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49Y1 -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 Google Patents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49Y1
KR200460449Y1 KR20100001605U KR20100001605U KR200460449Y1 KR 200460449 Y1 KR200460449 Y1 KR 200460449Y1 KR 20100001605 U KR20100001605 U KR 20100001605U KR 20100001605 U KR20100001605 U KR 20100001605U KR 200460449 Y1 KR200460449 Y1 KR 200460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rush
toothbrush
bristles
s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1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38U (ko
Inventor
최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디아이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디아이티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디아이티비
Priority to KR20100001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를 닦는 동작을 하지 않고 씹기나 맞무는 동작 혹은 가볍게 맞문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직이는 것 만으로도 이를 닦을 수 있어 유아, 노인, 장애자 등에 유용한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toothbrush with teeth engagement part}
본 고안은 이를 닦는 동작을 하지 않고 씹거나 맞무는 동작 혹은 가볍게 맞문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이를 닦을 수 있어 유아, 노인, 장애자 등에 유용한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칫솔질은 어른이 칫솔을 유아의 입 속에 넣어 닦아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칫솔질할 때마다 어른이 시간을 들여 닦아줄 필요가 있어 번거롭고 아이의 자주성을 길러 주는 데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에게 맞는 칫솔질을 하기도 곤란하고 오랜 시간 입을 벌리고 있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칫솔로 일본 실용신안등록 3033182호 관보에 기재되어 있는 맞무는 칫솔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기재된 맞무는 칫솔은 맞무는 동작에 의해 칫솔질을 하기 때문에 본체가 손상되기 쉽고 특히 맞무는 부분이 절단되거나 브러시모나 칫솔 본체 자체가 손상 내지는 절단되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소모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아가 사용할 경우 부드러운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씹는 것으로 착각하거나 반사적으로 삼켜 버릴 위험성도 지적되어 왔다.
일본실용신안등록3033182호관보
해결하고자 한 문제점은 예전의 맞무는 칫솔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소모되거나 파손되는 점이다. 또한 유아 등이 사용할 경우 잘못하여 먹어 버릴 위험이 있는 점이다. 더욱이 브러시모도 쉽게 못쓰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청정 기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점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하였다.
(1)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의 둥근 맞무는 부분 13과, 맞무는 부분 13의 상호 마주보는 긴 변을 따라 아래 위로 돌기하여 브러시(brush) 홈 14, 15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를 가진 단면 H자 형태의 헤드 1과, 헤드 1에 결합된 손잡이 2, 3으로 구성된다.
헤드 1에 만들어진 브러시(brush) 홈 14, 15에는 각각 브러시모 16, 17이 심어져 있고, 손잡이는 2, 3은 헤드 1의 측면 부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자루 2와 이 자루 2에 연속하여 만들어진 변형된 링 형태의 환상체 3이 있다.
헤드 1의 맞무는 부분 13의 두께가 측면 부분 11, 12의 두께의 1.2?2배이며 환상체 3의 바깥 원 최대 직경이 헤드 1의 짧은 측면 부분 12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이다.
(2) 브러시모는 맞무는 부분이 브러시(brush) 홈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심어져 있고 측면 부분에서는 브러시(brush) 홈의 개구부를 향해 비스듬히 심어져 있다. 브러시모의 지름은 끝 부분(선단)과 심어져 있는 뿌리 근처를 제외한 총 길이의 2/3 이상 영역이 같다. 브러시모가 심어져 있는 부분의 최대 직경이 브러시모의 끝 부분으로부터 브러시모 길이의 1/2인 부위의 직경의 120 ~ 200 %가 되도록 뿌리 부분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3) 측면 부분에 심어져 있는 브러시모는 브러시(brush) 홈의 입에 무는 부분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가장 길게 형성된다.
