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94Y1 - 위생용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위생용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894Y1
KR200458894Y1 KR2020090009146U KR20090009146U KR200458894Y1 KR 200458894 Y1 KR200458894 Y1 KR 200458894Y1 KR 2020090009146 U KR2020090009146 U KR 2020090009146U KR 20090009146 U KR20090009146 U KR 20090009146U KR 200458894 Y1 KR200458894 Y1 KR 200458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hower head
water
hol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64U (ko
Inventor
최창훈
Original Assignee
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훈 filed Critical 최창훈
Priority to KR2020090009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9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장, 학교, 지하철 등은 물론이고 가정에서도 적용하여 사용하는 위생용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관에 용수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샤워헤드의 아래쪽에 용수 급수방향으로 조작레버를 설치하여 세수한 손이 조작레버 조작으로 인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10)는 급수관(2)의 내부에는 급수공(4a)이 형성된 급수노즐(4)을 결합하고, 급수노즐(4)의 하면에는 호형의 접지면(5)을 형성하며, 접지면(5)에는 급수공(4a)과 연통되는 유로(12)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배수관(13)의 중심과 통하도록 형성된 구 형상의 개폐볼(11)을 면접되게 하고, 급수관(2)의 하단 및 급수노즐(4)의 접지면(5)과 개폐볼(11) 사이에 패킹(14)을 개재한 상태로 급수관(2)에 고정구(15)를 나사 결합하여 접지면(5)과 고정구(15) 사이에서 개폐볼(11)이 회동되게 구성하여 급수공(4a)을 차단 혹은 개방되게 하며, 상기 개폐볼(11)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13)에 샤워헤드(3)를 설치하되, 상기 샤워헤드(3)에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샤워헤드(3) 아래쪽에 조작레버(16)를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상기 체크밸브(10)는 급수관(2)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4)에 편심되게 형성된 급수공(4a)을 개방 혹은 차단토록, 급수관(2)의 하면과 패킹(14)에 의해 지수되며 급수공(4a)과 연통되는 구멍(17a)이 편심되게 형성된 디스크판(17)을 배치한 상태에서 급수관(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18)로 가압되게 고정하며, 상기 디스크판(17)이 중심에는 상기 고정구(18) 하측에 결합되는 샤워헤드(3)에 형성된 조립구멍(3b)을 통해서 샤워헤드(3)의 아래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손잡이(20)가 구비된 작동핀(19)을 디스크판(17)과 조립하여 디스크판(17)을 회동시시킬 때 디스크판(17)에 형성된 구멍(17a)과 급수공(4a)이 연통되어 개방되거나 어긋나 차단되게 구성하여 손잡이(20)가 샤워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샤워헤드(3)에 형성된 조작레버(16) 및 샤워헤드(3)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작동핀(19)에 결합된 손잡이(20)가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항상 청결하게 세척된 상태이므로 깨끗하게 세수한 손으로 이들을 조작하더라도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고, 세수 후 즉시 체크밸브(10)를 단수하여 용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수전금구, 샤워헤드, 체크밸브, 개폐볼, 디스크판

Description

위생용 수전금구{Water supply valve for sanitation}
본 고안은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장, 학교, 지하철 등은 물론이고 가정에서도 적용하여 사용하는 위생용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관에 용수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샤워헤드의 아래쪽에 용수 급수방향으로 조작레버를 설치하여 세수한 손이 조작레버 조작으로 인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장, 학교, 지하철 등은 물론이고 가정에서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금구의 경우 대부분 온수와 냉수가 혼합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의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전금수는 대부분 본체 후방으로 온수관과 냉수관이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게 구성한 레버식 손잡이 또는 회전식 손잡이로 용수의 개폐 및 온수와 냉수의 혼합이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전금구들은 오랜 세월동안 가정은 물론이고,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 장, 각종 공공기관 등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수전금구는 레버를 조작하여 손을 세척한 다음 용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레버를 다시 조작하게 되는데, 특히 위생성을 중요시 하는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장 등에서 사용할 경우 깨끗하게 세수한 손으로 레버를 다시 조작하게 되므로, 레버에 기생하는 세균이 세수한 깨끗한 손을 오염시키게 되었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을 이용하여 수전금구의 용수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와, 전자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밸브를 개폐하여 용수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후자는 시설에 따른 경비가 많이 들고 전기 고정 염려도 감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자는 토출관에 이물을 걸러주는 망을 토출구로 고정 설치한 공지의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유로가 상하 관통되도록 본체에 볼을 내장하고 고정너트를 축 방향으로 조립하되, 상기 볼에 형성된 유로의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지지체를 형성하여 체크밸브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레버를 설치한 구성의 위생용 수전금구를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 