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82Y1 -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 Google Patents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82Y1
KR200458282Y1 KR2020100000518U KR20100000518U KR200458282Y1 KR 200458282 Y1 KR200458282 Y1 KR 200458282Y1 KR 2020100000518 U KR2020100000518 U KR 2020100000518U KR 20100000518 U KR20100000518 U KR 20100000518U KR 200458282 Y1 KR200458282 Y1 KR 200458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d
dewatering
connecting member
inn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42U (ko
Inventor
융-후아 첸
Original Assignee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00000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8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는 내측 로드(in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부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는 바닥부를 갖는 외측 로드(ex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에 있는 개구(opening)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engaging element); 상기 외측 로드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로드와 함께 동시에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길게 늘여진 모양으로 형성된 구동 부재(driving element);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연결 부재를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작동 부재(actuating element); 걸레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 로드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디스크 몸체(disc body); 및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외측 로드를 적소에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상태(telescopic state)로 만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에 장착되는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로드가 위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선형운동에 의해 회전되고, 아울러, 상기 연결 부재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됨으로써, 관성력에 의해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디스크 몸체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흡수된 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심력이 형성되게 한다.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자루걸레의 걸레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탈수된다.

Description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MOP WITH THE FUNCTION OF DEWATERING THE YARNS BY TWISTING IN A SINGLE DIRECTION VIA AN UP-AND-DOWN LINEAR MOTION}
본 고안은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걸레를 탈수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 작업을 보장하는 자루걸레에 관한 것이다.
바닥의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해 자루걸레가 사용되어 온 이래로, 상기 자루걸레를 깨끗한 물에 담그기 전에, 상기 자루걸레의 걸레 직물(mop fabrics)로부터 오수(dirty water)를 짜내는 것이 요구되며, 자루걸레질을 하는 것은 분명 성가신 일이다. 따라서, 상기 자루걸레의 제작자들은 대만 특허 제347146호에 개시된 탈수 장치와 같은 다양한 탈수 장치들을 개발해오고 있으며, 상기 특허에는 탈수 탱크에 넣어진 자루걸레의 걸레 직물을 짜내기 위해, 상기 탈수 탱크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를 구동하는 페달(pedal)이 마련되어 있다. 비록, 전술한 장치가 손으로 상기 걸레 직물을 짜내는 번거로움을 개선시킬 수는 있지만, 그 작업은 여전히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해서 한 발로 상기 페달을 밟을 것을 요구하며, 다른 발로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하게 할 것을 요구한다. 전술한 장치는 불편한 작업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자세로 서 있지 못하거나 넘어질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한다. 따라서 쉽고, 편리하며, 안전한 탈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루걸레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부에 마련된 디스크 몸체(disc body)를 회전시키는 작동을 위해 오직 사용자가 자루걸레의 손잡이를 잡고 위아래로 움직이기만 하면 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 공학적이고도 편리한 방식으로, 상기 걸레에 흡수된 물이 탈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로 밟을 필요없이, 오직 사용자의 손작업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동이 몸체(bucket body) 내부에 있는 탈수 바구니(dewatering basket)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결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구동 메커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실패율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사용 연한을 늘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는 내측 로드(in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부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는 바닥부를 갖는 외측 로드(ex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에 있는 개구(opening)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engaging element); 상기 외측 로드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로드와 함께 동시에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길게 늘여진 모양으로 형성된 구동 부재(driving element);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연결 부재를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작동 부재(actuating element); 걸레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 로드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디스크 몸체(disc body); 및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외측 로드를 적소에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상태(telescopic state)로 만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에 장착되는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로드가 위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선형운동에 의해 회전되고, 아울러, 상기 연결 부재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됨으로써, 관성력에 의해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디스크 몸체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흡수된 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심력이 형성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웜(worm) 또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수용하는 상기 작동 부재는 스레디드 슬리브(threaded sleeve)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선형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작동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에 위치되어, 환상 부재(annular element) 및 고정캡(fixing cap)에 의해 적소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바닥부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위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 톱니(engaging teeth)가 