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550Y1 - Intake unit - Google Patents

Intak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550Y1
KR200458550Y1 KR2020100006211U KR20100006211U KR200458550Y1 KR 200458550 Y1 KR200458550 Y1 KR 200458550Y1 KR 2020100006211 U KR2020100006211 U KR 2020100006211U KR 20100006211 U KR20100006211 U KR 20100006211U KR 200458550 Y1 KR200458550 Y1 KR 200458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module
air conditioning
indoor 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2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1712U (en
Inventor
김대욱
Original Assignee
김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욱 filed Critical 김대욱
Priority to KR2020100006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550Y1/en
Publication of KR20110011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55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고안은 제1 및 제2 개폐모듈에 의해 바디로부터 흡기그릴모듈의 일측 또는 타측 선회 개방 및 완전 분리가 가능하고, 합성수지 재질의 덕트 연결구를 통해 제품 전체의 경량화 및 조립성 향상을 기대하며, 지그재그 형 필터부재를 통해 필터링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기대하고, 장착수단을 마련하되 조임볼트의 조임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천장 프레임과의 걸림 또는 해제되는 탈장착식 설치가 가능한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pening and completely turn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grill module from the body by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s, and expecting the weight reduction and the assembly of the whole product through the duct connector made of synthetic resin, and zigzag Expected to improve the filter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through the type filter member, and to provide a mounting means, but to a removable air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that can be installed or detached from the ceiling frame by the tightening or loos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bolt .

Description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INTAKE UNIT}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INTAKE UNIT}

본 고안은 천장 내 덕트와 연결되도록 천장에 설치되어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을 포함한 실내 공기를 필터링 하여 상기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be connected to the duct in the ceiling relates to an indoor air conditioning intake unit for filtering the indoor air containing suspended matter such as dus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ct.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 중,Among various technologies for indoor air conditioning,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1-0069828호(2001.07.25.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환기구』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69828 (registered on July 25, 20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vanced technology') `` Return mechanism '' is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건물에 부착됨과 아울러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The prior art is attached to a building and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he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upled to the body and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frame and the It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the filter for filtering the said air,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슬릿 홀을 구비하며,It has a sli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lter is inserted,

상기 본체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경첩과, 상기 경첩에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과, 상기 프레임에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환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A hinge for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frame, a hole for fixing the main body and the frame so as to face the hinge, and a hand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the frame It is a technique related to a ventilation opening provided with.

상기 선행기술은 환기구에 필터를 형성하여 건물의 실내에 항상 청정한 공기를 주입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슬릿 홀이 형성되어 환기구를 분해하지 않고 필터 및 환기구에 쌓인 먼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경첩을 이용하여 환기구 및 프레임을 결합하여 간편하게 환기구를 분해하고자 하고 있으나,The prior art can form a filter in the ventilation hole to always inject clean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to block odors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 slit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to check th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and the vent without disassembling the vent. In addition, by using a hinge to combine the ventilation holes and the frame to easily disassemble the ventilation holes,

필터 교체 시 하나의 볼트만을 풀기 위하여서도 공구가 필요하고, 이를 휴대한 상태에서 천장에 설치된 환기구 측을 향해 볼트 풀림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When replacing the filter, a tool is needed to loosen only one bolt, and it is cumbersome to loosen the bolt toward the air vent installed on the ceiling while carrying it.

또한 필터 교체가 완료되면 다시 공구를 이용해 볼트 조임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There is also the hassle of having to tighten the bolts again with the tool once the filter replacement is complete.

또 필터 세척 시에도 프레임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고,Also, when cleaning the filter, i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frame and body.

