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20Y1 - A memorial tablet - Google Patents

A memorial tab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20Y1
KR200459520Y1 KR2020090015132U KR20090015132U KR200459520Y1 KR 200459520 Y1 KR200459520 Y1 KR 200459520Y1 KR 2020090015132 U KR2020090015132 U KR 2020090015132U KR 20090015132 U KR20090015132 U KR 20090015132U KR 200459520 Y1 KR200459520 Y1 KR 200459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mmemorative
display panel
produc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308U (en
Inventor
정영란
Original Assignee
정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란 filed Critical 정영란
Priority to KR202009001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20Y1/en
Publication of KR20110005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없이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내에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시판을 통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하여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금, 은, 기념주화 등의 부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증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display the commemorative plaques easily and without additional support legs, and to easily open and store subsidiary goods in the body, while rotating and opening the rotating plaque through the display panel to present gold, silver and commemorative plaqu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emorative plaque in which sub-products such as coins can be stored and presented more easily, and sub-products for improving the merchandise according to appearance are embedded.

이는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에는 회동허용홈(12)을 가지는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 관통되어 힌지부재(50)가 체결되는 축공(13)이 형성된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삽입체결되어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이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작동되고, 수납실(21)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걸림턱(33)을 가지는 표시공(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에 의해 수납되고,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된 것이다.It is installed vertically with an installation groove 11 having a rotation allowable groove 12 is formed on one side, the stand 10 is formed in the upper and rear through the shaft hole 13 through which the hinge member 50 is fastened; ; A body 20 inserted into and fasten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and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member 50, and having a storage chamber 21 formed thereon in the front thereof;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0 is also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member 50 is rotated, the display hole 32 having a locking jaw 3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hamber 21, the front surface The display board 30 is engraved with the memorial contents 31; The sub-product 40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which is accommodated by the elastic member 41 made of sponge in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and can be cashed or used as a trading means. will be.

기념패, 상패, 감사패, 부상품, 기념주화. Commemorative plaques, plaques, appreciation plaques, sub-products, commemorative coins.

Description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A memorial tablet}Commemorative plaque with built-in sub-products {A memorial tablet}

본 고안은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없이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내에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시판을 통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하여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금, 은, 기념주화 등의 부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증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emorative plaque in which sub-products are embedded, and more particularly, the commemorative plaque can be easily stood up and displayed without a separate support leg, and can be easily stored in the body while being rotated through a display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emorative plaque in which subcommodities such as gold, silver, and commemorative coins presented together with commemorative plaques can be stored and presented more easily, and the commodities according to appearances are improved.

일반적으로 특정한 날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패나 특정인의 공로 치하하기 위하여 증정되는 감사패, 또는 각종 상으로 수여되는 상패, 기타 근속패, 공로패 등(이하 "기념패"라 함)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여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emorial plaque to commemorate a particular day, an appreciation plaque given to congratulate a particular person, or a plaque awarded by various awards, other service plaques, or merit plaq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morial plaques") are named according to their use. Although used differently, most of them are used in a similar form.

이러한 기념패는 사용되는 재질이나 형상, 모양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체적인 구성은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특정한 형태를 가지는 기념패의 몸체 전면에 각종 기념문구나 그림, 사진 등의 기념내용이 새겨져 구성된다.These memorial plaqu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aterial, shape, shape, etc. that are used, and the alternative composition is various memorial texts, pictures, and photographs on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memorial plaques having various specific shape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The memorial contents of this place are engraved.

이러한 기념패는 그 자체만을 증정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기념패와 함께 별도의 부상품을 지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 기념패와 부상품은 각각 별개의 케이스에 포장되어 따로 증정됨으로써 비용면이나 편리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commemorative plaques may be presented only on their own, but in most cases, it is common to pay separate subcommodities together with commemorative plaques. In this case, commemorative plaques and subcommodities are packaged in separate cases and presented separately. In many ways, there were very troublesome problem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원 출원인은 기념패의 내부에 별도의 부상품을 수납하여 증정토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능성 기념패를 실용신안등록 제219692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oposed a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19692, a functional commemorative plaque embedded with a sub-product for storing a separate sub-commodity inside the commemorative plaque.

