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21Y1 - Dual vessel - Google Patents

Dual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21Y1
KR200460321Y1 KR2020090010515U KR20090010515U KR200460321Y1 KR 200460321 Y1 KR200460321 Y1 KR 200460321Y1 KR 2020090010515 U KR2020090010515 U KR 2020090010515U KR 20090010515 U KR20090010515 U KR 20090010515U KR 200460321 Y1 KR200460321 Y1 KR 200460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unit
rib
storage container
lever r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5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1698U (en
Inventor
이도훈
여명권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riority to KR2020090010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21Y1/en
Priority to PCT/KR2009/005874 priority patent/WO2011019106A1/en
Publication of KR20110001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9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외용기(110)와,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와,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과,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60)과, 상기 외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하는 숄더(170)와, 상기 숄더(1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누름버튼(180)과,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설치되어 누름버튼(180)이 가압되어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킬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펌프 유닛(140)(150)의 동작이 누름버튼(180)과 연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the upper container is open and the lower is closed, the outer container 110, the agent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10 and the contents are stored The first storage unit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nd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first installed in the inle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respectively 2 pump unit 150, the frame 160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nd the outer container 11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oulder exposed to the outside and supporting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nd is installed on the shoulder 170, the first pump unit Push button 18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rough the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nd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When the push button 180 is pressed on the surface to operate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he operation of any one pump unit 140, 15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Provided is a dual container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ection switch unit (200) for blocking not associated with the push button 180.

듀얼 용기, 배출 선택, 선택 스위치, 펌프, 듀얼, 2점식, 3점식  Dual Vessel, Discharge Select, Selector Switch, Pump, Dual, 2-Point, 3-Point

Description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DUAL VESSEL}Dual container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contents {DUAL VESSEL}

본 고안은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자가 각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할 수 있어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ontainer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select the discharge of each contents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each storage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contents which are convenient for use by discharging them or simultaneously.

일반적으로 화장품, 샴푸, 세제 등의 액상 또는 점성이 낮은 겔(gel) 상태의 내용물은 용기에 저장하여 판매되고 이렇게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서 내용물을 사용자가 쉽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입구에 펌프 유닛을 설치하게 된다.In general, liquid or low-viscosity gel contents such as cosmetics, shampoo, and detergent are stored and sold in the container, and the pump unit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where the contents are stored. Will install

특히, 서로 다른 성분과 효과를 갖는 내용물을 용기에 함께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내용물을 펌프 유닛에 의해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를 통상 듀얼 용기라 하는데, 이러한 듀얼 용기는 예를 들어, 2종의 색상 또는 성분의 화장료를 각각 저장한 상부가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감싸는 외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 유닛 및 상기 펌프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누름버튼으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a container in which contents having different ingredients and effects are stored together in a container and the stored contents can be discharged and used by a pump unit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dual container. Such a dual container is, for example, two colors. Alternatively, a storage container for forming an open inlet for storing the cosmetics of each component, an outer container for enclos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a pump unit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re installed on the pump unit.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s formed and consists of a push button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as the user presses.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각 저장용기에 설치된 펌프 유닛이 작동하여 해당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누름버튼의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누름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각각의 저장용기에서 펌프 유닛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누름버튼의 토출구에서 혼합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누름버튼의 토출구에서 각각 배출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혼합시켜 사용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the pump unit installed in each storage container operates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push button or to press the push button to pump in each storage container.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unit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mixed state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push button, or the user mixes the contents discharg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push button.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저장용기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누름버튼의 가압에 따라 펌프 유닛이 눌려지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배출시키고 그 배출된 공간만큼 피스톤이 저장용기의 입구를 향하여 이동하여 내용물을 펌프 유닛으로 밀어 올리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some cases, a piston is installed inside each reservoir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reservoir by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pump unit is pressed in response to the push of the pushbutton, and the piston opens the inlet of the reservoir as much as the discharged space.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an be smoothed by a series of operations of moving toward and pushing the contents to the pump uni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 용기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설치된 펌프 유닛을 작동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각 펌프 유닛의 상부에 누름버튼이 설치되거나 또는 동일한 누름버튼을 공유한 펌프 유닛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의 저장용기 저장된 내용물을 펌프 유닛으로부터 배출시킨 후 누름버튼을 통해 각각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혼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의 누름동작에 의해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ual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a push button i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pump unit to operate the pump unit installed in each storage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or by operation of a pump unit sharing the same push button. Each storage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pump unit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sh button, o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mixes the contents direct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electively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즉, 펌프 유닛에 설치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 용자가 가압하게 되는 누름버튼이 종래의 듀얼 용기에는 펌프 유닛의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그에 해당하는 누름버튼을 가압시켜 배출시키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또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설치된 펌프 유닛의 작동에 의해 배출된 내용물을 배출과정에서 혼합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한번의 누름버튼 동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한번의 누름버튼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선택이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That is, a push button installed in the pump unit and pressed by the user to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ump units in the conventional dual container, so that the user is required to discharge the contents required by the user. In most cases, the corresponding pushbutton was discharged by pressurizing, or the contents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installed in each storage container were mixed in the discharge proces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re is no option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contents of or to discharge and use different contents at the same time by one push button oper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한번의 누름버튼 동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contents contained in each storag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individually or discharged at the same time by one push button ope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ual container that can be controlled by.

