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69Y1 - A fabricative the floor - Google Patents

A fabricative the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69Y1
KR200459669Y1 KR2020100001300U KR20100001300U KR200459669Y1 KR 200459669 Y1 KR200459669 Y1 KR 200459669Y1 KR 2020100001300 U KR2020100001300 U KR 2020100001300U KR 20100001300 U KR20100001300 U KR 20100001300U KR 200459669 Y1 KR200459669 Y1 KR 200459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looring
protrusion
pane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960U (en
Inventor
유재웅
Original Assignee
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웅 filed Critical 유재웅
Priority to KR2020100001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6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7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6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 돌기, 다른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홈을 가지는 마루 판넬; 상기 마루 판넬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마루 판넬의 저면에 고정되고 사방 테두리에 하향 돌출되는 제1 체결편 및 제2 체결편을 가지며, 저면에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 보다 긴 길이로 하향 돌출된 다수의 받침 돌기들을 갖는 받침 판넬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바닥재들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바닥재들의 조립시 바닥재들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체결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면적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바닥재들의 연결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조립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다양한 배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flooring panel having an assembling protrusion formed on two sides that are orthogonal to one another and neighboring grooves formed on two side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and protrude downward on the four sides of the floor panel in the same size as the floor panel, and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uppor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According to this, the fastening between the flooring is easy, and when the assembly of the flooring can be freely faste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assembly is possible while freely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the user's intention. Therefore,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arrangements.

Description

조립식 마루 바닥재{A FABRICATIVE THE FLOOR}Prefab parquet flooring {A FABRICATIVE THE FLOOR}

본 고안은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이 용이하고, 조립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that can be easily combined, the shape of the assembly can be changed freely.

일반적으로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베란다나 발코니 또는 욕실 등의 바닥이 대부분 타일로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장소에 대한 활용가치를 높이고, 미관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식 마루는 다수개의 단위 판넬을 상호 연결 조립하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고, 또한 단위 판넬의 분리가 용이하여 보관이나 이사시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In general, prefabricated parquet floors are used to increase the utility value and increase the aesthetics of these places because most of the floors such as the balcony or balcony or bathroom are constructed of tiles.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floor is installed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panels,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and also easy to remove the unit panel is very easy to handle handling during storage or moving.

이러한 이유로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위에서 언급된 장소 이외에도 각종 시설물의 실내 바닥에도 마루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은 물론이다.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laces, the prefabricated flooring is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floor of the indoor floor of various facilities.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들이다.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efab floor flooring.

종래 대부분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마루 판넬(2)과, 마루 판넬(2)의 저면에 부착되어 마루 판넬(2)을 지지하고 복수의 바닥재(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돌기(4) 및 제2 돌기(5)를 갖는 받침 판넬(3)로 구성된다.Conventionally, most of the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1 is attached to a cuboid-shaped flooring panel 2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ing panel 2 as shown in FIGS. 1 and 2 to support the flooring panel 2 and a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1. ) And a backing panel (3) having a first projection (4) and a second projection (5) of different shapes for interconnecting the < RTI ID = 0.0 >

제1 돌기(4)는 받침 판넬(3)의 일측 장변 및 단변에 돌출 형성되어 중앙에 구멍(4a)을 형성하며, 제2 돌기(5)는 받침 판넬(3)의 다른 일측 장변 및 단변에 돌출 형성되어 구멍(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first protrusion 4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3 on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to form a hole 4a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protrusion 5 is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3 on the long side and short side. It protrudes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 4a.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1)는 조립 과정에서 제2 돌기(5)를 제1 돌기(4)의 상측에 정확히 대응시킨 후 강제로 눌러서 조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돌기(4, 5)들이 정확히 대응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 과정이 번거럽고 불편하였다.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 1 is assembled by forcibly pressing the second protrusion 5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4 in the assembling process. Accordingly, the assembling process wa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assembling process was performed while visually confirming whether the protrusions 4 and 5 corresponded correctly.