이는 단순히 기념내용만을 새겨넣은 종전의 기념패에서 탈피하여 부상품을 기념패의 내부에 직접 내장하여 증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념패로서, 두 개의 전,후 판체를 보울트 및 너트나 자석 등으로서 상호 조립 및 분해 가능토록 구성하면서도 이의 내부에는 즉시 현금화할 수 있거나 또는 거래수단으로 통용가치가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체형의 기념판을 내장하면서도 이 기념판의 전면에는 각종 기념내용을 새겨 넣어 구성한 것이다.This is a new type of commemorative plaque, which deviates from the previous commemorative plaque that simply engraves the commemorative contents and presents it by directly embedding the sub-products inside the commemorative plaque. The two front and back plates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bolts, nuts or magnets. It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commemorative plate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that can be cashed immediately or internally used as a means of trading, or it is composed of various commemorative contents engraved on the front of the commemorative boar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부상품이 판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념패의 전체적인 구조를 극히 제한적으로 구성할 밖에 없어 기념패의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commemorative plaque has a product structure in which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ommemorative plaque is limited only as the sub-product presented together with the commemorative plaque is plate-shaped.

예컨데, 증정하고자 하는 부상품이 기념주화와 같은 원형이나 사각형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 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en the sub-items to be presented were used in various forms, as well as round or square, such as commemorative coins, application was very difficult.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 제384598호와 제427041호를 개량고안하여 제안한 바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upplement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d and improve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4598 and 427041.

상기의 구성에서 전자의 경우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념패와, 상기 기념패를 보관하면서도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별도로 부상품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보관서랍을 슬라이드식으로 설치토록 한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ormer, in the case of the former, a memorial plaque made of a plate shape, a storage case opened and closed by a lid while storing the memorial plaque, and a storage drawer for storing subsidiary products separately under the storage case are slidably installed. It is so long.

이는 부상품을 별도의 보관서랍으로 보관토록 하면서도 보관서랍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한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에 따른 어려움과 더불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부상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시각적인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is because the storage of the sub-products in a separate storage drawer while sliding the storage drawer is configured to slide open and clo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with difficulty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sub-produc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isual effect is not halved.

또한 후자의 구성은 부상품을 내부에 직접이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실을 가지는 기념패의 몸체와, 이 몸체의 전면에서 수납실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하는 표시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표시판의 전면에 각종 기념문구를 새겨 넣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atter configuration includes a body of a memorial plaqu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sub-products directly therein, and a display panel for sliding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t the front of the body. It is designed to inscribe memorial phrases.

그러나 이의 구성은 선등록 고안에서 요구되는 기능은 충분히 만족시킬수 있을지라도 표시판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음과 더불어 표시판이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진열하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연적으로 필요한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y panel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as well as the display panel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by configuring the display panel to slide open and close even if the function required in the pre-registration design can be fully satisfied. For this purpose,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such as the need for a separate support le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등록 고안의 문제점을 개량 고안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 없이 일측의 스탠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대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도모하고, 몸체의 전면에는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토록 함으로써 제품성과 더불어 장식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상품을 내장한 수납실을 전면의 표시판을 이용하여 회전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하여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e-designed design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display the commemorative plaque with a stand on one side without a separate support leg and to be packed as it is. This improves convenience in storage and use, and facilitates storage of subsidiary products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that can be immediately cashed or used as a means of trading on the front of the body,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and decor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memorative plaque in which the sub-products are built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containing the sub-products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rotary manner by using a display panel on the front thereof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sub-produc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기념패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념패는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서 회전식으로 수납실을 개폐작동시키면서도 각종 기념내용이 표시되는 표시판과, 상기 몸체와 표시판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면서도 이들을 힌지로 체결하여 지지다리의 기능을 제공토록 하는 스탠드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요치 않은 독특한 형태의 기념패를 제공함과 동 시에, 각종 부상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또한 표시판을 회전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하여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new type of commemorative plaque, the commemorative plaque of the present design and the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at can easily store the sub-products, rotatably receiv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The display panel displays various memorial contents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thread, and the stand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display panel, and the stand is fastened by a hinge to provide a function of the support leg.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mmemorative plaque of the form,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ore a variety of sub-products, and to configure the display panel to rotate open and close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sub-products.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념패의 전면에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기념주화 또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부상품을 직접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품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부상품이 시각적으로 보이게 되어 기념패의 가치상승 및 제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can be stored directly on the front of the commemorative plaque or by storing various commodities made of precious coins such as gold or silver that can be used as a trading means directly to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subsidiary good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sub-products will be visually visible, increasing the value of the commemorative plaques and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또한 부상품이 내장되는 몸체의 전면에 별도의 표시판을 설치하여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에 따른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display panel on the front of the body in which the sub-products are built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the hinge to the support poi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sub-products.

