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647Y1 -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647Y1
KR200460647Y1 KR20120000631U KR20120000631U KR200460647Y1 KR 200460647 Y1 KR200460647 Y1 KR 200460647Y1 KR 20120000631 U KR20120000631 U KR 20120000631U KR 20120000631 U KR20120000631 U KR 20120000631U KR 200460647 Y1 KR200460647 Y1 KR 200460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r
battery
tip
conducto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06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일경
Original Assignee
전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경 filed Critical 전일경
Priority to KR2012000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6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6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될 배터리의 극성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편리하게 장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충전기에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10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103)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장공의 요홈(17)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또는 160)는 상기 2차전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팁부(152 또는 162), 상기 도전성 팁부(152 및 162)와 일체로 된 도전체(151 또는 161)의 한 부분으로서 상기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도선(17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 상기 도전체(151 또는 161)와 결합하여 그것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된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 상기 팁부 지지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105)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56b 또는 166b),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측면벽(101)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조정간(156d 또는 166d)을 포함한다. Disclosed is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apable of conveniently mounting and charging a battery regardless of the polarity and size of the battery to be charged. In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n inner wall 103 for forming a slide groove in the side wall 101 thereof, so that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wall. ) And a slide groove 105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0 or 160 is a conductive tip portion 152 or 162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one of the conductors 151 or 161 integral with the conductive tip portions 152 and 162.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and the conductor 151 or 161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ng wire 17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section 50 as a portion thereof,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may be a tip support 156a or 166a, an extension 156b or 166b extending from the tip support toward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he extension. A protruding portion 156c or 166c protruding from th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lide recess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01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projection adjustment section 156d or 166d.

Description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본 고안은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될 배터리의 극성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편리하게 장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battery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battery charger that can be conveniently charged and charged regardless of the polarity and size of the battery to be charged.

전자기기의 발전으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2차전지는 AA형 및 AAA형 등과 같은 둥근형 전지로서 표준이 정해져 있는 것뿐만 아니라 각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형상을 지니고 있어,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로 모든 2차전지를 충전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등록특허공보 제10-1088932호(2011.11.25. 등록; 이하, '선등록특허'라 함)는 무극성 프리전압 배터리 충전기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AA형 및 AAA형 2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 및 형상이 다른 6면체 스틱형 2차전지들도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round-type batteries, such as AA and AAA types, as well as have a standard, and have a different shape for each manufacturer, so it is not possible to charge all of the secondary batteries with one battery charger. However, Patent Publication No. 10-1088932 (registered on November 25,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registered Patent') discloses a non-polar pre-voltage battery charger, which can charge AA type and AAA type secondary batteries. In addition, the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i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can be charged.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선등록특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등록특허의 무극성 프리전압 배터리 충전기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슬라이드 개폐판(30), 마이크로프로세서(51)를 구비한 충전회로부(50)를 포함한다.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는 AA/AAA형 2차전지를 수용하는 충전삽입요구(13 및 14) 및 AA/AAA형 2차전지의 +단자와 접속하는 +충전단자(11 및 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AA/AAA형 2차전지의 -단자와 접속하는 -충전단자(31 및 32)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스프링(20 및 21)으로 탄설되는 슬라이드 개폐판(3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AA/AAA형 2차전지를 충전삽입요구(13 및 14)에 삽입한 후 슬라이드 개폐판(30)을 폐쇄시키면 AA/AAA형 2차전지의 + 및 - 단자들은 각각 +충전단자(11 및 12)와 -충전단자(31 및 32)에 접촉하여 충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Specifically, the pre-registered pa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follows. The non-polar pre-voltage battery charger of the prior patent includes a battery charger body 10 having a battery charger body 10, a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a microprocessor 51.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charge insertion requests 13 and 14 for accommodating AA / AAA secondary batteries and + charging terminals 11 and 12 for connecting with + terminals of the AA / AAA secondary batteries. . 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terminals 31 and 32, which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AA / AAA type secondary battery, ar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s 30 which are coalesced with the springs 20 and 21 to be slidable to the battery charger body 10. Is formed in front of. Thus, when the AA / AAA type secondar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charge insertion request (13 and 14) and the slide opening / closing plate 30 is closed, the + and − terminals of the AA / AAA type secondary battery are + charge terminals 11 and 12, respectively. ) And-charging terminals (31 and 32) in contact with the state can be charged.