또 천장 설치 시 본체의 홀 및 천장 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여야 하는 작업이 요구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is not easy as the work required to fasten the bolt to the hole and the ceiling frame of the body when installing the ceiling.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플랜지, 그리고 이의 내부에 요입 형성되고 흡기공을 갖는 수용몸체를 포함하고, 천장에 설치되는 바디;A body including a flange and a receiving body recessed therein and having an intake hole therein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상기 바디의 수용몸체 내에 배열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흡기그릴모듈; 및An intake grill module including a case arranged in the receiving body of the body; And

상기 바디의 수용몸체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의 각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된 두 제1핀공, 그리고 상기 흡기그릴모듈의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1핀공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1진퇴(進退)핀을 포함하는 제1개폐모듈;Two first pin holes formed at each one end of each of the two inner walls facing the receiving body of the body, and two first retreat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intake grill module and entering the first pin hol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including a pi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그리고 상기 흡기그릴모듈의 일측과 타측 모두의 힌지 개폐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되게 하기 위하여,And in order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inge of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grill module as well a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상기 바디의 수용몸체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의 각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된 두 제2핀공, 그리고 상기 흡기그릴모듈의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2핀공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2진퇴핀을 포함하는 제2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wo second pin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wo inner walls facing the receiving body of the body, and two second retreat pin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intake grill module to enter the second pin hol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comprising a.

그리고 각 제1 및 제2 진퇴핀을 잡아당겨 각 해당하는 핀공으로부터 빼낸 후, 당김 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각 제1 및 제2 진퇴핀이 각 해당 핀공으로 자동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And after pull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reat pins to remove from each corresponding pin hole, and when the pull operation is released, the first and second retreat pins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hole,

상기 제1 및 제2 개폐모듈의 각 제1 및 제2 진퇴핀은 상기 흡기그릴모듈의 케이스에 형성된 네 진퇴공간부 각각에 배열되고,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s is arranged in each of th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formed in the case of the intake grill module.

상기 네 진퇴공간부와 이에 배열된 해당 진퇴핀에 탄성체가 개재(介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astic body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and the corresponding retreating pins arranged therein.

한편, 경량화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weight and improve assembly performance,

상기 바디에서 상기 수용몸체의 흡기공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덕트 연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take hole of the receiving body in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connector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s mounted.

한편, 흡입된 공기에 대한 필터링 및 이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lter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take air,

상기 흡기그릴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열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되,The intake grill module further includes a filter member arranged in the case,

상기 필터부재는 측단면이 지그재그 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ross-section is zigzag.

한편, 본 고안의 흡기유닛을 천장 프레임에 탈부착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asily install the intak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eiling frame,

상기 바디의 플랜지에는 천장 프레임과의 설치를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되,The flang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for installation with the ceiling frame,

상기 장착수단은The mounting means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A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in the flange,

상기 각 볼트공에 체결된 조임볼트,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respective bolt holes,

상기 조임볼트 단부에 체결되고 일단부에 걸림부와 타단부에 가압부를 갖는 홀딩부재, 그리고A holding member fastened to the end of the tightening bolt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at one end and a pressing portion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상기 수용몸체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 조임 동작 시 상기 홀딩부재의 걸림부가 걸림 정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홀딩부재의 하강 직선 운동을 유도하게 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body to stop the locking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when the tightening bolt is tightened, thereby inducing a downward linear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

본 고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은,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 제2 개폐모듈을 마련하여 바디로부터 흡기그릴모듈의 일측 또는 타측 선회 개방 및 완전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grill module can be opened and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ody.

또 합성수지 재질의 덕트 연결구를 마련하여 제품 전체의 경량화 및 조립성,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ynthetic resin duct connec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product, assembling, productivity.

또 단면이 지그재그 형인 필터부재를 마련하여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filter member having a zigzag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to improve filtering performance and to improve durability.

