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78Y1 -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78Y1
KR200458678Y1 KR2020090014613U KR20090014613U KR200458678Y1 KR 200458678 Y1 KR200458678 Y1 KR 200458678Y1 KR 2020090014613 U KR2020090014613 U KR 2020090014613U KR 20090014613 U KR20090014613 U KR 20090014613U KR 200458678 Y1 KR200458678 Y1 KR 200458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amp
housing
moving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884U (ko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지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지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지티브
Priority to KR202009001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7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과 같은 막대형 램프를 고정하며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접속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가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막대형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결합공의 배면에 배치되어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과 접속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이동판을 상기 관통공측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을 제공한다.
막대형 램프, 이탈 방지

Description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Socket for tube type lamp}
본 고안은 형광등과 같은 막대형 램프를 고정하며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접속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가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으로 대표되는 막대형 램프는 길다란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면에 한쌍의 전극단자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외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극단자가 소켓에 삽입되어 기계적으로 막대형 램프를 고정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 상기 전극단자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막대형 램프 조립체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막대형 램프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 와 같이, 막대형 램프 조립체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막대형 램프(10)와, 상기 막대형 램프(10)의 양단을 고정하는 소켓(20)과, 상기 소켓이 고정되는 몸체(22)를 포함한다.
막대형 램프(10)는 일반 형광등 또는 형광등형 LED 등이 있다. 막대형 램프는 양단에 한쌍의 전극핀(12)을 구비하고 있어, 이 전극핀(12)이 소켓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위치를 고정하며, 또한 전극핀(1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종래의 막대형 램프 조립체는 단순히 소켓(20)에 상기 전극핀(12)이 결합될 수 있는 접속공(21)을 구비하여, 막대형 램프의 일측 전극핀(12)을 일측 소켓(20)의 접속공(21)에 끼운후 타측 소켓을 벌려 막대형 램프를 밀어 넣은 후 타측 전극핀을 타측 소켓의 접속공에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막대형 램프가 결합되는 경우 막대형 램프는 전극핀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으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막대형 램프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전극핀의 결합 길이가 길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충격이나 진동에도 막대형 램프가 쉽게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종래의 막대형 램프가 전극핀에 의해서만 고정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 뿐만 아니라 양측 단부의 일부분으로 소켓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가 이탈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안 전을 도모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대형 램프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가 이탈하지 않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막대형 램프를 고정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막대형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결합공의 배면에 배치되어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과 접속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이동판을 상기 관통공측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단자는 전면에 상기 전극핀을 수용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는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리브의 상단에는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이 출입할 수 있는 소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통로의 양측에는 안내리브가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은 가장자리에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전면에 전극핀을 안내하기 위하여 결합공의 주변으로 형성된 오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은 막대형 램프의 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막대형 램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은 이동판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탈부착시에 이동판를 밀어 이동시키면 되므로 분해 조립이 용이한 효과도 가져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100)은 막대형 램프(도 1의 10)의 양측에 형성된 전극핀(도 1의 12)에 접속하여 막대형 램프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막대 형 램프(1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100)은 일측에 막대형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22)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막대형 램프(10)의 전극핀(12)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공(142)을 구비하는 이동판(140)과, 상기 이동판(140)의 결합공(142)의 배면에 배치되어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과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160)와, 상기 접속단자(160)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180)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180)와 상기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160)와 상기 이동판(140)을 상기 관통공(122) 측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7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100)은 막대형 램프(10)에 형성된 단자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결합공(14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결합공(142)은 원판 형상을 가지는 이동판(14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판(140)은 하우징(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20)은 전면하우징(120a)와 후면하우징(120b)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다른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120) 중 전면하우징(120a)으로 막대형 램프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전면하우징(120a)에는 막대형 램프의 측면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 는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막대형 램프의 측면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리브(12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124)의 상단에는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12)이 출입할 수 있도록 소통로(125)가 형성되어 있다. 