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999Y1 -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999Y1
KR200460999Y1 KR2020090015660U KR20090015660U KR200460999Y1 KR 200460999 Y1 KR200460999 Y1 KR 200460999Y1 KR 2020090015660 U KR2020090015660 U KR 2020090015660U KR 20090015660 U KR20090015660 U KR 20090015660U KR 200460999 Y1 KR200460999 Y1 KR 200460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rtical block
horizontal block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717U (en
Inventor
김낙권
Original Assignee
김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권 filed Critical 김낙권
Priority to KR2020090015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99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5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1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9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ssembled with a roasting table, the assembled roasting table can be installed on a brazier to not only bake various foods but also reassemble it as a general table if necessary. And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that allows for stable installation and support.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은, 제1 가로블럭과,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spaced from the first horizontal block, the first facing each other A first vertical block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vertical block disposed side by side, a cover assemb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facing each other, and a table leg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야외, 조립, 구이, 테이블, 화덕 Outdoor, assembly, roasting, table, firepit

Description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본 고안은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nd in particular, when assembled with a roasting table, the assembled roasting table can be installed on a brazier to bake various foods and reassemble into a general table as necessary. It also relates to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that enables stable installation and support.

일반적으로 구이용 테이블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상판(1)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2)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너나 화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구이용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상판의 중앙에는 버너나 화로가 삽설되는 가열홈(1a)을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table for roasting is composed of a square top plate 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leg 2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as shown in FIG. 1, by using a burner or a brazier (not shown).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for cooking roasting is provided with a heating groove (1a) in which a burner or a brazier is inser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이용 테이블은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캠핑 카(camping car)나 그외 각종 이송수단에 싣고 야외로 나가 캠핑을 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oasting tabl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camping on the camping car (caring car) or other various transport mean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또한, 그 용도가 구이용 테이블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테이블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립식 혹은 비조립식의 일반적인 테이블을 별도로 더 구비하고, 캠핑시마다 상기 구이용 테이블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use is limited to a table for roasting, when a general tabl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table, which is prefabricated or non-assembled,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carried along with the table for roasting each time.

또한, 구이용 테이블의 하면에 구비된 테이블 다리(2)는 모두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이나 경사가 많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구이용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table legs 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asting table are all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asting table cannot be stably supported when used outdoors with a lot of bending and inclination. .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roasting table to install the assembled roasting table on the brazier can not only burn various foods, but also can be reassembled as a general table, if necessary, In addi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that enables a stable installation and support.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은 제1 가로블럭과;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block; A second horizontal block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rizontal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vertical block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A second vertical block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vertical block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vertical bloc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ver assemb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facing each other; And table leg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각각 제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제2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in two places spaced from each other, the first vertical block of th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s are protruded from one side and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2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two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inse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It is preferable that 2 insertion holes are form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is protruded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is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upport plate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protrudes from one side low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block.

또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1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암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2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수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irst female coupling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the first female coupling portions on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First male coupling parts are provided, and second male coupling parts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are respectively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female coupling part to which the 1st male coupling part is fastened is provided.

또한, 서로 체결되는 상기 암결합부와 수결합부 한 쌍은 매미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female coupling parts and the male coupling parts fastened to each other is a cicada ring.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과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 단턱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 및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 에 지지 단턱 위에 올려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upport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cover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assembled on the support step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step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또한, 상기 제1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어,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able legs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the table legs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is the out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By assembl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ble legs assembled to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orm a trapezoidal shap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의하면, 1구이 테이블로 조립한 경우에는 화로 위에 그 조립된 구이 테이블을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을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테이블로도 재조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ssembling with a single roasting table, the assembled roasting table can be installed on a brazier to not only bake various foods but also reassemble it as a general table as necessary. To be able. Therefore, not only increase the utilization, but also facilitate transportation.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의하면 사다리꼴로 배치된 테이블 다리에 의해 굴곡이나 경사진 야외에서도 구이 테이블의 안정적인 설치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table installation and support of the roasting table in a bent or inclined outdoor by a table leg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1 조립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2 조립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3 조립 상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table leg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hird assembly state diagram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지지부 역할을 하는 제1 가로블럭(110)과, 역시 지지부 역할을 하며 제1 가로블럭(110)과 나란히 배치된 제2 가로블럭(120)과,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 사이에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130)과, 상기 제1 세로블럭(130)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140)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150) 및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의 하부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at serves as a support, and also serves as a support and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e first horizontal block 120 an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disposed side by side and the cover 150 and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re assemb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facing each other; It includes a table leg 16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respectively.