그리고 본 고안은 기념패의 일측에 스탠드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기념패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요치 않고도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절첩에 따른 작동이 없이도 그대로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commemorative plaque by installing the stan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ommemorative plaque so that it can be easily stood up and display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upport leg, and the packaging is intact without a separate folding ope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tored.

특히 본 고안은 몸체와 표시판을 비롯한 스탠드를 투명 또는 반투명 등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성의 향상과 더불어 호환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ransparent or translucent stand, including the body and the display panel, as well as can be manufactured with a variety of different materials will have the effect of having compatibility with the improvement of product properties.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5 내지 도9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12 이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1 to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and 11 is an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or less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기념패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기념패(100)는 크게 구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인 지지력을 제공토록 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힌지로 축결합되면서 판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가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어 수납실을 개폐토록 하면서도 각종 기념내용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 상기 몸체(20)내의 수납실에 수납되면서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된다.In the drawing, th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main body of the memorial plaqu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memorial plaque 100 is divided into a stand 10 and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ly to provide overall support power, and to the stand 10. The shaft 20 is axially coupled with a hinge and has a body 2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sub-products on one side, and the hinge is rotated as a support point at the front of the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various commemorations. The display panel 30 is engraved with the contents, and the sub-product 40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which can be immediately cashed or used as a transaction means while being stored in a storage room in the body 20.

이러한 구성의 기념패(100)를 각 부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상기 스탠드(10)는 기념패(100)의 전체적인 지지력을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방향으로 개구되는 설치홈(1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설치홈(11)의 내측벽 전면에는 표시판(30)이 회동작동될 수 있는 회동허용홈(1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몸체(20)와 표시판(30)을 힌지부재(50)로 결합하기 위한 축공(13)이 전,후 관통되게 형성된다.Looking at the commemorative plaque 100 of this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for each part, the stand 10 is to provide the overall support of the commemorative plaque 100, the installation groove 11 is opened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installed vertically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11,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 is formed with a rotation allowable groove 12 which can be rotated, the upper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Shaft hole 13 for coupling to the hinge member 50 is formed to pass through before, after.

상기 설치홈(11)에는 몸체(20)와 표시판(30)이 전,후 중첩되는 형태로 힌지부재(50)에 의해 나란히 축결합되고, 몸체(20)는 일측단면이 설치홈(11)내에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유동없이 고정설치되는 반면에 상기 표시판(30)은 회동허용홈(12)에 의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일정범위내에서 회동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The installation groove 11 is axially coupled side by side by the hinge member 50 in a form in which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overlap before and after, and the body 20 has one side surface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While the display panel 30 is fixedly installed without flow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isplay panel 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hinge member 50 supported by the pivoting allowable groove 12.

이때 회동허용홈(12)은 표시판(30)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시 관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일부만 홈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allowable groove 12 is formed in the groove only part so that the display panel 30 can be smoothly rotated operation without receiving interferenc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to the hinge member 50 as a support point.

또 상기 스탠드(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도 성형될 수 있으며, 후술할 몸체(20)와 표시판(30) 등과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and 10 is formed of a wood material, which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 and synthetic resin, and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to be described later. Productivity can also be improved by forming from materials other than).

또한 몸체(20)는 상기 기념패(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하는 대략 판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스탠드(10)와 힌지부재(50)로 축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되고, 아크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나 목재, 유리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20 is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plate-like shape to maintain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emorial plaques 100 while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stand 10 and the hinge member 50 to be integrally fixed and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crylic.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and glass.

몸체(20)의 전면 일측에는 별도의 부상품(4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21)이 전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 수납실(21)은 수납하고자 하는 부상품(40)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달리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body 20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chamber 21 for storing the separate sub-product 40 is opened to the front, the storage chamber 21 is in the form of the sub-product 40 to be stored It can vary in different shapes.

