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61Y1 - 벤치 - Google Patents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61Y1
KR200459561Y1 KR2020100005910U KR20100005910U KR200459561Y1 KR 200459561 Y1 KR200459561 Y1 KR 200459561Y1 KR 2020100005910 U KR2020100005910 U KR 2020100005910U KR 20100005910 U KR20100005910 U KR 20100005910U KR 200459561 Y1 KR200459561 Y1 KR 200459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bench
presen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490U (ko
Inventor
차기철
이정제
우재민
안미선
Original Assignee
고려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조경(주) filed Critical 고려조경(주)
Priority to KR2020100005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6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조형물로서 사용 가능한 조립식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착석부를 지면 위에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고,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 사이에 착석부의 단부를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부의 상하 방향으로 착석부의 단부의 끼움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벤치{Bench}
본 고안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조형물로서 사용 가능한 조립식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야외에 설치되어 보행 중이거나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한 수단인 것으로, 최근 주거환경이나 도심 생활환경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주택가나 도로 주변에도 크고 작은 공원이 조성되고 아파트 단지 내에도 조경시설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원이나 조경시설 등에는 이동 중인 사람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벤치가 설치된다.
첨부한 도 10은 일반적인 기존 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상 기존 벤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착석부(1)와, 이 착석부(1)를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2)는 착석부(1)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착석부(1)를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존 벤치는 단순히 앉아서 휴식을 취하는 자리를 제공하는 기능에 한정된 것으로,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부(1)의 높낮이를 변경하거나 착석부(1)의 사이즈를 변형하기 어려우며, 지지부(2)와 착석부(1)를 추가하여 확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 벤치는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벤치를 추가 배치해야 하고, 새로운 벤치의 추가는 지지부(2)와 착석부(1)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작업에 비해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는 양단부가 지지부(2)에 올려진 상태에서 대못을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착석부(1)를 길게 확장하여 앉을 자리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사이즈의 착석부를 가지는 벤치를 새로 제작해야 하며, 이에 벤치를 새로 제작하는데 따른 추가 작업 및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시간적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도 10과 같은 기존 벤치는 통상 종방향 혹은 횡방향의 복수열로 단순 배열됨으로 인해 조형미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의 조경시설 및 보도, 정류장 등에는 벤치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한 조경용 화분을 별도로 설치하여 사람들이 조경을 감상하며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용 화분과 벤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시 별도로 구입하여 배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착석부와, 이 착석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를 지지부에 끼움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장 및 변경 가능한 친환경적인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착석부를 지면 위에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고,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 사이에 착석부의 단부를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부의 상하 방향으로 착석부의 단부의 끼움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가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착석부가 받침대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며 받침대 사이에 끼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볼트를 가지는 결합부재가 더 구성되어 착석부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부와 착석부 간의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 야간 인지도를 증대하기 위한 조명부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 식물 식재를 위한 식재용기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를 복수 개 마련하여 일정 거리 및 일정 위치를 두고 배치하고, 각 지지부 사이에 착석부를 연결 설치하여 지지부들을 일체식으로 이어주는 형태로 구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착석부들은 조립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틀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착석부와 지지부를 끼움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바에 따라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고 다른 형태로의 확장 및 변형이 용이하며, 이에 벤치의 확장 및 변형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경제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화분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와 자연 친화적인 조경용 화분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조경시설의 조형성 및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일실시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일실시예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는 일반적인 기존 