출원(20-2008-0003323호)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위생용 수전금구의 경우 기존 설치되어 있는 레버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를 조절한 생태에서 개방하고, 토출구 쪽 레버를 이용하여 용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온도의 용수 공급이 가능하며, 레버가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항상 청결하게 세척된 상태이므로 깨끗하게 세수한 손으로 레버를 조 작하더라도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고, 세수 후 즉시 레버를 조작하여 용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고안의 경우 체크밸브의 구성이 어려워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그로 인해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위생용 수전금구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목적하고자 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를 개량 구성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세면대나 싱크대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성의 급수관과 샤워헤드가 조립 구성되고, 메인레버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세면대나 싱크대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과 샤워헤드 사이에 체크밸브를 더 설치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급수관의 내부에는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노즐을 결합하고, 급수노즐의 하면에는 호형의 접지면을 형성하며, 접지면에는 급수공과 연통되는 유로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배수관의 중심과 통하도록 형성된 구 형상의 개폐볼을 면접되게 하고, 급수관의 하단 및 급수노즐의 접지면과 개폐볼 사이에 패킹을 개재한 상태로 급수관에 고정구를 나사 결합하여 접지면과 고정구 사이에서 개폐볼이 회동되게 구성하여 급수공을 차단 혹은 개방되게 하며, 상기 개폐볼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에 샤워헤드를 설치하되, 상기 샤워헤드에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샤워헤드 아래쪽에 조작레버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급수관과 샤워헤드가 조립 구성되고, 메인레버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세면대나 싱크대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과 샤워헤드 사이에 체크밸브를 더 설치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급수관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에 편심되게 형성된 급수공을 개방 혹은 차단토록, 급수관의 하면과 패킹에 의해 지수되며 급수공과 연통되는 구멍이 편심되게 형성된 디스크판을 배치한 상태에서 급수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로 가압되게 고정하며, 상기 디스크판이 중심에는 상기 고정구 하측에 결합되는 샤워헤드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통해서 샤워헤드의 아래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작동핀을 디스크판과 조립하여 디스크판을 회동시시킬 때 디스크판에 형성된 구멍과 급수공이 연통되어 개방되거나 어긋나 차단되게 구성하여 손잡이가 샤워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설치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위생용 수전금구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다.
1) 기존 설치되어 있는 메인레버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를 조절한 생태에서 개방하고,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용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온도의 용수 공급이 가능하다.
2) 샤워헤드에 형성된 조작레버 및 샤워헤드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작동핀에 결합된 손잡이가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항상 청결하게 세척된 상태이므로 깨끗하게 세수한 손으로 이들을 조작하더라도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3) 세수 후 즉시 체크밸브를 단수하여 용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4) 수전금구에 복수의 급수관 및 샤워헤드를 설치하더라도 각각의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단수할 수 있으므로 대형 싱크대 등에 급수관 및 샤워헤드를 복수로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 해서 효율적인 세척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체크밸브가 열려 용수가 공급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체크밸브가 닫혀 용수가 차단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수전금구(1)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관(2)의 선단에 체크밸브(10)를 결합한 구성이다.
상기 급수관(2)은 세면대 등에 주로 사용되며 수전금구(1)와 일체로 구성되는 짧은 구성의 것, 싱크대 등에 적용되며 길이가 긴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구성(일명 '코브라수전'이라 함)의 것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체크밸브(10)는 급수관(2)과 샤워헤드(3)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10)는 급수관(2)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4)의 급수공(4a)을 개방 혹은 차단토록 구성되는 것으로, 급수관(2)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4)의 하면에 호형의 접지면(5)을 형성하며, 접지면(5)에는 급수공(4a)과 연통되는 유로(12)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배수관(13)의 중심과 통하도록 형성된 구 형상의 개폐볼(11)을 면접되게 하고, 급수관(2)의 하단 및 접지면(5)과 개폐볼(11) 사이에 패킹(14)을 개재한 상태로 급수관(2)에 고정구(15)를 나사 결합하여 개폐볼(11)이 접지면(5)과 고정구(15)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상기 개폐볼(11)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13)에는 샤워헤드(3)가 조립되며, 이는 시중에 시판중인 다양한 구성의 것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수변환레버(3a)에 의해 직수 혹은 샤워수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구성 또는 내부에 망이 내입되어 있어 구성(도시되니 않음) 등이다.