또 볼트공, 조임볼트, 홀딩부재 및 스토퍼로 이루어진 장착수단을 마련하여 조임볼트의 조임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바디와 천장 프레임과의 상호 결합 및 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흡기유닛의 탈장착식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mounting means consisting of a bolt hole, a tightening bolt, a holding member and a stopper by mutual tightening and releasing of the body and the ceiling frame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tightening bolts,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movable unit of the intake unit It work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현예의 흡기유닛을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저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구현예의 흡기유닛을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에서 장착수단, 필터부재 및 덕트 연결구를 나타내기 위한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의 "C"에 대한 요부 발췌 단면 구성도,
도 6 및 7은 도 4의 "C"에 대한 요부 발췌 입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에서 제1 및 제2 개폐모듈에 의해 흡기그릴모듈이 선회 개폐 또는 완전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intake unit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intake unit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for showing the mounting means, the filter member and the duct connector in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taken from “C” of FIG. 4;
6 and 7 is a three-dimensional excerpt configuration of the main portion excavated by "C" of FIG.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take grill module is opened and closed or completely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in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은,As shown in Figure 1 to 8, the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바디(10), 흡기그릴모듈(20) 및 제1개폐모듈(30)로 이루어진다.It is composed of the body 10, the intake grill module 20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바디(10)는Body 10 i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건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플랜지(11), 그리고Flange 11, and

상기 플랜지(11) 내부에 요입 형성되고 흡기공(121)을 갖는 수용몸체(12)Receiving body 12 is formed in the flange 11 and the receiving body 12 having an intake hole 12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플랜지(11)를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구현예로서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figure as a rectangular when the flange 11 when viewed in a plan view, it will be able to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as one embodiment.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12)의 흡기공(121)은 실내 공간 면적이나 흡입량 등을 고려하여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one or two or more intake holes 121 of the accommodation body 12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an indoor space area or a suction amount.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생산성 향상 및 단가 절감을 위하여 프레스 가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10 is preferably integrally molded by press pressure for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흡기그릴모듈(20)은Intake grill module 20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and 4,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을 포함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것으로,Inhaled indoor air containing suspended matter such as dust,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 내에 배열되는 케이스(21),A case 21 arranged in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상기 케이스(21) 일면에 형성되는 그릴(grill)부(22), 그리고Grill part 2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21, And

상기 케이스(21) 내에 배열되어 상기 그릴부(22)에 밀착되는 필터부재(23)Filter member 23 arranged in the case 2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ll portion 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이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3)는 측단면이 지그재그 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filter member 23 is preferably a side cross-section in a zigzag form.

이는 흡입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내구성 향상을 기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improve the filter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inhaled air and to increase the durability.

제1개폐모듈(30)은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122)의 각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된 두 제1핀공(31), 그리고Two first pin holes 31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two inner walls 122 facing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1핀공(31)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1진퇴(進退)핀(32)Two first retreating pins 32 provided in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to enter and exit the respective first pin holes 3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122)의 각 타단부(他端部)와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는 통상의 연결핀(P)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게 구현할 수 있으며,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wo inner walls 122 facing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are conventional connecting pins (P). Can be mutually coupled by

이에 따라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은 상기 두 제1핀공(31)으로부터 상기 두 제1진퇴핀(32)을 빼낸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P)을 기준으로 선회 개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intake grill module 20 is capable of turning open on the basis of the connecting pin P in a state in which the two first retreating pins 32 are removed from the two first pin holes 31.

결국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은 상기 연결핀(P)에 의해 타측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개폐모듈(30)에 의해 일측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As a result, the intake grill module 20 is fixed to the other side by the connecting pin P, and one side is locked or unlocked by the first opening / closing module 30.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은On the other hand,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타측 또한 일측의 선회 개방 동작 구현이 가능하도록 제2개폐모듈(40)을 포함하는데,The other side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also includ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to enable the swing opening operation of one side,

제2개폐모듈(40)은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3,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122)의 각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된 두 제2핀공(41), 그리고Two second pin holes 41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two inner walls 122 facing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2핀공(41)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2진퇴핀(42)Two second retraction pins 42 provided in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to enter and exit the respective second pin holes 4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은 상기 제1개폐모듈(30)에서 두 제1진퇴핀(32)을 두 제1핀공(31)으로부터 각각 빼내어 잠금 해제한 후, 잠금 된 상기 제2개폐모듈(40)의 두 제2진퇴핀(42)을 기준으로 일측 선회 개방이 가능하고,(도 8의 [가] 참조)The intake grill module 20 removes and locks the two first retreating pins 32 from the two first pin holes 31 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respectively, and lock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It is possible to open one side turning on the basis of the two second retraction pin 42 of () (see Fig. 8 [a]))

