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92Y1 -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8492Y1 KR200458492Y1 KR20090009125U KR20090009125U KR200458492Y1 KR 200458492 Y1 KR200458492 Y1 KR 200458492Y1 KR 20090009125 U KR20090009125 U KR 20090009125U KR 20090009125 U KR20090009125 U KR 20090009125U KR 200458492 Y1 KR200458492 Y1 KR 2004584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curing
- waste concrete
- collection case
- sludge col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125000002619 b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4 flocc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11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펌프카 등의 세척과정에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수집하여 양생처리하는 장치에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내부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다수의 양중고리(16b)와 판벽필터(18)를 가진 판벽(14)에 의해 침전양생조(12a)와 집수조(12b)로 나뉘며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a, 16c)가 결합된 외부케이스(10);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받침필터(28)와 다수의 받침다리(22)가 결합된 마대받침대(20); 상기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되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에 결속되는 다수의 연결고리(32)를 가진 슬러지수거마대(30);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굴곡된 프레임을 가진 철망의 형태로 상기 침전양생조(12a) 위에 설치되는 외부덮개(40); 및, 상기 집수조(12b)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업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상단에 다수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가 형성되고 상기 판벽(14)으로 향한 면의 하부가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6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러지수거케이스(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마대받침대(20)는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는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가 아니라 슬러지수거케이스(60)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에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폐콘크리트, 슬러지, 콘크리트펌프카, 탈수, 양생, 친환경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의 콘크리프펌프카, 콘크리트펌프, 콘크리트호퍼 등 기타 콘크리트타설 관련장비들(이하, '콘크리트펌프카 등'이라 한다.)의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및 혼합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과 사용이 간편하고 폐콘크리트슬러지의 양생시간을 줄인 친환경적인 폐콘크리트슬러지의 탈수 및 양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 후 발생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는 별도로 양생하여 중량 및 부피를 줄인 후에 외부 폐기물처리전문업체에게 위탁되어 반출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엄격한 처리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무적으로 도심지 공사와 같이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비용 및 공간 문제로 불법투기 내지 불법매립이 성행하여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몇 현장에서는 공간을 확보하여 굴착한 후 현장에서 거푸집 등의 패널과 비닐 등을 이용하여 임시로 폐콘크리트슬러지 세척장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폐콘크리트슬러지 세척장은 폐콘크리트슬러지에서 물과 레이턴스(Laitance)의 혼합수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혼합수가 블리딩(Bleeding)과정을 거쳐 증발될 때까지 양생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혼합수가 토양으로 유출될 경우 지하수 오염 등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의 폐콘크리트슬러지 세척장은 넓은 공간에 여러 개를 설치해야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도심지 공사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응집제 또는 응축제 등의 화공약품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고가인데다가 누출시 환경오염의 우려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을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과 사용이 간편하고 양생속도를 높임으로써 양생시간을 줄인 친환경적인 폐콘크리트슬러지의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콘크리트펌프카 등의 세척과정에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수집하여 양생처리하는 장치에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내부는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b)가 설치되고 하단에 판벽필터(18)가 설치된 판벽(14)에 의해 침전양생조(12a)와 집수조(12b)로 나뉘며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a, 16c)가 결합된 외부케이스(10);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받침필터(28)와 다수의 받침다리(22)가 결합된 마대받침대(20); 상기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되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에 결속되는 다수의 연결고리(32)를 가진 슬러지수거마대(30); 상기 양중고리(16a, 16b)가 걸리지 않도록 모서리가 안쪽으로 굴곡된 프레임을 가진 철망의 형태로 상기 침전양생조(12a) 위에 설치되는 외부덮개(40); 및, 상기 집수조(12b)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업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덮개(40)는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를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슬러지수거마대(30) 속에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하여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아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며, 동시에 다른 슬러지수거마대(30)를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하고 외부덮개(4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덮개(40)는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를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슬러지수거마대(30) 속에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하여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아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며, 동시에 다른 슬러지수거마대(30)를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하고 