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등의 조경시설에 원하는 형태로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 가능하고, 이에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크게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석부(10)와, 이 착석부(10)가 끼움 조립 방식으로 결합되는 지지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0)는 착석부(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착석부(1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착석부(10)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 지지부(20)는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지지부 바디(21)와, 상기 지지부 바디(21)의 외주면에 결합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부 바디(21)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받침대(23) 사이에는 착석부(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25)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5)은 지지부(2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
이에 본 고안은 다수 열로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25) 중 선택된 끼움홈(25)에 착석부(10)의 단부를 끼움 조립함으로써 지지부(20) 상에서(혹은 지면으로부터) 착석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선택한 끼움홈(25)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20)에 대한 착석부(10)의 조립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신장을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복수로 구성된 착석부(10)의 조립 높이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서로 다른 신장을 가지는 이용자들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부(20)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하고, 각 지지부(20)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각각의 착석부(10)들은 조립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하나의 벤치에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착석부(10)가 각각 구성되므로 유아나 어린이 혹은 어른 구분할 것 없이 다양한 신장대의 이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3)는 지지부 바디(2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끊김없이 이어지며, 이에 상기 끼움홈(25) 역시 지지부(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23)를 지지부(20)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하여 길게 형성함으로써 도 6a 내지 도 9와 같이 복수의 착석부(10)를 지지부(20)의 둘레를 따라 배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착석부(10)를 배치하고 그 착석부(10)의 단부를 지지부(20)의 끼움홈에 끼움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도 6a 내지 도 9와 같이 지지부(20) 상에서 동일 높이에 형성된 끼움홈(25)에 복수의 착석부(10)를 조립하여 하나의 지지부(20)가 복수의 착석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원하는 구조의 벤치 형상에 따라 지지부(20)를 먼저 배치한 다음, 각 지지부(20) 사이에 착석부(10)를 배치하여 조립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수 개의 지지부(20)를 일정 거리 및 일정 위치를 두고 배치하고, 각 지지부(20) 사이에 각각의 착석부(10)를 연결 설치하여 지지부(20)들을 일체식으로 이어주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하나의 벤치를 구성하는 지지부(20)의 설치 공정을 모두 완료한 다음 착석부(10)를 조립하게 되므로, 지지부(20)와 착석부(10)의 설치 공정을 혼합하여 설치할 때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지지부(20)에 하나 이상의 착석부(10)를 끼움 조립 방식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지지부(20) 상에서 착석부(10)의 조립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착석부(10)의 높이를 변경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받침대(23)의 표면은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우드(wood) 패턴으로 도장처리되고, 지지부(20) 및 받침대(23)는 사각 형상(도 3 참조) 또는 원 형상(도 9 참조)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현된다.
특히, 상기 받침대(23)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받침대(23)가 사각 형상인 경우 도 7 및 도 8과 같이 착석부(10)가 서로 평행을 이루거나 직각을 이룬 형태로 배치되고, 원 형상인 경우 서로 평행을 이루거나 직각을 이룬 구조는 물론 도 9와 같이 지지부(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끼움 조립 방식으로 조립되는 착석부(10)와 지지부(20) 간에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 바디(21)에 체결되는 볼트(13a)를 가지는 결합부재(13)를 더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받침대(23)가 부분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3b)이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착석부(10)의 측면을 관통한 장볼트(17, 예를 들어 전선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타공홀(13c)이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결합부재(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3a)를 통해 지지부 바디(21)에 결합되고 받침대(23)가 관통홀(13b)에 부분 삽입되며, 이 결합부재(13)의 타공홀(13c)과 착석부(10)의 측면부에 장볼트(17)를 동시 관통시켜서 결합부재(13)와 착석부(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착석부(10)의 단부는 지지부(20)의 끼움홈(25)에 끼움됨은 물론 결합부재(13)의 내측에 부분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결합부재(13)는 착석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서 착석부(10)가 지지부(20)에 끼움 조립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착석부(10)가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네 개의 착석부 파트(11)로 이루어지는 경우, 중앙에 배치되는 두 개의 착석부 파트(11)는 결합부재(13)의 내측에 삽입되고 바깥쪽에 배치되는 다른 두 개의 착석부 파트(11)는 결합부재(13)의 좌우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착석부 파트(11) 사이에 고정부재(15)를 개재하고, 착석부 파트(11)와 결합부재(13) 및 고정부재(15)에 장볼트(17)를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착석부 파트(11)가 일체로 연결되는 동시에 지지부(20)에 끼움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된다.
