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60Y1 - 매트리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860Y1
KR200458860Y1 KR2020100003045U KR20100003045U KR200458860Y1 KR 200458860 Y1 KR200458860 Y1 KR 200458860Y1 KR 2020100003045 U KR2020100003045 U KR 2020100003045U KR 20100003045 U KR20100003045 U KR 20100003045U KR 200458860 Y1 KR200458860 Y1 KR 200458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attress
upper plate
support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282U (ko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2020100003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6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2Holders for loose bed elements, e.g. sheet holders; bed cover holders
    • A47C21/026Pillow holders; Mattress holder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깔판형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매트리스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곡률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고정패널; 및 상기 하향 절곡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침대 상판의 상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밀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트리스 고정장치{Fixed Device for Mattress}
본 고안은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가 수용되는 침대 상판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매트리스가 침대 상판으로부터 이탈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대 상판의 모서리에 장식효과를 가미함으로써, 미려하게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누워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는 가구로서, 이러한 침대는 프레임(틀), 헤드보드, 침상, 매트리스의 3개 부분으로 되어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을 갖는 침대가 출시되고 있다.
침대의 크기는 매트리스의 치수로 나타내는데, 그 폭은 싱글 침대 95 ~ 100cm, 세미더블 침대는 110 ~ 120cm, 더블 침대 140 ~ 150cm이고, 그 길이는 195 ~ 200cm로 제작되므로,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상의 크기는 매트리스의 폭과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 마루형태의 평평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침대 본체의 상부에 쿠션재인 매트리스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통깔판형 침대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침대 본체 상부가 평평한 마루형태를 취하고 있으면서 그 상부에 단순히 매트리스를 얹어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관상 미려함은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 및 아이들이 매트리스 위에서 뛰거나, 수면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침대 본체과 매트리스가 걷돌아 이탈하게 되는등 제자리에서 균형을 맞춘상태로 위치하지 않고, 유동이 심해 사용할때마다 자리를 다시 잡아 사용해야 하는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대용 매트리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구가 개발되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100)는 침대 상판(110)에 올려지는 매트리스(120)의 모서리 양측면이 지지되도록 직각으로 절곡시킨 지지부(101)와 암나사부(103)가 형성된 유동방지구(100)의 양단(102)을 하방으로 절곡시키고, 침대 상판(110)에는 지지부(101)의 양단(102)에 형성된 암나사부(103)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10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100)는 침대 상판(110)에 올려지는 매트리스(120)의 모서리 양측면이 지지되도록 직각으로 절곡시킨 지지부(101)의 양단(102)을 침대 상판(110)에 형성한 관통공(104)에 삽입시킨 후 침대 상판(110)의 저면에서 볼트(105)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매트리스(120)를 침대 상판(110)위에 올려놓으면, 매트리스(120) 모서리 양측면은 직각으로 절곡시킨 지지부(10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100)는 침대 상판(110)에 올려지는 매트리스(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침대 제작시 침대 상판(110)에 관통공(104)을 가공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작업이 저조하였으며 또한 모든 침대에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대 상판(110)의 모서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 및 아이들이 침대에서 내려오면서 모서리 부분에 상처를 입거나 상해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침대 상판 모서리부분에 밀림 방지부재를 부착하여 매트리스가 침대 상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상 안전감을 줄 수 있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침대 상판 두께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연장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침대 모서리에 부딪혀 상처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트리스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곡률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고정패널; 및 상기 하향 절곡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침대 상판의 상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밀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재에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양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침대 상판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패널로 이루어진 길이 조절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이 걸림요홈에 걸리면서 조절패널이 상기 충격 흡수부에 고정되도록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걸림요홈을 형성하고, 이 걸림요홈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상기 조절패널의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재의 지지부에는 침대 상판과 밀림 방지부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침대 상판 모서리 부분에 밀림 방지부재를 부착하여 매트리스가 침대 상판에서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침대 상판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침대 모서리를 부드러운 코너 형식으로 마감처리 함과 동시에 외관상 안전감 및 장식미를 함께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 유동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침대 매트리스(300)를 침대 상판(310)에 거치시킬 때,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에 설치되어 매트리스가 침대 상판에서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침대 상판(310) 모서리부(320)를 부드러운 코너 형식으로 마감처리 함과 동시에 외관상 안전감 및 장식미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밀림 방지부재(200)는 사출 성형으로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에 결합되도록 이 