외부덮개(4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상단에 다수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가 형성되고 상기 판벽(14)으로 향한 면의 하부가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6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러지수거케이스(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마대받침대(20)는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는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가 아니라 슬러지수거케이스(60)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에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통상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마대를 이용하여 이동과 사용이 간편한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응집제 또는 응축제 등의 화공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폐콘크리트슬러지의 양생시간을 줄이며,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폐콘크리트슬러지로부터 굵은 골재와 물을 따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콘크리트펌프카 등의 세척과정에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수집하여 탈수 및 양생처리하는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내부는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b)가 설치되고 하단에 판벽필터(18)가 설치된 판벽(14)에 의해 침전양생조(12a)와 집수조(12b)로 나뉘며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가 결합된 외부케이스(10);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받침필터(28)와 다수의 받침다리(22)가 결합된 마대받침대(20); 상기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되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에 결속되는 다수의 연결고리(32)를 가진 슬러지수거마대(30); 상기 양중고리(16a, 16b)가 걸리지 않도록 모서리가 안쪽으로 굴곡된 프레임을 가진 철망의 형태로 상기 침전양생조(12a) 위에 설치되는 외부덮개(40); 및, 상기 집수조(12b)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업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덮개(40)는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를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슬러지수거마대(30) 속에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하여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아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며, 동시에 다른 슬러지수거마대(30)를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하고 외부덮개(4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덮개(40)는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를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슬러지수거마대(30) 속에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하여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아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며, 동시에 다른 슬러지수거마대(30)를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하고 외부덮개(4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 16c)는 통상적으로 U형 클램프가 개구부 없이 용접된 형태이나, 크레인 및 지게차 등의 이용이 간편하도록 로프를 결속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판벽(14)의 판벽필터(18)와 마대받침대(20)의 받침필터(28)는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제외한 물만이 통과 될 수 있는 내구성을 지닌 통상적인 필터이다. 상기 작업발판(50)은 상기 집수조(12b) 위에 설치되어, 폐콘크리트슬러지를 포함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적재하여 양생하거나 안전하게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건설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공발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호스를 삽입할 수 있는 호스구멍이 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에는 통상의 배수밸브를 소정의 개수로 설치하여 침전양생조(12a)와 집수조(12b)에 남아있는 물 및 슬러지를 제거하여 청소할 수도 있다.
이하, 제1실시예의 실시방법을 살펴본다.
콘크리트펌프카 등을 이용한 콘크리트타설 작업이 종료된 후, 콘크리트펌프카의 호퍼(hopper) 등의 세척을 위하여 건설공사현장의 적절한 곳에 본 고안의 폐 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위치시킨다. 이때 작업장이 확보된다면 외부덮개(40)와 작업발판(50)만 지면에 노출되도록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를 지면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외부덮개(40) 위에 콘크리트펌프카의 호퍼(hopper) 등을 위치시킨다.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외부덮개(40)를 통과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 내부에 떨어지도록 물 등의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을 실시한다. 상기 외부덮개(40)는 강성이 확보되는 프레임에 철망이 결합된 것으로 모서리는 양중고리(16a, 16b)와 간섭되지 않고, 외부케이스(10)의 침전양생조(12a) 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굴곡이 형성된다. 상기 철망은 공사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 등을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며 작업 편의를 위하여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된다. 이때 걸러진 굵은 골재 등은 건설자재로써 재활용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슬러지수거마대(30) 내부의 폐콘크리트슬러지에서 유출된 물이 슬러지수거마대(30)와 받침필터(28) 그리고 판벽필터(18)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상기 물은 침전양생조(12a)에서 집수조(12b)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양생과정 중의 콘크리트에서는 물과 레이턴스(Laitance)의 혼합수가 방출되는 데, 슬러지수거마대(30)는 레이턴스(Laitance)를 제외한 물만 통과시키므로 통과된 물은 콘크리트 배합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
물이 유출된 폐콘크리트슬러지는 중량 및 부피가 줄어들어 현장에서 반출할 수 있는 정도로 슬러지수거마대(30) 내부에서 양생된다.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 는 공사현장에서 폐자재를 담아두는 통상적인 마대를 사용하며 내구성과 투수성이 확보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는 양중이 편리하고,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 16b)에 결속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마대받침대(20)는 슬러지수거마대(30) 내부의 폐콘크리트슬러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지니며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를 통과한 물이 집수조(12b)로 유출될 수 있도록, 받침필터(2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마대받침대(20)를 침전양생조(12a)의 바닥과 이격시키는 받침다리(22)가 결합되어 있다.