반대로 상기 제2개폐모듈(40)에서 두 제2진퇴핀(42)을 두 제2핀공(41)으로부터 각각 빼내어 잠금 해제한 후, 잠금 된 상기 제1개폐모듈(30)의 두 제1진퇴핀(32)을 기준으로 타측 선회 개방이 가능하며,(도 8의 [나] 참조)On the contrary, after releasing and unlocking the two second retraction pins 42 from the second second pin holes 41 i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the two first retreating pins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are locked. It is possible to open the other side turning on the basis of (32) (see [b] of Figure 8)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개폐모듈(30)의 각 진퇴핀(32, 42)을 각 핀공(31, 32)으로부터 빼내어 잠금 해제한 후,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로부터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을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도 8의 [다] 참조)Furthermore, the retraction pin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s 30 are removed from the pin holes 31 and 32 and unlocked, and then the intake air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The grill module 20 may be completely removed. (See [C] of FIG. 8)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모듈(30, 40)을 통해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대한 선회 개방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 완전 분리 또한 가능함으로서, 상기 흡기그릴모듈(20) 또는 이의 필터부재(23)에 대한 교체나 청소 작업이 용이하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4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is possible, as well as completely possible separation, the intake grill module 20 Or it is easy to replace or clean the filter member 23 thereof.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은On the other hand,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을 잡아당겨 각 해당하는 핀공(31, 41)으로부터 빼내어 잠금 해제한 후, 당김 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이 각 해당 핀공(31, 41)으로 자동 삽입되게 구현하기 위하여,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nd 42 are pulled out from the corresponding pin holes 31 and 41 to release the locks, and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nd 42 are released. In order to realize that 42)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each of the corresponding pin holes 31 and 4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3,

상기 제1 및 제2 개폐모듈(30, 40)의 각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은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형성된 네 진퇴공간부(211) 각각에 배열되고,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 closing modules 30 and 40 ar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211 formed in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respectively. Arranged in,

상기 네 진퇴공간부(211)와 이에 배열된 해당 진퇴핀(32, 42)에 탄성체(212)가 개재(介在)된다.
An elastic body 212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211 and corresponding retreating pins 32 and 42 arranged therein.

이때 상기 각 진퇴공간부(211)는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211a)이 형성되고,At this time, each of the advancing space 211 is formed with a slit (slit) 21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각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은 상기 슬릿(211a)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되는 돌출부(321, 421)와, 이에 연장된 당김부(322, 422)가 형성된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nd 42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321 and 421 sliding in the slit 211a and pulling portions 322 and 422 extending therefrom.

상기 네 진퇴공간부(211)에 구비된 상기 탄성체(212)는 상기 각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을 향해 탄성 발휘하게 되는 탄성 스프링인 것이 바람작하고,The elastic body 212 provided in the four retreat space portion 211 is preferably an elastic spring that is elastically exert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retreat pins (32, 42),

상기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은 진퇴공간부(211)의 슬릿(211a) 단부에 걸려 정지되는 돌출부(321, 421)에 의해서 상기 진퇴공간부(211)로부터 이탈 방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retreat pins 32 and 42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treat space 211 by protrusions 321 and 421 stopped by the end portions of the slit 211a of the retreat space portion 211.