(4) 브러시모의 몸체 부분의 지름은 0.20 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은 맞무는 부분의 강도가 뛰어나며 쉽게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좋다. 또한 유아 등이 사용해도 잘못하여 삼킬 위험이 크게 줄어들어 안전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브러시모의 내구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청정 기능의 저하도 적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일 실시예(실시예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일 실시예(실시 예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로 구부러진 맞무는 부분 13과, 상기 맞무는 부분 13의 상호 마주보는 구부러진 긴 변을 따라 아래 위로 세워져 상기 맞무는 부분 13의 아래 위에 브러시(brush) 홈 14, 15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가 달린 단면 H자형 헤드 1과,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손잡이 2, 3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 1의 아래 위에 형성된 브러시(brush) 홈 14, 15에는 각각 브러시모 16, 17이 심어져 있으며, 상기 손잡이 2, 3은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자루 2와 상기 자루 2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변형된 링 형태의 환상체 3을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 1의 H자형 단면 중앙부이며 상기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를 연결하는 상기 맞무는 부분 13의 두께는 상기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 두께의 1.2 ~ 2 배이며, 상기 환상체 3의 최대 외접원의 직경이 상기 헤드 1의 짧은 쪽 측면 부분 12의 길이 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처럼 손잡이 본체의 크기를 칫솔의 짧은 쪽 측면 부분의 길이 보다 길고 크게 함으로써 잘못하여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맞무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칫솔은 청정 또는 청소 작업을 하는 부분이며 본 고안에서는 보통 칫솔과는 달리 씹는 것에 가까운 맞무는 동작이나 살짝 맞문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직임으로써 이를 닦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마주보는 두 개의 ㄷ자형 또는 U자형 브러시(brush) 홈이 있으며 이 홈 내에 심어진 브러시모에 의하여 이를 닦는다. 즉, 맞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브러시(brush) 홈 내부를 이가 아래 위로 움직임으로써 여기에 심어진 브러시모가 이의 더러운 것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브러시(brush) 홈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헤드는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로 구부러진 맞무는 부분과 이 맞무는 부분의 상호 마주보는 긴 변을 따라 아래 위로 돌기한 두 개의 측면 부분을 갖게 된다. 따라서 헤드의 단면은 H자형이 된다.
헤드 1의 맞무는 부분 13은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형의 1/4, 특히 사람의 치열 곡선의 1/2에 맞춘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을 함으로써 한 번에 치열의 약 1/2 영역을 덮을 수가 있어 효과적으로 청정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나머지 1/2의 치열 영역은 헤드를 반전시킴으로써 손쉽게 대응할 수가 있다. 나아가 실제 이와 똑같이 맞무는 부분 13의 앞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좁게하고 어금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앞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대하여 어금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5 ~ 30 % 정도 넓게 하는 게 좋다. 실제로는 사용하는 연령층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폭으로 설정하는 게 좋다.
맞무는 부분 13은 헤드 1의 H자형 단면 중앙부를 구성하며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를 상호 연결한다. 맞무는 부분 13의 두께는 측면 부분 11, 12의 두께의 1.2 ~ 2 배,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1.4 ~ 1.8 배이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너무 두꺼우면 사용상 위화감이 증대되어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보통 맞무는 부분 11, 12과 측면 부분 11, 12은 일체화하여 구성된다. 이것들의 구성 재료로는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성 비닐(vinyl), 실리콘 고무나 스틸렌(styrene)계, 올레핀(olefin)계, PVC계, 우레탄(urethane)계, 에스테르(ester)계, 아미드(amide)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elastomer)수지 등의 유연한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고무(rubber) 등의 천연 수지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어느 정도 높은 연령층에게는 보통 칫솔의 헤드(head)에 사용되는 연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polyolefin)(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 폴리에스테르(polyester)(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 메틸렌 테레프탈염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염산(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의 브랜드(blend)를 포함),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의 브랜드(blend)를 포함), 폴리옥시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AS 수지, ABS 수지,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propionate), 폴리아미드(polyamide)(나일론(nyl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MMA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 칫솔은 헤드 본체에 여러 개의 브러시모가 심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칫솔의 브러시모는 보통 나일론 등으로 만들어져 지름이 200 μm 정도, 높이는 10 ㎜ 정도이다. 이 브러시모가 여러 개씩 다발로 묶여 헤드 부분에 형성된 태프트(tuft) 구멍에 심어진다.