즉, 부상품(40)이 기념주화와 같이 원형일 경우에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종 기념 캐릭터나 동식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형상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That is, when the sub-item 40 is circular, such as commemorative coins, it can be formed as a circular groove, and of course, it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shapes including various commemorative characters or animals and plants.

또한 표시판(30)은 몸체(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전면에서 중첩되게 설치되고,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스탠드(10)와 축결합되어 이의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30 is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body 20 is installed to overlap in the front, and is also axially coupled to the stand 10 by the hinge member 50 to rotate the hinge member 50 of the support point It is configured to allow operation.

즉, 상기 표시판(30)은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형성되는 회동허용홈(12)에 의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display panel 30 is smoothly rotated to support the hinge member 50 by the pivoting allowance groove 12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상기 표시판(30)은 몸체(20)의 전면에 설치됨에 따라 몸체(20)의 수납실(21)을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전면의 표면에는 각종 기념문구나 기념도안 등의 기념내용(31)이 인쇄, 부식 또는 음각, 양각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새겨져 구성되고, 일측에는 부상품(40)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표시공(32)이 전후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display panel 3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20 to provide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the surface of the front of the memorial contents such as various memorial texts or memorial designs ( 31 is engrav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inting, corrosion or intaglio, embossing, etc., and the display hole 32 positioned in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1 in which the sub-product 40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one side so as to penetrate back and forth. do.

상기 기념내용(31)은 통상에서와 같이 기념패(100)의 목적에 맞게 각종 기념문구가 도안, 사진, 그림 등이 새겨져 구성되고, 표시판(30)을 유리, 아크릴, 크리스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체로 형성함으로써 전면은 물론이고 후면에 새겨 넣을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표시판(30)을 목재, 합성수지 등의 불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mmemorative contents 31 are composed of various memorial phrases engraved with drawings, photographs, pictures, etc.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ommemorative plaque 100, and the display panel 3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acrylic, crystal, or the like. By forming a transparent body can be engraved on the back as well as the front, alternatively, the display panel 3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uch as wood, synthetic resin.

또 상기 표시공(32)은 몸체(20)의 수납실(21)에 수납되는 부상품(4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능 과 더불어 표시판(30)을 개폐작동시 부상품(40)을 눌러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표시공(32)의 내주면에는 부상품(40)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안정되게 수납되도록 하는 걸림턱(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hole 32 is formed to penetrate before and after so that the surface of the sub-product 4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have a visual effect. 30 to provide a function of pressing the sub-item 40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locking jaw 33 to be stored stably so that the sub-item 40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hole 32 Is formed.

또한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에 수납되는 부상품(40)은 기념주화나 또는 즉시 현금화할 수 있거나 그 자체로 거래수단으로 통용가치가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형성되어 부상으로 증정되는 것이며, 수여자는 기념패와는 관계없이 현금화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ub-product 40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is formed of a precious metal such as gold, silver, etc. which can be commemorative coins or immediately cashed or has a currency value as a means of trading itself. The recipient is allowed to cash out regardless of the commemorative plaque.

이러한 부상품(40)은 기념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실(21) 역시 부상품(4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product 4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or shapes according to the purpose to commemorate. Accordingly, the storage compartment 21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ub-product 40.

또 부상품(40)이 수납되는 수납실(21)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가 설치되어 이의 탄력에 의해 부상품(40)이 항상 전방으로 전진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상품(40)은 표시공(32)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려져 안정된 상태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41 made of a sponge having a certain elasticity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21 in which the sub-product 40 is stored, and the sub-product 40 always moves forward by the elasticity thereof. Accordingly, the sub-product 40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3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hole 32 to be stored in a stable state.

즉, 상기 부상품(40)이 탄성부재(41)의 탄력에 의해 전진작동되어 그 일부가 표시공(32)의 내주면 걸림턱(33)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수납실(21)내에 안정되게 수납되는 효과와 더불어, 몸체(20)의 전면에서 표시판(30)이 유동없이 안정되게 고정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That is, the sub-product 40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1 and a part thereof is caught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king jaw 33 of the display hole 32 to be stably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1. In addition to the effect, the front panel of the body 20 has a function to be stably fixed without flow.

탄성부재(41)는 본 고안에서는 탄성을 가지는 스폰지를 적용하고는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14에서 보듯이 스프링(42)을 사용하거나 기타 탄력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elastic member 41 is applied to the sponge having elastic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ure 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a spring 42 or other elasticity.