상기 고정부재(15)는 중앙이 관통된 원 형상의 부재로서, 미관상 착석부 파트(11)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13)와 동일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5)와 결합부재(13)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13)가 삽입된 위치에는 고정부재(15)의 배치를 생략한다.
또한, 착석부(10)의 양단부 뿐 아니라 중앙부에 있어서도 착석부 파트(11) 사이에 고정부재(15)를 개재하고, 착석부(10)의 중앙부 측면을 관통하는 장볼트(17)를 상기 고정부재(15)에 동시에 관통시켜 착석부 파트(11) 간의 연결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 착석부(10)는 받침대(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고 결합부재(13)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약을 받게 되면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지부(20)에는 조명효과를 통해 야간 인지도를 증대하기 위해 조명부가 더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는 지지부(20)의 상단에 장착되는 발광소자(29)와, 이 발광소자(29)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LED 등의 발광소자(29)를 지지부(20)의 상단에 배치된 받침대(23)의 하부에 설치하되, 발광소자(29)가 받침대(23)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받침대(23)의 하단부에 삽설하여 상기 발광소자(29) 바로 아래의 끼움홈(25)에 착석부(10)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도 4와 같이 지지부(20) 상단에 배치된 받침대(23) 바로 아래의 지지부 바디(21) 부분에 부착되는 고휘도 반사시트(21c)로 단독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휘도 반사시트(21c)는 광사반 효율이 매우 우수한 반사시트로서, 주변에서 제공되는 빛을 단순히 반사하는 것으로 야간 인지도를 위한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조명부의 조명효과로 인해 야간에 휴식처로서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고 보행자의 야간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조형물로서의 조형미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벤치에는 상기 지지부(20)의 내측으로 식물 식재가 가능한 식재용기(27)가 더 구성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식재용기(27)는 상단부가 지지부(2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된 거치단(21b)에 걸쳐지도록 지지부(20)에 삽설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용기(27)의 저면에는 식물식재용 공급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홀(27a)이 형성되고, 이 배수홀(27a) 위에서 흙이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망사커버(27b)가 식재용기(27)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20)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홀(27a)을 통해 배수된 공급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1a)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20)에 대한 식재용기(27)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식재용기(27)의 상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7c)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27c)는 식재용기(27)의 상단을 관통한 하단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손잡이(27c)가 식재용기(27)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7c)는 비사용시에는 하중에 의해 식재용기(27)의 상단에 대해 하강된 상태로 있다가, 사용을 위해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볼트가 식재용기(27)의 상단에 닿을 때까지 상승하여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지지부(20)에 식재용기(27)를 설치하고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조형물로서의 조형미와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화분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절감됨으로 인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이용자에게 자연 친화적인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도심 속에서도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므로, 계절 및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 식재된 화분들이 거치대 등을 통해 배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거치대는 별도로 제작 설치되고 있어서 경제적인 손실 및 설치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벤치는 지지부(20)를 화분 겸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어려움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부(20)와 착석부(10) 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벤치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도 2와 같이 하나의 착석부(10)와 두 개의 지지부(20)를 가지는 기본형 벤치에 다른 착석부(10) 및 지지부(20)를 추가 연결하여 도 6a 내지 도 9와 같이 변경 및 확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하고, 이에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하게 된다.
