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98Y1 -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98Y1
KR200459298Y1 KR2020090005445U KR20090005445U KR200459298Y1 KR 200459298 Y1 KR200459298 Y1 KR 200459298Y1 KR 2020090005445 U KR2020090005445 U KR 2020090005445U KR 20090005445 U KR20090005445 U KR 20090005445U KR 200459298 Y1 KR200459298 Y1 KR 200459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oupling
fishing rod
connect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4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131U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2020090005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98Y1/en
Publication of KR20100011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3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9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0)와, 낚시대(A)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대(21)가 단부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 사이에, 상기 고정부(10) 상단에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와 상기 받침부(20) 하단에 결합 되는 제2결합구(120)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구(110) 및 제2결합구(120)와 힌지 결합 되며 연결되는 연결구(13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100)가 연결되어 있는 통상의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10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supporting portion 20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A) is composed of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end side, but the fixing portion 10 an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20,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upling spher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made of the first coupling In the fishing rod 110 and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general fishing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100 consisting of a connector 130 which is hing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er 120,

상기 연결구(130)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돌출턱(13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힌지공(132)이 천공되는 연장편(132)을 형성하고,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는 일단측으로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2)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요홈(112,122)을 갖으며 외측으로 힌지공(113,123)이 각각 관통되며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The connector 130 has a cross shape, but forms an extension piece 132 in which a hinge hole 132 is drill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rotruding jaw 131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re formed. The two coupling holes 120 are provided with insertion pipes 111 and 121 for insertion into the fixing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20 at one end, and fastening grooves 112 and 122 for inserting the extension piece 132 into the other end. And a hinge hole 113 and 123 penetrate outwardly and are hinged by a hinge bolt b at a position coincident with the hinge hole 132 of the connector 130. So,

낚시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상하 회동은 물론 좌우 회동으로도 그 절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낚시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낚시대의 찌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놓여 질 수 있게 되고, 낚시찌를 위치하고자 하는 선상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그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낚시대를 드리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낚시의 효과 배가는 물론, 작동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ishing stand used to support the fishing rod can be switched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rotation as well as left and right rotation so that the bobber of the fishing rod can be placed in the desired direc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fisherman is placed, and the vessel to be placed If there is an obstacle, it is possible to cast a fishing rod while avoiding the obstacle, so that the effect of fishing can be doubled, and the fishing pedestal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a relatively simple operation configuration and easy handling and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It relates to up, down,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

낚시대, 낚시 받침대, 고정부, 받침부, 각도조절부, 제1결합구, 제2결합구, 연결구, 원판플레이트, 스프링 Fishing rod, fishing rod, fixing part, support part, angle adjusting part, first coupling tool, second coupling tool, connector, disc plate, spring

Description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Vertical angle adjuster for fishing base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본 고안은 낚시대를 받치며 지지하기 위한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를 하고자 하는 지형의 조건에 따라 낚시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 되도록 하기 위해 낚시 받침대를 지면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의 위치 변이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낚시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낚시대가 드리워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pedestal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a fishing rod, the position shift of the vertical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shing pedestal is fixed on the ground in order to position the fishing rod in the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terrain to be fishing By allowing it to be possible, to a fishing pedestal so that the user can be hung in the desired direction to the fishing rod relates to an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 for fishing.

낚시는 장시간 동안 한자리에서 인내심을 요하는 레저 스포츠 또는 취미 생활을 영유하기 위한 취미활동으로 다양한 연령층에 의해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고, 갈수록 그 낚시 인구는 증가 추세에 있다.Fishing is a hobby for leisure sports or hobbies that require patience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and fishing is performed by various age groups, and the fishing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특히 낚시를 즐기기 위해, 낚시대를 적정 위치로 드리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낚시대를 지지하며 받쳐 주기 위한 낚시 받침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njoy fishing,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for a long time while the fishing rod is draped in a proper position, a fishing pedestal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fishing rod is essential.