상기 당김부(322, 422)에 손끝을 대고 상기 탄성체(212) 측으로 당기면 상기 돌출부(321, 421)가 상기 슬릿(211a)을 따라 후퇴하게 되고, 후퇴 시 상기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의 후단부가 상기 탄성체(212)를 가압하게 된다.
When the fingertips 322 and 422 are pulled toward the elastic body 212, the protrusions 321 and 421 are retracted along the slit 211a, and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re retracted when the retracted parts 322 and 422 are pulled toward the elastic body 212. , 42) presses the elastic body 212.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은 경량화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On the other hand,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and assembly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4 and 5,

상기 바디(10)에서 상기 수용몸체(12)의 흡기공(121)에는 천장에 설치된 덕트(1)와의 연결을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덕트 연결구(13)가 장착된다.In the intake hole 121 of the receiving body 12 in the body 10 is mounted a duct connector 13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connection with the duct (1) installed on the ceiling.

이때 상기 수용몸체(12)의 흡기공(121) 둘레에는 체결공(121a)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구(13)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체결공(131)이 형성됨에 따라, 볼트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다.
In this case, a fastening hole 121a is formed around the intake hole 121 of the receiving body 12,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hole 1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21a around the duct connector 13. As formed, they are joined together by bolts.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기유닛에서 바디(10)를 천장 프레임(2)에 탈부착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0)의 플랜지(11)에는 천장 프레임(2)과의 설치를 위한 장착수단(50)이 구비되는데,On the other hand, in the intak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ans for installation with the ceiling frame 2 on the flange 11 of the body 10 in order to easily install the body 10 to the ceiling frame 2 ( 50)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50)은As shown in Figure 5 to 7, the mounting means 50 is

상기 바디(10)의 플랜지(11)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51),A plurality of bolt holes 51 formed in the flange 11 of the body 10,

상기 각 볼트공(51)에 체결된 조임볼트(52),Fastening bolts 52 fastened to the respective bolt holes 51,

상기 조임볼트(52) 단부에 체결되고 일단부에 걸림부(531)와 타단부에 가압부(532)를 갖는 홀딩부재(53), 그리고A holding member 53 fastened to an end of the tightening bolt 52 and having a locking part 531 at one end and a pressing part 532 at the other end, and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52) 조임 동작 시 상기 홀딩부재(53)의 걸림부(531)가 걸림 정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홀딩부재(53)의 하강 직선 운동을 유도하게 되는 스토퍼(54)It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to stop the locking portion 531 of the holding member 53 when the tightening bolt 52 tightening operation, thereby lowering the holding member 53 Stoppers Inducing Linear Motion (5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홀딩부재(53)의 가압부(532)는 상기 조임볼트(52)의 풀림 동작 시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 외벽에 걸리어 정지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532 of the holding member 53 preferably has a length enough to be stopped by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during the loos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Do.

상기 조임볼트(52)의 조임 동작과 풀림 동작에 의한 상기 홀딩부재(53)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Looking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member 53 by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전자(前者)의 경우인, 상기 조임볼트(52)의 조임 동작 시,In the former case,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도 7에서와 같이,As in Figure 7,

상기 홀딩부재(53)의 걸림부(531)는 상기 스토퍼(54)에 걸리어 정지되고,The engaging portion 531 of the holding member 53 is stopped by the stopper 54,

상기 조임볼트(52)의 계속되는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53)는 하강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By the continuous tight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the holding member 53 is in a downward linear motion,

하강된 상기 홀딩부재(53)의 가압부(532)가 천장 프레임(2)의 상단에 걸리게 되고,Pressing portion 532 of the holding member 53 is lowered to the upper end of the ceiling frame (2),

더 하강 시 상기 홀딩부재(53)의 가압부(532)와 상기 바디(10)의 플랜지(11) 사이에 천장 프레임(2)이 위치한 상태로 물리게 된다.
When further lowered, the ceiling frame 2 is snapp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532 of the holding member 53 and the flange 11 of the body 10.