슬라이드 개폐판(30)과 결합하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후방부분에는 걸림돌조(22)가 돌설되고, 이의 내부에는 걸림편(23)이 외부로 출몰가능하게 스프링(24)으로 탄설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 개폐판(30)의 내측 저면에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후방에 돌설된 걸림돌조(22)가 삽치되는 이송레일(33)이 착설되고 이송레일(33)의 전방에는 걸림편(23)이 삽치 결합되는 걸림공(34)이 형성되고 걸림공(34)의 상부에는 해지버튼(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슬라이딩 이송공(18 및 1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여기에 슬라이드 개폐판(30)이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스프링(20 및 21)으로 탄설되어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드 개폐판(30)이 닫힌 상태에서는 스프링(20 및 21)의 장력을 이겨내고 그것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걸림편(23)은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돌조(22)를 거쳐서 이송레일(33)에 있는 걸림공(34)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해지버튼(35)을 누르면 걸림편(23)은 이송레일(33)의 걸림공(34)으로부터 빠져나가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와 슬라이드 개폐판(30)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슬라이드 개폐판(30)은 스프링(20 및 21)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AA/AAA형 2차전지가 충전삽입요구(13 및 14)에 삽입되어 있다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AA/AAA형 2차전지의 + 및 - 단자들은 각각 +충전단자(11 및 12)와 -충전단자(31 및 32)에 접촉하여 충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 locking protrusion 22 protrudes from a rear portion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coupled with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and a locking piece 23 is installed in the spring 24 so that the locking piece 23 can be protruded to the outside. .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installed a transport rail 3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22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the locking piece 23 in front of the conveying rail 33 )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34 is inserted and the release button 3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hole (34). In addition, sliding feed holes 18 and 19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piled up with the springs 20 and 21 to enable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Thus, when the slide opening / closing plate 30 is closed, the tension of the springs 20 and 21 is overcome and pulled backwards so that the locking piece 23 passes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22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4. I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4 in the 33 to hold the open state. When the release button 35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locking piece 23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34 of the transfer rail 33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Then,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sli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s 20 and 21 to move in the closing direction. If the AA / AAA secondary battery is inserted in the charge insertion request 13 and 14 in this process, as mentioned above, the + and − terminals of the AA / AAA secondary battery are + charge terminals 11 and 12, respectively. ) And-charging terminals (31 and 32) in contact with the state can be charged.

또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요홈(17)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공의 요홈(17)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는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 - 단자와 접촉하는 충전단자(15a 및 16a), 내부 슬라이드접점(15b 및 16b) 및 파지편(15c 및 16c)로 구성된다. 내부 슬라이드 접점(15b 및 16b)은 장공의 요홈(17) 아래에 그것을 따라 형성된 회로부(50)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is formed with a long groove 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that can move along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is formed. Thes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are charged terminals 15a and 16a, inner slide contacts 15b and 16b, and gripping pieces 15c and 16c in contact with the + and − terminals of the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t consists of. The inner slide contacts 15b and 16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of the circuit portion 50 formed along the groove 17 in the long hole.

6면체 스틱형 2차전지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슬라이드 개폐판(30)을 완전히 개방한 후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의 파지편(15c 및 16c)을 잡고 적당한 간격으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를 위치시키고 충전단자(15a 및 16a)에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단자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개폐판(30)을 닫아주면 스프링(20 및 21)의 복원력에 의하여 6면체 스틱형 2차전지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와 슬라이드 개폐판(30)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충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In order to charge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first,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completely opened, and then the gripping pieces 15c and 16c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are grasped and the variable charging terminals sliding at appropriate intervals. When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closed while the 15 and 16 are positioned and the terminals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ar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s 15a and 16a,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s 20 and 21 causes The faceted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to be in a state capable of being charg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2차전지가 그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터리 충전기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various secondary batteries may be charged by the battery charger regardless of their shape and size.

한편,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충전시에 그 극성에 맞게 2차전지를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에 접속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인데, 선등록특허는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하여 충전회로부(50)에 마이크로프로세서(51)가 구비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1)는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 단자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와 접촉하여 접촉되는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접촉 극성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충전적정전압 및 극성변환부(54)에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의 충전단자(15a 및 16a)의 극성을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극성과 동일한 상태로 자동으로 변환시켜 줌과 동시에 해당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충전적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충전 작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 외의 사항들은 선등록특허의 명세서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very cumbersome to connect the secondary battery to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according to its polarity when the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s charged, and the registered patent is able to charge regardless of the polarity. It is. As shown in FIG. 4, a microprocessor 51 is provided in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for this purpose. The microprocessor 51 detects the contact polarity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n contact with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in contact with the + and − terminals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the polarity of the charging terminals 15a and 16a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same state as that of the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n the charging constant voltage and polarity conversion unit 54.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converting the battery into a proper charging voltage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Other matters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registered patent.

상기한 선등록특허의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는 AA/AAA형 2차전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6면체 스틱형 2차전지를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지만,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의 파지편(15c 및 16c)이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아래에 있는 하부덮개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6면체 스틱형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파지편(15c 및 16c)를 잡고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 단자의 간격에 맞게 충전단자(15a 및 16a)의 간격을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의 구조, 특히 파지편(15c 및 16c)이 배치되는 위치 및 구조로 인하여 매우 어렵게 달성될 수밖에 없다. 또한 파지편(15c 및 16c)이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의 바닥쪽에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의 사용상의 불편이 야기되고 또한 제품의 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very convenient in that it can charge not only AA / AAA type secondary batteries but also various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ies regardless of polarity, but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may be used. Since the grip pieces 15c and 16c are disposed through the lower cover under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its operation is inconvenient. That is, in order to charge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the user first grasps the holding pieces 15c and 16c, and adjusts the interval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s 15a and 16a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 and − terminals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This process has to be adjusted, which is very difficul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in particular the position and structure in which the gripping pieces 15c and 16c are arranged. In addition, since the grip pieces 15c and 16c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inconveniences in using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are caus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amaged.