상기와 같은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외용기(110);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에어리스형으로 이루어진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60); 상기 외용기(110)의 상부에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하는 숄더(170); 상기 숄더(1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누름버튼(180);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18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킬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동작이 누름버튼(180)과 연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택 스위치부(200)는,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안내홀(172)에 안내되고, 상기 안내홀(172)을 통해 상기 숄더(17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돌기(212)가 형성된 스토퍼(210)와,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기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서 각각 회전하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숄더(17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돌기(212)와, 상기 조작돌기(212)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숄더(170)의 안내홀(172) 이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빔(214)과,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각각 연결되는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은, 상기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와,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와 연결되는 제1유입구(224) 및 제2유입구(234)와,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 각각의 측면에서 상기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 각각을 향하여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와, 상기 제1유입구(224)와 제2유입구(234)의 측면에서 숄더(170)를 향하여 형성되고 스토퍼(210)에 형성된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 각각에 연결되는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 각각 삽입되어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결되는 탄성복원재질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상기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상기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상기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틀리는 비대칭(L1≠L2)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상기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상기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상기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같은 대칭(L1=L2)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object, the outer container 110, the top is open and the bottom is closed; A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a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110 and formed of an airless type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 first pump unit 140 and a second pump unit 150 installed at an inlet formed o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respectively; A frame 160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 shoulder 17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nstalled on the shoulder 170,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o push button 18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o operate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by pressing the push button 180, the first pump uni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Selection switch unit 200 for blocking the operation of the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s not associated with the push button 18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s guided to the guide hole 172 form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hrough the guide hole 172 Each flow path of the push button 180 which is installed on the stopper 210 and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discharged contents The first lever unit 220 and the second lever unit are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rot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pper 210. 230 and the first button 220 and the push button 180 located above the second lever ring 230 are integrally form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210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pper 21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ing rib 250 formed to be offset from the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For the discharge of water is selectively achieved by the dual-container that can be controlled.
The stopper 2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guide hole 172 of the shoulder 170. First and second holders 216 and 2, which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eam 214 and the guide beam 214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espectively. 218).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may include a first outlet port 222 and a second outlet port 232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flow path of the push button 180, and the first outlet port. 222 and the first inlet 224 and the second inlet 23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utlet 232 and connected to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First upper ribs 226 formed toward the first pressurized ribs 240 and the second pressurized ribs 250 formed on the push button 180 at the sides of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respectively. And first holders 216 and the second upper ribs 236 and the first inlet 224 and the second inlet 234, which are formed toward the shoulder 170 and formed in the stopper 210. And a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a second connection arm 238 connected to each holder 218.
Eac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32 is inserted to include a first guide ring 260 and a second guide ring 270 made of an elastic restoring material connected to each flow path of the push button 180.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s of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the first pressing rib (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connect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first pressurizing rib at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L1) to 240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ing rib 250 is asymmetric (L1 ≠ L2) structure is different.
Positions of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the first pressing rib (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connect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first pressurizing rib at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The distance L1 to 240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ing rib 250 have the same symmetrical structure (L1 = L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에 의한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 또는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과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버튼(180)이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과 공유되기 때문에 한번의 누름버튼(18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The dual container which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or the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can be used. Since the push button 180 pressurized by the user to discharge the stored contents is shared with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one push button 180.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to discharg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must be constru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는 외용기(110)와 상기 외용기(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와, 상기 저장용기들(120)(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과, 상기 제1저장용기(120)와 제2저장용기(130)를 외용기(110) 내에서 지지하는 프레임(160)과, 상기 외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하는 숄더(170)와,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에 설치되는 누름버튼(18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uter container 110 and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110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nstalled on the storage containers 120 and 130, and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Frame 160 for supporting the storage container 130 in the outer container 110, and installed on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t consists of a shoulder 170, the push button 180 is installed in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특히, 상기 숄더의 내부에는 제1저장용기(120)와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키거나 또는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 또는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 중 어느 하나만을 배출시키는 선택 스위치부(200)가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shoulder to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t the same time or to the contents or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for discharging only one of the stored contents is installed.

부연하자면, 상기 외용기(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외용기(110)는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담을 수 있을 정도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상을 갖으며, 외용기(110)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외용기(110) 내에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160)과 결합되는 단턱(114)이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outer container 110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lower part is close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installed therein. That is, the outer container 110 provides an inner space to accommodate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has an open top and closed bottom.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is formed a stepped 114 is coupled with the frame 160 that can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n the outer container 110. .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는 그 내부에 액상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 각각의 상단은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이 설치된다.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forms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contents therein, an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re installed.

이러한,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는 그 내부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이 해당 저장용기(120)(130)로부터 빠져나간 양만큼 피스톤이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입구, 즉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 각각의 상단에 설치된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향해 이동하는 에어리스형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has a piston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stored therein, respectively, from the storage container 120, 130, the corresponding storage container 120,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that is, the airless container moving toward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내부 하단에 각각 피스톤(122)(132)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22)(132)과 대향하는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상단에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이 설치되어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내용물이 해당 펌프 유닛(140)(150)을 통해 배출될 때 내용물의 배출량만큼 피스톤(122)(132)이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pistons 122 and 13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lower ends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nd face the pistons 122 and 132.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o correspond to the contents of the storage containers 120 and 130. When discharged through the pump units 140 and 150, the pistons 122 and 132 are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s 120 and 130 as much as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이때, 상기 피스톤(122)(13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하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숨구멍(124)(134)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piston (122, 132), the bottom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formed with pores (124, 134)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respectively. do.

