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073Y1 - Receptacle - Google Patents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073Y1
KR200459073Y1 KR2020090013235U KR20090013235U KR200459073Y1 KR 200459073 Y1 KR200459073 Y1 KR 200459073Y1 KR 2020090013235 U KR2020090013235 U KR 2020090013235U KR 20090013235 U KR20090013235 U KR 20090013235U KR 200459073 Y1 KR200459073 Y1 KR 200459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voltage
current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3796U (en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202009001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73Y1/en
Publication of KR20110003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7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tting command of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a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 signal converter which detects a power facto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provided from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converter, and converts the detected power factor into a digital signal; A switch unit configured to perform an on and off operation between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setting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n response to the set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using the power factor provid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to detect an effective power value for the electronic device, and to set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the set valu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by comparing the detected active power values.

Description

콘센트 장치{Receptacle} Receptacle Device {Receptacle}

본 고안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 공급 단자(메인 콘센트)에서 콘센트 장치를 거쳐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power consumption by cutting off the stand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main outlet) to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main outle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Relates to an outlet device.

콘센트 장치는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콘센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는 세탁기, TV, 오디오, 컴퓨터, 공기 청정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서, 메인 콘센트는 벽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하며, 콘센트 장치는 싱글 탭 또는 멀티 탭을 포함한다. The outlet device i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outlet.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let device include a washing machine, a TV, an audio, a computer, and an air purifier. Here, the main outlet refers to a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to supply power, and the outlet device includes a single tap or a multi tap.

이러한 전자기기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콘센트 장치에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있으면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절전을 위하여는 전자기기의 코드를 콘센트 장치로부터 제거하거나 콘센트 장치의 공급 전원 자체를 차단시켜야 한다. If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outlet devic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standby power is continuously consumed. Therefore, in order to save power, the cord of the electronic device must be removed from the outlet device or the power supply of the outlet device itself is cut off.

하지만, 전자기기를 끌 때마다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전자기기와 콘센트 장치를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자기기만의 전원 제어를 통하여 전자기기를 온/오프 시키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콘센트 장치는 복수개의 전자장치들의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또는 미사용되는 전자기기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자기기의 콘센트에서의 대기전력 차단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수의 전자기기가 멀티 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제품별로 다양한 대기 전력값으로 인해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대기 전력의 기준값이 다른 전자기기로 인해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cut off the power every time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so even though you know that standby power is consumed, you usually control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only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let device connected. I turn the electronic device on and off. In addition, the general outlet device may have a problem in that the standby power at the outlet of each electronic device may 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becaus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used or not used may be present at the same time while a plug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connect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multi-tap, it is difficult to set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due to various standby power values for each produc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ference value of the standby power is changed by other electronic devic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42811)에는 전자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 전류를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라 하더라도, 대기전력이 매우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대기전력이 1[W] 이하인 경우에는 미세 전류를 감지해야하기 때문에, 전자기기가 대기 전력시에 소비하는 미세 전류의 감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미세 전류의 감지를 위해서는 정밀도가 높은 전류 감지회로를 구현해야 하며, 이로 인해 콘센트 장치 제작에 있어서 제품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2811)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conten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by measuring a current consumed by an electronic device.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sensing the current consumption, when the standby power is very low, for example, when the standby power is less than 1 [W], a minute current must be sen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detect the consumed microcurrent.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such a fine current, a high-precision current sensing circuit must be implement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a product cost in manufacturing an outlet device.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 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면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by comparing the set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the outlet device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outlet and the outlet device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let device including: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tting command of a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cut off power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a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 signal converter which detects a power facto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provided from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converter, and converts the detected power factor into a digital signal; A switch unit configured to perform an on and off operation between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setting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n response to the set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using the power factor provid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to detect an effective power value for the electronic device, and to set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the set valu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by comparing the detected active power values.

본 고안에 따르면, 콘센트 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꺼지는 경우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기 전력이 1[W] 이하인 경우에도, 전자 기기가 대기 전력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대기 전력을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대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장치의 제품 구성 단가를 높이지 않고서도 정밀도 높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utlet device is turned off, by effectively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outlet and the outlet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necessary waste of standby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even when the standby power is less than 1 [W],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the standby power state,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standby power consumption eve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low standby power. ha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precisio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without increasing the product configuration cost of the outlet device.