상기 샤워헤드(3)에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조작레버(16)를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샤워헤드(3)를 수직으로 세워서 급수공(4a)과 개폐볼(11)에 형성된 유로(12)가 연통되면 급수가 이루어지고, 샤워헤드(3)를 전방 혹은 후방 등으로 밀면 개폐볼(11)에 의해 급수공(4a)이 차단되면서 급수가 차단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샤워헤드(3)에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레버(16)를 이용하면 된다.
상기 조작레버(16)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한 샤워헤드(3)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므로 급수 과정에서 항상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 의 디스크판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체크밸브(10)를 디스크 타입으로 구성한 것이며 주로 지수변환레버(3a)에 의해 직수 혹은 샤워수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구성이 샤워헤드(3)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급수관(2)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4)에 편심되게 형성된 급수공(4a)을 개방 혹은 차단토록 급수관(2)의 하면과 패킹(14)에 의해 지수되도록 급수공(4a)과 연통되는 구멍(17a)이 형성된 디스크판(17)을 배치한 상태에서 급수관(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18)로 가압되게 한다.
상기 디스크판(17)은 고정구(18) 내에서 회전하면서 디스크판(17)에 형성된 구멍(17a)과 급수노즐(4)의 급수공(4a)이 연통되어 개방되거나 어긋나 차단되게 하는 부재이며, 디스크판(17)의 중심에는 디스크판(17)을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게 고정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작동핀(19)을 결합한다.
상기 작동핀(19)은 샤워헤드(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조립구멍(3b)을 통해서 샤워헤드(3) 하측으로 노출시키고, 그 하단에는 손잡이(20)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20)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급수 과정에서 항상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작동핀(19)은 고정구(18)에 샤워헤드(3)를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샤워헤드(3)에 형성된 조립구멍(3b)을 통해 디스크판(17)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두 부재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게 한다.
도 5, 도 6은 본 고안을 개수대용 수전금구 등에 적용한 예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다양한 구성의 수전금구(1)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6과 같은 플렉시블 관체를 이용할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레 버(1a)에 의해 제어되는 2개 이상의 플렉시블한 급수관(2)을 설치하고 각각 본 발명의 체크밸브(10)와 샤워헤드(3)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위생용 수전금구(1)는 병원이나 식품 가공공장, 학교,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은 물론이고 가정, 식당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수전금구(1)의 급수관(2) 아래쪽으로 손을 내입하면서 샤워헤드(3)에 형성된 조작레버(16)를 밀고 당기거나, 샤워헤드(3)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작동핀(19)에 결합된 손잡이(20)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급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 조작레버(16) 또는 손잡이(20)가 항상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세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을 세수한 상태로 이들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손이 세균에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수전금구(1)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메인레버(1a)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를 미리 설정해 두면, 수전금구(1)를 사용할 때 마다 용수 온도를 조절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체크밸브가 열려 용수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체크밸브가 닫혀 용수가 차단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디스크판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을 개수대용 수전금구 등에 적용한 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수전금구 1a:메인레버
2:급수관 3:샤워헤드
4:급수노즐 5:접지면
10:체크밸브 11:개폐볼
12:유로 13:배수관
14:패킹 15,18:고정구
16:조작레버 17:디스크판
17a:구멍 19:작동핀
20:손잡이

Claims (2)

  1. 급수관(2)과 샤워헤드(3)가 조립 구성되고, 메인레버(1a)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세면대나 싱크대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수전금구(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2)과 샤워헤드(3) 사이에 체크밸브(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체크밸브(10)는 급수관(2)의 내부에는 급수공(4a)이 형성된 급수노즐(4)을 결합하고, 급수노즐(4)의 하면에는 호형의 접지면(5)을 형성하며,
    접지면(5)에는 급수공(4a)과 연통되는 유로(12)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배수관(13)의 중심과 통하도록 형성된 구 형상의 개폐볼(11)을 면접되게 하고, 급수관(2)의 하단 및 급수노즐(4)의 접지면(5)과 개폐볼(11) 사이에 패킹(14)을 개재한 상태로 급수관(2)에 고정구(15)를 나사 결합하여 접지면(5)과 고정구(15) 사이에서 개폐볼(11)이 회동되게 구성하여 급수공(4a)을 차단 혹은 개방되게 하며,
    상기 개폐볼(11)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13)에 샤워헤드(3)를 설치하되,
    상기 샤워헤드(3)에는 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샤워헤드(3) 아래쪽에 조작레버(16)를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수전금구.