후자(後者)의 경우인, 상기 조임볼트(52)의 풀림 동작 시,In the latter case, the loosening ac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도 6에서와 같이,As in Figure 6,

상기 홀딩부재(53)의 가압부(532)는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 외벽에 걸리어 정지되고,The pressing portion 532 of the holding member 53 is stopped by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상기 조임볼트(52)의 계속되는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53)는 상승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The holding member 53 is subjected to the upward linear motion by the continuous loos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bolt 52,

상승된 상기 홀딩부재(53)의 가압부(532)가 천장 프레임(2)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다.
The pressing portion 532 of the holding member 53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ceiling frame (2).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has been made mainly on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take unit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디
11 : 플랜지 12 : 수용몸체
121 : 흡기공 121a : 체결공
122 : 내벽 13 : 덕트 연결구
131 : 대응체결공
20 : 흡기그릴모듈
21 : 케이스 211 : 진퇴공간부
211a : 슬릿 212 : 탄성체
22 : 그릴부 23 : 필터부재
30 : 제1개폐모듈
31 : 제1핀공 32 : 제1진퇴핀
321 : 돌출부 322 : 당김부
40 : 제2개폐모듈
41 : 제2핀공 42 : 제2진퇴핀
421 : 돌출부 422 : 당김부
50 : 장착수단
51 : 볼트공 52 : 조임볼트
53 : 홀딩부재 531 : 걸림부
532 : 가압부 54 : 스토퍼
10: body
11 flange 12 receiving body
121: intake hole 121a: fastening hole
122: inner wall 13: duct connector
131: counterpart
20: intake grill module
21 case 211: advance and retreat space
211a: slit 212: elastic body
22 grill part 23 filter member
30: first opening and closing module
31: first pin ball 32: first retreat pin
321: protrusion 322: pull
40: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1: second pin hole 42: second retreat pin
421: protrusion 422: pull
50: mounting means
51: bolt hole 52: tightening bolt
53 holding member 531: engaging portion
532: pressure unit 54: stopper

Claims (6)

플랜지(11), 그리고 이의 내부에 요입 형성되고 흡기공(121)을 갖는 수용몸체(12)를 포함하고, 천장에 설치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 내에 배열되는 케이스(21)를 포함하는 흡기그릴모듈(20); 및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122)의 각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된 두 제1핀공(31), 그리고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1핀공(31)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1진퇴(進退)핀(32)을 포함하는 제1개폐모듈(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A body (10) comprising a flange (11) and a receiving body (12) formed in a recess thereof and having an intake hole (121) and installed in a ceiling;
An intake grill module 20 including a case 21 arranged in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Two first pin holes 31 formed at each one end of each of the two inner walls 122 facing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A first opening / closing module 30 including two first retreating pins 32 provided in and out of the first pin holes 31;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수용몸체(12)에서 마주하는 두 내벽(122)의 각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된 두 제2핀공(41), 그리고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2핀공(41)을 드나들게 되는 두 제2진퇴핀(42)을 포함하는 제2개폐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wo second pin holes 41 formed in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two inner walls 122 facing the receiving body 12 of the body 10, and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The air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including two second retreating pins (42) to enter and exit each second pin hole (4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모듈(30, 40)의 각 제1 및 제2 진퇴핀(32, 42)은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의 케이스(21)에 형성된 네 진퇴공간부(211) 각각에 배열되고,
상기 네 진퇴공간부(211)와 이에 배열된 해당 진퇴핀(32, 42)에 탄성체(212)가 개재(介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treating pin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 closing modules 30 and 40 ar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211 formed in the case 21 of the intake grill module 20, respectively. Arranged in,
An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ody 212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r retreating space portions 211 and the corresponding retreating pins 32 and 42 arranged therei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서 상기 수용몸체(12)의 흡기공(121)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덕트 연결구(1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ir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hole 121 of the receiving body 12 in the body 10 is equipped with a duct connector 13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그릴모듈(20)은 상기 케이스(21) 내에 배열되는 필터부재(23)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재(23)는 측단면이 지그재그 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take grill module 20 further includes a filter member 23 arranged in the case 21,
The filter member (23) is an air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ross section is zigza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플랜지(11)에는 천장 프레임(2)과의 설치를 위한 장착수단(50)이 구비되되,
상기 장착수단(50)은
상기 플랜지(11)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51),
상기 각 볼트공(51)에 체결된 조임볼트(52),
상기 조임볼트(52) 단부에 체결되고 일단부에 걸림부(531)와 타단부에 가압부(532)를 갖는 홀딩부재(53),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12)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52) 조임 동작 시 상기 홀딩부재(53)의 걸림부(531)가 걸림 정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홀딩부재(53)의 하강 직선 운동을 유도하게 되는 스토퍼(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lange 11 of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50 for installation with the ceiling frame (2),
The mounting means 50 is
A plurality of bolt holes 51 formed in the flange 11,
Fastening bolts 52 fastened to the respective bolt holes 51,
A holding member 53 fastened to an end of the tightening bolt 52 and having a locking part 531 at one end and a pressing part 532 at the other end, and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body 12 to stop the locking portion 531 of the holding member 53 when the tightening bolt 52 tightening operation, thereby inducing the downward linear motion of the holding member 53 Intake unit for indo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opper (54).
KR2020100006211U 2010-06-14 2010-06-14 Intake unit KR2004585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211U KR200458550Y1 (en) 2010-06-14 2010-06-14 Intak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211U KR200458550Y1 (en) 2010-06-14 2010-06-14 Intak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12U KR20110011712U (en) 2011-12-21
KR200458550Y1 true KR200458550Y1 (en) 2012-02-27