종래의 낚시 받침대의 경우에 있어서 주로 일자 형상으로 길게 다단 절첩되도록 하는 환봉 형태로 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가 낚시 받침대 하단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그 상방으로 결합되며 다단으로 절첩되며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 끝단부측으로는 낚시를 받쳐주기 위한 보조받침대가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shing pedestal is to be a round bar shape to be mainly folded in a multi-stage elongate shape, the fixing portion for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to be fixe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shing pedestal,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upper An extension part is provided to be folded and extended in multiple stages, and an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fishing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이러한 낚시받침대를 이용하여 수면의 가장자리에 낚시를 하기에 용이하도록 마련된 좌대에 수평에 가깝도록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비스듬히 경사지는 지면으로 상기한 낚시받침대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꽂은 다음, 그 낚시받침대에 낚시대를 지지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음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다.Using this fishing stand, it is fixed to the base provided to be easy to fish on the edge of the surface so as to be horizontal or installed on the ground using the above-mentioned fixing part of the fishing stand with the inclined ground, and then the fishing stand.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fishing rod is used to support the fishing rod.

그러나 일반적으로 낚시받침대의 설치 각도는 수면보다 대략 10 ~ 20°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낚시를 하기에 가장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 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낚시받침대를 수면보다 전술한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상태에서 지면에 낚시받침대의 고정부를 꽂아 고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좌대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however, the angle of installation of the fishing base is the easiest to fishing is to form a slope of approximately 10 to 20 ° than the water surfac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fishing feet are inclined by the aforementioned angle from the water surface, and the fixing parts of the fishing feet are fixed to the ground or installed using the above-described seats.

하지만 지면상에 낚시받침대를 꽂은 상태에서 재차 각도 조절을 위해 지면으로 부터 낚시받침대를 뽑은 후 다시 꽂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re is a hassle of unplugging the fishing butt from the ground to adjust the angle again while the fishing butt is plugged on the ground.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등록 제 395435 호와 같은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가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의 경우에는 낚시받침대를 지면이나 좌대에 고정한 상태에서 조절부를 이용하여 낚시받침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disclosed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fishing feet, such as patent registration No. 395435,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ing a control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fishing support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seat It provides a configuration to adjust so that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경우에도 좌우측으로 낚시받침대가 회동되지는 못하는바, 예컨데 낚시를 하고자 선정한 위치에서 낚시를 드리우고자 하는 지점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낚시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자신이 낚시를 드리우고자 하는 위치에 낚시대의 찌가 가장 잘 드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낚시를 하고자 하는 위치를 옮겨야 하는 문제점은 존재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fishing support is not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for example, if there is an obstacle at the point where you want to fish at the position selected for fishing, you will not be able to fis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shing position must be moved so that the bobbin of the fishing rod can be best dropped on the position to be wetted.

낚시받침대에서 상하로의 각도 조절에 의해 기존에 일자형태로 이루어지는 낚시받침대를 적정 각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면 등으로부터 낚시받침대를 뽑은 다음 다시 적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후 지면에 다시 꽂는 설치 행위를 반복 수행하지 않고, 미리 낚시받침대를 꽂은 상태에서 낚시대가 적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조절부를 이용하여 낚시받침대를 상하 조절하게 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전방에 장애물이 있어 낚시대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낚시자는 그 자리를 벗어나서 다른 자리에서 자신이 원했던 위치 즉 낚시대의 찌가 도달될 수 있는 위치에 낚시대가 드리워질 수 있도록 낚시받침대를 타 지면에 꽂은 상태에서 상하 각도 조절에 의해 낚시대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조절 행위를 반복 수행할 수 밖에 없다.In order to maintain the existing flat fishing stand at the proper angle by adjusting the angle from the fishing stand up and down, remove the fishing stand from the ground, etc., make it bevel at an appropriate angle, and then plug it back into the ground. Without repeating, the effect of adjusting the fishing stand up and down by using the above-mentioned control unit can be expected to maintain the proper angle while the fishing stand is plugged in advance, but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fishing rod to the desired position If not, the angler can move away from the position and adjust the angle by placing the fishing feet on the ground so that the fishing rod can be dropped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fishing rod. Adjusting action to adjust angle of fishing rod You have no choice but to repeat this.