또한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몸체(20)와 표시판(30)의 소정위치에 자석(60)(61)이 각각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has a coupling means coupled by a magnetic force, which is a magnet 60, 61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respectively Installed to provide the bonding force in the correct posi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탠드(10)에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0)와 표시판(30)이 전,후 중첩되는 상태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몸체(20)내의 수납실(21)에는 기념주화 또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이 수납됨과 동시에 표시판(30)에는 목적하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진 상태로 제공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member 5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formed in a plate shape overlap the front and rear on the stand 10 installed vertically, The storage compartment 21 in the body 20 is housed in commemorative coins or sub-products 40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panel 30 is provided with the desired commemorative contents 31 engraved thereon. .

이때, 상기 기념패(10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탠드(10)의 밑면과 더불어 몸체(20) 및 표시판(30)의 밑면이 동시에 지면에 닿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분해나 절첩 등에 따른 작업이 없이도 어디든지 안정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포장상자에 포장하여 안정되게 운반 및 보관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commemorative plaque 100 is provided with sufficient support becaus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 10 is installed vertically to provide a sufficient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separate disassembly or folding Not only can it stand up and display anywhere without work, but it can also be packed and packed in a box as it is for stable transportation and storage.

또한 상기 기념패(100)는 부상품(40)이 표시판(30)의 표시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부상품(40)이 가지는 질감이 그대로 연출되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것이고, 이의 부상품(40)은 후면에 설치되는 스폰지, 스프링,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의 탄력에 의해 전진작동되어 그 외주연이 표시공(32)의 걸림턱(33)에 걸려져 안정되게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ommemorative plaque 100 is the sub-product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hole 32 of the display panel 30, the texture of the sub-product 40 is produced as it is, the product quality is improved, The product 40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1 made of a sponge, a spring, rubber, etc. installed on the rear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s caught on the latching jaw 33 of the display hole 32 and stored stably. This is done.

이때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의 일측에는 각각 자석(60)(61)이 설치되어 이들의 자력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품(40)이 탄성부재(41)의 탄성에 의해 표시판(30)의 걸림턱(33)에 결합됨으로써 기념패의 전체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magnets 60 and 61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so that the sub-products 40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ll times by their magnetic force. 41 is coupled to the locking projection 33 of the display panel 30 by the elasticity of the display panel 30 to provide the overall coupling force of the memorial plaqu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상품(40)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9에서 보듯이 표시판(30)의 표시공(32)을 통하여 부상품(40)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부상품(40)은 탄성부재(41)를 압축하면서 수납실(21)내로 밀려나 걸림턱(33)으로 부터 이탈됨으로써 표시판(30)을 회전작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When the sub-product 40 is to be withdrawn in the above state, the sub-product 4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e display hole 32 of the display panel 30 as shown in FIG. 9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40 is pushed into the storage chamber 21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41 and separated from the latching jaw 33 so that the display panel 30 can be rotated.

이어서 상기 표시판(30)을 도10에서 보듯이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표시판(30)은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됨으로써 도11에서와 같이 몸체(20)의 수납실(21)이 완전히 개방되고, 이에 따라 수납실(21)내에 수납된 부상품(4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Subsequently, when the display panel 30 is rotated 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panel 30 is rotated by the hinge member 50 to a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is completely opened as shown in FIG. 11. As a result, the sub-product 40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1 can be easily withdrawn.

이때 상기와 같이 회전작동되는 표시판(30)은 일측단이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형성된 회동허용홈(12)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회전식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30, which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without being interfered by the rotation permitting groove 12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so that the rotation is opened and closed. will be.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12 및 도13 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and Figure 1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의 경우 전자는 표시판(30)을 투명체로 형성하면서도 몸체(20)의 전면에 기념내용(31)을 새겨넣은 것이고, 후자는 몸체(20)의 전면에 설치홈(35)을 형성하여 기념내용(31)이 새겨진 별도의 내용판(36)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ormer is to form the display panel 30 as a transparent body while engraved the commemorative contents 31 on the front of the body 20, the latter forms an installation groove 35 on the front of the body 20 (memorial contents ( 31) can be used to install a separate inner plate 36 engraved.

