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38Y1 -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38Y1
KR200459838Y1 KR2020100004291U KR20100004291U KR200459838Y1 KR 200459838 Y1 KR200459838 Y1 KR 200459838Y1 KR 2020100004291 U KR2020100004291 U KR 2020100004291U KR 20100004291 U KR20100004291 U KR 20100004291U KR 200459838 Y1 KR200459838 Y1 KR 200459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goods
product
shrink film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45U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00004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3/00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 B65B53/02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을 히터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축(132)이 형성된 회전모터(130)와, 상기 회전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축(132)에 고정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을 가로막는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상품이 수축필름에 담긴 상태로 묶음 포장될 때 다수개의 상품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히터로 공급됨으로써, 상품들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랩핑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line up apparatus for wrapping produ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상품이 랩핑된 상태로 묶음 포장되도록 수축필름에 담긴 상태로 컨베이어로 운반되는 다수개의 상품이 히터로 공급되기 전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수축필름에 랩핑되는 상품이 균일하게 랩핑될 수 있도록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과 같은 생활용품은 내용물이 튜브에 충진된 후에 별도의 포장상자에 담긴 상태로 매장에 진열하여 판매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다수개의 제품을 묶음 판매하고 있다.
이렇게 소량 묶음 판매되는 제품은 매장의 판매담당자가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묶음 판매될 수량에 맞추어 제품을 묶음하여 진열하거나 또는 제조업체에서 제공되는 별도의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 진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소량 묶음 하거나 또는 별도의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 진열하게 되는 경우 제품의 포장상태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불신을 얻어 판매 촉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판매 담당자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묶음 판매할 제품의 수량에 맞추어 제품을 적당히 세워놓고 접착 테이프를 묶음될 제품의 둘레로 감아 묶음 포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판매자에 의해 묶음된 제품의 포장은 일괄적인 포장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저급한 상품으로 인식함으로써 판매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제조업체에서 제공되는 포장용기는 대부분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고 지퍼가 마련된 비닐백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제품이 묶음된 상태로 진열되는 경우 불순한 판매자 내지 소비자에 의해 제품의 내용물이 변경된 상태로 판매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아 판매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묶음 판매되는 상품들을 수축필름을 사용하여 랩핑 포장한 후에 진열하게 된다. 이렇게 랩핑된 상태로 묶음되는 상품은 제조업체에서 일괄적으로 묶음 포장한 상태로 출하시키기 때문에 소비자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어 상품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상품을 묶음으로 포장할 수 있는 랩핑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개의 상품이 운반되는 도중에 수축필름에 상품들이 담기게 되고 이렇게 수축필름에 담긴 상품은 히터를 통과하면서 수축필름이 상품의 외형에 꼭맞게 수축되면서 다수개의 상품을 묶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컨베이어로 운반되는 상품들은 필요량에 맞게 수축필름에 담기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히터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수축필름이 상품의 외형에 꼭맞게 수축된다. 그러나, 다수개의 상품이 수축필름에 담긴 상태로 컨베이어로 운반될 때 상품이 나란히 정렬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다수개의 상품을 묶음 포장하는 수축필름이 수축되면서 균일하지 않은 묶음 포장을 하게 됨으로써, 포장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장품질의 편차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감성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를 따라 수축필림에 다수개가 담긴 상태로 운반되는 상품이 정렬된 상태로 히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축필름에 랩핑되는 다수개의 상품이 균일하게 랩핑될 수 있도록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을 히터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축(132)이 형성된 회전모터(130)와, 상기 회전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축(132)에 고정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을 가로막는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10)를 따라 운반되는 상품(S)을 폭방향으로 안내하여 위치감지센서(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10)의 측면에서 상품(S)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 가이드(15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130)는 스테핑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는, 다수개의 상품이 수축필름에 담긴 상태로 묶음 포장될 때 다수개의 상품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히터로 공급됨으로써, 상품들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랩핑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는 크게 상품(S)을 히터(H)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축(132)이 형성된 회전모터(130) 및 상기 회전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축(132)에 고정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을 가로막는 스토퍼(14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컨베이어(110)는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개의 상품(S)이 히터(H)로 공급되도록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프레임(112)이 형성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112)의 상면 양단에 구동모터(미도시)에 회전되는 롤러(114)가 설치되며, 롤러(114)에 이송벨트(116)가 장착된다.
이렇게, 컨베이어(110)에 의해 히터(H)로 운반되는 상품(S)은 다수개의 상품(S)을 묶음 포장할 수 있도록 수축필름(P)에 담긴 상태로 컨베이어(110) 상에 안착되어 운반되는데, 이러한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은 예를 들어, 치약이 들어있는 포장상자와 같은 생활용품이 될 수 있으며, 치약이 들어있는 다수개의 포장상자(S)가 수축필름(P)에 담긴 상태로 컨베이어(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히터(H)로 운반된다.