또한 상술한 조립 방식으로는 도 3과 같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형태로의 조립만이 가능할 뿐, 지그 재그식 배열의 조립 형태로 변경할 수 없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ssembly method, only the assembly in the form of parallel arrangement as shown in FIG. 3 is possible, and the assembly in the zigzag arrangement cannot be changed.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재들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조립시 바닥재들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 which is easy to fasten between flooring materials and freely fastens in an orthogonal direction when flooring materials are assembl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 돌기, 다른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홈을 가지는 마루 판넬; 상기 마루 판넬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마루 판넬의 저면에 고정되고 사방 테두리에 하향 돌출되는 제1 체결편 및 제2 체결편을 가지며, 저면에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 보다 긴 길이로 하향 돌출된 다수의 받침 돌기들을 갖는 받침 판넬을 포함한다.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formed on two sides orthogonal and mutually neighboring sides of one side, orthogonal to each other formed on two mutually neighboring sides Floor panels having assembly grooves;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and protrude downward on the four sides of the floor panel in the same size as the floor panel, and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uppor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상기 제1 체결편은 상기 받침 판넬의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체결 돌기, 상기 받침 판넬의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편은 상기 받침 판넬의 다른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편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후크, 상기 받침 판넬의 다른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 또는 상기 제2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제2 체결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ie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at a longitudinal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ing panel,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at a widthwise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ing panel. The second fastening piece is formed at a lengthwis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and is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hook which is formed on the edge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or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상기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배열되어 각 체결 돌기들 사이에 상기 제1 체결 후크 및 상기 제2 체결 후크의 체결을 위한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insertion part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ok and the second fastening hook between each fastening protrusion.

상기 제1 체결 돌기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후크는 상기 제1 체결 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돌기들에 체결되며,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fastening hook is formed protruding in the U-shape to accommodat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nwardl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during assembly is slid left or right By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s,

상기 제2 체결 후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더 형성되고, 조립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좌, 우측 단부가 상기 제1 체결 돌기들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들 단부에 걸림 및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들에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hook is formed in a U-shape, the front end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orwar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during assembly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cking portion i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astening I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by being caught and supported by the end portions of the protrusions.

상기 받침 돌기의 바닥면에는 고무 재질의 밀림 방지편이 더 부착될 수 있다.The anti-slip piece of rubber material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의하면, 바닥재들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바닥재들의 조립시 바닥재들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체결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면적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바닥재들의 연결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조립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다양한 배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between the flooring is easy, and when the assembly of the flooring can be freely faste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t the intersection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the user's intention It can be assembled while freely changing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arrangement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또 다른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들 및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nventional prefab floor flooring.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other assembly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i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full disclosur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마루 판넬(10), 받침 판넬(20)로 대분된다.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floor panel 10, a backing panel 20, as shown in Figs.

마루 판넬(10)은 결이 형성된 나무재 또는 자연 나무결 질감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The flooring panel 10 is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have a wood or natural wood grain texture with a grain, and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 돌기(1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는 조립 돌기(11)의 돌출 길이에 부합하는 깊이를 갖는 조립홈(12)이 형성되어 마루 판넬(10)간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wo orthogonal neighboring sides of one side are formed assembling protrusions 11 protruding outward, and two orthogonal neighboring sides of the other side are assembled with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11. Groove 12 is formed to enable the assembl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loor panel (10).

받침 판넬(2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마루 판넬(10)과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제작되어 마루 판넬(10)의 저면에 나사(S)에 의해 고정되며, 물이 접촉되어도 변형이 없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The support panel 20 has a certain thickness and is made of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floor panel 10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 by screws S, and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even when water is contacted. Is formed.

그리고 받침 판넬(20)의 사방 테두리에는 하향 돌출되는 제1 체결편(23) 및 제2 체결편(27)을 가지며, 사방 테두리 내측의 저면에는 제1 체결편(23) 및 제2 체결편(27)의 돌출된 길이 보다 긴 길이로 하향 돌출되어 조립식 마루의 설치 공간내의 바닥에 직접 접촉되는 받침 돌기(28)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our sides of the supporting panel 20 have a first fastening piece 23 and a second fastening piece 27 projecting downward, and the first fastening piece 23 and a second fastening piece ( Supporting projections 28 ar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jecting downward to a length lon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27) and directly contacting the floor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refabricated floor.

