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82Y1 - 개량 가야금 - Google Patents

개량 가야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82Y1
KR200459882Y1 KR2020110007658U KR20110007658U KR200459882Y1 KR 200459882 Y1 KR200459882 Y1 KR 200459882Y1 KR 2020110007658 U KR2020110007658 U KR 2020110007658U KR 20110007658 U KR20110007658 U KR 20110007658U KR 200459882 Y1 KR200459882 Y1 KR 200459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yageum
string
support
strings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조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석 filed Critical 조준석
Priority to KR2020110007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야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과거의 가야금을 현대적으로 바꾸어 만든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은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일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을 지지하는 현침, 상기 상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을 지지하는 현받침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개구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판, 상기 현침과 현받침대의 외면에 팽팽하게 걸쳐져 지지되는 복수 개의 현,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현을 지지하는 안족을 포함하는 가야금에 있어서, 상기 현받침대는 음의 고저에 따라 현의 길이가 달리지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은 복수개의 현받침대를 설치하여 가야금에 현을 붙이기에 용이하고, 고음부와 저음부에 위치하는 현받침대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현이 현받침대에 밀착되는 면을 극대화하여 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야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 가야금{Gayageum Improved}
본 고안은 가야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과거의 가야금을 현대적으로 바꾸어 만든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
가야금은 크게 상판(11)과 하판(12)으로 구분되어지며, 상판(11)의 상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하판(12)은 편평하게 만들어 바닥에 놓거나 받침대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판(11)의 상부면에 일측에 현침(20)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현받침대(30)를 설치하여 현침(20)과 현받침대(30) 위에 복수 개의 현(40)을 팽팽하게 걸쳐져 있다.
또한, 각 현(40)에 안족(50)을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현(4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이 각기 다른음을 내게 하며, 현(40)으로 발생되는 진동음이 내부의 공명통에서 울려퍼져서 가야금의 하판(12)의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야금(10)의 현(40)은 일반적으로 12줄로 이루어져 있지만, 줄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15줄 또는 20줄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종래의 가야금(10)은 현침(20)과 현받침대(30)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고음과 저음을 보다 선명하게 생성할 수 없으며, 음색의 차이가 뚜렷하게 구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여가가지 개량 가야금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개량가야금(10)의 예로서, 대한미국실용공개특허 20-2004-0000834의 개량 가야금(10)은 현침(20)과 현받침대(30) 사이의 현(40)의 길이가 음의 고저에 따라 달라지도록 현받침대(30)에 소정의 각도를 주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음에 해당될수록 상기 현침(20)사이의 현(4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고, 저음에 해당될수록 상기 현침(20) 사이의 현(4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설치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개량가야금(10)의 현받침대(30)는 소정의 각도를 주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면을 따라서 현(40)이 이동하게 되어 사용함에 따라 음을 선명하게 낼 수 없게 되어 가야금의 하판(12)에 형성된 개구공을 통해 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지 못하고, 음색의 차이가 뚜렷하게 구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현받침대(30)의 경사면에 현(40)을 팽팽하게 설치하게 되면 현(40)의 장력을 많이 받게 되어 현(40)이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현상이 더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10-0862552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6841호(2004.03.2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가야금에 현을 붙이기에 용이하고, 고음부와 저음부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현이 이탈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갸량 가야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개량 가야금은, 가야금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일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을 지지하는 현침, 상기 상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을 지지하는 현받침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개구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판, 상기 현침과 현받침대의 외면에 팽팽하게 걸쳐져 지지되는 복수 개의 현,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현을 지지하는 안족을 포함하는 가야금에 있어서, 상기 현받침대는 음의 고저에 따라 현의 길이가 달리지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현받침대의 하부가 상기 상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현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의 일측이 일정 곡률을 가지게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측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상기 현받침대와 대응되게 위치하고, 현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은 복수개의 현받침대를 설치하여 가야금에 현을 붙이기에 용이하고, 고음부와 저음부에 위치하는 현받침대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현이 현받침대에 밀착되는 면을 극대화하여 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야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량 가야금
도 2는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현받침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100)의 전체적인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가야금(1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110)의 상부는 곡률을 가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110)의 상부에는 진동하여 음을 내는 복수개의 현(40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현(400)을 지지하기위해 상기 상판(110)의 일측에 현침(200)이 설치되어 상기 현(400)을 지지하고, 타측에 복수개의 현받침대(30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40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현침(200)과 상기 현받침대(300)의 사이에 음의 고저에 따라 달라지도록 복수개의 안족(500)이 상기 현(400)을 지지하며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현받침대(300)는 상기 상판(11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현(400)중 고음에 해당하는 상기 현침(200)과 상기 현받침대(300) 사이의 상기 현(400)이 짧게 형성되도록 상기 현받침대(300)가 위치하며, 상기 현(400)중 저음에 해당하는 상기 현침(200)과 상기 현받침대(300) 사이의 상기 현(400)이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110)의 타축에 가깝게 상기 현받침대(300)가 위치한다.
따라서, 종래의 현받침대는 일정 기울기를 갖게 형성하여 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종래의 고안에서는 현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현받침대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서 고음과 저음이 선명하게 생성되지 않던 것에 비해, 본 고안에서 현받침대(300)를 복수 개를 구비하여, 현침(200)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현(400)의 장력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현(400)이 상기 현받침대(300)에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되어 음을 선명하게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현받침대(300)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현받침대(300)는 상기 상판(110)의 굴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곡률을 가지게 제작되며, 상부에 현(400)을 지지하기위해서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현(400)이 접촉되는 부분은 곡률(R2)을 갖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곡률(R1)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현(400)이 접촉되는 부분을 극대화하여 상기 현(400)이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곡률(R2)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현(400)에 장력이 가해졌을 경우 곡률(R2)면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현(400)에 일정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0)의 타측은 상기 현(400)이 진동하여 음을 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곡률(R1)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하판(120)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판(120)은 상판(110)과 다르게 편평하게 형성되어 보관할 경우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되고, 가야금에서 나는 소리가 내부에서 공명하여 토출되기 위해서 상기 하판(120)의 중심부에 개구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판(120)에 후술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30)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현(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122)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130)의 형태와 역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현받침대(300)와 대응되고, 상기 상판(1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상기 현(400)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현받침대(300)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현받침대(300)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받침대(300)를 경유하여상기 상판(110)에 천공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현(400)의 단부를 상기 고정부재(130)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현(400)을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봉에 상기 현(400)의 단부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관통홀(122)의 형상은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현(400)을 고정시키기 편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30)의 위치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3개를 도시화 하였지만 상기 현(400)의 개수가 많은 가야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개수를 늘여 설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량 가야금은 복수개의 현받침대(300)를 설치하여 가야금에 상기 현(400)을 붙이기에 용이하고, 고음부와 저음부에 위치하는 상기 현받침대(300)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현(400)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현(400)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현(400)이 상기 현받침대(300)에 밀착되는 면을 극대화하여 상기 현(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야금(100)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가야금
110 : 상판 120 : 하판
121 : 개구공 122 : 관통홀
130 : 고정부재
200 : 현침 300 : 현받침대
310 : 돌출부
400 : 현 500 : 안족