모서리부(32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230)와, 이 지지부(230)를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240)와,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와 밀착되는 고정패널(250) 및 밀림 방지부재(200)를 침대 상판(31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침대 상판(31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고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230)는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를 중심으로 침대 상판(3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면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210)의 일측 상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매트리스(300)가 침대 상판(310)으로부터 이탈 또는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지지부(230)의 일측면이 고정부(210)의 상측면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대 상판(310)보다 높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매트리스(300)가 이 지지부(23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침대 상판(310)에 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300)는 지지부(230)에 의해 침대 상판(310)으로부터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210)는 밀림 방지부재(200)가 침대 상판(310)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나사(221)가 관통되는 관통홈(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밀림 방지부재(200)가 침대 상판(310)에 나사 체결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충격 흡수부(240)는 지지부(230)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곡률이 형성되어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패널(2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충격 흡수부(240)는 사용자가 밀림 방지부재(200)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 흡수부(240)에서 1차 흡수하고, 이후, 이 고정패널(250)에서 2차 흡수하여 사용자가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에 의해 상처 또는 상해를 입는 사고를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고정패널(250)은 침대 모서리부(3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평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 역시 이 고정패널(250)과 마찬가지로 면취 가공을 통해 평평하게 가공함으로써, 고정패널(250)과 침대 모서리부(320) 간의 접촉 면접을 향상시켜 밀림 방지부재(200)와 침대 상판(310)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한편, 충격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밀림 방지부재(2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300)의 일측을 침대 상판(310)의 헤드보드(330) 방향으로 밀착시킨 후, 침대 상판(310) 타측에 고정된 밀림 방지부재(200)의 지지부(230) 안쪽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신속하며 손쉽게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침대 상판(310)에 올려진 매트리스(300)는 그 일측이 헤드보드(330)에 의해 밀착되게 고정되며, 타측의 양측 모서리부(320)가 밀림 방지부재(200)의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되어 어떤 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을 뿐아니라 신속하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밀림 방지부재(200)는 침대 상판(310)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가 연장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재(400)가 구비된다.
길이 조절부재(400)는 침대 상판(310)의 두께에 따라 밀림 방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충격 흡수부(240)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조절패널(410)과, 이 조절패널(410)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부(420)가 충격 흡수부(24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420)의 내측에는 충격 흡수부(240)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조절되도록 슬라이딩된 조절패널(410)을 고정하기 위해 걸림요홈(500)이 형성되며, 조절패널(410)의 양측에는 이 걸림요홈(500)에 걸리면서 조절패널(410)이 충격 흡수부(2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 돌기(51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길이 조절부재(400)는 침대 상판(310)의 두께만큼 자유롭게 상,하로 연장됨으로써, 딱딱한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을 견고하고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에는 밀림 방지부재(200)의 고정부(21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지지부(230)의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520)가 형성되고, 침대 상판(310)의 각 모서리부(320)에는 밀림 방지부재(200)의 지지부(230)에 형성된 결합돌기(520)가 삽입되는 결합요홈(530)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결합요홈(530)과 결합돌기(520)는 그 내경이 일치되어 상,하부가 억지끼움되어 침대 상판(310)의 모서리부(320)에 밀림 방지부재(200)가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침대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침대를 사용하는 데 있어 매트리스(300)가 침대 상판(310)에서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치가 용이하여 별도의 사전작업 없이 모든 침대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트리스(300)의 사용상 필요에 따라 매트리스(300)를 반전시켜 사용할 경우에도 간단히 들어 반전시킨 후 밀림 방지부재(200)의 지지부(230) 내면측에 삽입하는 형태로 거치시켜주면 되므로 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고, 새로운 장식미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밀림 방지부재 210: 고정부
220: 관통홈 221: 나사
230: 지지부 300: 매트리스
310: 침대 상판 320: 모서리부
330: 헤드보드 400: 길이 조절부재
500: 걸림요홈 510: 걸림돌기
520: 결합돌기 530: 결합요홈

Claims (4)

  1. 매트리스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곡률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고정패널; 및
    상기 하향 절곡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침대 상판의 상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밀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재에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양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침대 상판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패널로 이루어진 길이 조절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조절패널이 상기 충격 흡수부에 고정되도록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걸림요홈을 형성하고, 이 걸림요홈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상기 조절패널의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재의 지지부에는 침대 상판과 밀림 방지부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침대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고정장치.