본 고안에 이용된 브러시모는 보통 브러시모와는 달리 브러싱 동작이 아닌 맞무는 동작에 의해 청소하므로 브러시모의 크기도 보통 칫솔과는 다른 전용 브러시모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브러시모는 끝 부분(선단 부분)과 뿌리 근처를 제외한 전장 2/3 이상의 영역에 걸쳐 거의 지름이 같고, 바람직하게는 브러시모 뿌리의 최대 지름 부분의 직경이 브러시모 16, 17의 끝 부분으로부터 브러시모 길이의 1/2 인 부위의 직경의 120 ~ 200 %, 좀 더 바람직하게는 140 ~ 180 % 가 되도록 뿌리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모의 필라멘트(filament) 길이의 1/2 부위인 몸통 부분 섬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0.20 ㎜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다. 그 상한으로서는 특별한 규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스럽게는 2㎜ 이하, 좀더 바람직스럽게는 1.6㎜ 이하이다. 섬유가 너무 가늘면 내구성이나 청정 기능면에서 문제가 있고, 너무 굵으면 사용감이 악화되어 청정 기능도 저하된다.
맞무는 부분 13에 심어진 브러시모 16은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하여 직립해 있고, 측면 부분 11, 12에 이식된 브러시모 17은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하여 비스듬히 돌기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맞무는 부분 13에 심어진 브러시모 16은 맞무는 부분 13의 중앙 부분에 심어진 것은 높게, 직사각형의 긴 변쪽인 양쪽 측부 부분 근처에 심어진 것은 낮게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부분에 심어진 것에 대해 양쪽 측부 부분에 심어진 것을 20 % 이하나 5 % 이상 낮게 만든다. 또한 측면 부분 11, 12에 심어진 브러시모 17은 측면 부분 11, 12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5°이하, 10°이상의 각도로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더욱이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에 가까운 브러시모가 가장 길고, 맞무는 부분 13에 가까운 브러시모가 가장 짧게 되도록 만들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에 가까운 브러시모에 대해 맞무는 부분 13에 가까운 브러시모를 20 % 이하 5 % 이상 낮아지도록 만들면 좋다.
브러시모로는 널리 알려진 용융방사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수지제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일론(nylon)(6-12, 6-10, 6-6),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등 합성 수지의 한 가지나 두 가지 이상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끝 부분(선단)을 둥글게 하거나 테이퍼형으로 만들 때에는 널리 알려진 알칼리 용해법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olypropylene terephthalate), 이들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나 블렌드(blend)가 적합하다. 또한 칫솔과 동일 재료로 하거나, 별도로 만들어도 된다.
손잡이 2, 3은 칫솔의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자루 2와, 자루 2로부터 연속하여 만들어진 변형 링 상태의 환상체 3으로 구성된다. 자루 2는 칫솔의 측면 부분 11에 연결되어 환상체 3와 헤드 1을 이어준다. 자루 2는 도면에서는 두 개의 브리지(bridge) 21, 22와 이들이 만나는 결합 부분 23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할 필요 없이 맞무는 부분 13의 평면 방향에 대한 휨이나 비틀림에 대하여 일정 강도를 가지고 있고 이를 닦는 동작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구조이면 된다. 또한 두 개의 브리지(bridge) 21, 22로 구성했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브리지(bridge) 21, 22를 측면 부분 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멀리 떨어진 위치에 결합시켜 맞무는 부분 13의 평면 방향에 대한 휨이나 비틀림에 일정 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측면 부분 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손잡이 2, 3이 헤드 1에 결합하는 위치와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맞무는 부분 13의 측면 부분 11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서 2개의 브리지 21, 22 사이를 지나는 중심축이 측면 부분 11 원호의 안쪽 끝부분 11a의 접선과 대략 평형이 되도록 설치한다. 즉 똑바로 입에 넣었을 때에 좌우 치열 가운데 어느 하나가 한쪽 곡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하면 된다.
변형 링 상태의 환상체 3은 중앙에 손으로 쥐는 공간 4를 확보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은 D형, 타원, 원형을 뭉개뜨리거나, 일부를 울퉁불퉁하게 하거나, 물결치는 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변형 링 상태의 환상체 3의 최대 지름이나 외접원의 직경은 상기 헤드 1의 짧은 쪽 측면 부분 12의 길이보다 길게 할 필요가 있다. 혹은 상기 측면 부분 11 원호의 안쪽 끝부분 11a의 접선 방향으로부터의 투영면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요컨대 헤드 1을 입에 삽입할 때의 외관 크기(길이)보다 크게(길게) 하면 된다. 이처럼 변형 링 상태의 환상체 3의 크기를 헤드 1의 외관 크기보다 크게 함으로써 잘못하여 삼킬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가 있다.