Family

ID=4556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211U KR200458550Y1 (en) 2010-06-14 2010-06-14 Intak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55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32B1 (en) 2014-06-23 2014-09-16 (주)하이시스이엔지 Intake diffu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559B1 (en) * 2020-11-13 2021-02-08 윤경미 Sewage treat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2767U (en) 1976-10-30 1978-05-27
KR200248219Y1 (en) 2001-06-11 2001-10-26 전지한 Apparatus for both ventilating opening and inspection
JP2005315552A (en) 2004-03-29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supply/exhaust port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20070010753A (en) * 2005-07-2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2767U (en) 1976-10-30 1978-05-27
KR200248219Y1 (en) 2001-06-11 2001-10-26 전지한 Apparatus for both ventilating opening and inspection
JP2005315552A (en) 2004-03-29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supply/exhaust port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20070010753A (en) * 2005-07-2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32B1 (en) 2014-06-23 2014-09-16 (주)하이시스이엔지 Intake diff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12U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550Y1 (en) Intake unit
CN107829982A (en) A kind of shell dictyosome component and tower fan
US20140053479A1 (en) Sash binder
US8584426B2 (en) Sash binder
KR101063988B1 (en) Filter fixingdevice for big air conditioner
CN110311072A (en) A kind of power supply fast insert-pull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of logistics monitoring device
CN103015670A (en) Pressing and rotating type ventilation and heat dissipating device for ground heating floor
KR20000000592U (en) Inspection window for air conditioner
CN206755546U (en) A kind of filter core mounting structure
KR101280062B1 (en) Jig for conneting a elevator door into door guide seal
CN109113550A (en) A kind of domestic security window protective net
JP4279652B2 (en) Air filter device
KR101263349B1 (en) A assembly device for exterior panel
KR102329488B1 (en) Safely screen frame structure for protection against crimes and insects
CN104654216A (en) Lamp and buckling structure thereof
KR20080060209A (en) A louver panel for exterior
KR200422237Y1 (en) a mop for wet-wipe
KR20080052170A (en) Door shoe with prevent an separation skill and structure with it
US20040065067A1 (en) Dust-proof filter apparatus
KR100818249B1 (en) A traffic signal structure of a parts separation
CN202769915U (en) Fixing structure of side cover plates for air purifier
CN112392385A (en) Method for cleaning bottom of manual plate steel door
CN110779194A (en) Decorative board subassembly, air-out panel and air conditioner
KR20100011225U (en) Door frame of connection device
CN216983808U (en) Safety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