여기서, 제1 체결편(23)은 받침 판넬(20)의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게 다수로 연속 형성되는 제1 체결 돌기(21), 및 받침 판넬(20)의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게 다수로 연속 형성되는 제2 체결 돌기(22)로 구성된다.Here, the first fastening piece 23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21 continuously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longitudinal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20,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20. It consists of a 2nd fastening protrusion 22 continuously formed in multiple numbers so that it may protrude downwar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e width direction edge.

그리고 제1 체결 돌기(21) 및 제2 체결 돌기(22)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배열되어 각 체결 돌기(21, 22)들 사이에 삽입부(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21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22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n insertion portion 24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1 and 22.

제2 체결편(27)은 받침 판넬(20)의 다른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제1 체결 돌기(21)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제1 체결 돌기(21)와 결합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어 다수로 연속 형성되는 제1 체결 후크(25), 및 받침 판넬(20)의 다른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ㄷ자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제2 체결 후크(26)로 구성된다.The second fastening piece 27 protrudes downward in a c shape to receiv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inwardly at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20 and to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oks 25 continuously formed, and second fastening hooks 26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in a U-shape at the widthwis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20.

그리고 제2 체결 후크(26)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 체결 돌기(21) 또는 제2 체결 돌기(22)와 체결시 제1 체결 돌기(21) 및 제2 체결 돌기(22)들의 단부에 걸림 및 지지되는 걸림부(26a)가 더 형성된다.And the second fastening hook 26 is formed in a U-shape but protrudes forward to the front end whe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or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2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 locking portion 26a that is latched and supported at the ends of the 22 is further formed.

걸림부(26a)는 제2 체결 후크(26)의 전체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은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부(24)로 쉽게 삽입이 가능하다.The catching part 26a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entire width of the second fastening hook 26, and both sides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inserting part 24 can be easily insert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조립 과정 및 사용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use state so that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highlighted.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건물의 실내 외 바닥, 예컨대 아파트 베란다나 거실, 욕실, 마루, 현관 등의 바닥에 필요한 수만큼 상호 연결하여 조립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Prefabricat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nect and assemble as many as necessary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floors of the building, such as apartment veranda or living room, bathroom, floor, porch, etc., Figures 6 to 10 The assembly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재(100, 100’)를 길이 방향의 장변이 대응되도록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조립시, 어느 하나의 마루 판넬(10) 저면의 받침 판넬(20) 길이 방향 테두리에 형성된 제1 체결 후크(25)를 조립될 마루 판넬(10) 저면 받침 판넬(20)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형성된 삽입부(24)에 도 6과 같이 삽입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서 두 바닥재(100, 100’)의 길이 방향의 장변이 평행하게 대응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when assembling the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long sides thereof correspond to the lengthwise side, the supporting panel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of any floor panel 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edge thereof. After inserting the first fastening hook 25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24 formed in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bottom support panel 20 to be assembled floor panel 10 as shown in FIG. 100, 100 ') long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arallel to each other.

이때, 도 7과 같이 제1 체결 후크(25)는 제1 체결 돌기(21)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체결 돌기(21)와 체결되고, 두 마루 판넬(10)의 대응하는 두 변에 각각 형성된 조립 돌기(11) 및 조립홈(12)이 슬라이딩 체결되면서 두 마루 판넬(10)이 조립 및 고정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fastening hook 25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while moving towar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 and formed on two corresponding sides of the two floor panels 10, respectively. As the protrusions 11 and the assembling grooves 12 are slid and fastened, the two floor panels 10 are assembled and fixed.