즉, 항상 낚시대는 낚시자의 위치에서 전방향으로만 위치하게 되므로 낚시받침대의 상하 조절에만 의존할 경우에는 좋은 자리를 포기한 채 다른 낚시 장소로 옮겨야 되는 불편함은 항상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ishing rod is always located in the omnidirectional position from the angler's position, if you rely only on the up and down adjustment of the fishing bas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o another fishing place without giving up a good seat will always follow.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시자가 낚시를 원하는 지점에 자리를 정한 후, 낚시대의 찌가 위치하고자 하는 지점 경로에 장애물이 있거나, 낚시대를 직선상으로 즉 낚시자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 전방향으로 드리우기 곤란한 지점에 낚시자가 위치하고 있다 하더라도, 자신의 낚시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낚시찌가 원하는 지점에 놓여 질 수 있도록 낚시대를 지지하는 낚시받침대의 상하 각도 조절은 물론 좌우 회동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tc., after determining the spot where the angler wants to fish, there is an obstacle in the path of the point where the fishing rod is to be placed, or the fishing rod in a straight line, that is, at the position of the angler Even if the angler is located at a point where it is difficult to drop in all directions, the vertical angle of the fishing base supporting the fishing rod can be adjusted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so that the fishing bobber can be placed at the desired point while the fishing rod is positioned in the desired direction.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0)와, 낚시대(A)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대(21)가 단부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 사이에, 상기 고정부(10) 상단에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와 상기 받침부(20) 하단에 결합 되는 제2결합구(120)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구(110) 및 제2결합구(120)와 힌지 결합 되며 연결되는 연결구(13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100)가 연결되어 있는 통상의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30)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돌출턱(13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힌지공(132)이 천공되는 연장편(132)을 형성하고,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는 일단측으로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2)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요홈(112,122)을 갖으며 외측으로 힌지공(113,123)이 각각 관통되며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xing part 10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auxiliary support 21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A) is composed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end side, but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Between the first,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upling spher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is made of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And in the usual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adjusting device for the fishing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100 is composed of a connector 130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er 120,
The connector 130 has a cross shape, but forms an extension piece 132 in which a hinge hole 132 is drill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rotruding jaw 131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re formed. The two coupling holes 120 are provided with insertion pipes 111 and 121 for insertion into the fixing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20 at one end, and fastening grooves 112 and 122 for inserting the extension piece 132 in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hinge hole 113 and 123 penetrated outward and hinged by a hinge bolt b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hinge hole 132 of the connector 130. It features.

삭제delet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낚시대를 받들어 사용하는 낚시받침대를 상하 회동은 물론 좌우 회동으로도 그 절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낚시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낚시대의 찌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놓여 질 수 있게 되고, 낚시찌 를 위치하고자 하는 선상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그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낚시대를 드리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낚시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base used to support the fishing rod can be switched i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otation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o that the bobber of the fishing rod can be placed in the desired direction no matter where the angler is located. If there is an obstacle on the line to place the fishing bobber, it is possible to drop the fishing rod while avoiding the obstacle, thereby doubling the effect of fishing.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작동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relatively simple operation configuration, easy handling and easy storage and transpor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자가 낚시대를 드리울 때 낚시자가 앉아 있는 지면과 낚시대의 낚시찌를 소망하는 곳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주변의 지형지물 여건상 어려울 경우 낚시대를 받치고 있는 낚시 받침대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시켜 각도 조절한 다음, 소망 위치로 낚시찌가 드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fishing bobber on the ground on which the angler sits and the fishing bobber when the fishing rod is desired,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fishing pedestal supporting the fishing rod up or down. Rotat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angle, and then provide a configuration to allow the bobber to drop to the desired position.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0)와, 낚시대(A)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대(21)가 단부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 사이에, 상기 고정부(10) 상단에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와 상기 받침부(20) 하단에 결합 되는 제2결합구(120)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구(110) 및 제2결합구(120)와 힌지 결합 되며 연결되는 연결구(13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100)가 연결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ixing portion 10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a supporting portion 20 provided on the end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21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A), but the fixed portion 10 ) And the support 20, the first coupling por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is made and The angle adjusting part 100, which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sphere 120, is connected.

상기 고정부(10)의 끝단부는 지면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뾰족한 형태를 취하고 내부에는 중공 형태를 갖게 되고, 상기 받침부(20)는 그 내부가 중공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낚시대(A)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 단부측으로 일반적인 "V"자 형태의 보조받침대(21)가 구성된다.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has a pointe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has a hollow shape therein, and the support portion 20 has a hollow shape so that the fishing rod A is supported therein. Towards its end side, a general "V" shaped auxiliary support 21 is constructed.

상기의 각도조절부(100)는 고정부(10)의 단부측에 삽입되며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와 상기 받침부(20) 하단에 삽입되며 결합 되는 제2결합구(120) 및, 상기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를 연결하는 연결구(130)로 이루어진다.The angle adjusting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end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120 inserted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onnector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120.