또한,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소진한 경우 액상 내용물이 소진된 해당 저장용기를 외용기(110)와 해당 펌프 유닛(140)(15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내용물이 충진된 저장용기를 외용기(110)와 해당 펌프 유닛(140)(150)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는 후술되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과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s exhausted, the storage container exhausted liquid contents of the outer container 110 and the pump unit 140, 150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separated to be us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new contents are filled in the outer container 110 and the pump unit 140, 150 to be used as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한편,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은,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펌프 실린더(142)(152)와, 상기 펌프 실린더(142)(152) 내부에서 내용물이 지나는 유로 입구(144a)(154a)를 형성하는 작동 피스톤(144)(154)과, 상기 펌프 실린더(142)(152)와 작동 피스톤(144)(154)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피스톤(144)(154)에 형성된 유로 입구(144a)(154a)를 개폐하는 밀폐 피스톤(146)(156)과, 상기 밀폐 피스톤(146)(156)과 작동 피스톤(144)(154)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 피스톤(148)(158)과,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내용물이 펌프 실린더(142)(152) 측으로만 흐르도록 해당 저장용기(120)(130)와 연통되는 펌프 실린더(142)(152)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149)(159)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inle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e storage container 120 ( A pump piston 142 and 152,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130, and an actuating piston forming a flow path inlet 144a and 154a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through the pump cylinder 142 and 152. 144 and 154,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pump cylinders 142 and 152 and the operating pistons 144 and 154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inlets 144a and 154a formed in the operating pistons 144 and 154. Sealing pistons 146 and 156, pressure pistons 148 and 158 for pressing and moving the sealing pistons 146 and 156 and the operating pistons 144 and 154, and corresponding storage containers 120 ( Check valves 149 and 159 install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pump cylinders 142 and 152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120 and 130 so that the contents of the 130 flow only to the pump cylinders 142 and 152. It consists of.

상기와 같은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제1펌프유닛(140)의 작동만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re the same, only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unit 14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 설치된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누름버튼(180)과 연계된 가압 피스톤(148)이 작동 피스톤(144)과 밀폐 피스톤(146)을 하향 이동시켜 작동 피스톤(144)의 유로 입구(144a)를 폐쇄하고 있던 밀폐 피스톤(146)이 작동 피스톤(144)의 유로 입구(144a)를 개방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he pressure piston 148 associated with the push button 180 operates the piston 144. And the closing piston 146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closing piston 146 closing the flow path inlet 144a of the operation piston 144 opens the flow path inlet 144a of the operation piston 144.

이때, 펌프 실린더(142)와 작동 피스톤(144)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게 되면서 압력이 증가하여 핌프 실린더(142)와 작동 피스톤(144) 사이의 내용물이 작동 피스톤(144)의 유로 입구(144a)로 밀려 나가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pace between the pump cylinder 142 and the operating piston 144 decreases, the pressure increases so that the contents between the pimp cylinder 142 and the operating piston 144 become the flow path inlet 144a of the operating piston 144. Will be pushed out.

그리고, 누름버튼(180)에 가해졌던 외력이 사라지면 펌프 실린더(142)와 가압 피스톤(148)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 피스톤(148)이 하향 이동하게 됨에 따라 압축 되었던 스프링(141)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가압 피스톤을(148)을 상향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압 피스톤(148)의 이동에 따라 작동 피스톤(144) 및 밀폐 피스톤(146)도 상향 이동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ush button 180 disappears, the spring 141, which is compressed between the pump cylinder 142 and the pressure piston 148 and moves downward, is compressed in the original state. The pressure piston 148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to be restored, and the actuating piston 144 and the closing piston 146 also move up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ure piston 148.

이와 같이, 가압 피스톤(148)과 작동 피스톤(144) 및 밀폐 피스톤(146)이 상향 이동하게 될 때 밀폐 피스톤(146)이 작동 피스톤(144)의 유로 입구(144a)를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작동 피스톤(144)의 유로 입구(144a)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압 피스톤(148)과 작동 피스톤(144) 및 밀폐 피스톤(146)이 상향 이동을 계속하게 되면 펌프 실린더(142)와 작동 피스톤(144) 사이의 공간이 증가하게 되면서 압력이 감소하여 진공압을 발생시키게 된다.As such, when the pressure piston 148, the actuating piston 144, and the seal piston 146 move upward, the seal piston 146 closes the flow path inlet 144a of the actuation piston 144. As such, when the pressure piston 148, the operation piston 144, and the closing piston 146 continue to move upward in the state where the flow path inlet 144a of the operation piston 144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pump cylinder 142 is performed. As the space between the pistons 144 increases, the pressure decreases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이에 따라서, 상기 제1저장용기(120)와 펌프 실린더(142) 사이를 막고 있던 체크 밸브(149)가 개방되어 제1저장용기(120)의 내용물이 펌프 실린더(142)와 작동 피스톤(14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제1저장용기(120)에 담긴 내용물을 제1펌프유닛(14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유로로 배출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check valve 149 which is blocking the first reservoir 120 and the pump cylinder 142 is open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first reservoir 120 are pump cylinder 142 and the operation piston 144. It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therebetween by repeating this operation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to the flow path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한편,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60)은 대략 외용기(110)의 내부 상단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외경을 감싸는 체결홀(162)(164)이 형성되며, 프레임(160)의 측면 하단은 외용기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114)에 체결되도록 형합의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60 installed on the inner top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pproximately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inner top of the outer container 110. It is formed to, the fastening holes 162, 164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60 is stepped formed on the top of the outer container It has a structure of mating to be fastened to 114.

또한, 상기 체결홀(162)(164)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산 체결되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프레임(16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60)을 외용기(110)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s 162 and 164, and a screw thread is screwed into the outer thread of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frame 16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s fixed to the frame 160.