본 고안은 선등록특허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될 배터리의 극성 및 크기에 관계없이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배터리를 편리하게 장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is problem of the pre-registered patent.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that can be easily charged by mounting the battery can easily adjust the interval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irrespective of the polarity and size of the battery to be char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요홈을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장공의 요홈에 매설되어 상기 장공의 요홈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에 장착되는 2차전지의 +,-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에 상기 2차전지를 안정되게 밀착 고정하는 슬라이드 개폐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를 통하여 상기 2차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2차전지가 요구하는 충전적정전압으로 DC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충전회로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장공의 요홈 아래에 그것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전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도선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이다. 이러한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장공의 요홈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는 상기 2차전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팁부, 상기 도전성 팁부와 일체로 된 도전체의 한 부분으로서 상기 충전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슬라이드 접점, 상기 도전체와 결합하여 그것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된 도전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체 지지부는 팁부 지지부, 상기 팁부 지지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상기 측면벽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조정간을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uried in the groove of the battery charger body having a groove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roove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battery charger body to be slidable along the groove of the long hole And a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configured to detect voltages of the + and −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mounted on the battery charger body and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and stably close the secondary battery to the battery charger body. A charging circuit unit including a slide opening / closing plate to be fixed, a microprocessor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and outputting a DC voltage at a charging proper voltage required by the secondary battery; The battery charger is formed along it under the groove of the hole formed in the body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including a pair of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an inner wall for forming a slide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and a slid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wall in parallel with the groove of the long hole. have.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has a conductive tip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n internal slid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ve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as a part of a conductor integrated with the conductive tip. A contact, a conductor support in combination with and supporting the conductor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or support part includes a tip support part,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tip support part toward the slide groove of the battery charger body, an insertion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extension part and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of the battery charger body, and the extension part. And a protrusion adjustment sect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charger body.

상기에서, 상기 팁부 지지부에는 상기 도전성 팁부가 관통하는 팁부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도전체 지지부에 고정되어 그 고정점에서부터 상기 팁부까지의 상기 도전체는 탄성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서,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팁부가 상기 팁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도전체가 상기 팁부 지지부와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할 때에는 상기 팁부는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하면서 상기 팁부 관통홀을 통하여 뒤로 밀려나서 상기 도전체가 상기 팁부 지지부와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ip support portion, a tip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tip portion penetrates is formed, and the conductor is fixed to the conductor support portion at the extension portion such that the conductor from the fixed point to the tip portion is elastic. When the tip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the condu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support while the tip passes through the tip through hole, and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Preferably, the conductor is pushed back through the tip through hole while contacting the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conductor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support.

상기 도전체 지지부는 상기 팁부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경사진 연결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팁부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ductor support portion has an inclined connectio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tip portion support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tip portion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도전체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도전체 지지부에 고정된 후 분할되어 상기 팁부와 상기 내부 슬라이드 접점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내부 슬라이드 접점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있는 상기 도전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팁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경사부를 거치는 상기 도전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팁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있는 상기 도전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ductor is fixed to the conductor supporting portion at the extension portion and divided to form the tip portion and the inner slide contact, wherein the inner slide contact extends from the extension portion to form the conductor i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tip portion extends from the extension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conducto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inclination portion, and is formed through the tip portion through hole to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conductor in the extension portion. It is preferable.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에 아래에서 결합하는 하부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덮개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장공의 요홈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덮개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from below, and an inner wall for forming a slid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to form an inner wall of the side wall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wall. A slide groove is formed in the groove parallel to the groove of the long hole, and the conductor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It is preferred to have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충전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도선은 상기 충전회로부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인쇄된 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ductive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part are conductive wires pri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vided with the charging circuit part.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충전회로부에 연결되는 내장 배터리 및 USB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 배터리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a built-in battery and a USB port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the built-in battery is preferably for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connected to the USB port.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내장 배터리의 작동을 시작하는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회로부는 상기 USB 포트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내장 배터리에 의하여 상기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USB 포트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았음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function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charge amount of the internal battery and a power switch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battery, and the charging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battery when an external battery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When the external battery is charged and it is detected that the external battery is not connected to the USB port while the power switch of the built-in battery is turned on, the power switch of the built-in battery is preferably turned off.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충전될 배터리의 극성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편리하고, 더 나아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간이 배터리 충전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충전하고자 하는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단자들간의 간격에 맞추어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charge the battery irrespective of the polarity and size of the battery to be charged, and furthermore, an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body to charge It is convenient to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hexagon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to b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가)는 충전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슬라이드 개폐판이 개방된 충전 준비상태의 작동상태 단면이이며, (다)는 충전시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에 적용되는 충전회로부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를 위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를 그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polar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n-polar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charging opera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arge ready state with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during charging.
4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ircuit unit applied to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of FIG.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obliquely from below.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perpendicularly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는 선등록특허의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와 구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로 명명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요홈(17)을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를 포함한다.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장공의 요홈(17)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가 그것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매설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장착되는 2차전지의 +,- 단자의 극성과 전압을 동시에 검출하고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2차전지를 안정되게 밀착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개폐판(30)이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상에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는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를 통하여 2차전지의 극성과 전압을 검출하고 2차전지가 요구하는 충전적정전압으로 DC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1)를 구비한 충전회로부(50)를 포함하고, 또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형성된 장공의 요홈(17) 아래에 그것을 따라 형성되어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도선(17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충전회로부(5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1)는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에 접촉하는 2차전지의 극성은 검출하지 않고 전압만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는 그 극성이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of the registered patent. 5 to 9,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harger body 10 having a long groove 17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 recess 17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slidably buried therein.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the polarity and the voltage of the + and −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mounted on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to stably and securely fix the secondary battery to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larity and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a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nd outputs a DC voltage at a charging voltage required by the secondary battery. A pair including a charging circuit section 50 having a microprocessor 51 and formed along the bottom of the long groove 17 formed in the battery charger body 10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charging circuit section 50. Includes a conductive wire 170. Here, the microprocessor 51 of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may detect only a voltage without detecting the polar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ontacting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In this case,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ir polarities are fixed.