따라서, 첫째 커버(150)를 제외한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과,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및 테이블 다리(160)를 사용하여 조립하면 구이용 테이블(도 3 참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둘째, 그에 더해 커버(150)를 더 포함하여 조립하면 제1의 일반 테이블(도 4 참조)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셋째,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러 및 테이블 다리(160)만을 사용하 여 재조립하면 제2의 일반적인 테이블(도 6 참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and the table leg 160 except for the first cover 150 When used and assembled, it can be used as a baking table (refer FIG. 3). Secondly, the cover 150 may be further included to assemble the first general table (see FIG. 4). Third, reassembly using only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e second horizontal block and the table leg 160 makes it possible to use it as a second general table (see FIG. 6).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들이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이와 같이 설치된 테이블 다리(160)는 굴곡이나 경사진 야외에서도 당해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table legs 16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and thus are generally trapezoidal in shape. To achieve this, the table legs 160 installed in this way can stably support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even in a bent or inclined outdoor.

이를 위해, 제1 가로블럭(110)은 일 예로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블럭 몸체(111)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접하는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삽입공(112)과,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결합된 제1 지지판(113) 및 제1 가로블럭(110)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암결합부(114)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is, for example, a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 where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contact each other ( The first insertion plate 112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13 and protruding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at the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111, respectively. 1 includes first arm coupling portions 114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horizontal block 110.

따라서, 난연성의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가로블럭 몸체(111)가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2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 중 1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는 제1 세로블럭(130)의 제1 삽입돌기(132)가 끼워지고, 다른 1개소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는 제2 세로블럭(140)의 제1 삽입돌기(142)가 끼워져 결합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made of a flame retardant solid material provides a supporting force,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provided at one of the first insertion holes 112 provided at two places is provide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32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s inserted,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42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provided at another place. Combined.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하면으로부터 제1 세로블럭(130) 측으로 돌출된 제1 지지판(113)위에 제1 세로블럭(130)의 일부가 올려짐으로써 상기한 제1 삽입공(112)과 함께 제1 세로블럭(13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s rais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1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towar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so that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i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can be supported.

다만, 제1 가로블럭(110)에는 제2 세로블럭(14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판(미도시)은 구비하고 있지 않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테이블로조립시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과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서로 면접촉하면서 조립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However,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is not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plat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which is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when assembled to a general table as described below One side of the)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in assembling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외측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 중 하나와 제1 세로블럭(13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가 체결됨으로써 제1 세로블럭(130)이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암결합부(114)에는 제2 세로블럭(14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가 체결됨으로써 제2 세로블럭(140) 역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s 114 provided on both out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and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re provided. By being fastene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s supported by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and the other first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The male coupling part 145 is fastened so that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s also supported by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단,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 암결합부(114)와 제1 수결합부(135, 145)로 이루어진 암수 한 쌍의 체결부재는 매미고리인 것이 사용 편리성 측면에서바람직할 것이므로, 체결부재로서 매미고리가 사용된 경우 상기 제1 암결합부(114)는 매미고리 중 후크일 것이고, 제1 수결합부(135, 145)는 매미고리 중 탄성부재 및 손잡이를 구비한 걸고리일 것이다.Howev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pair of male and female coupling members consisting of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and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and 145 may be a cicada ring,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convenience of use. When the cicada ring is used as the fastening member,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may be a hook of the cicada ring, and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and 145 may be a hook having an elastic member and a handle of the cicada ring. .