이렇게,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외용기(110)에서 지지하도록 외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60)의 상부에는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하는 숄더(170)가 설치된다.Thus, the first pump unit 1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60 installed on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n the outer container 110. ) And a shoulder 170 for supporting the second pump unit 150 is installed.

상기 숄더(170)는 대략 외용기(110)의 상단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숄더(170)의 하단 내측에 단턱(174)이 형성되어 프레임(160)의 상단과 형합되는 구조를 갖고 프레임(160)의 체결홀(162)(164)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홀(176)(178)이 형성된다.The shoulder 170 has a shape that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110, the stepped 174 is form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170 has a structure that is join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160 and the frame ( Through holes 176 and 178 are formed to support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exposed upwar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62 and 164 of the 160.

특히,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선택 스위치부(200)의 조작돌기(212) 일부가 노출되는 안내홀(172)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숄더(170)의 상면 연부로 누름버튼(180)의 하단에 형성된 로드(181)가 통과하여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누름버튼(180)이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지홀(171)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is formed with a horizontal guide hole 172 to expose a part of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push button to the upper edge of the shoulder 170 ( As the rod 18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180 passes and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180, a support hole 171 is formed to guide the push button 180 to move downward.

그리고, 상기 숄더(170)의 상부에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고,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키는 누름버튼(180)이 설치된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170 discharges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o the user,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 Push button 180 to operate 150 is installed.

상기 누름버튼(180)은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배출과정에서 혼합되지 않도록 각각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바, 상기 제1펌프유닛(140)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을 누름버튼(180)의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182)로 안내하는 제 1 유로(184)와 상기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을 토출구(182)로 안내하는 제 2 유로(1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sh button 180 forms a respective flow path so that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re not mixed in the discharge process, and the first pump unit 140 Guides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o the discharge port 182 formed on the side of the push button 180. The second flow path 186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제 1 유로(184)와 제 2 유로(186)는 격벽(188)에 의해 구획되어져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에서 배출된 각각의 내용물이 토출구(1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혼합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88, the respectiv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s discharge port 182 ) Is not mixed until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렇게,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담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누름버튼(180)을 가압하여 제1펌프유닛(140) 또는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킬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펌프 유닛(140)(150)을 작동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부(200)가 숄더(170)의 측면 내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180)이 가압되더라도 제1펌프유닛(140) 또는 제2펌프유닛(150)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irst pump unit 140 or the second pump unit 150 by pressing the push button 180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o the outside. When operating,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so that the pump unit 140, 150 by the user's selection to discharge the contents, the push button 180 is pressed Even if only one of the first pump unit 140 or the second pump unit 150 by operating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부연하자면, 상기 선택 스위치부(200)는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안내홀(172)에 안내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스토퍼(210)와,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과 누름버튼(180)의 제 1 유로(184) 및 제 2 유로(186)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서 각각 회전하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의 상부에서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을 가압하는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로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s guided to the guide hole 172 form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he stopper 210 to move horizontally,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first The second pump unit 150 and the push button 18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respectively,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first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pper 210 Push button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espectively rotat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mp unit 150 A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a second pressurizing rib 250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180 to press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상기 스토퍼(210)는 크게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숄더(170)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홀(172)을 수평 이동하는 조작돌기(212)와, 상기 조작돌기(212)와 일체로 형성되고 조작돌기(212)를 중심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빔(214)과,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각각 연결되는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로 구성된다.The stopper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212 horizontally moves the guide hole 172 form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by the user's contact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 Guide beams 214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center 212,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eams 214 and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220 and the second lever 23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one holder 216 and a second holder 218.

상기 조작돌기(2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숄더(170)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홀(172)을 관통하여 숄더(17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조작돌기(212)의 끝단은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마찰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shoulder 170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172 form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is It may be formed by further including a friction surface (not shown) formed to prevent the sliding when the user contacts.

그리고, 상기 조작돌기(212)의 후면 즉, 사용자가 접촉하는 조작돌기(212)의 마찰면과 대향하는 안내홀(172)의 이면에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빔(214)이 상기 안내홀(172)의 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 각각에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연결되는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21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that is, the guide beam 214 extending left and ri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hole 172 facing the friction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that the user contacts. It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172,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6)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t both ends of the guide beam 214, respectively ( 218 is formed.

상기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과 연결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 각각과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 각각이 힌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have a shape of “⊂” on a plane, and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38 may be formed, but in some cases, both ends of the guide beam 214 and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38 may be used. Each may be connected by a hinge (not shown).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서 각각 회동하게 되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은, 앞서 설명한 누름버튼(180)의 제 1 유로(184) 및 제 2 유로(186)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와,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과 연결되는 제1유입구(224) 및 제2유입구(234)를 형성하게 된다.As such, the first lever 220 and the second lever 230 are rotated i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s the stopper 210 moves left and right. The first discharge port 2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3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222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of the push button 180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And a first inlet 224 and a second inlet 234 formed under the second outlet 232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그리고,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 각각의 측면에서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 각각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와, 상기 제1유입구(184)와 제2유입구(186)의 측면에서 숄더(17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스토퍼(210)의 가이드 빔(214) 양측단에 형성된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 각각에 연결되는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extending from the side of each of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toward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ing rib 250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180.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and the side of the first inlet 184 and the second inlet 186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shoulder 170, the guide of the stopper 210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38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am 214 are configured.

이때, 상기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은 숄더를 관통하고 스토퍼(210)의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숄더(170)의 관통홀(176)(178) 각각의 둘레에는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제 1 규제 홀(176a) 및 제 2 규체 홀(178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38 pass through the shoulder and the shoulder 17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of the stopper 210. Each of the through holes 176 and 178 of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holes 176a and 178a for regul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connecting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ng arm 238 is formed around each of the through holes 176 and 178. Is formed.