이러한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선등록특허의 무극성 배터리 충전기에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의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의 구조 및 배치 및 그외의 사항들을 제외하고는 선등록특허의 것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따라서, 상기에서 한 설명 및 선등록특허의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병합된다. 따라서, 선등록특허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is inconvenient in the non-polar battery charger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and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does not differ substantially from that of the pre-registered patent except for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and others. Accordingly, the description set forth above and the description set forth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registered patent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herefore,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registered patent will be omitted here.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선등록특허와 다른 본 고안의 특유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선등록특허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와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선등록특허에서 사용된 기술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선등록특허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pre-registered patent will be described using code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pre-registered patent.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registered paten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에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10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1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그러한 측면벽(101)과 내벽(103) 사이에 장공의 요홈(17)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아래에서 하부덮개(110)가 그것에 결합한다.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측면벽(101)과 대응하는 하부덮개(110)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11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측면벽(111)과 내벽(113) 사이에 장공의 요홈(17)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요홈(105 및 11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도전체 지지부(156 및 166) 중에서 제1 및 제2 삽입돌출부(156c 및 156c' 그리고 166c 및 166c')를 삽입하는 부분인데,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돌출조정간(156d 및 166d)을 손가락으로 잡아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도전성 팁부(152 및 162) 간의 간격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5 and 6, 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has an inner wall 103 for forming a slide groove inward of the side wall 101 thereof. ) Is formed. Thus, between the side wall 101 and the inner wall 103, a slide groove 105 is formed parallel 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Also under the battery charger body 10 is a lower cover 110 coupled thereto.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110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101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 inner wall 113 for forming a slide groove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111. Thus, between the side wall 111 and the inner wall 113, a slide groove 115 parallel 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is formed. These slide grooves 105 and 115 ar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56c and 156c 'and 166c and 166c' among the conductor supports 156 and 166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s described below. ),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tip portions 152 and 162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by holding the projection adjusting portions 156d and 166d with fingers.

본 고안에서, 장공의 요홈(17)에 매설되어 그것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또는 160)는 도 7 및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151 또는 161) 및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로 구성된다. 도전체(151 또는 161)는 2차전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팁부(152 또는 162), 그리고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선(17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을 포함한다. 즉, 도전체(151 또는 162)는 팁부(152 또는 162)와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 간의 전기적 접속 통로로 작용한다.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비도전성 재료, 즉 절연성 재료로 되는데, 도전체(151 또는 161)와 결합하여 그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0 or 160 embedded in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is formed to be slidable along the conductors 151 or 161, as shown in detail in FIGS.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The conductor 151 or 161 has an internal slide contac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ve tip portion 152 or 162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conductive wire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portion 50. 154 or 164). That is, the conductor 151 or 162 serves as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ip portion 152 or 162 and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at is, an insulating material, which serves to support and support the conductor 151 or 161.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 이 팁부 지지부로부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슬라이드 요홈(105)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56b 또는 166b), 이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슬라이드 요홈(105)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 연장부(156b 또는 166b)로부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측면벽(101)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조정간(156d 또는 166d)을 포함한다. 또한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슬라이드 요홈(105)에 삽입되는 제1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부(156b 또는 166b)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덮개(110)의 슬라이드 요홈(115)에 삽입되는 제2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를 가진다.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is a tip support 156a or 166a, an extension 156b or 166b formed extending from the tip support toward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protruding from the extension.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56c or 166c and the extension 156b or 166b into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01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a protruding adjustment section 156d or 166d to be formed. In addition,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ortion 156b or 166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56c or 166c inserted into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56c 'or 166c'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5 of the 110. As shown in FIG.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에는 도전성 팁부(152 또는 162)가 관통하는 팁부 관통홀(157 또는 167)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체(151 또는 161)는 연장부(156b 또는 166b)에서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에 고정되어 그 고정점에서부터 팁부(152 또는 162)까지의 도전체(151 또는 161)는 탄성적으로 변화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도전체(151 또는 161)는 2차전지와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팁부(152 또는 162)가 팁부 관통홀(157 또는 167)을 관통한 상태로 도전체가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와 밀착된 상태가 되고, 2차전지와 접촉할 때에는 팁부(152 또는 162)는 2차전지와 접촉하면서 팁부 관통홀(157 또는 167)을 통하여 뒤로 밀려나서 도전체(151 또는 161)가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와 이격된 상태가 된다. The tip support 156a or 166a is formed with a tip through hole 157 or 167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tip 152 or 162 passes. Conductor 151 or 161 is secured to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at extension 156b or 166b so that conductor 151 or 161 from its fixation point to tip 152 or 162 is elastic. It has a structure that changes. Thus, when the conductor 151 or 161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the condu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support 156a or 166a with the tip 152 or 162 penetrating the tip through hole 157 or 167.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the tip portion 152 or 162 is pushed back through the tip through hole 157 or 167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conductor 151 or 161 is tip supporting portion 156a or 166a).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와 연장부(156b 또는 166b) 사이에 경사진 연결경사부(156e 또는 166e)를 가지는데,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는 연장부(156b 또는 166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has an inclined connecting inclined portion 156e or 166e between tip support 156a or 166a and extension 156b or 166b, which tip support 156a or 166a extends. I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156b or 166b.