상기와 같은 수축필름(P)은 밀봉포장 전용의 포장재료로써, 수축필름(P)의 소재로서는 염화비닐라덴,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또는 염화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축필름(P)에 의한 포장은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축필름(P)에서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은 일정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폴리머들은 잔류응력을 가지고 있으며, 잔류응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에너지가 공급되면 잔류응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은 컨베이어(110)에 의해 히터(H)로 운반되는데, 수축필름(P)을 수축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히터(H)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열풍 등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품용기의 포장상태의 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이란 '수증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물의 비열이 공기보다 크므로, 열풍을 생성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열은 쉽게 발산될 수 있으나, 스팀을 사용하는 경우 열이 주변으로 발산되는 속도를 더디게 하여 수축필름(P)의 수축과정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품을 묶음 포장할 수 있도록 히터(H)를 향해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을 운반하는 컨베이어(110)에는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축(132)이 형성된 회전모터(130)와, 상기 회전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축(132)에 고정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을 가로막는 스토퍼(14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20)는 컨베이어(110)의 측면 프레임(118)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브라켓(12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22)에는 컨베이어(110)를 따라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20)는 레이저와 같은 광을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대상물 즉, 상품(S)을 향해 조사하여 상품(S)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앞서 설명한 회전모터(13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 상에 안착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히터(H)를 향해 운반되는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개의 상품(S)이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모터(130)를 제어하여 축(132)을 회전시키고 축(132)에 고정된 스토퍼(140)가 상품(S)의 선단과 접촉하여 진행을 가로막거나 히터(H)를 향해 운반될 수 있도록 통과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130)는 위치감지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신호만큼 축(132)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10)를 따라 운반되는 상품(S)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감지센서(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10)의 측면에는 상품(S)의 폭을 정렬하기 위한 폭조절 가이드(150)가 설치된다.
상기 폭조절 가이드(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 상에 안착된 상품(S)들을 폭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후방은 상품(S)의 폭방향 길이보다 넓은 길이를 갖는 개구부(152)를 형성하고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진행방향으로 상품의 폭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정렬부(15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은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 상에 안착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히터(H)를 향해 공급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S)이 히터(H)로 근접하게 됨에 따라 폭조절 가이드(150)에 의해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이 컨베이어(110)의 일측 폭방향으로 정렬되어 공급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S)의 선단이 들쑥날쑥한 상태로 히터(H)를 향해 운반된다.
이렇게, 상품(S)의 선단이 들쑥날쑥한 상태로 히터(H)로 공급되어 수축필름(P)이 수축되면 랩핑 묶음된 상품(S)의 포장상태는 선단이 정렬되지 않은 들쑥날쑥한 불량한 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포장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110)로 운반되는 상품(S)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해 상품(S)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도중에 상품(S)의 선단이 정렬되도록 상품(S)의 선단을 가로지르는 스토퍼(140)가 회전모터(130)의 의하여 작동하여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진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품(S)의 선단이 정렬되면 상품(S)이 히터(H)를 향해 운반되도록 상품(S)의 선단을 막고 있던 스토퍼(140)가 회동하여 상품(S)을 통과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 상에 안착된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은 컨베이어(110)를 따라 히터(H)를 향해 운반되는데, 이때 상품(S)은 컨베이어(110)의 폭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폭조절 가이드(150)를 통해 상품(S)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감지센서(120)로 근접하게 된다.
이때, 상품(S)들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이지만 상품(S)의 진행방향으로는 정렬되지 않은 들쑥날쑥한 상태이며, 스토퍼(140)는 수평한 상태로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 표면과 스토퍼(140)의 표면 사이로 상품(S)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0)에 의해 운반되는 상품(S)이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위치감지센서(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품(120)의 표면에서 반사된다.