한편, 상기 연결구(130)의 형상에 따라 제1,2결합구(110,120)의 구성에 차이가 발생 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연결구(130)의 형상 차이 및 이에 따른 제1,2결합구(110,120)의 구조 차이를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며 설명하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부터 당업자가 충분히 고안 가능한 정도의 설계 변경에 의한 것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130,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 (110, 120) in the present design, the shape difference of the connector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er (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110 and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but it is intended to sol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ue to a design change to a degree that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will be self-evident.

즉, 상기 연결구(130)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는 경우, 그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턱(131)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턱(13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힌지공(132)이 천공되는 연장편(132)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onnector 13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s shown in FIG. 1, a protrusion jaw 131 is formed at the cent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inge holes 132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rotrusion jaw 131. ) Forms an extension piece 132 that is perforated.

따라서 상기 돌출턱(131)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연장편(132)에 의해 제1 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에 상호 힌지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는 일단측으로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2)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요홈(112,122)을 갖으며 외측으로 힌지공(113,123)이 각각 관통되며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하였다.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tool 110 and the second coupling tool 120 are hinged to each other by extension pieces 132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protruding jaw 131,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er 120 is provided with insertion pipes 111 and 121 for insertion into the fixing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20 at one end thereof, and a fastening groove for inserting the extension piece 132 into the other end side thereof. Has a hinge hole (113,123) and the outside through the hinge hole (113,123), respectively, 112 and 122 to be hinged by the hinge bolt (B) at a position matching the hinge hole 132 of the connector (130).

한편 상기 연결구(130)를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3.

즉, 상기 연결구(130)를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중앙에 구획편(134)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편(133)을 한 조로 상호 대향 되며 이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or 13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H” shape so that the extension pieces 133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in a pair and spaced apart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artition piece 134 at the center thereof.

따라서 상기한 구획편(134)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는 각각 연장편(133)이 연장되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상기 각각의 연장편(133)은 상호 대향 되는 형태를 취하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각각의 연장편(133) 중앙부분에 삽입요홈(135)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장편(133)을 관통하는 힌지공(132)이 천공되도록 하였다.Therefore, each of the extension pieces 133 extends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artition piece 134, and each of the extension pieces 133 takes a form opposi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Insertion recess 135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extension piece 133, the hinge hole 132 penetrating the extension piece 133 is to be drilled.

한편, 상기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의 일단측으로는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전술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요홈(135)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체결구(114,124)를 갖되 외측으로 힌지공(113,123) 이 각각 관통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연장편(132)에 천공된 상기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120 i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pipe (111, 121) And the insertion fasteners 114 and 124 for inserting into the insertion recess 135 formed by the extension piece 133 on the other end side, but the hinge holes 113 and 123 are penetrated outward to extend the extension pieces of the connector 130, respectively. To be hinged by a hinge bolt (B)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hinge hole 132 perforated in 132.

여기서의 삽입체결구(114,124)는 일자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Here, the fasteners 114 and 124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따라서 이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결구(130) 및 제1,2결합구(110,120)는 힌지볼트(B)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되는바, 이는 고정부(10)와 받침부(2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nector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110 and 120 hinged by the respectiv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re rotatable around the hinge bolt B,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10 and the support. It means that the parts 20 are each rotatable.

따라서, 고정부(10)가 지면에 꽂혀진 상태에서 낚시대(A)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드리워지도록 조율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부(20)를 회동시키게 되면 원하는 위치로 받침부(20)가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fishing rod A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portion 10 is plugged into the ground, when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rotated,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adjusted to a desired position. Can be.