도전체(151 또는 161)는 연장부(156b 또는 166b) 아래에서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에 고정된 후 분할되어 팁부(152 또는 162)와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으로 형성된다. 이때,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은 연장부(156b 또는 166b)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156b 또는 166b)에 있는 도전체(151 또는 161)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팁부(152 또는 162)는 연장부(156b 또는 166b)로부터 연장되어 연결경사부(156e 또는 166e)를 거치는 도전체(151 또는 161)로부터 연장되어 팁부 관통홀(157 또는 167)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연장부(156b 또는 166b)에 있는 도전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The conductor 151 or 161 is fixed to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under the extension 156b or 166b and then split to form a tip portion 152 or 162 and an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At this time,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extends from the extension 156b or 166b and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onductor 151 or 161 in the extension 156b or 166b and the tip portion 152 or 162. Is extended from the conductor 151 or 161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156b or 166b an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inclined portion 156e or 166e, and is formed through the tip portion through hole 157 or 167, thereby extending the extension portion 156b or 166b. I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conductor in the figure.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는 그것의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및 164)이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도선(170) 상에 놓인 상태로 장공의 요홈(17)에 삽설된다. 이때,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선(170)은 충전회로부(5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PCB)(120) 상에 인쇄된 도선이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충전회로부(50)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과 별도로 도선(170)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것의 제작이 간단해진다. 선등록특허에서는 충전회로부(50)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이외에 별도로 도선이 형성된 2개의 독립적인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고 그러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선은 충전회로부(50)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주목하라. 도면에서는 충전회로부(50)의 상세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여러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내에 고정되게 배치하는 것과 그것들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접속 구조의 형성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have a pair of conductive wires whose inner slide contacts 154 and 16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in a state lying on the 170. In this case, the conductive line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s a conductive line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120 provided with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By this arrangemen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forming the conductive wire 170 separatel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on which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s installed, thereby simplifying its manufacture. In the pre-registered patent, in additio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s formed, two independent printed circuit boards having separate conductive wires are provided. Notice that it is connected to. In the drawing,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s omitted. In order to arrange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o form a physical coupl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herebetween, some cumbersome work must be performed.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에서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단자 간격에 맞게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Now, with reference to Figure 9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al spacing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요홈(1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평형한 도선(170)이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선(170)은 장공의 요홈(17)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는 도선(170) 상에 놓여지고 또한 장공의 요홈(17)을 관통하여 그것 상부로 노출된다.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has a long groove 17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pair of flat conductors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formed. ) Is formed.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70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placed on the conductive wire 170 and exposed through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이때,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2개의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및 164)은 각각 2개의 도선(170) 상에 그것과 접촉하게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도 7 및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슬라이드 요홈(105)에서 가까운 쪽에 있는 도선(170)에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의 연장부(156b)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짧은 도전체(151)의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이 위치하고,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슬라이드 요홈(105)에서 먼 쪽에 있는 도선(170)에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의 연장부(166b)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긴 도전체(161)의 내부 슬라이드 접점(164)이 위치한다.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 및 그것의 내부 슬라이드 점점(164) 등에 대한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도전성 팁부(152 및 162)는 장공의 요홈(17)을 관통하여 그것 상부로 노출된다.In this case, the two inner slide contacts 154 and 164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positioned on and in contact with the two conductive wires 170, respectively. To this end, as shown in detail in FIGS. 7 and 8, the extension part 156b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 170 near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f the short conductor 151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is positioned, and the lead 170 located far from the slide groove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has a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The inner slide contact 164 of the long conductor 161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166b is located. In the drawings,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and its inner slide 164 are not shown.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portions 152 and 162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penetrate through the recess 17 of the long hole and are exposed thereon.

한편, 팁부 지지부(156a 및 166a)는 장공의 요홈(17)에 끼워져서 그것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팁부 지지부(156a 및 166a)는 경사진 연결경사부(156e 및 166e)를 거쳐 연장부(156b 및 166b)에 연결된다. 연장부(156b 및 166b)는 장공의 요홈(17)과는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나가서 제1 삽입돌출부(156c 및 166c) 및 제2 삽입돌출부(156c' 및 166c')가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 요홈(105) 및 하부덮개(110)에 형성된 슬라이드 요홈(115)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도전체 지지부(156 및 166)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및 하부덮개(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ip support portions 156a and 166a are fitted in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and slide along it. These tip support portions 156a and 166a ar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s 156b and 166b via inclined connecting slope portions 156e and 166e. The extensions 156b and 166b exte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so that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56c and 166c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56c 'and 166c'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er body 10. The conductor supports 156 and 166 are slidable to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he lower cover 110 by being fitted in the slide groove 105 and the slide groove 115 formed in the lower cover 110, respectively. To be combined.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측면벽(101)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조정간(156d 및 166d)를 잡아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충전할 6면체 스틱형 2차전지의 단자간 간격에 맞게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 2차전지의 단자 간 간격을 보고 먼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간의 간격을 어림짐작으로 조정한 후 시행착오적 방법으로 정확한 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by holding the protrusion adjustment bars 156d and 166d protruding out of the side wall 101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to match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hexahedral stick type secondary battery to be charged, the user first sees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Afte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150 and 160 to an approxim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ccurate adjustment by trial and error method.