소통로(125)에는 지지리브(12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통로(125)의 양측으로는 상부를 향해 안내리브(12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리브(126)는 전극핀(12)이 지지리브(122)의 안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단자핀(12)이 삽입될 위치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극핀(12)이 관통공(122)의 안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면케이스(120a)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128)에 이동판(140)가 결합된다. 이동판(140)의 중앙에는 한 쌍의 결합공(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판의 양측에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4)은 외부케이스(12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8)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동판(140)이 외부케이스(12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동판(140)에 반원형상의 가이드홈(144)이 형성되고, 전면케이스(120a)의 내측에 반원통 형상의 가이드돌기(128)가 형성되어 있으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면 다각형의 형상이나 그밖의 형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동판(140)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측에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동판(140)의 표면에는 외부케이스(120)의 소통공(12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결합공(142)의 주변까지 연장된 오목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145)의 역할은 전극핀(12)이 결합공(142)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주며, 전극핀(12)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판(140)의 배면에는 접속단자(160)과 스프링지지대(180)와 코일스프링(17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접속단자(160)는 막대형 램프의 단자핀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요홈부(162)을 구비한다. 접속단자(160)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어 막대형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접속단자(160)의 전면은 이동판(140)에 밀착되고, 이때 이동판(140)의 결합공(142)에 접속단자(160)의 요홈부(162)가 정렬되어, 전극핀이 결합공(142)으로 삽입되면, 접속단자(160)의 요홈부(162)에 접속된다.
접속단자(160)의 배면은 스프링지지대(1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스프링지지대(180)는 코일 스프링(170)을 수용하며, 코일 스프링(170)은 배면하우징(120b)에 지지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스프링지지대(180)와 접속단자(160)를 이동판(140)에 밀착시키도록 작용한다. 접속단자(160)의 요홈부(160)는 접속단자(160)의 배면으로 돌출되고, 스프링 지지대(180)의 전면에는 수용홈(18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160)의 배면이 수용홈(182)에 안착되어 접속단자(160)가 스프링지지대(180)를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배면하우징(120b)에는 스프링고정단(129)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코일스프링(170)이 상기 스프링고정단(129)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소켓(10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이동판(140)과 접속단자(160)와 스프링지지대(180)가 코일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동판(140)을 배면측으로 밀어 넣으면 코일스프링(170)이 압축되면서 이동판(140)이 배면으로 후퇴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소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좌측은 외력이 가해지 않아 이동판(140)이 전면하우징(120a)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거이고, 도면의 우측은 이동판(140)이 밀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판(140)의 테두리부(147)는 전면하우징(120a)의 관통공(122) 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판(140)이 상기 관통공(12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동판(140)을 우측으로 밀어 넣으면, 코일스프링(170)이 수축하면서 이동판(140)과 접속단자(160) 그리고 스프링지지대(18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조립체에 막대형 램프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막대형 램프 조립체는 몸체(200)와,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막대형 램프 소켓(100)과, 소켓에 결합되는 막대형 램프(10)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몸체(20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막대형 램프 소켓(100)의 상세한 구조에 관해서는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막대형 램프 소켓(100)은 관통공(122)이 서로 마주 보도록 몸체(200)의 양측에 배치되며, 소켓(100) 사이의 간격(G1)은 막대형 램프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켓(100) 사이의 간격은 도 5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0)의 지지리브(124)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막대형 램프(10)의 길이는 전극핀(12)을 제외한 길이를 의미한다.
소켓(100) 사이의 간격을 막대형 램프(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이유는, 막대형 램프(10)의 양단을 소켓(100)의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극핀 만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분의 길이가 짧아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가 조금만 이동하여도 막대형 램프가 쉽게 소켓으로 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고안은 충분한 결합 길이를 확보하고 탄성력에 의하여 막대형 램프의 양단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착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의 중앙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 램프(10)의 일측 전극핀(12)을 결합공(142)에 끼우고, 이동판(140)을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막대형 램프(10)의 타측 전극핀(12)을 하우징(120)의 소통로(125)를 통해 밀어 넣어 이동판(140)의 결합공(142)에 삽입한다. 그러면 막대형 램프(10)는 전극핀(12)은 모두 양측의 이동판(140)에 끼워지며, 이 때 이동판(140) 은 코일스프링(170)으로 부터 탄성력을 제공 받으므로, 막대형 램프(10)의 양측을 탄성력을 가압하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의 하단은 막대형 램프(1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조립체는 막대형 램프(1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막대형 램프의 양단이 소켓(100)에 일부 수용되어 있고, 막대형 램프(10)의 양측면이 이동판(140)에 의하여 탄성력으로 가압되어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 막대형 램프(10)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코일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양측의 이동판(140)이 막대형 램프(10)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막대형 램프가 소켓(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막대형 램프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소켓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소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램프 조립체에 막대형 램프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임.