제1 가로블럭(110)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된 제2 가로블럭(120)은 일 예로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제2 가로블럭 몸체(121)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접하는 제2 가로블럭 몸체(121)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 삽입돌기(122)와, 제2 세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접하는 제2 가로블 럭(120)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결합된 제2 지지판(123) 및 제2 가로블럭(120)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2 수결합부(124)를 포함한다.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 example, a second horizontal block body 121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a second vertical block. The second insertion block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body 121 in contact with the block 14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20, respectively. The second support plate 123 protruding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and a second male coupling part 124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따라서, 제2 가로블럭 몸체(121)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 중 1개소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제1 세로블럭(130)의 제2 삽입공(133)에 끼워지고, 다른 1개소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는 제2 세로블럭(140)의 제2 삽입공(143)에 끼워져 결합된다.Therefor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provided at one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22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block body 1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33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provided at the other one position is fit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43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to be coupled thereto.

또한, 제1 가로블럭 몸체(111)의 하면으로부터 제2 세로블럭(140) 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판(123)위에 제2 세로블럭(140)의 일부가 올려짐으로써 제2 삽입돌기(122)와 함께 제2 세로블럭(14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s rais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12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towar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together.

다만, 제2 가로블럭(120)은 제1 세로블럭(14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판(113)은 구비하고 있지 않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테이블로조립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의 일측면과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면이 서로 면접촉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owever,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does not include the first support plate 113 for supporting the first vertical block 140, which is the first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when assembled into a general tabl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to prevent the assembly while the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즉, 제1 가로블럭(110)의 제1 지지판(113)과 제2 가로블럭(120)의 제2 지지판(123)은 서로 엇갈린 방향에 구비되어 있어서, 제1 지지판(113)은 제2 가로블럭(120)의 일측부 하면을 받치고, 제2 지지판(123)은 제1 가로블럭(110)의 타측부 하면을 받치면서,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이 서로 면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first support plate 113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23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are provided in a staggere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113 is the second horizontal plate.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mutu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lock 12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23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is is to allow the surface contact to be coupled.

또한, 제2 가로블럭 몸체(121)의 외측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 중 하나가 제1 세로블럭(13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 수결합부(124)는 제2 세로블럭(14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46)가 체결됨으로써,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이 제1 가로블럭 몸체(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second male coupling parts 124 provided on both out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body 1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coupling part 136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The second female coupling part 124 is fastened, and the second female coupling part 146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s fastened to thereby secure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The vertical block 140 is supported by the first horizontal block body 111.

단, 제1 암결합부(114)와 제1 수결합부(135, 145)로 이루어진 암수 한 쌍의 체결부재는 매미고리인 것이 사용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함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However,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that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ease of use that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member consisting of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and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and 145 is a cicada ring.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130)은 일 예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세로블럭 몸체(131)와, 제1 가로블럭(11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돌기(132)와, 제2 가로블럭(12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삽입공(133)과, 제2 세로블럭(140)을 바라보는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 단턱(13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 일측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 및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 타측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를 포함한다.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for example, a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first horizontal block 110.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13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facing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31 and a second side bloc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facing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2 includes an insertion hole 133 and a support step 134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facing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n addition,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and the second female coupling part 136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do.

따라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에 구비된 제1 삽입돌기(132)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 삽입되면서, 제1 세로블럭(130)의 일단부는 제1 지지판(113) 위에 올려진다. Therefor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32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us,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One end is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13.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에 구비된 제2 삽입공(133)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삽입되고, 제1 세로블럭(130)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134)에는 커버(150)들이 올려진다.In addition,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33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and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s disposed. The cover 150 is mounted on the support step 134 provided on the inner side.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체결되고, 제2 암결합부(136)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35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is fastened to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arm. The second male coupling part 124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136.

제2 세로블럭(140)은 제1 세로블럭(130)과 나란히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의 제2 세로블럭 몸체(141)와,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돌기(142)와,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삽입공(143)과, 제1 세로블럭(130)을 바라보는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 단턱(14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세로블럭 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제1 가로블럭(110)과 가까운 부분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 및 상기 외측면 중 제2 가로블럭(120)과 가까운 부분에 구비된 제2 암결합부(146)를 포함한다.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includes a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jection 142, the second insertion hole 14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facing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It includes a support step 144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45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of the outer surface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body 131, the portion close to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It includes a second female coupling portion 146 provided in the near portion.