이와 같은 과정으로 폭 방향으로 바닥재(100)들을 조립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폭 방향으로 조립된 바닥재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조립할 때는 어느 하나의 바닥재의 받침 판넬의 제2 체결 돌기들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를 향하여 조립될 다른 하나의 바닥재를 밀면서 그 바닥재의 받침 판넬의 제2 체결 후크를 삽입하여 두 바닥재를 조립한다.In this process, the flooring materials 100 may be assembl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flooring materials assembled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tinuously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panel of the supporting panel of any one flooring material may be assembled. The two flooring materials are assembled by inserting a second fastening hook of the base panel of the flooring material while pushing the other flooring material to be assembled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projections.

이때, 제2 체결 후크가 삽입부에 삽입될 때 선단의 걸림부의 경사진 양측 단부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며, 걸림부의 양측 단부 후방이 제2 체결 돌기들 단부에 걸림 및 지지되어 제2 체결 후크가 제2 체결 돌기에 체결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fasten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the second fastening hook is easily inserted by the inclined both ends of the catching part of the distal end, and the rear end of both ends of the catching part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hook is It is fastened to the 2nd fastening protrusion.

이와 같이 바닥재(100)를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속 조립하면서 원하는 공간의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Thus, the flooring material 100 can be used by spreading on the floor of the desired space while continuously assembl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하나의 바닥재(100)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바닥재(100)를 직교되게 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 100 can be fastened orthogonally to one flooring material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도 8 및 도 9와 같이 하나의 바닥재(100)의 제1 체결 돌기(21)들 사이의 삽입부(24)에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바닥재(100, 100’)의 제2 체결 후크(26)를 삽입하면 제2 체결 후크(26) 선단의 걸림부(26a) 양단이 제1 체결 돌기(21)들의 단부에 걸림 및 지지되어 두 바닥재(100, 100’)의 연결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바닥재(100, 100’)를 하나의 바닥재(100, 100’)에 체결하여 상호 연결이 가능하다.That is,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econd fastening hook of the other one or the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4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21 of the one flooring material 100. When the 26 is inserted, both ends of the locking portion 26a at the tip of the second fastening hook 26 are caught and supported at the ends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21, thereby connecting the two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 In the same manner, a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may be connected to one flooring material 100 and 100' to be interconnected.