환상체 3도 자루 2와 비슷한 재질로 구성해도 좋으며, 이 부분만 특별히 강도나 강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혹은 질감이나 디자인을 고려한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을 사용할 경우, 헤드 1을 구강 내에 배치하고 윗니와 아랫니로 브러시(brush) 홈 14, 15를 맞무는 동작을 하든가, 가볍게 문 상태로 손잡이 2, 3을 움직여 헤드 1을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손쉽게 이의 청소를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은 단면 H자형의 헤드 1과 이 헤드 1의 측면 부분 11에 결합된 손잡이 2, 3으로 구성된다. 헤드 1은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로 둥글게 구부러진 맞무는 부분 13과, 맞무는 부분 13의 상호 마주보는 구부러진 긴 변을 따라 아래 위로 돌기하여 브러시(brush) 홈 14, 15을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2, 3은 헤드 1의 구부러진 한쪽 측면 부분, 이 예에서는 외주측 원호를 형성하는 측면 부분 11에 결합된 자루 2와, 이 자루 2에 연속 결합되어 형성된 변형된 링 상태인 D자 형상의 환상체 3으로 구성된다.
헤드 1의 맞무는 부분 13은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상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확히 치열 곡선의 1/2에 해당하는 형상이다. 또한 맞무는 부분 13은 앞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좁게, 어금니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넓게 만들었으며 맞무는 부분 13의 두께는 측면 부분 11, 12의 두께 보다 1.5배 정도 두껍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1에는 위 아래로 "ㄷ"자형 내지는 "U"자형의 브러시(brush) 홈 14, 15가 형성되어 있어 단면 H자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윗부분 측면 부분 11a, 12a와 맞무는 부분 13의 윗면에 의해 윗부분 브러시(brush) 홈 14가 형성되고, 아랫부분 측면 부분 11b, 12b와 맞무는 부분 13의 아랫면에 의해 아랫부분 브러시(brush) 홈 15가 형성된다. 브러시(brush) 홈 14, 15의 맞무는 부분 13과 측면 부분 11, 12에는 각각 브러시모 16, 17이 심어져 있다. 맞무는 부분 13에 심어진 브러시모 16은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해 직립하게, 측면 부분 11, 12에 심어진 브러시모 17은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해 약 45° 각도로 비스듬하게 심어져 있다. 이 예에서 맞무는 부분 13에 이식된 브러시모 16은 맞무는 부분 13의 중앙부에 심어진 것이 높고 긴 변측인 양쪽 측부에 심어진 것이 10 ~ 20 % 정도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측면 부분 11, 12에 이식된 브러시모 17은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에 가까운 브러시모가 가장 길고, 맞무는 부분 13에 가까운 브러시모가 가장 짧게 되어 있다.