집수조(12b)에 모인 물은 수중모터 또는 양수기 등을 사용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외부로 방출된 물은 따로 수집하여 콘크리트 배합수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으며 불순불이 많을 경우 외부의 폐수처리전문업체에 위탁되어 반출될 수도 있다.
슬러지수거마대(30) 속의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외부의 폐기물처리전문업체로 반출될 수 있는 적정수준으로 양생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한다.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는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여져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보관소에서 별도의 양생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충분한 양생이 이루어졌다면 바로 외부의 폐기물처리전문업체에게 위탁되어 반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의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는 제1실시예에 추가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상단에 다수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가 형성되고 상기 판벽(14)으로 향한 면의 하부가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6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러지수거케이스(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마대받침대(20)는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는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가 아니라 슬러지수거케이스(60)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에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편의상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를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에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는 상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 16c)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U형 클램프가 개구부 없이 용접된 형태이나, 크레인 및 지게차 등의 이용이 간편하도록 로프를 결속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68)는 상기 판벽(14)의 판벽필터(18)와 마대받침대(20)의 받침필터(28)와 마찬가지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제외한 물만이 통과 될 수 있는 내구성을 지닌 통상적인 필터이다.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는 슬러지수거마대(30)가 폐콘크리트슬러지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파손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써 폐콘크리트슬러지의 분산을 막을 수 있으며, 그 자체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탈수 및 양생하는 상기 슬러지수거마 대(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양생된 폐콘크리트슬러지의 분리 및 청소를 위하여 슬러지수거케이스(60) 하부에 하부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등 통상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케이스
12a: 침전양생조
12b: 집수조
14: 판벽
16a, 16b, 16c: 양중고리
18: 판벽필터
20: 마대받침대
22: 받침다리
28: 받침필터
30: 슬러지수거마대
32: 연결고리
40: 외부덮개
50: 작업발판
60: 슬러지수거케이스
66: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
68: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
Claims (4)
- 콘크리트펌프카 등의 세척과정에서 폐콘크리트슬러지를 수집하여 양생처리하는 장치에서,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내부는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b)가 설치되고 하단에 판벽필터(18)가 설치된 판벽(14)에 의해 침전양생조(12a)와 집수조(12b)로 나뉘며 상단에 다수의 양중고리(16a, 16c)가 결합된 외부케이스(10);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받침필터(28)와 다수의 받침다리(22)가 결합된 마대받침대(20);상기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되며,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에 결속되는 다수의 연결고리(32)를 가진 슬러지수거마대(30);상기 양중고리(16a, 16b)가 걸리지 않도록 모서리가 안쪽으로 굴곡된 프레임을 가진 철망의 형태로 상기 침전양생조(12a) 위에 설치되는 외부덮개(40); 및,상기 집수조(12b)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업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외부덮개(40)는 폐콘크리트슬러지의 굵은 골재를 걸러내는 1차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건설기능공들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슬러지수거마대(30) 속에 