또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콘센트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콘센트 장치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전원 접속 단자와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outlet device in the home networking system,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outlet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100)는, 복수의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4, 126), 전압 변환부(128),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N(130, 132, .., 134, 136), 제어부(140),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 디스플레이부(160), 유무선 통신부(165), 플 러그(170) 및 다구 접속 단자들(180, 182,...186)을 포함한다. 다구 접속 단자들(180, 182,...186) 각각에는 전자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이 접속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utlet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and a plurality of current detection units 1 to N (120, 122,..., 124, 126. ), The voltage converter 128, the plurality of signal converters 1 to N (130, 132, ..., 134, 136), the controller 140, the switch unit 1 to M (150, 152, ... 154) , The display unit 160,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the plug 170, and the multi-hole connection terminals 180, 182,... 186. Electronic devices 1 to N (190, 192, ... 196)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multi-hole connection terminals 180, 182, ... 186.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기기로서, 특히,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고, 설정 명령에 대응하는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명령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를 직접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개폐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Each of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114) is a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setting command, and in particular, a power source applied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1 to M (190, 192, ... 194). A setting command of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cut off the input signal is input, and a setting command signal of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command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40. In addition, each of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114) receives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command for directly turning on or off the switch units 1 to M (150, 152,... 154). The open / close operation command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40.

이를 위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버튼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외관(2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접속 단자들(200, 202, 204, 206)에 각각 대응하는 버튼 형상의 키 입력부들(210, 212, 214, 216)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의 217은 콘센트 장치의 다른 제어기능들(예를 들어, 업다운. 엔터 기능 등)을 수행하는 버튼들이다. To this end, each of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114 has a button shape. FIG. 2 illustrates an exterior 200 of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key-shaped key input corresponding to four connection terminals 200, 202, 204, and 206, respectively, is illustrated. Parts 210, 212, 214, 216 are illustrated. 217 of FIG. 2 are buttons for performing other control functions (eg, up-down, enter function, etc.) of the outlet device.

도 2에 도시된 콘센트 장치(200)는 전기기기들이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구(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도 1의 구조를 갖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예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접속 단자(플러그 삽입구)가 4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을 통하여 콘센트 장치(100)의 각종 설정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는 이것을 대기전력 기준값 설정을 위한 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설정 명령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The outlet device 200 shown in FIG. 2 includes a plug insertion port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and includes a circuit having the structure of FIG. The example of FIG. 2 is only one embodiment, but four connection terminals (plug insertion holes) are illustrated, but the number and shape may vary. The user may perform various settings and control of the outlet device 100 through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of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determine this as a command for setting a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The set command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40.

버튼 형상을 갖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은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에 따라 입력 명령을 달리 인식하는 등,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에 대응하는 명령 인식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인 일정 시간(예를 들어, 3[sec]) 이상일 경우에는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고,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1[sec]) 이내인 경우에는, 후술할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를 직접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개폐 동작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having a button shape have a command recogni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input command patterns, such as differently recognizing an input command according to a time when a button is pressed. For example, when the button is pressed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3 [sec]) or more, the standby command is recognized as a setting command for setting a reference value, and the time for which the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less than 1 [sec]), the switch unit 1 to M (150, 152,...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각각의 전자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소비 전류를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은 검출된 소비 전류 각각에 대해, 일정한 크기 만큼 다운 그레이드(down gragde)하여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로 각각 출력한다. 다운 그레이드의 크기는 임의의 크기(예를 들어, 1/10)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M(120, 122,... 124)은 제공되는 전원을 바이 패스하여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한다. 그러나, 전류 검출부 N(126)은 제공되는 전원을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하지 않고, 전자기기 N(196)과 접속되어 있는 접속 단자(186)로 직접 출력한다. 전류 검출부 N(126)를 통해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 N(196) 은 대기 전력 기준값과 상관 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current detectors 1 to N (120, 122, ... 126) respectively supply current consumption of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terminal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1 to N (190, 192, ... 196). And the respective detected current consumptions are output to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 136,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current detectors 1 to N (120, 122, ... 126) downgrade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etected current consumptions, thereby converting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 136. Will be printed respectively. The size of the downgrade can be set to any size (eg 1/10). Meanwhile, the current detectors 1 to M 120, 122,... 124 bypass the provided power and output the current to the switch units 1 to M 150, 152,... 154. However, the current detector N 126 does not output the supplied power supply to the switch parts 1 to M (150, 152, ... 154), but directly to the connection terminal 186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N 196. Output The electronic device N 196, which is directly powered by the current detector N 126, is always powered regardless of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전원 공급 단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상용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도 1의 플러그(170)를 통해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 각각에 공급된다.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a device for providing commercial power in a home or an office and is supplied to each of the current detectors 1 through N (120, 122,... 126) through the plug 170 of FIG. 1.