Claims (8)

  1. 일측에 막대형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결합공의 배면에 배치되어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과 접속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이동판을 상기 관통공측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리브의 상단에는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이 출입할 수 있는 소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전면에 상기 전극핀을 수용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는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로의 양측에는 안내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가장자리에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전면에 전극핀을 안내하기 위하여 결합공의 주변으로 형성된 오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 형 램프 소켓.
  7. 판 형상의 몸체; 및
    일측에 막대형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결합공의 배면에 배치되어 막대형 램프의 전극핀과 접속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이동판을 관통공측으로 탄성력으로 밀착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한쌍의 막대형 램프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막대형 램프 소켓 사이의 간격은, 막대형 램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8. 삭제
KR2020090014613U 2009-11-11 2009-11-11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KR200458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13U KR200458678Y1 (ko) 2009-11-11 2009-11-11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13U KR200458678Y1 (ko) 2009-11-11 2009-11-11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84U KR20110004884U (ko) 2011-05-18
KR200458678Y1 true KR200458678Y1 (ko) 2012-03-06

Family

ID=4929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613U KR200458678Y1 (ko) 2009-11-11 2009-11-11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7524A1 (en) * 2011-06-03 2012-12-0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ed lampholder and lamp system with means to prevent lamping of nonconforming lamp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Y1 (ko) 2000-03-13 2000-10-16 하종제 개량된 형광등 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Y1 (ko) 2000-03-13 2000-10-16 하종제 개량된 형광등 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84U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6299T3 (es) Conjunto de contacto móvil de un interruptor electromagnético
KR101031015B1 (ko) 램프용 소켓 및 이 소켓을 구비한 등기구
TW201616053A (zh) Led燈及其燈頭結構
KR101531751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2017004720A (ja)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用プラグコネクタ
KR200458678Y1 (ko) 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대형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막대형 램프 조립체
KR200456665Y1 (ko) 엘이디등의 엔드 캡
ES2214879T3 (es) Unidad de eje de conexion para conectadores.
CN108468690B (zh) 一种自动插销及具有其的阵列式音箱
RU2366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штыря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KR101877223B1 (ko) 램프소켓
CN104033865A (zh) 插口式灯头体
CN213513421U (zh) 一种灯具及其快接组件
KR102282652B1 (ko)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KR200412155Y1 (ko) 와이어레스 타입 포지션 램프
KR200464022Y1 (ko) 직관형 램프 소켓
WO2007126173A1 (en) Recessed ceiling light
KR20080088941A (ko) 웨지벌브용 소켓
KR101435210B1 (ko) 멀티퓨즈
KR200350102Y1 (ko) 형광등용 소켓
CN217213328U (zh) 一种用于壳体组装的扣位结构及眼镜壳体
KR19990002820A (ko) 램프와 안정기가 착탈 가능한 전구식 삼파장 형광등의 조립구조
KR200482409Y1 (ko) 조명등 베이스
KR200358865Y1 (ko) 형광등 소켓
KR101894503B1 (ko) 막대형 엘이디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