한편, 상기한 구조의 경우 고정부(10)와 받침부(20)간 상하 또는 좌우로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나, 이는 연결구(130)의 위치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될 수 있는 것이며, 지면에 고정부(10)가 꽂혀진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을 위해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은 구성이 가능하게 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 structure is a state that can be rot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etween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ing portion 20, which can be rot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130. 4 and 5 may be configured to rot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0)와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의 구성을 변형하여 고정부(10)가 지면에 꽂혀진 상태에서 좌우 및 상하로의 회동 즉 각도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upling tool 110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10 is modified so that the fixing part 10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t can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0)와 접하는 상기 제1결합구(110)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중앙에 암나사공(115a)이 천공되는 제1원판플레이트(115)를 이루고,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와 접하는 것으로 중앙에 통공(116a)이 천공되는 제2원판플레이트(116)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원판플레이트(116)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중공형태의 삽입관(111)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관(111) 내부로 스프링(118)에 의해 탄지 되는 나사볼트(117)가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의 암나사공(115a)와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 일면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치되며 원호형태로 돌출되는 스토퍼(115b)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115b)의 형성 범위내에서 회동각을 제어하는 일자형태의 돌출바(116b)가 상기 제2원판플레이트(116) 전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in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10 to form a first disc plate 115 in which a female screw hole (115a) in the center, the first disc In contact with the plate 115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c plate 116 in which the through-hole 116a is perforated in the cent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isc plate 116, and a hollow insertion tube 111 is formed. The screw bolt 117 which is supported by the spring 118 into the insertion tube 111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 hole 115a of the first disc plate 115, but the first disc plate 115 is fixed thereto. ) A stopper 115b which is diagonally opposed to one surface and protrudes in an arc shape, and a second protruding bar 116b for controlling a rotation angle with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stopper 115b is formed in the second disc plate. 116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따라서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 전면측으로는 상기한 연결구(130)와 연결되는 것이고, 제1원판플레이트(115) 후면측으로는 상기한 제2원판플레이트(116)와 분리된 상태에서, 전술한 나사볼트(117)에 의해 제1,2원판플레이트(115,116)가 고정 체결하게 된다.Therefore,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isc plate 115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0,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disc plate 115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disc plate 116, the above-mentioned The first and second disc plates 115 and 116 are fixedly fastened by the screw bolts 117.

또한, 상기 제2원판플레이트(116) 후방측으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삽입관(1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관(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0)측으로 강제 압입되어진다.In addition, a hollow insertion tube 11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disc plate 116, and the insertion tube 111 is forcibly pressed into the fixing part 10 as described above. .

아울러, 상기 삽입관(111)이 고정부(10)측으로 강제 압입되기 전에, 삽입관(111)측으로 상기 나사볼트(117)에 의해 제1원판플레이트(115)가 체결되는데, 상기 나사볼트(117) 외주면으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18)에 의해 탄지되며 체결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first disc plate 115 is fastened by the screw bolt 117 to the insertion pipe 111 side before the insertion pipe 111 is forcibly pressed into the fixing part 10 side, and the screw bolt 117 )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the figure is supported by the spring 118 to be fastened.

따라서, 상기 스프링(118)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나사볼트(117)와 체결되는 제1원판플레이트(115)의 경우 나사볼트(117)가 느슨하게 조여지거나 사용 과정에서 느슨하게 되더라도 항상 제2원판플레이트(116)는 제1원판플레이트(115)와 밀접하게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first disc plate 115 fastened to the screw bolt 117 by the holding force of the spring 118, even if the screw bolt 117 is loosely tightened or loosened in use, the second disc plate ( 116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disc plate 115.

아울러, 상기 제1,2원판플레이트(115,116)는 상호 접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원판플레이트(115) 배면에 돌출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반원호 형상의 스토퍼(115b)와 제2원판플레이트(116) 전면으로 일자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바(116b)가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제1원판플레이트(115)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결구(130) 또는 받침부(20)를 잡은 상태에서 좌우 어느 일측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받침부(20) 및 연결구(130)가 돌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바 이와 동시에 제1원판플레이트(115) 또한 90°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disc plates 115 and 1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otrude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c plate 115 as described above, and have a semicircular arc-shaped stopper 115b and a second disc plate facing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116) Bars 116b protruding in a straight shape to the fron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engaging with each other, the us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disk plate 115 or 130 or the support 20 When turned to any one side in the holding state,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onnector 1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isc plate 115 is also rotated by 90 ° angle.

