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06Y1 - Crane lifting beam - Google Patents

Crane lifting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906Y1
KR200459906Y1 KR2020090015459U KR20090015459U KR200459906Y1 KR 200459906 Y1 KR200459906 Y1 KR 200459906Y1 KR 2020090015459 U KR2020090015459 U KR 2020090015459U KR 20090015459 U KR20090015459 U KR 20090015459U KR 200459906 Y1 KR200459906 Y1 KR 200459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nger
lift beam
crane
cran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4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560U (en
Inventor
천진호
구현호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엔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06Y1/en
Publication of KR20110005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6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리프트 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lift beam.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은, 상면(112)의 양측에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100) 및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112)에서 활주되며 와이어(20)가 걸쳐지는 와이어 행거(200)를 포함한다.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and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112 and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112 And includes a wire hanger 200 that slides and spans the wire 20.

크레인, 리프트 빔, 와이어, 슬라이드, 무게 중심, 정렬 Crane, lift beam, wire, slide, center of gravity, alignment

Description

크레인 리프트 빔 {Crane lifting beam}Crane lifting beam {Crane lifting beam}

본 고안은 크레인 리프트 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훅이 크레인 리프트 빔에 체결되도록 하고 크레인 리프트 빔에 이송대상물을 매달리도록 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lift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lift beam to allow the crane hook to be fastened to the crane lift beam and to hang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to the crane lift beam.

일반적으로 이송대상물이 수십 톤(ton) 중량의 대형 구조물일 때에는 구조물의 치우침 방지 및 안정성을 위하여 크레인과 이송대상 구조물 사이에 크레인 리프트 빔(crane lifting beam)을 설치한다.In general, when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a large structure with a weight of several tens of tons (ton), a crane lifting beam is installed between the crane and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n order to prevent bias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상술한 종래의 크레인 리프트 빔(5)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rane lift beam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and 2.

또한, 도 1의 (a)는 크레인 리프트 빔(1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크레인 리프트 빔(1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A shows a plan view of the crane lift beam 10, and FIG. 1B shows a front view of the crane lift beam 10.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인 리프트 빔(5)은 상측에 만곡 곡면형상의 루프(10)가 형성되고, 상술한 루프(10)의 외측에는 여러 개의 융선(12)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크레인의 훅이 걸리도록 핀이 배치 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 the crane lift beam 5 has a curved curved loop 10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ridges on the outside of the loop 10 described above. 12 is spaced apart, and pin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so as to hook the hook of the crane.

상술한 종래의 크레인 리프트 빔(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20)가 걸쳐지고 그 와이어(20)의 하측에는 이송대상물이 매달리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rane lift beam 5, the wire 20 is suspended as shown in FIG. 2, and the transfer object is suspended below the wire 20. As shown in FIG.

또한, 이송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와이어(2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무게중심을 정렬시켜야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may not be consta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n particular,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biased to either side,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should be aligned by moving the above-described wire 20 to an appropriate position. .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 리프트 빔(5)에서 무게중심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와이어(2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주어야하는데, 도 2에 타나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루프(10)의 상측에 올라서서 막대와 같은 도구(30)를 이용하여 와이어(20)를 직접 걷어 올려서 이동시켜야하므로 고된 노동력이 요구되고 이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align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conventional crane lift beam 5, the wire 20 must be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As shown in FIG. 2, an operator climbs the upper side of the roof 10 and Since the wire 20 is to be directly lifted and moved by using the same tool 30, a high labor force is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worker's fatigue.

