205)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두 개의 상기 홀더공(204)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206)에도 두 개의 조임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206)의 하부에는 탄성적으로 상기 조임부(206)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도 2에서 부분확대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목도리(100)의 공간부에는 보온재(30)가 내재되어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보온재(30)는 모피, 오리털, 토끼털, 밍크, 솜 등 중의 하나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목도리(100)가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내부면에 안감(301)으로 봉제함으로써 내재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온재(30)에 의하여 보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의 상측으로 덮개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덮개부(40)는 상단부만 상기 목도리(100)에 봉제되어 상하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목도리(100)의 재질 및 색상과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여 상기 목도리(100)와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 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체결수단
101. 벨크로 테이프 101', 101". 벨크로 테이프 암수
102. 스냅 버튼 102', 102". 스냅 버튼 암수
20. 조임수단
201. 조임끈 202. 조임홀더
203. 노출공 204. 홀더공
205. 조임홀더본체 206. 조임부
30. 보온재
301. 안감
40. 덮개부
100. 목도리

Claims (5)

  1. 목의 보온을 위해 감싸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100)는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도리의 내측면 좌우측에는 한 쌍의 체결수단(10)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부에는 조임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0)은 벨크로 테이프(101) 또는 스냅 버튼(102) 또는 벨크로 테이프(101)와 스냅버튼(10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20)은 조임끈(201)과 조임홀더(2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100)의 공간부에는 보온재(30)가 내재되어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101)의 상측으로 덮개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KR2020100001718U 2010-02-18 2010-02-18 목도리 KR200461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18U KR200461363Y1 (ko) 2010-02-18 2010-02-18 목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18U KR200461363Y1 (ko) 2010-02-18 2010-02-18 목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69U KR20110008269U (ko) 2011-08-24
KR200461363Y1 true KR200461363Y1 (ko) 2012-07-09

Family

ID=4559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18U KR200461363Y1 (ko) 2010-02-18 2010-02-18 목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68U (ko) 2018-01-25 2019-08-02 오충근 머플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01Y1 (ko) 2005-08-24 2005-11-17 김옥지 스카프
KR200408743Y1 (ko) 2005-11-22 2006-02-13 차현덕 발열 목도리
JP2009101115A (ja) 2007-10-24 2009-05-14 Eizo Hirota 採暖型の防寒首巻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01Y1 (ko) 2005-08-24 2005-11-17 김옥지 스카프
KR200408743Y1 (ko) 2005-11-22 2006-02-13 차현덕 발열 목도리
JP2009101115A (ja) 2007-10-24 2009-05-14 Eizo Hirota 採暖型の防寒首巻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68U (ko) 2018-01-25 2019-08-02 오충근 머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69U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12B2 (en) Hat and face mask with ear warmer
US20140096305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US8769723B1 (en) Hat with ear warmer
JP4744566B2 (ja) 首部覆いを兼ねる帽子
KR100983541B1 (ko) 양측 주머니가 체결 및 분리가능한 보온주머니를 갖는 상의
US20140317824A1 (en) Rella
US20070055207A1 (en) Garments
US20110055999A1 (en)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KR200461363Y1 (ko) 목도리
KR100879182B1 (ko) 털의 탈부착이 가능한 의류용 후드
TW202045050A (zh) 外衣
KR20130006613U (ko) 후드 의류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200485385Y1 (ko) 착용이 용이한 모피목도리
KR200463694Y1 (ko) 보온포켓이 구비된 머플러
KR101006842B1 (ko) 정장 자켓용 방한소매
KR100885364B1 (ko) 의류용 후드
JP3139644U (ja) スカーフマスクカバー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KR200167599Y1 (ko) 방한의류
KR200461228Y1 (ko)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
KR200478876Y1 (ko) 발열부를 구비한 넥 워머
CN210747354U (zh) 一种能够进行长度调节的老年人棉服
JP2013106544A (ja) ペットの夏用衣類
JP3116291U (ja) 首巻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