이는 내용판(36)이 별도의 제품으로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몸체(20)와 표시 판(30)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색상을 가미한 것으로 설정할 수가 있음에 따라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content plate 36 is installed as a separate product, it can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body 20 and the display plate 30, or can be set to a variety of colors to provide a variety of aesthetics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판(30)을 투명체로 형성하면서도 기념내용(31)을 표시판(30)의 뒷면에 새겨 넣을 수가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play panel 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body, but the commemorative contents 31 may be engrav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를 대신하여 스프링(42)으로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배가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고무, 합성수지 등 기타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을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lasticity is doubled by forming the spring 42 in place of the elastic member 41 made of a sponge in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Alternatively, the same effect can be expected by using other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and synthetic resin.

첨부된 도면의 도15 에서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1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회동허용홈(12)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판(30)의 일측단 모서리부분을 설치홈(11)의 내벽면에 닿지 않도록 라운드면(34)을 형성함으로써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It forms a rounded surface 34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30 does not touc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 without forming the pivoting groove 12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By doing s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도16 내지 도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념패(100a)의 스탠드(10a)를 수직형이 아니라 수평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에 결합되는 몸체(20a)와 표시판(30a)을 일측의 힌지부재(50a)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시내용(31)이 시각적인 범위를 높일 수가 있음은 물론이고 독특한 심미감이나 안정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6 to 18, the stand 10a of the commemorative plaque 100a is formed horizontally instead of vertically, and i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a. By configuring the body 20a and the display panel 30a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member 50a on one side, the display content 31 may not only increase the visual range but also provide a unique aesthetic or stability. .

이때, 상기 수평형 구성에 관련하여 또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19 및 도20 에서 나타내고 있다.In this case, another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S. 19 and 2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의 경우는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 몸 체(20a)와 표시판(30a)을 전,후 중첩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일측의 축공(13)을 통하여 고정보울트(51) 및 너트(52)로 고정시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igh-information bolt through the shaft hole 13 on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20a and the display panel 30a are overlapped before and after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a. 51) and the nut 52 is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따라서 진열시에는 고정보울트(51)와 너트(52)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와 반면에 부상품(40)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보울트(51)와 너트(52)를 간편히 풀어서 분해할 수가 있다.Therefore, during display, the high information nut 51 and the nut 52 may be firmly fix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 product 40 is to be opened for storage and withdrawal, the high information nut 51 and the nut ( 52) can be easily loosened and disassembled.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각 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함으로써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할 뿐만 아니라 도면부호 역시 동일하게 명기하도록 하고, 이 밖에도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content not only to omit the operation relationship, but also to designa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but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ut not beyond the basic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the scop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도3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고안 도3의 B-B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invention 3

도 7은 본 고안 도3의 C-C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도 8은 본 고안 부상품 수납실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b-product storage room

도 9는 본 고안 도8의 작동상태도9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도 10 및 도11은 본 고안 표시판의 개방되는 작동상태도10 and 11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2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12 to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100a:기념패 10,10a:스탠드 100,100a: Memorial plaque 10,10a: stand