전압 변환부(128)는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한다. 전압 변환부(128)는 전원의 전압값을 다운시켜 변환한다. 전압 변환부(128)는 변환된 전압을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N(130, 132, .., 134, 136)로 각각 출력한다.The voltage converter 128 converts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The voltage converter 128 converts the power supply voltage down. The voltage converter 128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signal converters 1 to N 130, 132,..., 134, and 136, respectively.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한다. 역률은 교류에서 전류와 전압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구한다.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구해진 역률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구비한다.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검출된 역류, 소비 전류, 전압, 주파수 데이터들을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Each of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 136 detects the power facto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converter. The power factor is obtained by us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and the voltage in AC. Each of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 136 converts the obtained analog signal of the power factor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o this end, each of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 136 ha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Each of the signal converters 130, 132,... 136 outputs the detected backflow, current consumption, voltage, and frequency data to the controller 140.

제어부(140)는 콘센트 장치(100)에 연결된 전자 기기 및 현재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 등을 이용하여 전류, 전압, 역률, 제로위상, 과전압, 과전류 등을 연산 및 측정하여 부하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 기기의 대기전력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대기전력 이하일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등 콘센트 장치(100)의 제어 및 연산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로부터 수신된 대기전력 기준값에 대한 설정명령신호에 대응하여,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전류 및 역률을 곱셈함으로써 유효 전력값을 각각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유효 전력값을 구할 수 있는 제어부(140)가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설정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면, 그때 당시에 오프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의 대기 유효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대기 전력 기준값을 소정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소정의 메모리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적인 기록매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대기전력 기준값은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재설정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40 protects the load side by calculating and measurin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zero phase, overvoltage, overcurrent, etc. using th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utlet device 100 and the currently input power. It measures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erforms the control and operation functions of the outlet device 100, such as blocking the output when the standby power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by power. The controller 140 sets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n response to the setting command signal for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The controller 140 may obtain an effective power value by multiplying a voltage, a current, and a power factor. The controller 140 capable of obtaining the active power value may includ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When the setting command signal is input from any one or more of them, the standby active power values of the electronic devices 1 to M (190, 192, ... 194) that are connected to the off state at that time are set as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40 stores the set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n a predetermined memory (not shown). The predetermined memory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ler 140 o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independent recording medium. The standby power reference may be reset later by the user.

그 후, 제어부(140)는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M(130, 132, ...134)에서 변환된 각각의 역률을 사용해, 각각의 전자 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각각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전류 및 역률을 곱셈함으로써 상기 유효 전력값을 구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respective power factor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ters 1 to M (130, 132, ... 134), and the respective electronic devices 1 to N (190, 192, ... 196). Each of the active power values for The controller 140 calculates the effective power value by multiplying the voltage, the current, and the power factor.

그 후,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고,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140)는 유효 전력값이 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대응하는 스위치부가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유효 전력값이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라는 것은 전자기기가 오프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응하는 스위치부가 오프되도록 하여, 대기 전력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대기 전력 기준값에 옵셋값(offset value)를 추가하여 유효 전력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검출된 유효 전력값이 대기 전력 기준값 이하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대기 전력 기준값의 옵셋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스위치부가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preset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with the detected active power value, and controls the on or off operation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switch units 1 to M 150, 152,... 154. Is output to the switches 1 to M (150, 152, ... 154). That is,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witch unit to turn off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Since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in the off state, the corresponding switch unit is turned off, thereby preventing the standby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Meanwhile, the controller 140 may add an offset value to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compare it with the effective power valu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urn off the switch even when the detected effective power value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or less, but falls within the offset value range of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전술한 예에서는, 대기전력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해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이를 대기전력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제어부(140)는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는 대신에 피상 전력값 즉, 전압과 소비 전류의 곱에 해당하는 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active power value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but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e apparent power value, that is, voltage instead of detecting the active power value. The on / off operation of each of the switch units 1 to M (150, 152,.