따라서, 제2 세로블럭 몸체(141)에 구비된 제1 삽입돌기(142)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삽입공(112)에 삽입되고, 제2 세로블럭 몸체(141)에 구비된 제2 삽입공(143)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삽입돌기(122)가 삽입되며, 제2 세로블럭(140)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144)에는 커버(150)들이 올려진다.Therefor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42 provided in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43 provided in the support step 144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There is a cover 150 is raised.

또한, 제2 세로블럭 몸체(141)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수결합부(145)는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체결되고, 제2 암결합부(146)에는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male coupling part 145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body 141 is fastened to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arm. The second male coupling part 124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146.

커버(150)는 그 양단부가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형성된 지지 단턱(134, 144) 위에 올려져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도 2 및 도 4에서는 일 예로서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포함하여 3개(151, 152, 153)인 것을 도시하였다.Both ends of the cover 150 are assembled to be movable on the support steps 134 and 144 formed on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 there are three pieces 151, 152, and 153 including the first cover 151 to the third cover 153.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조립하면 그 위에 각종 음식용기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한다. 물론, 제1 커버(151) 내지 제3 커버(153)를 조립하지 않으면 도 3과 같이 제1 가로블럭(110), 제2 가로블럭(120), 제1 세로블럭(130) 및 제2 세로블럭(140)에 의해 둘러싸인 개방부에 화로를 설치하여 구이용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assembling the first cover 151 to the third cover 153 as shown in Figure 4 allows to put a variety of food containers and the like thereon. Of course, unless the first cover 151 to the third cover 153 are assembled,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as shown in FIG. 3. A brazier can be installed in the opening surrounded by the block 140 and used as a roasting table.

테이블 다리(160)는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가로블럭(110)의 하면에 2개 설치되고, 반대측인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도 2개 설치되며, 각 테이블 다리(160)는 제1 가로블럭(1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프레임(161) 및 상기 결합 프레임(161)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리부(162)를 포함한다.Table legs 160 are for supporting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on the opposite side 2 Is installed, each table leg 160 includes a coupling frame 161 for coupling with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a leg portion 162 detachably assembled to the coupling frame 161.

다만, 제1 가로블럭(110)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160)는 제1 가로블럭(11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져 조립되고, 제2 가로블럭(120)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160)는 상기 제2 가로블럭(12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져 조립되어, 테이블 다리(160)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table legs 160 assemb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re assembled at an angle of inclination (θ)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The assembled table legs 16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so that the table legs 160 have a trapezoidal shape.

이는 종래와 같이 테이블 다리(도 1의 2 참조)가 모두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면, 굴곡이나 경사가 많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구이용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table legs (refer to 2 in FIG. 1) are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in the related art, the table for roasting cannot be stably supported when used outdoors with a lot of bending or inclination.

테이블 다리(160)를 경사지게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도 5와 같이, 각 결합 프레임(161)과 가로블럭(110, 120)의 하면 사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경사편(161a)을 삽입한 후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thod of attaching the table legs 160 inclinedly, as shown in FIG. Post welding can be used.

물론, 경사(161a)편을 삽입하는 대신 결합 프레임(161) 자체를 경사진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반복 용접을 통해서 적층된 용접용 솔더(solder)에 의한 경사 형성 방식 역시 사용될 수 있다.Of course, instead of inserting the inclined 161a piece, the inclined coupling frame 161 itself may be used, or an inclination forming method by welding solder laminated through repetitive welding may also be used.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을 조립하기 위해서, 제1 세로블럭(130)과 제 2세로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조립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on both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110 and second, respectively Assemble the horizontal block 120.

그리고,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구비된 제1 수결합부(135, 145)를 제1 가로블럭(1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걸고, 제2 가로블럭(12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를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에 각각 구비된 제2 암결합부(136, 146)에 걸어 견고히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각 결합 프레임(161)에 다리부(162)를 조립한다.In addition,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male coupling parts 135 and 145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A second arm provided on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respectively, on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coupling part 124,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The legs 162 are assembled to the coupling frames 161 in a state of being tightly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s 136 and 146.