다른 한편으로, 작업자가 곡면 형상의 루프(10)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곡면 형상은 쉽게 미끄러질 우려가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is to work on the surface of the curved loop 10,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urved shape is easily slippery and the safety of the work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융선(20)은 와이어(20)가 벗어나지 않도록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무게중심을 정밀하게 조절하기에는 무리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idge 2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wire 20 does not deviat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크레인 리프트 빔의 상측에서 와이어의 위치를 쉽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는 안전한 자세에서 와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lift beam that allows the operator to move the wire in a safe posture to easily and precis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wire on the upper side of the crane lift beam.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은, 상면의 양측에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면에서 활주되며 와이어가 걸쳐지는 와이어 행거;를 포함한다.Crane lif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ame which is arranged a plurality of hanger guides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 wire hanger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and slid from the upper surface to span the wire.

또한, 와이어 행거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hanger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와이어 행거는, 상기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루프; 상기 루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면에서 구름 접촉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wire hanger may further include: a base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A loop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to arrange the wires; Wire gu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op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d a roller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to make a cloud contact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롤러 부재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member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 may further include a.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은 크레인 리프트 빔의 상측에서 와이어 행거가 배치되고, 그 와이어 행거는 크레인 리프트 빔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활주가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와이어 행거의 상측에 와이어가 걸쳐져 있더라도 와이어 행거를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고, 또한, 와이어의 위치를 좀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wire hang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ane lift beam, and the wire hanger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upper side of the crane lift beam, Even if the wire is stretched, the position of the wire can be aligned by moving the wire hanger, and the position of the wire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은 와이어 행거가 활주되는 상측에 평탄하게 구성되고 그 평탄한 활주면에서 작업자가 올라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곡면에서 작업하는 것 보다는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flat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 hanger slide so that the operator can stand on the flat slide surface can proceed in a safe state than working on a conventional curved surface.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prior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에서 와이어 행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wire hanger in a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and a plan view,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의 (a)는 크레인 리프트 빔(A)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크레인 리프트 빔(A)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A shows a plan view of the crane lift beam A, and FIG. 3B shows a front view of the crane lift beam A. FIG.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A)은 프레임(100)의 상측에 와이어 행거(200)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ure 3 (a) and 3 (b), the crane lift beam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ire hanger 200 is slidab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do.

또한, 상술한 와이어 해거(20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복수 개의 와이어 행거(200)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에 와이어(20)가 걸쳐질 수 있고, 그 와이어(20)의 하측에는 이동대상물이 매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logger 200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in plural, whereby the wire 20 may be hung on any one or a plurality of wire hangers 200 described above, and the wire 20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object can be suspended.

또한, 상술한 크레인 리프트 빔(A)의 상부 양측에는 크레인의 와이어 또는 훅이 장착되도록 핀이 구성된다.In addition, a pin is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crane lift beam (A) so that the wire or hook of the crane is mounted.

상술한 크레인 리프트 빔(A)의 상면(112)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인 리프트 빔(A)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가 이격되어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ne lift beam A on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crane lift beam A described above.

상술한 와이어 행거(200)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hanger 2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행거(200)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루프(220)가 배치되고, 베이스(210)의 한쪽에는 롤러 부재(234)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4 to 6, in the wire hanger 200, a loop 220 is disposed above the base 210, and a roller member 234 is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210.

상술한 루프(220)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loop 220 may be shaped to convexly curved in an upwa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루프(220)의 양측에는 와이어 가이드(240)가 설치될 수 있고, 그 와이어 가이드(240)는 와이어(20)가 벗겨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ire guides 240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above-described loop 220, and the wire guides 240 prevent the wires 20 from being peeled off or separated.

또한, 상술한 베이스(210)의 하측에는 상술한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의 내에 수납되도록 가이드(21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214 is formed below the base 21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described above.

즉, 가이드(214)의 양측면은 상술한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와이어 행거(2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at is,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214 is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wire hanger 200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또한, 상술한 베이스(210)의 측면에는 설치 홈(212)이 형성되고, 베이스(210)의 상측에는 브래킷(230)이 설치되며, 브래킷(230)에는 샤프트(232)가 설치되고, 그 샤프트(232)는 상술한 설치 홈(212)의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groove 21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210 described above, the bracket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10, the shaft 230 is installed on the bracket 230, the shaft 232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12 described above.