폐콘크리트슬러지가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외부덮개(40)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고리(32)를 이용하여 슬러지수거마대(30)를 양중하여 양중된 슬러지수거마대(30)를 작업발판(50)의 상부에 놓아 별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며, 동시에 다른 슬러지수거마대(30)를 마대받침대(20) 위에 설치하고 외부덮개(4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제1항에서,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상단에 다수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가 형성되고 상기 판벽(14)으로 향한 면의 하부가 슬러지수거케이스필터(6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침전양생조(12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러지수거케이스(60);가 더 포함되고,상기 마대받침대(20)는 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수거마대(30)의 연결고리(32)는 판벽(14)의 양중고리(16b) 및 외부케이스(10)의 양중고리(16a)가 아니라 슬러지수거케이스(60)의 슬러지수거케이스양중고리(66)에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제2항에서,상기 슬러지수거케이스(60)의 하부에 하부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집수조(12b)의 외부케이스(10) 하단에 배수를 위한 배수밸브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9125U KR200458492Y1 (ko) | 2009-07-14 | 2009-07-14 |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9125U KR200458492Y1 (ko) | 2009-07-14 | 2009-07-14 |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649U KR20110000649U (ko) | 2011-01-20 |
KR200458492Y1 true KR200458492Y1 (ko) | 2012-02-22 |
Family
ID=4420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09125U KR200458492Y1 (ko) | 2009-07-14 | 2009-07-14 |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849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2593B1 (ko) | 2018-12-22 | 2019-05-27 | 김태헌 | 폐콘크리트 재활용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3135Y1 (ko) | 2005-08-12 | 2005-12-08 | 이득수 |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
KR100874615B1 (ko) | 2007-06-01 | 2008-12-17 |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 슬러지 탈수적치장치 |
-
2009
- 2009-07-14 KR KR20090009125U patent/KR2004584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3135Y1 (ko) | 2005-08-12 | 2005-12-08 | 이득수 |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
KR100874615B1 (ko) | 2007-06-01 | 2008-12-17 |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 슬러지 탈수적치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2593B1 (ko) | 2018-12-22 | 2019-05-27 | 김태헌 | 폐콘크리트 재활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649U (ko) | 201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26454A (zh) | 悬挂式雨水井过滤装置 | |
KR100597203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
KR200458492Y1 (ko) | 폐콘크리트슬러지 탈수 및 양생장치 | |
CN205894243U (zh) | 一种市政用放堵塞排水座 | |
KR200419919Y1 (ko) | 침사조가 구비되는 하수 유입용 맨홀 | |
KR100922895B1 (ko) |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 |
CN210597544U (zh) | 土壤及建筑垃圾浇筑自动喝水过滤式整体管道及其管井 | |
CN109763554B (zh) | 一种生物滞留设施入流口结构 | |
CN202831199U (zh) | 悬挂式雨水井过滤装置 | |
KR100994672B1 (ko) |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 |
CN211395933U (zh) | 一种具有除泥沙机构的一体化智能弃流井 | |
CN108867821A (zh) | 一种路面排水装置 | |
CN201165704Y (zh) | 阴井盖废水杂质过滤装置 | |
CN212428741U (zh) | 一种修井作业用拼装式软体环保平台 | |
CN113789831A (zh) | 海绵城市中封闭区域雨水收集与利用系统施工方法 | |
CN202347648U (zh) | 一种新型排水井盖 | |
CN209815928U (zh) | 一种生化污水处理装置 | |
KR20110002528A (ko) | 다리가 붙은 빗물받이 걸름 장치 | |
CN213062330U (zh) | 一种道路井盖 | |
CN212248624U (zh) | 房建装配式排水口结构 | |
CN219825545U (zh) | 一种具有过滤功能的雨水篦子总成 | |
CN215275945U (zh) | 一种便于移动的环保工程用污水处理装置 | |
CN217613229U (zh) | 一种用于河道生态修复的河道结构 | |
CN210145663U (zh) | 一种高层建筑洗泵管废料收集再利用装置 | |
CN220927963U (zh) | 一种危险废物柔性填埋场防渗阻隔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