11:설치홈 12:회동허용홈 11: Installation groove 12: Rotating allowance groove

13:축공 20,20a:몸체 13: Axis 20, 20a: body

21:수납실 30,30a:표시판 21: Storage room 30, 30a: Display board

31:기념내용 32:표시공 31: Memorial contents 32: Marker

33:걸림턱 34:라운드면 33: engaging jaw 34: round side

35:설치홈 36:내용판 35: mounting groove 36: inner plate

40:부상품 41:탄성부재 40: The subsidiary product 41: An elastic member

42:스프링 50,50a:힌지부재42: spring 50, 50a: hinge member

51:고정보울트 52:너트51: High information wool 52: Nut

60,61:자석60, 61: magnet

Claims (7)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에는 회동허용홈(12)을 가지는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 관통되어 힌지부재(50)가 체결되는 축공(13)이 형성된 스탠드(10)와;A stand 10 having a shaft hole 13 through which an installation groove 11 having a rotation allowable groove 12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vertically penetrating before and after the hinge member 50 is fastened; 상기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삽입체결되어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이 형성되는 몸체(20)와;A body 20 inserted into and fasten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and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member 50, and having a storage chamber 21 formed thereon in the front thereof;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작동되고, 수납실(21)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걸림턱(33)을 가지는 표시공(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0 is also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member 50 is rotated, the display hole 32 having a locking jaw 3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hamber 21, the front surface The display board 30 is engraved with the memorial contents 31;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에 의해 수납되고,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Contained by the elastic member 41 made of sponge in the storage chamber 21 of the body 20, the sub-product 40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that can be cashed or used as a trading means. A commemorative plaque with a sub-product featu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은 일측에 자석(60)(61)이 각각 설치되어 이의 자력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The body 20 and the display panel 30 is a commemorative plaque embedded with a sub-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s (60) and (6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so that the coupling is always made in the correct position by its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판(30)은 투명체로 형성되고, 몸체(20)의 표면에 기념내용(31)이 형성되어 표시판(30)을 통하여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The display panel 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body, the commemorative plaque embedded with a sub-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emorative contents 31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20 so as to be viewed through the display panel 3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20)의 표면에는 설치홈(3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설치홈(35)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진 별도의 내용판(36)이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On the surface of the body 20, an installation groove 35 is formed, and the installation groove 35 thereof is a secondary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contents plate 36 is engraved in the memorial content 31 is installed Built commemorative plaq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판(30)은 일측단 상부에 라운드면(34)이 형성되어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서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The display panel 30 is a commemorative plaque embedded with a sub-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 surface 34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so as to be rot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stand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090015132U 2009-11-23 2009-11-23 A memorial tablet KR2004595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en) 2009-11-23 2009-11-23 A memorial tab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en) 2009-11-23 2009-11-23 A memorial tab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8U KR20110005308U (en) 2011-05-31
KR200459520Y1 true KR200459520Y1 (en) 2012-03-28

Family

ID=4762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en) 2009-11-23 2009-11-23 A memorial tab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2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5Y1 (en) * 2012-05-09 2012-11-26 연민흠 Case for commemorative coins or medal
RU223734U1 (en) * 2023-10-31 2024-02-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Знак" Devi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coins and numismatic i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66A (en) 2020-12-11 2022-06-20 김대규 Memorial plaque
KR20220168340A (en) 2021-06-16 2022-12-23 김대규 Baseball Bat Commemorative plaq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821U (en) * 1997-04-03 1998-11-16 박용일 Commemorative plaque
KR20000002959U (en) * 1998-07-14 2000-02-15 오상수 Joint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gear
KR20020012689A (en) * 2000-08-08 2002-02-20 장병기 Commemoration tablet frame for decoration
KR20070027419A (en) * 2005-09-06 2007-03-09 김화숙 Coin/medal in the troph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821U (en) * 1997-04-03 1998-11-16 박용일 Commemorative plaque
KR20000002959U (en) * 1998-07-14 2000-02-15 오상수 Joint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gear
KR20020012689A (en) * 2000-08-08 2002-02-20 장병기 Commemoration tablet frame for decoration
KR20070027419A (en) * 2005-09-06 2007-03-09 김화숙 Coin/medal in the troph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5Y1 (en) * 2012-05-09 2012-11-26 연민흠 Case for commemorative coins or medal
RU223734U1 (en) * 2023-10-31 2024-02-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Знак" Devi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coins and numismatic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8U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5842S1 (en) Display container for promotional material
USD534422S1 (en) Container with rotating lid
USD633399S1 (en) Bracelet watch
USD517738S1 (en) Cosmetics box
USD584182S1 (en) Watch dial
CA111788S (en) Product display packaging
CA132574S (en)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KR200459520Y1 (en) A memorial tablet
USD540797S1 (en) Display device with a cylindrical pedestal
USD510210S1 (en)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USD513568S1 (en) Watch display box with single watch winder
CN203226382U (en) Jewel gift box
USD514848S1 (en) Watch display box with double watch winders
US20060175221A1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USD543055S1 (en) Octangle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USD543054S1 (en) Sliding door watch display box with single watch winder
USD507709S1 (en) Sliding door watch display box with double watch winders
USD594167S1 (en) Container cover
USD533330S1 (en) Honor box for candy display and coin receptacle
KR200427041Y1 (en) A functional memorial tablet that a supplementary prize has built-in
CN205456583U (en) Gear structure&#39;s interactive rotatory ring
KR200384598Y1 (en) A memorial tablet case that a supplementary prize has built-in drawer
AU2006100021A4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KR101673434B1 (en) Part goods are built memorabilia
CN202807469U (en) Automatic light sensing stereoscopic soun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