한편, 상기 누름버튼(180)의 상부에는 누름버튼(180)이 임의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토출구(182)를 통해 이물질이 제 1 유로(184) 내지 제 2 유로(186)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캡(112)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다. 상기 캡(112)는 숄더(170)의 상단과 형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캡(112)을 사용자가 숄더(17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upper part of the push button 180 prevents the push button 180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and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182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A cap 112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 or 3 to block entry to 186. The cap 112 has a structure that is combi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170,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or combine the cap 112 from the shoulder 170 as needed.

아울러,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1 유로(184) 및 제 2 유로(186) 사이의 각각에는 탄성복원재질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이 각각 회전하여도 해당 유로(184)(186)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누수없이 기밀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버튼(180)의 급격한 가압과 그에 따른 반발력에 의한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the push button 180 is made of an elastic restoring material. The guid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are install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discharged to the corresponding flow paths 184 and 186 even whe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otate. The first lever 220 and the second lever 230 and the first pressurized rib 240 and the second by the rapid pressurization of the push button 180 and the repulsive force, as well as can be discharged airtight without leakage. Breakage of the pressure rib 25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부연하자면,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의 상부에 탄성복원재질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링(260)과 제2가이드링(270)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링(260)과 제2가이드링(270)은 각각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1 유로(184) 및 제 2 유로(186)와 연결된다.In other words, the first guide ring 260 made of an elastic restoring material on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 second guide ring 270, and the first guid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and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Connected with.

상기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은 예컨데,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외력에 그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복원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선택 스위치부(200)의 수평 이동에 따른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이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상부에서 회전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을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이 완충하여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작동에 따라 내용물이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에 형성된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를 통해 누름버튼(180)의 제 1 유로(184) 및 제 2 유로(186)로 배출될 때 누수됨이 없이 기밀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guid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is made of an elastic restoring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is deformed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first guide may be a torsion generated whe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re rot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unit 140 or 150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The first outlet port formed i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s th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are fully buffered, and the pump units 140 and 150 are operated. When discharged to the first flow path 184 and the second flow path 186 of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2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32 is guided so as to be discharged confidentially without leaking.

또한, 누름버튼(180)의 급격한 가압 및 그에 따른 반발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이 개별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guid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individually absorb the shock generated by the sudden pressurization of the push button 180 and the corresponding repulsion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mponent in advance. d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의 동작을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ual container which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4 and FIG. 5.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택 스위치부의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기 상태에서의 선택 스위치부(200)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펌프유닛(140)의 상부에 설치된 제1레버링(22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 설치된 제2레버링(230)이 도면상 모두 수직되게 위치하게 된다.4 and 5 are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sition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n the initial state i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lever unit 220 and the second pump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mp unit 140 The second lever ring 2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150 is positioned vertically in all of the drawings.

즉, 제1레버링(220)에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과 제2레버링(230)에 형성된 제2상부리브(236)가 도면상 수직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의 직하방으로 형성된 제1연결암(228)과 제2연결암(238) 역시 도면상 수직된 상태로 위치하여 스토퍼(210)의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와 연결된다.That is, the first upper rib 226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on the second lever ring 230 are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upper part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38 formed directly below the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are also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drawing to form the first holder of the stopper 210.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한편, 상기 제1레버링(220)에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와 제2레버링(230)에 형성된 제2상부리브(236)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리브(240)와 제1상부리브(226)가 어긋난 상태로 위치하며, 제2가압리브(250)와 제2상부리브(236)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어느 정도 간섭을 받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180 located directly above the first upper rib 226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on the second lever ring 230. The first pressurized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ed rib 250 are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essurized rib 240 and the first upper rib 226 are displace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pressurized rib ( 25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ar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in a state of being interfered with to some extent.

즉,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28)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게 된다.That is,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essurizing ribs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s 250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28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그러나,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를 가압하여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키는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틀리는 비대칭(L1≠L2) 구조를 갖는다.However,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pressurizing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to operate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he rib 250 connects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distance L1 from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to the first pressurized rib 240. )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urization rib 250 have an asymmetric (L1? L2) structure.

이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선택 스위치부(200)의 초기 상태에서 스토퍼(210)를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 빔(214)과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에 형성된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의 위치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topper 210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n the initial state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llustrated in FIG. 4, both side ends of the guide beam 214 and the guide beam 214. The positions of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formed at the horizontally move from right to left.

이렇게, 상기 스토퍼(21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스토퍼의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와 연결된 제1레버링(220)의 제1연결암(228) 및 제2레버링(230)의 제2연결암(238)이 스토퍼(210)의 수평 이동만큼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하게 되어 제1상부리브(226)가 제1가압리브(24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2상부리브(236)가 제2가압리브(250)로부터 어긋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As the stopper 210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and the first connection arm 228 of the first lever ring 220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of the stopper. The second connecting arm 238 of the second lever 230 is rotated at the center of the pump units 140 and 150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opper 210 so that the first upper rib 226 is pressurized by the first pressure. The ribs 240 ar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ribs 240, and the second upper ribs 236 are positioned to be offset from the second pressurized ribs 250.

즉,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설치된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가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와 일치하거나 어긋나게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는 경우 해당 상부 리브(226)(236) 및 가압 리브(240)(25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어느 정도 간섭을 받아야 누름버튼(180)의 하향 이동에 따른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작동과 연계되고 해당 저장용기(120)(130)의 내용물을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토출구(18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formed o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pper 21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236 rotates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to coincide with or deviate from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ing rib 250 formed on the push button 180.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button 180, the upper ribs 226, 236 and the pressurization ribs 240 and 250 ar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to receive some interference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button 180. It i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140, 150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torage container 120, 1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82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즉,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제2가압리브(250)와 제2상부리브(236)를 통해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2 유로(186)를 통해 토출구(182)로 배출된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pump unit 150 is operated through the second pressing rib 25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The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8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86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second pump unit 150.