또한, 상술한 샤프트(232)의 하단에는 상술한 롤러 부재(234)가 회전가능하 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roller member 234 described above is rotatab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232 described above.

상술한 롤러 부재(23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행거(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더 많은 개수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롤러 부재(234)가 복수 개로 배치됨으로써 와이어 행거(200)의 자체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는 와이어 행거(200)를 좀 더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roller member 234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ire hanger 200 as shown in FIG. 4, and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234 may be disposed, and the roller members 234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plural numbers. The self-load of the wire hanger 200 can be distributed, thereby enabling the worker to move the wire hanger 200 more easily.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술한 와이어 행거(200)에 와이어(20)가 걸쳐지고 그 와이어(20)의 하측에는 이송대상물이 매달리게 된다.The wire 20 hangs on the wire hanger 200 described above, and the transfer object is suspended below the wire 20.

또한, 이송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무게중심이 편향될 수 있으므로, 무게중심을 정렬하기 위해 와이어 행거(200)를 활주시켜 이동시켜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def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the wire hanger 200 should be slid and moved to align the center of gravity.

이때, 크레인이 작동되기 이전이므로 이송대상물의 중량은 와이어(20)가 직접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와이어 행거(200)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rane is operated before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the state that the wire 20 does not directly act to move the position of the wire hanger 200.

작업자는 상면(112)에 올라서서 와이어 행거(200)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때 와이어 행거(200)는 롤러 부재(234)에 의해 받혀지므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worker climbs on the upper surface 112 and moves the wire hanger 200 to an appropriate position. At this time, the wire hanger 200 is supported by the roller member 234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와이어 행거(200)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대상물을 들어 올리는데, 이때 크레인의 작용에 의해 크레인 리프트 빔(A)이 부상하게 되어 와이어(20)에는 이동대상물의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After moving the wire hanger 200 to an appropriate position by lifting the moving object using a crane, the crane lift beam (A) is lifted by the action of the crane to the load of the moving object on the wire 20 do.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20)에 이동대상물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베 이스(210)는 행거 가이드(1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와이어 행거(200)가 임으로 이동되지 않고 작업자가 설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oad of the moving object is applied to the wire 20 as described above, the base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guide 110 while the wire hanger 200 does not move randomly and is set by the operator. Will be maintained.

다른 한편으로, 와이어(2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롤러 부재(234)가 상면(112)에서 구름 접촉하므로, 베이스(210)는 프레임(100)의 상측에서 무부하의 상태일 수 있고, 이러한 무부하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의지에 의해 와이어 행거(200)를 소망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ller member 234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12 when no load is applied to the wire 20, the base 210 may be in an unloaded state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In the no load state, the wire hanger 200 can be easi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t the will of the operator.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20)가 걸쳐질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동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좀 더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고, 이로써 수십 ~ 수백 톤의 이동대상물을 좀 더 안전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wire 20 to be moved can be moved to an arbitrary posi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ving object can be more precisely aligned, and thus, the moving object of tens to hundreds of tons can be moved more precisely. You can safely move it.

또한, 와이어(20)를 이동시킬 때에 종래에서처럼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하지 않고, 다소 평탄한 상면(112)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moving the wire 20 can work in a rather flat upper surface 112 without working in an unstable posture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f the operato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meaning and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은 수십 ~ 수백 톤의 이송대상물을 옮길 때에 이송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정렬하여 이동시킬 때에 이용될 수 있다.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ove the align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nsfer object when moving the transfer object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ton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크레인 리프트 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1 and 2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rane lift beam.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에서 와이어 행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4 to 6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wire hanger in a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rane lif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S)