따라서, 낚시자는 지면상에 고정부(10)를 고정 시킨 다음, 연결구(130)의 양방향에 각각 연결 결합되는 제1결합구(110) 및 제2결합구(120)에 의해 상하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좌우측 어느 일방향으로 낚시대(A) 및 낚시받침대(1)의 받침부(20)를 위치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의 꺽여지는 조절 방향을 수평으로 향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구(130)와 받침부(20)를 90° 방향으로 틀은 다음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를 이용하여 좌우측 어느 일방향으로 각도 조절하여 낚시대(A)가 낚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ngler fixed the fixing part 10 on the ground, and then in any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12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ends of the connector 130, respectively.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shing rod (A) and the support portion 20 of the fishing stand 1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 Since the bending adjustment direction of 120 should be oriented horizontally, twist the connector 130 and the support part 20 in the 90 °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n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10 and 2. By using the 120 to adjust the angle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adjust the fishing rod (A) so that the angler can be placed in the desired dir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의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낚시받침대의 고정부와 받침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도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art and a support part of a fishing base are rotated us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서 좌우로의 회동을 위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applied for the rotation from side to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rotated by FIG. 4. FIG.

도 6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받침대를 상하로 각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to adjust the angle up and down the fishing support to support the fishing r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낚시받침대가 좌우측으로 각각 각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angle to the left and right fishing tackle each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A; 낚시대 B; 힌지볼트A; Fishing rod B; Hinge Bolt

1; 낚시받침대One; Fishing stand

10; 고정부 20; 받침부10; Fixing part 20; Support

100; 각도조절부 110; 제1결합구100; Angle adjusting unit 110; First coupling

111; 삽입관 112; 체결요홈111; Insertion tube 112; Fastening groove

113; 힌지공 114; 삽입체결구113; Hinge ball 114; Insertion fastener

115; 제1원판플레이트 115a; 암나사공115; First disc plate 115a; Female thread

115b; 스토퍼 116; 제2원판플레이트115b; Stopper 116; 2nd negative plate

116a; 통공 116b; 돌출바116a; Through 116b; Protrusion bar

117; 나사볼트 118; 스프링 117; Threaded bolt 118; spring

120; 제2결합구 121; 삽입관 120; Second coupler 121; Insertion tube

122; 체결요홈 123; 힌지공 122; Fastening groove 123; Hinge Ball

124; 삽입체결구 130; 연결구124; Insert 130; Connector

131; 돌출턱 132; 힌지공 131; Protruding jaw 132; Hinge Ball

133; 연장편 134; 구획편 133; Extension 134; Compartment

135; 삽입요홈135; Insertion groove

Claims (4)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0)와, 낚시대(A)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대(21)가 단부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 사이에, 상기 고정부(10) 상단에 결합 되는 제1결합구(110)와 상기 받침부(20) 하단에 결합 되는 제2결합구(120)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구(110) 및 제2결합구(120)와 힌지 결합 되며 연결되는 연결구(13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100)가 연결되어 있는 통상의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The fixing part 10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auxiliary support 21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A) is composed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end side, but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Between the first,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upling spher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is made of the first coupling sphere 110 And in the usual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adjusting device for the fishing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100 is composed of a connector 130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er 120, 상기 연결구(130)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돌출턱(13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힌지공(132)이 천공되는 연장편(132)을 형성하고,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는 일단측으로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2)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요홈(112,122)을 갖으며 외측으로 힌지공(113,123)이 각각 관통되며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The connector 130 has a cross shape, but forms an extension piece 132 in which a hinge hole 132 is drill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rotruding jaw 131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re formed. The two coupling holes 120 are provided with insertion pipes 111 and 121 for insertion into the fixing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20 at one end, and fastening grooves 112 and 122 for inserting the extension piece 132 in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hinge hole (113,123) is penetrated to the outside and perforated to be hinged by a hinge bolt (b)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hinge hole (132) of the connector (130).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구(130)는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앙에 구획편(134)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편(133)을 한 조로 상호 대향되며 이격 되도록 하되 그 연장편(133)의 중앙부분에 삽입요홈(135)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장편(133)을 관통하는 힌지공(132)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의 일단측으로 상기 고정부(10)와 받침부(20)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111,121)이 구비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연장편(1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요홈(135)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체결구(114,124)를 갖되 외측으로 힌지공(113,123)이 각각 관통 천공되어 상기 연결구(130)의 연장편(132)에 천공된 상기 힌지공(13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힌지볼트(B)에 의해 힌지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The connector 130 is opposed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air of extension pieces 133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partition piece 134 in the center to form a "H" shape, bu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133 An insertion groove 135 is formed in the hinge hole 132 penetrating through the extension piece 133,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20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hole. Insertion pipes 111 and 121 ar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respectively, and the insertion fasteners 114 and 124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ecess 135 formed by the extension piece 133 to the other end side. The hinge holes 113 and 123 are penetrated outwardly so as to be hinged by the hinge bolts B at positions coinciding with the hinge holes 132 drilled in the extension pieces 132 of the connector 130. Vertical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 for fishing.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고정부(10)와 접하는 상기 제1결합구(110)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중앙에 암나사공(115a)이 천공되는 제1원판플레이트(115)를 이루고,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와 접하는 것으로 중앙에 통공(116a)이 천공되는 제2원판플레이트(116)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원판플레이트(116)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중공형태의 삽입관(111)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관(111) 내부로 스프링(118)에 의해 탄지되는 나사볼트(117)가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의 암나사공(115a)와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1원판플레이트(115) 일면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치되며 원호형태로 돌출되는 스토퍼(115b)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115b)의 형성 범위내에서 회동각을 제어하는 일자형태의 돌출바(116b)가 상기 제2원판플레이트(116)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The first disc plate 115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side of the first coupler 110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10, and a first disc plate 115 is formed in which a female screw hole 115a is perforated. )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c plate 116 in which the through hole 116a is perforated in the cent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isc plate 116, and a hollow insertion tube 111 is formed. The screw bolt 117 carried by the spring 118 into the insertion tube 111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ed hole 115a of the first disc plate 115, bu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disc plate 115. A stopper 115b is disposed to fac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protrudes in an arc shape, and the second disc plate 116 has a straight protrusion bar 116b for controlling a rotation angle within a range of forming the stopper 115b. Up, down, left and right angles for fishing pedestals including those formed on the front Regulator.
KR2020090005445U 2009-05-06 2009-05-06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KR2004592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45U KR200459298Y1 (en) 2009-05-06 2009-05-06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45U KR200459298Y1 (en) 2009-05-06 2009-05-06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31U KR20100011131U (en) 2010-11-16
KR200459298Y1 true KR200459298Y1 (en) 2012-03-22