그리고,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제1가압리브(240)와 제1상부리브(226)를 통해 제1펌프유닛(14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1펌프유닛(14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1 유로(184)를 통해 토출구(182)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ump unit 140 is operated through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first upper rib 226.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8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4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 또는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버튼(180)이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과 공유되기 때문에 한번의 누름버튼(18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or the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hile it can be discharged and used, the push button 180, which the user presses to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Since it is shared with the pump unit 150,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to discharge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one push button 180.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 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and modifying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seen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선택 스위치부(200)의 스토퍼(210)가 좌우 이동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 또는 제2저장용기(130)에 담긴 내용물 중 어느 하나만을 해당 펌프 유닛(140)(15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토출구(182)로 배출시키는 2점식 선택 스위치부를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저장용기(120) 또는 제2저장용기(130)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제1저장용기(120)와 제2저장용기(130)에 담긴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키는 3점식 선택 스위치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on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or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pper 210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corresponds to the pump unit 140. Although the two-point selection switch unit for discharging to the discharge port 182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150 is described, in some cases, either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or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e three-point selection switch unit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contents of or to simultaneously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6 to 8.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선택 스위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6 to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28)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pressing ribs 240 and the second pressing ribs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The position of the 25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28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이와 함께,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를 가압하여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키는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같은 대칭(L1=L2)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operating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by pressurizing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The pressure rib 250 connects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distance L1 from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to the first pressure rib 240. )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ing rib 250 have the same symmetrical structure (L1 = L2).

이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 스위치부(200)의 초기 상태에서 스토퍼(210)는 숄더(170)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홀(172)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80)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누름버튼(180)에 일체로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가 각각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작동에 의해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각각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된다.Accordingly, in the initial state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shown in FIG. 6, the stopper 2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hole 172 formed at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ing rib 250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180 are respectively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The rib 236 is moved downward, thereby discharging respectiv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s 140 and 150.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선택 스위치부(200)의 초기 상태에서 스토퍼(210)를 도면상 중심에서 좌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 빔(214)과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에 형성된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의 위치가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opper 210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drawing to the left in the initial state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illustrated in FIG. 7, the guide beams 214 and the guide beams 214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eam 214. The positions of the formed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are horizontally moved to the left.

이렇게, 상기 스토퍼(210)가 안내홀(172)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스토퍼(210)의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와 연결된 제1레버링(220)의 제1연결암(228) 및 제2레버링(230)의 제2연결암(238)이 스토퍼(210)의 수평 이동만큼 해당 펌프 유닛(140)(150)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하게 되어 제1상부리브(226)가 제1가압리브(24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2상부리브(236)가 제2가압리브(250)로부터 어긋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As the stopper 210 moves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hole 172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lever ring 220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of the stopper 210. The second connecting arm 238 of the first connecting arm 228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otates at the center of the pump unit 140 and 150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opper 210, respectively. The upper rib 226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is positioned in a state shifted from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180)을 가압하게 되면 제1가압리브(240)와 제1상부리브(226)를 통해 제1펌프유닛(14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1펌프유닛(14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1 유로(184)를 통해 토출구(182)로 배출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in the above state, the first pump unit 140 is operated through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first upper rib 226, and accordingly, the first storage unit.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120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8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4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그리고, 도 8과 같이 스토퍼(210)를 안내홀(17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180)을 가압하게 되면 제2가압리브(250)와 제2상부리브(236)를 통해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 2 유로(186)를 통해 토출구(182)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80 while the stopper 210 is mov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hole 172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pressing rib 250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To operate the second pump unit 150, and thus the second flow path 186 formed in the push button 180 through the second pump unit 150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82 is discharged through.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저장용기(120)에 저장된 내용물 또는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개별적으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제1저장용기(120)과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이 증대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ual container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or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stored contents can be discharged and used individually, or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can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and us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아울러, 앞서 설명한 2점식 선택 스위치부 또는 3점식 선택 스위치부에 따라 숄더(170)에 형성된 안내홀(172)의 표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조작돌기(212)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스토퍼(210)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상기 조작돌기(212)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가 안내홀(172)의 걸림턱을 타고 넘으면서 마찰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은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어 촉각으로 인식해 조작감을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스토퍼(210)의 조작을 보다 쉽게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172 formed in the shoulder 170 according to the two-point selection switch unit or the three-point selection switch unit described above,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projection 212 facing the locking projection When the user forms the protrusions to move the stopper 210 to the left and right,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is generated by the friction passing over the locking jaw of the guide hole 172, the friction is the user's By being transmitted to the hand and recognized by the sense of touch to generate a feeling of opera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and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210.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택 스위치부의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4 and 5 are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선택 스위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6 to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lection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외용기 112 : 캡110: outer container 112: cap

120 : 제1저장용기 130 : 제2저장용기120: first storage container 130: second storage container

140 : 제 1 펌프 유닛 150 : 제 2 펌프 유닛140: first pump unit 150: second pump unit

141 : 스프링141: spring

142, 152 : 펌프 실린더 144, 154 : 작동 피스톤142, 152: pump cylinders 144, 154: working piston

146, 156 : 밀폐 피스톤 148, 158 : 가압 피스톤146, 156: hermetic piston 148, 158: pressurized piston