  2. 급수관(2)과 샤워헤드(3)가 조립 구성되고, 메인레버(1a)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세면대나 싱크대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수전금구(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2)과 샤워헤드(3) 사이에 체크밸브(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체크밸브(10)는 급수관(2)의 내부에 결합된 급수노즐(4)에 편심되게 형성된 급수공(4a)을 개방 혹은 차단토록, 급수관(2)의 하면과 패킹(14)에 의해 지수되며 급수공(4a)과 연통되는 구멍(17a)이 편심되게 형성된 디스크판(17)을 배치한 상태에서 급수관(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18)로 가압되게 고정하며,
    상기 디스크판(17)이 중심에는 상기 고정구(18) 하측에 결합되는 샤워헤드(3)에 형성된 조립구멍(3b)을 통해서 샤워헤드(3)의 아래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손잡이(20)가 구비된 작동핀(19)을 디스크판(17)과 조립하여 디스크판(17)을 회동시시킬 때 디스크판(17)에 형성된 구멍(17a)과 급수공(4a)이 연통되어 개방되거나 어긋나 차단되게 구성하여 손잡이(20)가 샤워급수되는 용수에 샤워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수전금구.
KR2020090009146U 2009-07-14 2009-07-14 위생용 수전금구 KR200458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46U KR200458894Y1 (ko) 2009-07-14 2009-07-14 위생용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46U KR200458894Y1 (ko) 2009-07-14 2009-07-14 위생용 수전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64U KR20110000664U (ko) 2011-01-20
KR200458894Y1 true KR200458894Y1 (ko) 2012-03-15

Family

ID=4420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146U KR200458894Y1 (ko) 2009-07-14 2009-07-14 위생용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9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870U (ko) 1977-08-09 1979-03-03
JPS57184370U (ko) 1981-05-19 1982-11-22
KR200447109Y1 (ko) * 2008-03-13 2009-12-23 최창훈 위생용 수전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870U (ko) 1977-08-09 1979-03-03
JPS57184370U (ko) 1981-05-19 1982-11-22
KR200447109Y1 (ko) * 2008-03-13 2009-12-23 최창훈 위생용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64U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8821B (zh) 一种抽屉式集成洗碗机
US6753554B1 (en) Water flow regulating device
US20120255116A1 (en) Water delivery system with non-contact user-operated control
KR102297260B1 (ko) 위생수전
CN106175632A (zh) 一种抽屉式集成强排洗碗机
US20220162838A1 (en) Multifunctional smart faucet
CN106108822A (zh) 一种改进型抽屉式集成洗碗机
AU2017217520A1 (en) Drain diverted dirty water and continuously circulated clean water system
CN206151398U (zh) 一种抽屉式集成洗碗机
KR200458894Y1 (ko) 위생용 수전금구
US20190104917A1 (en) Handheld Retractable Cleaning Sprayer
CN206151399U (zh) 一种改进型抽屉式集成洗碗机
KR200447109Y1 (ko) 위생용 수전금구
US20230030828A1 (en) Faucet with clean and dirty controls
CN204372302U (zh) 一种多功能花洒
WO2021082343A1 (zh) 一种用于水槽进排水控制的集成开关及其自动控制系统
CN201771023U (zh) 调温式免手接触给水装置
TWI741617B (zh) 水龍頭出水口撥桿式啟閉控制結構
KR100486631B1 (ko) 벽면내장형 급수장치
CA2673008A1 (en) Retrectable urinal
CN203926987U (zh) 一种旋转出水管水龙头
CN203604725U (zh) 旋转出水嘴巴及手喷出水双模式水龙头
KR100740492B1 (ko) 자동세정 세면대
KR20120134829A (ko) 모듈식 가변형 욕실시스템
Lozier Electronic Sensor Faucets Improve Hygiene and Conserve Water in Commercial Restr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