대신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중 어느 한 단자를 그 2차전지의 한 단자에 맞춘 후 슬라이드 개폐판(30)을 닫는다. 그러면 2차전지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와 슬라이드 개폐판(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때 2차전지의 한 단자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중 어느 한 단자,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와만 접촉하며, 나머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는 2차전지의 두 단자 사이의 한 위치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나머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의 팁부(162)는 2차전지와의 접촉에 의하여 뒤로 밀린 상태로 있게 되는데, 사용자는 나머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여서 그 2차전지의 나머지 단자와 맞는 위치를 찾아내기만 하며 된다. Instead, the user closes the slide opening / closing plate 30 after aligning one terminal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with on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n, the secondary battery is fixed by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At this time, on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contacts only one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for example,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0, and the other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battery. In contact with one posi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The tip 162 of the remaining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is pushed back by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user moves the remaining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st the rest of the secondary battery. It only needs to find a location that matches the terminal.

이때 통상적으로 휴대폰 배터리와 같은 2차전지는 그 단자들에서 배터리 본체보다 약간 함몰된 형태를 가지므로, 나머지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팁부(162)가 2차전지의 나머지 단자와 만날 때 약간 튀어오르게 되는데 이러한 지점을 찾으면 된다. 팁부(162)가 이러한 지점과 만나면 사용자가 팁부(162)를 움직이려고 할 때 이전보다 큰 저항을 감지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2차전지의 장착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또한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ary battery such as a mobile phone battery has a slightly recessed shape than the battery body at its terminals, the tip portion 162 meets the remaining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emaining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When you bounce a little bit, you can find this point. When the tip portion 162 meets such a point, the user may easily understand that the mount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s completed because the user senses a larger resistance than before when the user tries to move the tip portion 162. It is also easy to see with the naked eye.

한편, 단자부에서 약간 함몰된 형태가 아니고, 단자부가 다른 부분과 평형하거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2차전지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2차전지의 단자 접촉을 찾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2차전지의 단자부가 있는 위치를 측면에서 보면서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60)를 움직여서 맞추면 된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 secondary battery that is not slightly recessed in the terminal portion, but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balanced with other portions or protrudes from other portions, the terminal contact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found in a similar manner. In this case, however,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60 may be moved while looking at the position wher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located from the side.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에서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의 돌출조정간(156d 및 166d)이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의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배터리 충전기의 사용상 불편한 점이 없게 된다. 선등록특허의 배터리 충전기에서는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 및 16)의 파지편(15c 및 16c)이 하부덮개를 관통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의 조정상의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기 자체의 사용상 불편도 초래하고 또한 배터리 충전기의 외관도 다소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는 점은 본 고안과 비교되는 사항이라 하겠다. Therefore, 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jection adjustment periods 156d and 166d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its operation is easy, and also the battery charger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In the battery charger of the registered patent, since the holding pieces 15c and 16c of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 and 16 are disposed through the lower cover, there is not only inconvenience in adjusting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but also the use of the battery charger itself.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and also slightly damages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harger is to be compar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고전압의 교류전원을 충전기가 사용할 수 있도록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고 또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에 연결되는 포트(185)를 가진다. 또한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는 충전회로부(50)에 연결되는 내장 배터리(180) 및 USB 포트(19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내장 배터리(180)는 USB 포트(190)에 연결된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1)는 내장 배터리(18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00) 및 내장 배터리의 작동을 시작하는 전원 스위치(210) 그리고 전원 온상태 표시수단(220)을 더 포함한다. 충전회로부(50)는 USB 포트(190)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된 경우에는 내장 배터리(180)에 의하여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내장 배터리(180)의 전원 스위치(210)가 온 상태에서 USB 포트(190)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았음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내장 배터리(180)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에서, 내장 배터리(180)에 의하여 USB 포트(190)에 연결되는 외부 배터리의 충전, 내장 배터리(180)의 충전량 표시수단(200), 내장 배터리의 작동을 위한 전원 스위치(210) 그리고 위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충전회로부(5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에 의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 185 connected to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high voltage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low voltage for use by a charger and also converting AC into DC. .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battery charger 1 further includes a built-in battery 180 and a USB port 190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The internal battery 180 is for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connected to the USB port 190.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battery charger 1 further includes a display means 200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uilt-in battery 180, a power switch 210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battery and a power on state display means 220. . When the external battery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190,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charges the external battery by the internal battery 180, and the USB port 190 when the power switch 210 of the internal battery 180 is turned on. If it is detected that the external battery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of the built-in battery 180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Here, the charge of the external battery connected to the USB port 190 by the built-in battery 180, the charging amount display means 200 of the built-in battery 180, the power switch 210 for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battery and the abov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to implement the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1: 배터리 충전기 10: 배터리 충전기 본체
11,12: +충전단자 13,14: 충전삽입요구
15,16: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 17: 장공의 요홈
18,19: 슬라이딩 이송공 20,21: 스프링
22: 걸림돌조 23: 걸림편
24: 스프링 30: 슬라이드 개폐판
31,32: -충전단자 33: 이송레일
34: 걸림공 35: 해지버튼
101: 배터리 충전기 본체 측면벽
103: 배터리 충전기 본체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
105: 배터리 충전기 본체 슬라이드 요홈
110: 하부덮개 111: 하부덮개 측면벽
113: 하부덮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
115: 하부덮개 슬라이드 요홈 120: 인쇄회로기판(PCB)
150,160: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 151,161: 도전체
152,162: 도전성 팁부 154,164: 내부 슬라이드 접점
156,166: 도전체 지지부 156a,166a: 팁부 지지부
156b,166b: 연장부 156c,156c',166c,166c': 삽입돌출부
156c",166c": 보강돌출부 156d,166d: 돌출조정간
156e,166e: 연결경사부 157,167: 팁부 관통홀
170: 도선 180: 내장 배터리
190: USB 포트 195: 변환기 포트
200: 충전량 표시수단 210: 내장 배터리 전원 스위치
1: battery charger 10: battery charger body
11,12: + Charging terminal 13,14: Charging insertion request
15,16: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7: long groove
18,19: Sliding feed hole 20,21: spring
22: jam protrusion 23: jam piece
24: spring 30: sl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31,32:-Charging terminal 33: Transfer rail
34: jam hole 35: release button
101: battery charger body side wall
103: inner wall for the battery charger body slide groove formation
105: battery charger body slide groove
110: lower cover 111: lower cover side wall
113: inner wall for forming the lower cover slide groove
115: lower cover slide groove 120: printed circuit board (PCB)
150,160: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1,161: conductor
152, 162: conductive tip 154, 164: internal slide contact
156, 166: conductor support 156a, 166a: tip support
156b, 166b: Extension 156c, 156c ', 166c, 166c': Insertion protrusion
156c ", 166c": Reinforcement protrusions 156d, 166d: Protrusion adjustment bar
156e, 166e: Connecting slope 157,167: Tip through hole
170: lead wire 180: built-in battery
190: USB port 195: Converter port
200: charge amount display means 210: built-in battery power switch