160 : 프레임 170 : 숄더160: frame 170: shoulder

172 : 안내홀 174 : 단턱172: guide hole 174: step

176, 178 : 관통홀 180 : 누름버튼176, 178: through hole 180: push button

182 : 토출구 184 : 제 1 유로182: discharge port 184: first flow path

186 : 제 2 유로 200 : 선택 스위치부186: second flow path 200: selection switch part

210 : 스토퍼 212 : 조작돌기210: stopper 212: operation projection

214 : 가이드 빔 216 : 제1홀더214: guide beam 216: first holder

218 : 제2홀더 220 : 제1레버링218: second holder 220: first lever ring

222 : 제1배출구 224 : 제1유입구222: first outlet 224: first inlet

226 : 제1상부리브 228 : 제1연결암226: first upper rib 228: first connecting arm

230 : 제2레버링 232 : 제2배출구230: second lever 232: second outlet

234 : 제2유입구 236 : 제2상부리브234: second inlet 236: second upper rib

238 : 제2연결암 240 : 제1가압리브238: second connection arm 240: first pressure rib

250 : 제2가압리브 260 : 제1가이드링250: second pressure rib 260: first guide ring

270 : 제2가이드링270: second guide ring

Claims (8)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외용기(110);An outer container 110 of which an upper part is opened and a lower part is closed;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에어리스형으로 이루어진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A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a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110 and formed of an airless type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A first pump unit 140 and a second pump unit 150 installed at an inlet formed o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respectively; 상기 외용기(1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60);A frame 160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support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상기 외용기(110)의 상부에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지지하는 숄더(170);A shoulder 17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11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상기 숄더(1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통해 상기 제1저장용기(120) 및 제2저장용기(13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누름버튼(180);Installed on the shoulder 170,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130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To push button 180;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18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을 작동시킬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동작이 누름버튼(180)과 연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o operate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by pressing the push button 180, the first pump uni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Selection switch unit 200 for blocking the operation of the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is not associated with the push button 180;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선택 스위치부(200)는,The selection switch unit 200, 상기 숄더(170)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안내홀(172)에 안내되고, 상기 안내홀(172)을 통해 상기 숄더(17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돌기(212)가 형성된 스토퍼(210)와,A stopper 210 which is guided to the guide hole 172 form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and has an operation protrusion 212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through the guide hole 172. ,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기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펌프유닛(140)과 제2펌프유닛(150)의 상부에서 각각 회전하는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and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each flow path of the push button 180 to discharg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pper 210 A first lever ring 220 and a second lever ring 230 respectively rotating above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The first lever ring 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180 positioned above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moves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pper 210. And a first pressurized rib 240 and a second pressurized rib 250 formed to be offset from the second lever ring 2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토퍼(210)는,The stopper 210, 상기 숄더(17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돌기(212)와,An operation protrusion 212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houlder 170; 상기 조작돌기(212)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숄더(170)의 안내홀(172) 이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빔(214)과,A guide beam 214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12 and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guide hole 172 of the shoulder 170; 상기 가이드 빔(21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과 각각 연결되는 제1홀더(216) 및 제2홀더(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And a first holder 216 and a second holder 218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eam 214 and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respectively. Dual container which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to be ma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레버링(220) 및 제2레버링(230)은,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상기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와,A first outlet 222 and a second outlet 232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flow path of the push button 180;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펌프유닛(140) 및 제2펌프유닛(150)와 연결되는 제1유입구(224) 및 제2유입구(234)와,A first inlet 224 and a second inlet 234 formed under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and connected to the first pump unit 140 and the second pump unit 150; )Wow,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 각각의 측면에서 상기 누름버튼(180)에 형성된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 각각을 향하여 형성된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와,First upper ribs formed toward the first pressurizing ribs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s 250 formed on the push button 180 at the sides of each of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상기 제1유입구(224)와 제2유입구(234)의 측면에서 상기 숄더(170)를 향하여 형성되고 스토퍼(210)에 형성된 제1홀더(216)와 제2홀더(218) 각각에 연결되는 제1연결암(228) 및 제2연결암(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The first inlet 224 and the second inlet 234 formed on the side toward the shoulder 170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holder 216 and the second holder 218 formed on the stopper 210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connecting arm (228) and the second connecting arm (238).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제1배출구(222) 및 제2배출구(232) 각각 삽입되어 상기 누름버튼(180)의 각 유로와 연결되는 탄성복원재질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링(260) 및 제2가이드링(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The first guide ring 260 and the second guide ring 270 made of an elastic restoring material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outlet 222 and the second outlet 232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low paths of the push button 180. Dual container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되,Positions of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상기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상기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상기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상기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틀리는 비대칭(L1≠L2)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connect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Select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mmetric (L1 ≠ L2) structure of the distance (L1) to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ing rib 250 is different from Dual containers that can be controlled by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버튼(18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가압리브(240) 및 제2가압리브(250)의 위치는, 상기 제1레버링(220)과 제2레버링(23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1상부리브(226) 및 제2상부리브(236)의 회동 반경 내에 위치하되,Positions of 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button 180. Is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upper rib 226 and the second upper rib 236 formed in each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second lever ring 230, 상기 제1가압리브(240)와 제2가압리브(250)는 상기 제1레버링(220)의 중심과 상기 제2레버링(230)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심(P)에서 상기 제1가압리브(240)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가압리브(250)까지의 거리(L2)가 같은 대칭(L1=L2)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The first pressurizing rib 24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rib 250 connect the center of the first lever ring 2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ever ring 230 in a straight line, and the center P of the straight line. Select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L1) to the first pressing rib 240 and the distance (L2) to the second pressing rib 250 has the same symmetry (L1 = L2) structure Dual containers that can be controlled by
KR2020090010515U 2009-08-12 2009-08-12 Dual vessel KR2004603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15U KR200460321Y1 (en) 2009-08-12 2009-08-12 Dual vessel
PCT/KR2009/005874 WO2011019106A1 (en) 2009-08-12 2009-10-13 Dual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discharge of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15U KR200460321Y1 (en) 2009-08-12 2009-08-12 Dual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98U KR20110001698U (en) 2011-02-18
KR200460321Y1 true KR200460321Y1 (en) 2012-05-21