5, A: 크레인 리프트 빔5, A: Crane lift beam

10: 루프 12: 융선10: loop 12: ridge

20: 와이어 30: 도구20: wire 30: tool

100: 프레임 110: 행거 가이드100: frame 110: hanger guide

112: 상면112: upper surface

200: 와이어 행거 210: 베이스200: wire hanger 210: base

212: 설치 홈 214: 가이드212: installation groove 214: guide

220: 루프 230: 브래킷220: loop 230: bracket

232: 샤프트 234: 롤러 부재232: shaft 234: roller member

240: 와이어 가이드240: wire guide

Claims (5)

상면(112)의 양측에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100); 및 상기 상면(112)에서 활주되며 와이어(20)가 걸쳐지는 와이어 행거(200);를 포함하고,A frame 100 in which a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112; And a wire hanger 200 which slides on the upper surface 112 and spans the wire 20. 상기 와이어 행거(200)는,The wire hanger 200, 상기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A base 210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상기 베이스(210)의 상측에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20)가 배치되는 루프(220);A loop 220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210 so that the wire 20 is disposed; 상기 루프(2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가이드(240); 및Wire guides 240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loop 220 to prevent the wire 20 from being separated; And 상기 베이스(210)에 설치되어 상기 상면(112)에서 구름 접촉하는 롤러 부재(234);를 포함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And a roller member (234) installed on the base (210) in contact with the cloud on the upper surface (11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와이어 행거(200)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The wire hanger 200 is a crane lift bea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luralit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 부재(234)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The roller member (234) is a crane lift bea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luralit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2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거 가이드(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214);A guide 214 formed below the base 210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anger guides 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빔.Crane lift beam further comprising a.
KR2020090015459U 2009-11-30 2009-11-30 Crane lifting beam KR2004599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459U KR200459906Y1 (en) 2009-11-30 2009-11-30 Crane lifting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459U KR200459906Y1 (en) 2009-11-30 2009-11-30 Crane lifting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60U KR20110005560U (en) 2011-06-08
KR200459906Y1 true KR200459906Y1 (en) 2012-04-20

Family

ID=466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459U KR200459906Y1 (en) 2009-11-30 2009-11-30 Crane lifting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0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5755A (en) * 2014-06-20 2014-10-08 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公司 Guide device for hydraulic lifting wire rop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377A (en) * 1994-01-19 1995-08-08 Fujita Corp Hanging gantry c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377A (en) * 1994-01-19 1995-08-08 Fujita Corp Hanging gantry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60U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47468U (en) A kind of frame suitable for building industrialization prefabricated part hanging slides suspender
CN204021915U (en) For capturing the mechanical load-engaging device of transporting cargo
JP6012578B2 (en) Heavy material transport method and heavy material transport device
KR20120042115A (en) Tower crane
CN105800420B (en) Rope hoisting tool and rope promote configuration part
KR200459906Y1 (en) Crane lifting beam
CN207890900U (en) It is a kind of large size steel beam lifting, turn fixture
JP6270524B2 (en) Hanging tool
EP3477803A1 (en) Electrical equipment board raising fixture and electrical equipment board raising method
CN106185675A (en) A kind of base station equipment lifting auxiliary device
CN106115467A (en) A kind of adjustable sheet material hoisting mechanism
JP2017043438A (en) Suspension fixture of guide rail for elevator
JP6339983B2 (en) Elevator guide rail suspension
CN213011542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adjustable hanging frame
CN203889872U (en) Installing device for front windshield of motor train
CN204369426U (en) For lifting the suspender of C-type steel
CN216072704U (en) Cage winch hanger
CN217297060U (en) Anti-collision device for tower crane and tower crane thereof
KR102334708B1 (en) Lifting equipment for short soot blower
CN219546454U (en) Hoisting device for H steel production
CN212050147U (en) Porous type balance hanger template
CN218809830U (en) Single roll hoist
JP6744351B2 (en) Hanging balance
CN216072701U (en) Balanced hoisting accessory
CN210763917U (en) Hoisting device for quickly collecting and transferring tangible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