Claims (8)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요홈(17)을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본체(10),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장공의 요홈(17)에 매설되어 상기 장공의 요홈(17)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장착되는 2차전지의 +,-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상기 2차전지를 안정되게 밀착 고정하는 슬라이드 개폐판(30),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및 160)를 통하여 상기 2차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2차전지가 요구하는 충전적정전압으로 DC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1)를 구비한 충전회로부(50), 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장공의 요홈(17) 아래에 그것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도선(170)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10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103)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장공의 요홈(17)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10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가변 충전단자(150 또는 160)는 상기 2차전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팁부(152 또는 162), 상기 도전성 팁부(152 및 162)와 일체로 된 도전체(151 또는 161)의 한 부분으로서 상기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도선(17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 상기 도전체(151 또는 161)와 결합하여 그것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된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 상기 팁부 지지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105)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56b 또는 166b),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측면벽(101)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조정간(156d 또는 166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having a long hole groove 17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ried in the groove hole 17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battery charger body 10 to be slidable along the groove hole 17 of the long hole And a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 and − terminals of the secondary battery mounted on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and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A slide opening / closing plate (30) for stably and securely fixing the secondary battery to (10) and the pair of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s (150 and 160) detect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A charging circuit section 50 having a microprocessor 51 for outputting a DC voltage at a charging proper voltage, and formed below the recess 17 of the hole formed in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so that the charging The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er including the electrical pair of conductors 170 for connecting to the robu 50,
On one side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10, an inner wall 103 for forming a slide groove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10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wall. Groove 105 is formed,
The sliding variable charging terminal 150 or 160 may include a conductive tip portion 152 or 162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 conductor 151 or 161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ductive tip portions 152 and 162.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and the conductor 151 or 161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ve wire 17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section 50 as a part there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conductive support 156 or 166,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may be a tip support 156a or 166a, an extension 156b or 166b extending from the tip support toward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the extension. A protruding portion 156c or 166c protruding from th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lide recess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nd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01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omprising a protrusion adjustment section (156d or 166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에는 상기 도전성 팁부(152 또는 162)가 관통하는 팁부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151 또는 161)는 상기 연장부(156b 또는 166b)에서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에 고정되어 그 고정점에서부터 상기 팁부(152 또는 162)까지의 상기 도전체(151 또는 161)는 탄성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서,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팁부가 상기 팁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도전체가 상기 팁부 지지부와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할 때에는 상기 팁부는 상기 2차전지와 접촉하면서 상기 팁부 관통홀을 통하여 뒤로 밀려나서 상기 도전체가 상기 팁부 지지부와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ip support part 156a or 166a has a tip par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tip part 152 or 162 penetrates, and the conductor 151 or 161 is the conductor support part in the extension part 156b or 166b. Fixed to 156 or 166, and the conductor 151 or 161 from the fixed point to the tip portion 152 or 162 is elastically changed. When the tip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battery, the tip portion is The conductor i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support while in the state of penetrating the tip through-hole, and when contacting the secondary battery, the tip is pushed back through the tip through-hole while contact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conductiv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eve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상기 팁부 지지부(156a 또는 166a)와 상기 연장부(156b 또는 166b) 사이에 경사진 연결경사부(156e 또는 166e)를 가지고, 상기 팁부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has a connecting inclined portion 156e or 166e inclined between the tip support 156a or 166a and the extension 156b or 166b, the tip support being more than the extension.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igh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51 또는 161)는 상기 연장부(156b 또는 166b)에서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에 고정된 후 분할되어 상기 팁부(152 또는 162)와 상기 내부 슬라이드 접점(154 또는 164)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내부 슬라이드 접점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있는 상기 도전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팁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경사부(156e 또는 166e)를 거치는 상기 도전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팁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있는 상기 도전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ductor 151 or 161 is fixed to the conductor support 156 or 166 in the extension portion 156b or 166b and then divided into the tip portion 152 or 162 and the inner slide contact 154 or 164. Wherein the inner slide contact extends from the extension and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onductor in the extension, and the tip extends from the extension to connect the inclined portion 156e or 166e. A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conductor passing through the tip through hole formed in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conductor in the exten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에 아래에서 결합하는 하부덮개(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덮개의 한 측면에는 그 측면벽(11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요홈 형성용 내벽(113)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장공의 요홈(17)과 평행한 슬라이드 요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체 지지부(156 또는 166)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 본체(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연장부(156b 또는 166b)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덮개(110)의 상기 슬라이드 요홈(115)에 삽입되는 제2 삽입돌출부(156c' 또는 166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a lower cover 110 coupled to the battery charger body 10 from below, an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an inner wall for forming a slide groove inward of the side wall 111 ( 113 is formed to form a slide groove 115 parallel to the groove 17 of the long hol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wall,
The conductor support portion 156 or 166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ortion 156b or 166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portion 156c or 166c inserted into the slide recess 105 of the battery charger body 10.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56c 'or 166c') that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5 of the lower cover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도선(170)은 상기 충전회로부(5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PCB)(120) 상에 인쇄된 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wire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part 50 is a conductive wire pri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20 on which the charging circuit part 50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충전회로부(50)에 연결되는 내장 배터리(180) 및 USB 포트(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 배터리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battery 180 and a USB port 190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wherein the internal battery is for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connected to the USB port.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내장 배터리(18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00) 및 상기 내장 배터리의 작동을 시작하는 전원 스위치(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회로부(50)는 상기 USB 포트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내장 배터리에 의하여 상기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USB 포트에 외부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았음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further includes a display means 200 for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of the built-in battery 180 and a power switch 210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battery, and the charging circuit unit 50 includes the USB. When the external battery is connected to the port, the external battery is charged by the built-in battery,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external battery is not connected to the USB port while the power switch of the built-in battery is turned on, the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witch to the off state.
KR20120000631U 2012-01-27 2012-01-27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KR2004606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0631U KR200460647Y1 (en) 2012-01-27 2012-01-27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0631U KR200460647Y1 (en) 2012-01-27 2012-01-27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647Y1 true KR200460647Y1 (en) 2012-06-04