이상과 같은 조립과정을 마친 본 고안의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mpleting the above assembly process is illustrated in FIG. 3.

또한, 제1 세로블럭(130)과 제 2세로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조립하기 이전에, 커버(150)들을 상기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사이에 결합하면 도 4와 같이 제1의 일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before assembling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on both sides of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respectively, the covers 150 are disposed in the first vertical block ( The coupling between the 130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allows the first general table to be used as shown in FIG. 4.

또한, 제1 세로블럭(130)과, 제2 세로블럭(140) 및 커버(150)를 제외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가로블럭(110)과 제2 가로블럭(120)을 서로 결합한 후 각 결합 프레임(161)에 다리부(162)를 조립하는 것으로 제2의 일반 테이블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except for the first vertical block 130, the second vertical block 140 and the cover 150, after combining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facing each other, Assembling the leg portion 162 to the coupling frame 161 to be used as a second general table.

이러한 일반 테이블로서의 조립은 제2 가로블럭(1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삽입돌기(122)를 제1 가로블럭(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공(112)에 끼워넣은 다음, 제2 가로블럭(120)에 구비된 제2 수결합부(124)를 제1 가로블럭(110)에 구비된 제1 암결합부(114)에 걸면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일반 테이블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The assembly as a general table inserts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2 protruding from the second horizontal block 120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n 2 Hang the second male coupling part 124 provided in the horizontal block 120 to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114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block 110, and the general table assembled through such a process is 6 is shown.

즉,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100)은, 종래 기술과 차별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이용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식탁 등 일반적인 테이블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 효율성을 좋게 한다. That is,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oasting table as described ab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but if necessary, the use efficiency can be used as a general table such as a dining table. Makes it good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1 조립 상태도이다.3 is a first assembled state diagram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2 조립 상태도이다. Figure 4 is a secon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table leg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의 제3 조립 상태도이다.6 is a thir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제1 가로블럭 120: 제2 가로블럭110: first horizontal block 120: second horizontal block

130: 제1 세로블럭 140: 제2 세로블럭130: first vertical block 140: second vertical block

150: 커버 160: 테이블 다리150: cover 160: table legs

Claims (7)

제1 가로블럭과;A first horizontal block; 상기 제1 가로블럭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가로블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가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는 제1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 사이에 삽입 조립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로블럭과 나란히 배치된 제2 세로블럭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블럭과 제2 세로블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및 상기 제1 가로블럭 및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하되,A second horizontal block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rizontal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vertical block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A second vertical block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vertical block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vertical bloc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ver assemb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second vertical block facing each other; And table leg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1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암결합부에 체결되는 제1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양측 외측면에는 각각 제2 수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 및 제2 세로 블럭의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수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 암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First female coupling parts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and one first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are fastened to the first female coupling part. A male coupling part is provided, and second male coupling parts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respectively, and the first out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out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are provided with the first male part. A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arm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fastened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각각 제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is formed with first insertion holes at two spaced apart locations, respectively. 상기 제1 세로블럭의 일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s are protruded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respectively.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소에 제2 삽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at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상기 제1 세로블럭의 타측면 및 제2 세로블럭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2. The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고,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is protruded and coupled to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tha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타측면이 접하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제2 세로 블럭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이 돌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protrudingly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서로 체결되는 상기 암결합부와 수결합부 한 쌍은 매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the female coupling portion and the male coupling portion is fasten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과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 단턱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Support step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facing each other, 상기 커버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구비된 지지 단턱 및 제2 세로 블럭의 내측면에 지지 단턱 위에 올려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Both ends of the cover 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on the support step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lock and the support step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1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고,The table legs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are assembled at an inclined angl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block, 상기 제2 가로블럭의 하면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는 상기 제2 가로블럭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조립되어,The table legs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are assembled at an inclined angl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block, 상기 제1 가로블럭과 제2 가로블럭에 조립된 테이블 다리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Prefabricated outdoor roas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legs assembled to the first horizont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to form a trapezoidal shape.
KR2020090015660U 2009-12-03 2009-12-03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KR2004609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en) 2009-12-03 2009-12-03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en) 2009-12-03 2009-12-03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17U KR20110005717U (en) 2011-06-10
KR200460999Y1 true KR200460999Y1 (en) 2012-06-15