Claims (5)

  1. 가야금에 있어서,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110),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현(400), 상기 상판(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400)을 지지하는 현침(200), 상기 상판(110)의 타측에 위치하여 가야금의 현(400)을 지지하는 현받침대(300),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개구공(121)이 형성되어 있는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현(400)을 지지하는 안족(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현받침대(300)는 음의 고저에 따라 현(400)의 길이가 다르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현받침대(300)의 상부에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310)의 일측은 곡률(R1)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현(400)이 접촉되는 타측이 곡률(R2)을 갖는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가야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받침대(300)의 하부는 상기 상판(110)의 굴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가야금.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현받침대(300)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현(400)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13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가야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판(120)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에 현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홀(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가야금.
KR2020110007658U 2011-08-24 2011-08-24 개량 가야금 KR200459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58U KR200459882Y1 (ko) 2011-08-24 2011-08-24 개량 가야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58U KR200459882Y1 (ko) 2011-08-24 2011-08-24 개량 가야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882Y1 true KR200459882Y1 (ko) 2012-04-20

Family

ID=4660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58U KR200459882Y1 (ko) 2011-08-24 2011-08-24 개량 가야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195A (ko) * 2020-12-18 2022-06-27 김보은 개량된 교습용 가야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841Y1 (ko) 2004-01-13 2004-04-01 조준석 개량 가야금
KR100537984B1 (ko) 2003-11-28 2005-12-21 이재화 음향확대 및 울림방지 구조를 갖는 거문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84B1 (ko) 2003-11-28 2005-12-21 이재화 음향확대 및 울림방지 구조를 갖는 거문고
KR200346841Y1 (ko) 2004-01-13 2004-04-01 조준석 개량 가야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195A (ko) * 2020-12-18 2022-06-27 김보은 개량된 교습용 가야금
KR102427232B1 (ko) * 2020-12-18 2022-07-28 김보은 개량된 교습용 가야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287B2 (en) Portable component marimba
RU2011146328A (ru) Анкерная система
US10679591B2 (en) Trigger tray for percussion instrument
EP3267436B1 (en) Endpin holder
KR200459882Y1 (ko) 개량 가야금
KR101252821B1 (ko) 음정조절이 용이한 칼림바
CN107016979B9 (zh) 用于吉他的内部支撑件
JP7268021B2 (ja) ギター
US20110252941A1 (en) Fix-mounted Guitar Bridge
KR20200052636A (ko) 가야금
GB2564440A (en) Support post for a suspended tone bar
CN105185354B (zh) 一种三角钢琴共鸣盘
US20040129127A1 (en) Violin with enhanced components
KR20090118203A (ko) 현악기용 현침
US8227678B2 (en) Tail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KR200411309Y1 (ko) 실로폰
KR200361515Y1 (ko) 실로폰의 음판 받침구조
KR200346841Y1 (ko) 개량 가야금
CN201590238U (zh) 耳鼓悬挂安装架
KR20240054226A (ko) 통기타 브릿지 진동장치
CN106971698B (zh) 岳山、承露和面底板的垂直方向变形一致性结构
CN106952633B (zh) 古琴底板加强结构
KR200464179Y1 (ko) 우쿨렐레
CN101369421A (zh) 马林巴琴结构
KR200239388Y1 (ko) 현악기용 안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