10 : 착석부
11 : 착석부 파트
13 : 결합부재
13a : 볼트
13b : 관통홀
13c : 타공홀
15 : 고정부재
17 : 장볼트
20 : 지지부
21 : 지지부 바디
21a : 배수구
21b : 거치단
23 : 받침대
25 : 끼움홈
27 : 식재용기
27a : 배수홀
27b : 망사커버
27c : 손잡이
29 : 발광소자

Claims (8)

  1.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착석부(10);
    상기 착석부(10)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착석부(10)를 지면 위에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고,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23)를 가지는 지지부(20);
    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23) 사이에 착석부(10)의 단부를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부(20)의 상하 방향으로 착석부(10)의 단부의 끼움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3)가 지지부(20)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착석부(10)가 받침대(23)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며 받침대(23) 사이에 끼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에 체결되는 볼트(13a)를 가지는 결합부재(13)가 더 구성되어 착석부(10)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부(20)와 착석부(10) 간의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에 야간 인지도를 증대하기 위한 조명부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에 식물 식재를 위한 식재용기(27)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를 복수 개 마련하여 일정 거리 및 일정 위치를 두고 배치하고, 각 지지부(20) 사이에 각각의 착석부(10)를 연결 설치하여 지지부(20)들을 일체식으로 이어주는 형태로 구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20)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착석부(10)들은 조립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3)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의 틀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KR2020100005910U 2010-06-07 2010-06-07 벤치 KR200459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10U KR200459561Y1 (ko) 2010-06-07 2010-06-07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10U KR200459561Y1 (ko) 2010-06-07 2010-06-07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90U KR20110011490U (ko) 2011-12-14
KR200459561Y1 true KR200459561Y1 (ko) 2012-04-12

Family

ID=466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10U KR200459561Y1 (ko) 2010-06-07 2010-06-07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81Y1 (ko) * 2020-11-25 2022-11-22 주식회사 닷밀 자연 친화적 공기정화 벤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58Y1 (ko) * 2019-07-05 2020-08-20 (주)레드건축디자인 고휘도 반사부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진공성형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5U (ko) 1985-06-25 1987-01-13
JPH06217848A (ja) * 1993-01-26 1994-08-09 Fuji Concrete Kogyo Kk 組み合わせベンチ
KR200260734Y1 (ko) 2001-10-29 2002-01-17 (주)솔스티스 벤치겸용 화분
KR100672776B1 (ko) 2006-10-16 2007-01-22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가변식 벤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5U (ko) 1985-06-25 1987-01-13
JPH06217848A (ja) * 1993-01-26 1994-08-09 Fuji Concrete Kogyo Kk 組み合わせベンチ
KR200260734Y1 (ko) 2001-10-29 2002-01-17 (주)솔스티스 벤치겸용 화분
KR100672776B1 (ko) 2006-10-16 2007-01-22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가변식 벤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81Y1 (ko) * 2020-11-25 2022-11-22 주식회사 닷밀 자연 친화적 공기정화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90U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67276U (zh) 一种立体绿化停车装置
KR10128583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정자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CA2556539A1 (en) Gazebos with integrated additional features
KR200459561Y1 (ko) 벤치
US20070022669A1 (en) Gazebos with decorative posts having replaceable tops
CN201789814U (zh) 坐栏花盆
CN212053943U (zh) 集顶部种植与雨水收集灌溉为一体的景观亭
CN202285685U (zh) 立体式多层自由空间分布花架
KR20100114559A (ko) 정자(亭子)의 구조
CN201369959Y (zh) 一种方形立体组合花盆
CN201422289Y (zh) 一种用于墙体的绿化架
KR20110101630A (ko) 이동식 화단.
KR20110023180A (ko) 조립식화분
KR101792688B1 (ko)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KR101252377B1 (ko) 배수가 용이한 식물 재배장치
CN214195682U (zh) 景观亭
CN207820637U (zh) 一种拼装式花盆
CN206101025U (zh) 一种杜鹃花种植装置
CN202220475U (zh) 一种简易六边形撑杆式儿童帐篷
CN214963966U (zh) 多功能一体化坐凳
CN219732082U (zh) 一种水上景观休息亭
KR20140019690A (ko) 프로파일재를 이용한 수경재배용 화분대
CN205558360U (zh) 一种用于园林的新型廊架
CN104652860A (zh) 具有复数个储水腔的移动式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