Family

ID=4732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0631U KR200460647Y1 (en) 2012-01-27 2012-01-27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64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33B1 (en) * 2014-12-05 2015-11-24 (주)휴레이저 Portable handpiece treatment apparatus using laser
WO2016140397A1 (en) * 2015-03-04 2016-09-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Battery mounting assembly and battery replace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7213A (en) 1999-03-23 2000-10-06 Nec Saitama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of power source adapter
KR100876745B1 (en) 2006-12-22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88932B1 (en) 2010-05-11 2011-12-01 김창웅 A nonpolar and free voltage charger for recharg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7213A (en) 1999-03-23 2000-10-06 Nec Saitama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of power source adapter
KR100876745B1 (en) 2006-12-22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88932B1 (en) 2010-05-11 2011-12-01 김창웅 A nonpolar and free voltage charger for rechargable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33B1 (en) * 2014-12-05 2015-11-24 (주)휴레이저 Portable handpiece treatment apparatus using laser
WO2016140397A1 (en) * 2015-03-04 2016-09-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Battery mounting assembly and battery replac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6670B2 (en) Handheld game controller assembly
JP4462112B2 (en) Electric tool
US7999509B2 (en) Universal charger for NiH and lithium batteries
CN109713764B (en) Battery pack
AU2017261050B2 (en) Charging device
US7581977B1 (en) Safety socket
US9660463B2 (en) Apparatus comprising power strip and battery
EP1905136A2 (en) Compact electrical power outlet system
TWM377786U (en) Ac and dc dual input charger
US20140061312A1 (en) Touch control barcode scanner and barcode scanning device having the scanner
US20120196658A1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WO2017198130A1 (en) Adapter,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device
HK1109243A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0460647Y1 (en) Multifunctional battery charger
US8531156B2 (en) Battery charger with retractable contacts
CN111261971A (en) Battery pack
CN111261811A (en) Battery pack
JP5011915B2 (en) Charging stand
TWI379334B (en)
CN204155808U (en) Multiloop push switch
KR101433884B1 (en)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battery
CN111261813A (en) Power supply system
US7755322B2 (en) Mechanical coupling system, associated electrical supply unit, and associated charging device
JP5065002B2 (en) Charging stand
TWI550966B (en) Wall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