유효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할지, 아니면 피상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할지 여부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의 옵션 설정 명령에 따라 선택가능하며, 이러한 옵션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140)가 동작한다.Whether the active power value is compared with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switch part or whether the apparent power value is compared with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switch part is determined by the key inputs 1 to M (110). , 112,... 114, and the controller 14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option selection command.

한편,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를 개폐하라는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수신하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에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각각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ommand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switch unit 1 to M (150, 152, ... 154) from any one or more of the key input unit 1 to M (110, 112, .... 114). When receiving, the switch unit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s 1 to M (150, 152, ... 154)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units 1 to M (110, 112, .... 114) 1 to M (150, 152, ... 154) respectively.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은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 1 내지 M(180, 182,..184)와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온 및 오프 스위치 동작을 한다. Each of the switch units 1 to M (150, 152,... 154) is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s 1 to M (190, 192,... 194)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To M (180, 182, .. 184) and the on and off switch operation for power supply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160)의 하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액정표시장치(LCD: 22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The display 160 displays data of at least one or more of a current consumption, a voltage, a power factor, and an effective power val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20 corresponding to one component of the display unit 160.

유무선 통신부(165)는 콘센트 장치(100)를 관리하는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에는 유무선 통신부(165)의 기능을 제어한다. 유무선 통신부(165)는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기타, 무선 통신 위해,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에 의해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transmits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power consumption, voltage, power factor, and active power value to any one of a host and a home network system (not shown) managing the outlet device 1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 To this en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may us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using a TCP / IP communication protocol as a network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host and the home network system may be communicated by infrared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or the like.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부(165)를 통해서 제공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 레이하고, 이를 통해 콘센트 장치(100)를 모니터링한다. 도 3는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 전류, 전압, 역률, 유효 전력값 등과, 이들 값들에 대한 변화 추이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다. The host or home network system displays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power consumption, voltage, power factor, and active power provid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and monitors the outlet device 100 through the data.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nitoring screen displayed on a host or home network system. As shown in Fig. 3, a graph of the current consumption, the voltage, the power factor, the effective power value, and the like, and the change trend for these values are displayed.

또한,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host or home network system stores data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received current consumption, voltage, power factor, and active power value in a predetermined memory space.

또한,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제어부(140)를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유무선 통신부(165)를 통해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st or home network system may control the controller 140 on the network by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monitoring screen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s of the switches 1 to M 150, 152,... 154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host or home network system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5.

한편, 도 1에는 멀티 탭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키 입력부들(110, 112,.. 114),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120, 122,... 126),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복수의 스위치부(150, 152,...154)을 예시하고 있으나, 싱글 탭을 구성하기 위해, 하나의 키 입력부, 전류 검출부, 신호 변환부, 스위치, 제어부, 유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1, a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110, 112,... 114, a plurality of current detectors 120, 122,... 126, and a plurality of signal converters 130 form a multi-tap. , 132, ... 136, and a plurality of switch units 150, 152, ... 154, but to form a single tap, one key input unit, current detector, signal converter, switch, controller An outlet device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may be implemented.

이러한, 콘센트 장치(100)는 이동성이 가능한 포터블(portabl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벽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outlet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form, but may be installed in a form embedded in a wall.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 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mon in the art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외관(200)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an appearance 200 of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는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nitoring screen displayed on a host or home network system.