이렇게, 광이 상품(S)의 표면에서 반사되면 위치감지센서(120)가 이를 센싱하여 상품(S)이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하방에 위치했음을 감지하고 회전모터(130)를 제어하여 상품(S)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었던 공간을 스토퍼(140)가 회동하여 상품의 이동을 가로막게 된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스토퍼(140)에 가로막힌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의 상품(S)은 스토퍼(140)에 가로막혀 히터(H)로 운반되지 않는 정지된 상태이지만,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는 계속 작동하기 때문에 스토퍼(140)와 먼저 접촉한 상품(S)의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접촉하지 않은 상품(S)의 선단이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6)에 이끌려 스토퍼(14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의 상품(S) 선단이 일직선상으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이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의 상품(S) 선단이 스토퍼(140)에 가로막혀 정렬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130)가 작동하여 상품(S)의 이동을 가로막고 있던 스토퍼(140)가 회동하여 상품(S)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스토퍼(140)를 통과한 상품(S)이 히터(H)로 공급되면 히터(H)에서 가해지는 열원에 의해 수축필름(P)이 상품(S)의 표면에 꼭 맞게 수축되면서 랩핑 포장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번 상품이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하방에 도착하기 전까지 스토퍼(140)가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써,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수축필름(P)에 담긴 다수의 상품(S)이 히터(H)로 공급되기 전에 상품(S)의 선단이 정렬되고, 이렇게 상품(S)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히터(H)로 공급되면 상품(H)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랩핑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포장상자 각각에 치약을 담은 다수의 상품이 수축필름에 담겨 컨베이어로 운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샴프나 린스와 같은 세정액을 담은 다수의 용기가 수축필름에 담겨 컨베이어를 통해 히터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 폭조절 가이드로 용기들의 폭을 정렬시키고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와 회전모터 및 스토퍼의 동작에 의해 용기들의 선단이 정렬된 상태로 히터로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110 : 컨베이어 112 : 하부 프레임
114 : 롤러 116 : 이송벨트
120 : 위치감지센서 122 : 브라켓
130 : 회전모터 132 : 축
140 : 스토퍼 150 : 폭조절 가이드
H : 히터 P : 수축필름
S : 상품

Claims (3)

  1. 수축필름(P)에 담긴 상품(S)을 히터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감지센서(12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0)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컨베이어(110)를 가로지르는 축(132)이 형성된 회전모터(130)와,
    상기 회전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축(132)에 고정되어 컨베이어(110)에 운반되는 상품(S)을 가로막는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10)를 따라 운반되는 상품(S)을 폭방향으로 안내하여 위치감지센서(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10)의 측면에서 상품(S)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 가이드(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130)는 스테핑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KR2020100004291U 2010-04-23 2010-04-23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KR200459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91U KR200459838Y1 (ko) 2010-04-23 2010-04-23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91U KR200459838Y1 (ko) 2010-04-23 2010-04-23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45U KR20110010245U (ko) 2011-10-31
KR200459838Y1 true KR200459838Y1 (ko) 2012-04-19

Family

ID=4660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91U KR200459838Y1 (ko) 2010-04-23 2010-04-23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06B1 (ko) * 2013-06-07 2013-10-17 이다우산업(주) 신축성 필름을 활용한 적재물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75B1 (ko) * 2019-02-14 2019-07-31 (주)원동판넬 작업성이 개선된 글라스울 디버터
KR102495433B1 (ko) * 2022-09-16 2023-02-06 김종오 스팀 수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491A (ko) * 1989-06-21 1991-01-29 정용문 타이머 자동 저장 시스템
KR930019528A (ko) * 1992-03-09 1993-10-18 배순훈 가이드 변환장치
KR0166156B1 (ko) * 1995-10-31 1998-12-01 김광호 콘베이어의 폭조절 장치
KR20010057603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시트강재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491A (ko) * 1989-06-21 1991-01-29 정용문 타이머 자동 저장 시스템
KR930019528A (ko) * 1992-03-09 1993-10-18 배순훈 가이드 변환장치
KR0166156B1 (ko) * 1995-10-31 1998-12-01 김광호 콘베이어의 폭조절 장치
KR20010057603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시트강재 정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06B1 (ko) * 2013-06-07 2013-10-17 이다우산업(주) 신축성 필름을 활용한 적재물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45U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1597C2 (ru) Машина для холодного обертывания изделий в растягивающуюся пленку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US3526752A (en) Shrink tunnel for shrinking film on articles
US2006016960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bining beverage containers and snack food hanging pouches
US7850003B2 (en) Heat-shrinkable holder for articles, heat-shrinkable package of articles, and method of packaging articles
KR200458643Y1 (ko) 묶음 포장되는 제품의 방향전환장치
KR200459838Y1 (ko) 랩핑 포장되는 상품의 정렬장치
BR112015019810B1 (pt) Centro de embalagem personalizada e método para criar uma embalagem personalizada
KR101765716B1 (ko) 이송라인 상에서 상품의 복층형 이송을 위한 상품 공급 장치
EP3642130A1 (en) Cushion packages for object protection
CN105217300A (zh) 用于输送包装的输送单元和用于输送包装的方法
US10618680B2 (en) Plastic film sealing and packaging device
CN107108052A (zh) 一次性展示袋
KR100912457B1 (ko) 무게측정이 가능한 진공포장장치
AU2017261120B2 (en) Flow wrapper apparatus with forming tube
Hughes Food packaging machinery
JP2003165512A (ja) シュリンク包装方法及びシュリンク包装体
US3618289A (en) Automatic wrapping apparatus
KR101414010B1 (ko) 번들 제품의 직립유도장치
KR101460506B1 (ko) 약제포장장치의 포장모듈
JP2574055Y2 (ja) シュリンク包装装置
KR200468347Y1 (ko) 핫멜트를 이용한 포장박스 봉인장치
KR101703706B1 (ko) 블리스터 패키지를 이용한 포장 상품의 검사용 반전장치
US20200283177A1 (en) Process for making a consumer goods product
JPH086727Y2 (ja) シュリンクトンネル装置における安全機構
KR910007804Y1 (ko) 부로와를 이용한 물품자동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