Family

ID=4358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515U KR200460321Y1 (en) 2009-08-12 2009-08-12 Dual vess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0321Y1 (en)
WO (1) WO2011019106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4Y1 (en) 2012-06-19 2014-02-27 (주)톨리코리아 Multiplex container for storage of cosmetics
KR101420128B1 (en) 2013-06-17 2014-07-17 (주)연우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WO2014171725A1 (en) * 2013-04-18 2014-10-23 펌텍코리아(주)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KR102038808B1 (en) 2019-08-28 2019-11-26 신동순 Apparatus for possibility of selective using a solution
KR20210067705A (en) * 2019-11-29 2021-06-08 우숙형 Cosmetic container
KR20220025450A (en)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삼화 Cosmetic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175A (en) * 2012-02-10 2013-08-20 (주)연우 Dual syringe type vessel
KR200468900Y1 (en) * 2012-09-19 2013-09-26 주식회사 하나 Dual container for cosmetics
KR101488340B1 (en) * 2013-04-10 2015-02-02 (주)연우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KR101426790B1 (en) * 2013-07-26 2014-08-05 (주)민진 Cosmetic vessel
KR101565857B1 (en) * 2014-12-31 2015-11-05 (주)연우 Hair dye vessel
KR101894592B1 (en) * 2017-05-16 2018-09-04 주식회사 뉴벨 Container with brush and cleansing cream
KR102082053B1 (en) * 2018-08-03 2020-02-26 이원기 Dual Shampoo Compositon kit and Dual Shampoo Container to Prevent Hair 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106A (en) 2002-09-30 2004-04-22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headed liquid spouting container
KR200429142Y1 (en) 2006-05-29 2006-10-19 (주)아모레퍼시픽 Airless pump type vessel having coil type deep tube
KR200437215Y1 (en) 2007-02-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that can be used by selecting two cont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773B2 (en) * 2000-08-18 2005-05-25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Two-component mixing and sorting type ejection container
JP4316352B2 (en) * 2003-10-30 2009-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Liquid ejector
JP4202891B2 (en) * 2003-10-31 2008-12-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Liquid ej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106A (en) 2002-09-30 2004-04-22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headed liquid spouting container
KR200429142Y1 (en) 2006-05-29 2006-10-19 (주)아모레퍼시픽 Airless pump type vessel having coil type deep tube
KR200437215Y1 (en) 2007-02-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that can be used by selecting two content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4Y1 (en) 2012-06-19 2014-02-27 (주)톨리코리아 Multiplex container for storage of cosmetics
WO2014171725A1 (en) * 2013-04-18 2014-10-23 펌텍코리아(주)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US9668562B2 (en) 2013-04-18 2017-06-06 Pum-Tech Korea Co., Ltd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KR101420128B1 (en) 2013-06-17 2014-07-17 (주)연우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WO2014204100A2 (en) * 2013-06-17 2014-12-24 (주)연우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WO2014204100A3 (en) * 2013-06-17 2015-04-09 (주)연우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KR102038808B1 (en) 2019-08-28 2019-11-26 신동순 Apparatus for possibility of selective using a solution
KR20210067705A (en) * 2019-11-29 2021-06-08 우숙형 Cosmetic container
KR102270564B1 (en) * 2019-11-29 2021-06-29 우숙형 Cosmetic container
KR20220025450A (en)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삼화 Cosmetic container
KR102383635B1 (en) 2020-08-24 2022-04-13 주식회사 삼화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98U (en) 2011-02-18
WO2011019106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21Y1 (en) Dual vessel
KR101190224B1 (en) Liquis case having rotary discharging apparatus
KR200472282Y1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ed cosmetic containers
US6341717B2 (en) Metering pump dispenser with at least two metering pumps
KR101265948B1 (en) Pumping type cosmetic case
KR101265949B1 (en) Pumping type cosmetic case
KR101554210B1 (en) The Cream type cosmetic vessel with a vacuum pump
KR20140005943U (en) Compact Container Having a Uniformly Discharging of Makeup Liquid
KR20150010306A (en) 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KR101527758B1 (en) Airless compact case
KR20130006083U (en) Compact with airless pump for storing contents
KR20110011880A (en) Cosmetic vessel
KR102164743B1 (en) A cosmetic container assembly which is able to discharge to contents at the same time
KR101521396B1 (en) Airtight liquid compact container
KR101059972B1 (en) Liquid cosmetic container with air movement control member
KR200471795Y1 (en) Pump receptacle with a plural of storages
JP6310838B2 (en) Squeeze container
US10327531B2 (en) Cosmetics container
KR20110068196A (en) Pump dispenser
KR102386630B1 (en)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having refill vessel and A push button
KR20090012989U (en) dispenser capable of adjusting discharge amount
KR101383316B1 (en) Liquid case
KR20090002434U (en) Cosmetic tube
KR101707120B1 (en) Pumping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side button
JP2023540214A (en) contents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