Family

ID=466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60U KR200460999Y1 (en) 2009-12-03 2009-12-03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999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534B1 (en) * 2013-05-13 2014-05-16 캠푸드 주식회사 Brazier table for interior use
KR20150076710A (en) 2013-12-27 2015-07-07 강승구 table having solar cell
KR101636551B1 (en) 2016-03-11 2016-07-05 주식회사 유퍼니 Prefabricated outdoor table
KR20170003921U (en) * 2016-05-11 2017-11-21 임도수 Support fo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
KR101960251B1 (en) 2017-09-19 2019-03-20 장영국 Multipurpose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10B1 (en) * 2018-10-31 2021-07-07 이원근 Outdoor hardwood table
CN109393781B (en) * 2018-12-06 2024-02-20 合肥志邦家居有限公司 Island plat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37Y1 (en) * 1980-09-19 1981-10-26 이성우 A prefabricated table for picnic
JP3093054U (en) * 2002-09-26 2003-04-18 世國企業股▲分▼有限公司 Outdoor tables
JP3723162B2 (en) * 2002-08-12 2005-12-07 株式会社アールテック・リジョウ Assembly table with stove for barbecue using thinned wood
JP4354230B2 (en) 2003-08-22 2009-10-28 パール金属株式会社 Assembling t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37Y1 (en) * 1980-09-19 1981-10-26 이성우 A prefabricated table for picnic
JP3723162B2 (en) * 2002-08-12 2005-12-07 株式会社アールテック・リジョウ Assembly table with stove for barbecue using thinned wood
JP3093054U (en) * 2002-09-26 2003-04-18 世國企業股▲分▼有限公司 Outdoor tables
JP4354230B2 (en) 2003-08-22 2009-10-28 パール金属株式会社 Assembling tab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534B1 (en) * 2013-05-13 2014-05-16 캠푸드 주식회사 Brazier table for interior use
KR20150076710A (en) 2013-12-27 2015-07-07 강승구 table having solar cell
KR101636551B1 (en) 2016-03-11 2016-07-05 주식회사 유퍼니 Prefabricated outdoor table
KR20170003921U (en) * 2016-05-11 2017-11-21 임도수 Support fo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
KR200485384Y1 (en) * 2016-05-11 2018-01-30 임도수 Support fo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
KR101960251B1 (en) 2017-09-19 2019-03-20 장영국 Multipurpose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17U (en)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999Y1 (en)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KR101670264B1 (en) Fire Pit for Outdoors Use
KR101218779B1 (en) Outdoor Table
KR101655959B1 (en) structure for grill of camping
KR20140140691A (en) Portable firewood stove with brazier
KR20100011008U (en) Rectangular fire pot
TWI806774B (en) campfire table
JP3186537U (en) Combustion furnace with firebed
KR101824655B1 (en) Table for camping
KR101699503B1 (en) A windbreak of the portable gas range
JP2015107217A (en) Barbecue stove
KR20120019337A (en) Table for charcoal burner
CN213075439U (en) Foldable assembled oven
US20120067228A1 (en) Collapsible grill
JP6864921B2 (en) Bonfire
KR200481684Y1 (en) Cooking table for camping
JP5188645B1 (en) Barbecue grill
JP3546391B2 (en) Assembling type barbecue stove
KR102611350B1 (en) Stove for camping
KR20200062527A (en) Easy-to-assemble wood roll table
KR20160003710U (en) Portable brizier
KR20140042966A (en) Burner supporter of gas range
JP3230972U (en) Multi cooker stand
US20190191929A1 (en) Portable barbecue
KR101459632B1 (en) Portable roas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