이에 따라, 바닥재(100, 100’)들의 연결시 도 10과 같이 1열과 2열의 조립 상태가 상호 직교되도록 연결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면적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바닥재(100, 100’)들의 연결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조립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0, the assembly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may be connect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flooring materials 100 and 100' may b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assemble while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se freely.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를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fabricated floorboar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prefabricated floorboa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200)는 받침 돌기(38)의 바닥면에 고무 재질의 밀림 방지편(40)이 더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100)와 동일하다.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anti-slip piece 40 of the rubber material is furth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rojection 38 It is the same as the flooring flooring 100.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200)에 의하면 다수의 바닥재(200)를 조립하여 설치시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 돌기(38)에 부착된 밀림 방지편(40)에 의해 바닥재(2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외 작용 및 효과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100)와 동일하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a plurality of floorings 200 when installed in the anti-slip piece 40 attached to the support projection 38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By the rolling of the flooring 200 can be prevented, other ac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e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 200 : 바닥재 10 : 마루 판넬
11 : 조립 돌기 12 : 조립홈
20 : 받침 판넬 21 : 제1 체결 돌기
22 : 제2 체결 돌기 23 : 제1 체결편
24 : 삽입부 25 : 제1 후크
26 : 제2 후크 26a : 걸림부
27 : 제2 체결편 28, 38 : 받침 돌기
40 : 밀림 방지편
100, 100 ', 200: flooring 10: floor panel
11: assembly protrusion 12: assembly groove
20: support panel 21: first fastening protrusion
22: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3: first fastening piece
24: inserting portion 25: first hook
26: second hook 26a: locking portion
27: 2nd fastening piece 28, 38: support protrusion
40: jungle prevention piece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 돌기, 다른 일측의 직교되어 상호 이웃하는 두 변에 형성된 조립홈을 가지는 마루 판넬; 상기 마루 판넬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마루 판넬의 저면에 고정되고 사방 테두리에 하향 돌출되는 제1 체결편 및 제2 체결편을 가지며, 저면에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 보다 긴 길이로 하향 돌출된 다수의 받침 돌기들을 갖는 받침 판넬을 포함하는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편은
상기 받침 판넬의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체결 돌기, 상기 받침 판넬의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편은
상기 받침 판넬의 다른 일측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편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후크, 상기 받침 판넬의 다른 일측의 폭 방향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 또는 상기 제2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제2 체결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배열되어 각 체결 돌기들 사이에 상기 제1 체결 후크 및 상기 제2 체결 후크의 체결을 위한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체결 돌기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후크는 상기 제1 체결 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돌기들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 후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더 형성되고, 조립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좌, 우측 단부가 상기 제1 체결 돌기들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들 단부에 걸림 및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체결 돌기들에 체결되는 조립식 마루 바닥재.
A parquet panel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n assembling protrusion formed at two mutually adjacent sides on one side, and an assembling groove formed at two mutually adjacent sides on the other side;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and protrude downward on the four sides of the floor panel in the same size as the floor panel, and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on the bottom surface. A prefabricated floor covering comprising a suppor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The first fastening pie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in the widthwise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The second fastening piece
A first fastening hook formed at a lengthwis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and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iece, and formed at a widthwis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nel; A second fastening hook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or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re arranged in a pluralit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insertion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ok and the second fastening hook between each fastening protrusio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fastening hook is formed protruding in the U-shape to accommodat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nwardl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during assembly is slid left or right By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s,
The second fastening hook is formed in a U-shape, the front end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orwar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during assembly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cking portion i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astening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s and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s by being caught and supported by the end of the proj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돌기의 바닥면에는 고무 재질의 밀림 방지편이 더 부착되는 조립식 마루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 is further attached to the anti-slip piece of rubber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rojection.
KR2020100001300U 2010-02-05 2010-02-05 A fabricative the floor KR2004596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00U KR200459669Y1 (en) 2010-02-05 2010-02-05 A fabricative the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00U KR200459669Y1 (en) 2010-02-05 2010-02-05 A fabricative the fl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60U KR20110007960U (en) 2011-08-11
KR200459669Y1 true KR200459669Y1 (en) 2012-04-06

Family

ID=4559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00U KR200459669Y1 (en) 2010-02-05 2010-02-05 A fabricative the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6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53Y1 (en) * 2000-04-04 2000-09-15 권종 Prefabricated floor mat unit
KR200312058Y1 (en) 2003-02-17 2003-05-09 민태의 A floor m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53Y1 (en) * 2000-04-04 2000-09-15 권종 Prefabricated floor mat unit
KR200312058Y1 (en) 2003-02-17 2003-05-09 민태의 A floor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60U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4677B2 (en) Joi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xterior flooring
US20030093964A1 (en) Floor grid system
KR20090060686A (en) Combination device of deck system
US9187910B2 (en) Carpet til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3173625U (en) Plastic flooring
KR20080008820A (en) Deck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eck using the same
KR200497905Y1 (en) Self assembly tile
US20090107077A1 (en) Modular flooring
WO2020244092A1 (en) Floorboard laying method
KR200459669Y1 (en) A fabricative the floor
TWM503091U (en) Corrugated paper pet house structure
JP3209776U (en) Combination floorboard
CN211114596U (en) Floor connecting buckle and floor system
JP2004036278A (en) Planking connector
JP2540051Y2 (en) Floor structure
JP2002129735A (en) Laying frame for decoration floor board
CN212729483U (en) Carpet piece and carpet with hidden lock structure
KR100536661B1 (en) a assmble type multi use board
JP3229488U (en) Floor tile
KR101217347B1 (en) Partition or wall
KR200236491Y1 (en) Auxiliary bottom plate
JP2001173087A (en) Floor structure
JP6633860B2 (en) Wood board
JPH0246582Y2 (en)
JPH08135148A (en) Composite floo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