Family

ID=4420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445U KR200459298Y1 (en) 2009-05-06 2009-05-06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9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45A (en) * 2021-03-05 2022-09-14 최승진 folding fishing pedest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25Y1 (en) * 1989-11-07 1992-01-20 김오영 Stand for fishing rods
KR0156235B1 (en) * 1995-06-22 1998-10-01 김영남 The support for a fishing rod
KR100395435B1 (en) * 2000-10-20 2003-08-27 박상민 Angle regulation device for the fishing-r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25Y1 (en) * 1989-11-07 1992-01-20 김오영 Stand for fishing rods
KR0156235B1 (en) * 1995-06-22 1998-10-01 김영남 The support for a fishing rod
KR100395435B1 (en) * 2000-10-20 2003-08-27 박상민 Angle regulation device for the fishing-r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45A (en) * 2021-03-05 2022-09-14 최승진 folding fishing pedestal
KR102597714B1 (en) 2021-03-05 2023-11-01 최승진 folding fishing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31U (en)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564B2 (en) Rod holder
US1719695A (en) Fishing-rod support
CA2499989A1 (en) Fishing rod holder mount
KR200459298Y1 (en) A fishing rod support top and bottom, right and left angle regulation device
US20150327682A1 (en) Adjustable chairs and related methods
KR101961403B1 (en) 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KR102176754B1 (en) 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holder
KR20100000337U (en) Fishing tackle supporter
KR20140001659U (en) Stay bar for a fishing rod on the ship
US9220251B2 (en) Fishing rod holder assembly
KR20090004006U (en) Fixing device for fishing stay
KR200464988Y1 (en) Fishing pole
KR101357831B1 (en) Jig type for fishing stands
KR20200002449U (en) Fixing device of stay bar for a fishing rod on the ship
KR200458634Y1 (en) Apparatus for mounting of Fishing rod supporter
KR19990088664A (en)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A Fishing-rod
KR101289476B1 (en) Support frame assembly of fishing rod for boat
KR102089168B1 (en) Apparatus for fixing support of fishing rod
KR200444431Y1 (en) Settled a chair for device for supporf fishing rod
KR200327124Y1 (en) The Supporter of Fishing Rod
KR20120005279A (en) Fishing rod supporter
KR20100067228A (en) A supports of fishing
KR20110000831U (en) Rotatable and Angle adjustable Parasol Support
US20080282989A1 (en) C-clip hummingbird feeder
KR20200081793A (en) Float Unit for fish farming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