손잡이 2, 3은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에 결합된 자루 2와, 이 자루 2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변형된 링 상태인 D형상의 환상체 3으로 구성된다. 자루 2는 헤드 1의 측면 부분 11에 결합된 두 개의 브리지(bridge) 21, 22와 이들이 만나는 연결 부분 23으로 구성된다. 브리지(bridge) 21, 22는 측면 부분 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진 위치에서 결합하며, 맞무는 부분 13의 평면 방향에 대한 휨이나 비틀림에 일정 강도를 가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 부분 11 길이의 1/2 정도 떨어진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가 헤드에 대하여 결합된 위치와 방향은 맞무는 부분의 측면 부분 11의 중앙을 기점으로 1/3정도 벗어난 위치에서, 2개의 브리지(bridge) 21, 22사이를 지나는 중심축이 측면 부분 원호의 안쪽 끝 부분 접선과 대략 평형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똑바로 입에 넣었을 때에 좌우 치열 가운데 어느 하나가 한쪽 곡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은 단면 H자 형상의 헤드 1과, 이 헤드 1의 측면 부분 11에 결합된 손잡이 2, 3으로 구성된다. 이 예의 손잡이 2, 3은 자루 2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변형된 링 형태의 환상체 3으로 구성되며, 환상체 3의 형상이 6각형을 변형시킨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헤드의 구성을 통해 맞무는 부분의 강도가 뛰어나고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환상체를 손잡이로 이용함으로써 유아가 사용하다가 잘못하여 삼킬 위험이 대폭 감소하며 안전성이 매우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브러시모의 내구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청정 기능의 저하도 적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은 영아, 유아, 초등학교 아동까지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영유아는 어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기가 입에 무는 감각으로 칫솔질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손이 가지 않아 자주성도 기를 수 있다. 더욱이 장애인이나 노인 등, 도움이 필요한 어른에게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1:헤드 11, 12:측면 부분
13:맞무는 부분 14, 15:브러시(brush) 홈
16, 17:브러시모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치열을 따라 원호 형태로 구부러진 맞무는 부분 13과,
    상기 맞무는 부분 13의 상호 마주보는 구부러진 긴 변을 따라 상하로 세워져 상기 맞무는 부분 13의 상하에 브러시(brush) 홈 14, 15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부분 11, 12를 가진 단면 H자형 헤드 1과,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손잡이 2, 3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 1에 형성된 상기 브러시(brush) 홈 14, 15에는 각각 브러시모 16, 17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2, 3은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자루 2와, 상기 자루 2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변형된 링 상태의 환상체 3을 가지고 있고,
    상기 헤드 1의 맞무는 부분 13의 두께가 상기 측면 부분 11, 12의 두께의 1.2 ~ 2 배이며, 상기 환상체 3의 최대 외접원의 직경이 상기 헤드 1의 짧은 쪽 측면 부분 12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모 16, 17은 상기 맞무는 부분 13에서는 상기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에서는 상기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되,
    상기 브러시모 16, 17은 끝 부분과 뿌리 근처를 제외한 전장 2/3 이상의 영역에 걸쳐 지름이 같고, 상기 브러시모 16, 17 뿌리의 최대 지름 직경이 상기 브러시모 16, 17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브러시모 16, 17 길이의 1/2인 부위의 직경의 120~200%가 되도록 상기 브러시모 16, 17의 뿌리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1의 측면 부분 11, 12에 형성된 브러쉬모 17은 상기 브러시(brush) 홈 14, 15의 개구부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가장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모 16, 17의 몸통 부분의 지름이 0.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KR20100001605U 2009-02-12 2010-02-12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KR200460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605U KR200460449Y1 (ko) 2009-02-12 2010-02-12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9-000657 2009-02-12
KR20100001605U KR200460449Y1 (ko) 2009-02-12 2010-02-12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38U KR20100008338U (ko) 2010-08-20
KR200460449Y1 true KR200460449Y1 (ko) 2012-06-04

Family

ID=4445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1605U KR200460449Y1 (ko) 2009-02-12 2010-02-12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6339B (zh) * 2018-10-08 2024-03-12 珠海云尚医疗科技有限公司 口腔健康管理套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652A (en) 1970-11-30 1973-11-06 C Rainer Chewing tooth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652A (en) 1970-11-30 1973-11-06 C Rainer Chewing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38U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351B2 (ja) 歯ブラシ
AU2020273353B2 (en) Oral care implement
US12185829B2 (en) Oral care implement
ES2245678T3 (es) Cepillo de dientes.
RU2145180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CN101115418B (zh) 口腔护理器具
US5499421A (en) Twin-headed toothbrush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JP2008154808A (ja) 歯ブラシ
CA2626101A1 (en) Oral care implement
CN107105882A (zh) 口腔护理器具
BR112017028486B1 (pt) Cerda de monofilamento e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CN204812617U (zh) 牙刷
RU2325831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US5121520A (en) Twin-headed toothbrush
KR200460449Y1 (ko) 맞무는 부분을 구비한 칫솔
JP3150433U (ja) 噛み合い式歯ブラシ
CN105188471A (zh) 口腔护理器具
KR101769410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0282830Y1 (ko) 잇몸 맛사지구가 구비된 유아용 손가락 칫솔
JP4802584B2 (ja) 口腔用清掃具及びこれを用いた口腔清掃方法
US9510666B1 (en) Training toothbrush
KR20240115576A (ko) 칫솔모의 다중 각도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KR102697852B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