KR2020100003045U 2010-03-24 2010-03-24 매트리스 고정장치 KR200458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45U KR200458860Y1 (ko) 2010-03-24 2010-03-24 매트리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45U KR200458860Y1 (ko) 2010-03-24 2010-03-24 매트리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2U KR20110009282U (ko) 2011-09-30
KR200458860Y1 true KR200458860Y1 (ko) 2012-03-15

Family

ID=4509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45U KR200458860Y1 (ko) 2010-03-24 2010-03-24 매트리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80Y1 (ko) * 2013-02-19 2014-06-03 김기윤 침대의 매트리스 코너 가이드
CN114504215A (zh) * 2022-01-24 2022-05-17 朱加俊 一种便于床单铺设且防止床单滑动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96Y1 (ko) 2004-10-06 2005-01-14 김이겸 침대용 매트리스이탈방지구조
KR200378143Y1 (ko) 2004-12-06 2005-03-11 김이겸 침대용 매트리스이탈방지구조
KR20100009193U (ko) * 2009-03-11 2010-09-24 전명호 매트릭스 밀림 방지용 코너보호대
KR20100011165U (ko) * 2009-05-07 2010-11-17 전명호 매트릭스 밀림 방지용 코너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96Y1 (ko) 2004-10-06 2005-01-14 김이겸 침대용 매트리스이탈방지구조
KR200378143Y1 (ko) 2004-12-06 2005-03-11 김이겸 침대용 매트리스이탈방지구조
KR20100009193U (ko) * 2009-03-11 2010-09-24 전명호 매트릭스 밀림 방지용 코너보호대
KR20100011165U (ko) * 2009-05-07 2010-11-17 전명호 매트릭스 밀림 방지용 코너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2U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1183B2 (en) Supporting frame of electric bed
KR200458860Y1 (ko) 매트리스 고정장치
JP2013518621A (ja) 引出し収納部
EP3322318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ds
KR200440168Y1 (ko) 강제 2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US20130212804A1 (en) Telescoping Crib
CN201777158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KR101718861B1 (ko) 서랍장에 의한 지지면적 확장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200440169Y1 (ko) 강제 1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700266B1 (ko) 탈부착가능한 침대독서대
KR200399440Y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
CN220101134U (zh) 一种门栏
CN220014995U (zh) 一种门栏
US6776456B1 (en) Gliding chair unit with cushioning members
KR10102241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학생용 침대
KR20170060231A (ko) 가구용 난간의 체결장치
KR1009075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난간
KR101447687B1 (ko) 모서리 연결구가 구비된 침대 프레임
KR200446041Y1 (ko) 블라인드용 디자인 일체화 장치
CN204950238U (zh) 儿童床护栏高度调节导向结构
KR200461213Y1 (ko)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0910293B1 (ko) 의자용 바닥보호매트
RU9127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ускания боковой спинки детской кроватки одной рукой
KR20130007405U (ko)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KR101534300B1 (ko) 침대용 기능성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