Claims (9)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tting command of a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A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a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A signal converter which detects a power facto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provided from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converter, and converts the detected power factor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configured to perform an on and off operation between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is set in response to the set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active power value for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cted using the power factor provided by the signal converter, and the set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nd the detection are detec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by comparing the effective power valu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rrent detection unit 상기 검출된 소비 전류를 일정한 크기 만큼 다운 그레이드(down gragde)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d down-grading the detected current consumption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ting the current to the signal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유효 전력값이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d the switch unit controls to turn off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unit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에 대응하는 명령 인식 기능을 갖으며, 상기 전자 기기가 오프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상기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 중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 outlet device having a command recogni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input command patterns and recognizing a command inpu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as a setting command for setting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among the various input command pattern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하라는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Receiving a setting command signal for setting the power reference value from the key input unit to set th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 or receiving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command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witch unit from the key input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unit Outle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sumption, the voltage, the power factor,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센트 장치를 관리하는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data of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sumption, the voltage, the power factor,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to any one of a host and a home network system managing the outlet device. 상기 호스트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콘센트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y one of the host and the home network system monitors the outlet device, controls the controller, and stores data of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sumption, the voltage, the power factor, and the active power value. Outle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별도의 전류 검출부;A separate current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별도의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And a separate signal converter configured to detect a power facto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provided from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voltage provided by the voltage converter, and convert the detected power factor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별도의 전류 검출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상기 접속 단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And the separate current detection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센트 장치가 다구 멀티 탭에 해당하는 경우에, If the outlet device corresponds to a multi-tap 상기 다구 멀티 탭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입력부들,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 및 복수의 스위치부들이 각각 구비되며,A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a plurality of current detectors, a plurality of signal converters, and a plurality of switch uni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multi-tap multi-tap ar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신호 변환부들에서 수신된 각각의 역률들과 상기 복수의 키 입력부들의 설정 명령을 통해 설정된 각각의 대기전력 기준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부들 각각에 대한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The controller compares respective power factors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signal converters with respective standby power reference values set through a setting command of the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thereby turning on or of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Out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KR2020090013235U 2009-10-12 2009-10-12 Receptacle KR2004590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en) 2009-10-12 2009-10-12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en) 2009-10-12 2009-10-12 Recepta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96U KR20110003796U (en) 2011-04-20
KR200459073Y1 true KR200459073Y1 (en) 2012-03-23

Family

ID=4420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en) 2009-10-12 2009-10-12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7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07B1 (en) * 2013-11-06 2014-02-24 (주) 에스제이 이엘씨 Standby power cutting circuit having adaptive standby cutting level and its apparatus
KR20190062744A (en) 2017-11-29 2019-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and domestic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08Y1 (en) * 2011-04-28 2012-12-06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ptacl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257449B1 (en) * 2011-06-01 2013-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lug and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 thereof
KR101221727B1 (en) * 2012-05-24 2013-01-11 황성하 Power saving type device for break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outret
KR101425101B1 (en) * 2013-06-27 2014-08-01 (주)이든웍스 Plug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554A (en) * 2003-04-10 2003-04-21 주식회사 세신이엠씨 Control circuit of a multi-tap
KR20060063731A (en) * 2004-12-06 2006-06-12 윤관중 The automatic braking apparatus for waiting electric power and multi- outlet using it
KR200442811Y1 (en) 2008-05-28 2008-12-11 여운남 Receptacle with power-m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554A (en) * 2003-04-10 2003-04-21 주식회사 세신이엠씨 Control circuit of a multi-tap
KR20060063731A (en) * 2004-12-06 2006-06-12 윤관중 The automatic braking apparatus for waiting electric power and multi- outlet using it
KR200442811Y1 (en) 2008-05-28 2008-12-11 여운남 Receptacle with power-me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07B1 (en) * 2013-11-06 2014-02-24 (주) 에스제이 이엘씨 Standby power cutting circuit having adaptive standby cutting level and its apparatus
KR20190062744A (en) 2017-11-29 2019-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and domestic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96U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073Y1 (en) Receptacle
US8281162B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KR100426331B1 (en) A multifunctional multi-tap(concent) for intercepting a stand-by electric power and control method employing the same
RU2419932C1 (en) Plug device
US9106099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200428011Y1 (en) Multi outlet apparatus having cut off function of waiting power supply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KR100909598B1 (en) Stand by power control and power consump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ocket outlet having a stand by power choice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KR20130125184A (en) Smart grid support intelligent power-saving receptacle
WO2010097580A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WO201713137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s
US8373958B2 (en)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KR101389897B1 (en)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KR101362777B1 (en) Concent rf communication
KR101014686B1 (en)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 standby power and measuring consumption power using zigbee communication
KR101479659B1 (en) Method for individual and group controlling for multitap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multitap and multitap group controlle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201787B1 (en) Auto power saving system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0701990B1 (en) Multitap for saving power
CN204720712U (en) A kind of control circuit of Intelligent socket and Intelligent socket
KR100996834B1 (en) The socket outlet having a stand by power choice
KR1011122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in an electric outle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KR20210081202A (en) Socket device and socket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2142384A (en) Controller for equipment
KR100530323B1 (en)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Power Consumption in Electric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