마련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바닥부에 위쪽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 톱니와 접촉하도록 아래쪽으로 형성된 연결 톱니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flange)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부 내주면에는 환상 홈(annular groove)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연결 부재의 환상 홈에 끼워 맞춰지도록 외주면에 마련된 돌출립(projecting rib)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외측 로드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클램핑 슬리브(clamping sleeve;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하부에 마련된 만입(灣入)부(indentation);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진 그루브(inclined groove); 및 상기 경사진 그루브 내에서의 상하운동을 위해 상기 경사진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 슬리브에 장착되는 회전 슬리브(rotating sleeve)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상기 회전 슬리브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상기 만입(灣入)부의 작용으로,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외측 로드가 바닥의 청소를 위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에 의해 적소에 잠겨지거나, 또는 상기 걸레의 탈수를 위해 상기 내측 로드가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내측 상단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잠금 후크(locking hooks)가 마련되고, 상기 외측 로드에는 상기 잠금 후크가 끼워지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외측 로드가 일정 높이로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측 로드 내부에 있는 고정캡에 걸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디스크 몸체는 양동이 몸체(bucket body) 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탈수 바구니(dewatering basket)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몸체가 상기 내측 로드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탈수 바구니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디스크 몸체에 구비된 걸레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며, 탈수된 물은 상기 양동이 몸체 내부에 수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용적이고 인체 공학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발을 이용한 페달 작동이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안정한 무게중심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넘어지는 것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달 작동을 위한 구동 요소가 필요 없기 때문에, 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루걸레는 실용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보장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잠금 상태에서의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갖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primary structure)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갖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대적인 운동 상태(relative motion state)에서의 내측 로드와 외측 로드를 갖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부재(engaging element)와 작동 부재(actuating element)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연결 부재의 회전 구동시의 본 고안의 작동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에 대한 본 고안의 작동 부재의 유휴 상태(idle state)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Ⅱ)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의 성취는 첨부된 상기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루걸레는 내측 로드(internal rod: 10), 외측 로드(external rod: 20), 연결 부재(engaging element: 30), 작동 부재(actuating element: 40), 구동 부재(driving element: 50), 디스크 몸체(disc body: 60) 및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70)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로드(10)는 중공의 원통 관으로 구성되며,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내측 로드(10)는 알루미늄관 또는 플라스틱관일 수 있다.
상기 외측 로드(20)는 상기 내측 로드(10)의 상단부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는 바닥부(bottom portion)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외측 로드(20)를 잡고 상기 내측 로드(10)에 대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내측 로드(10)의 상단에 있는 개구(opening) 내부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30)가 상기 내측 로드(10)의 상단에 있는 개구 내부에 위치한 후, 상기 연결 부재(30)에 환상 부재(annular element: 33) 및 고정캡(fixing cap: 34)이 장착고정된다. 상기 연결 부재(30)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flange: 31)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부재(30)의 상부 내주면에는 환상 홈(annular groove: 32)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캡(34)은 상부에 마련된 관통홀(341) 및 외주면에 마련된 돌출립(projecting rib: 34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립(342)은 상기 연결 부재(30)의 환상 홈(32)에 끼워 맞춰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30)는 또한 그 바닥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 톱니(engaging teeth: 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부재(50)는 상기 외측 로드(2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로드(20)와 함께 동시에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길게 늘여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부재(50)는 미도시된 고정 부재(fixing element)에 의해 또는 리베팅(riveting) 방식에 의해 상기 외측 로드(20)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블록(fixing block: 51)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슬리브(protection sleeve: 22)가 상기 외측 로드(20)에 장착된다.
상기 작동 부재(40)는 상기 연결 부재(3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부재(50)를 수용한다. 상기 구동 부재(50)는 웜(worm) 또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로 구성된다. 그 결과, 상기 작동 부재(40)의 내측벽은 스레디드 슬리브(threaded sleeve: 41)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웜(worm) 또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외측 로드(20)의 선형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50)가 상기 작동 부재(40)로 하여금 회전운동하게 할 수 있는 상응하는 웜 스레드(worm thread) 또는 길게 늘여진 그루브(elongated groove)가 상기 작동 부재(40)에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50)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로 구성된다. 그 결과, 상기 작동 부재(40)의 내측단에 있는 스레디드 슬리브(41)는 상기 스레디드 슬리브(41) 내에서의 상기 구동 부재(50)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 부재(40)가 상기 연결 부재(30) 내부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길게 늘여진 그루브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부재(40)의 바닥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바닥부에 위쪽으로 형성된 연결 톱니(35)와 접촉하도록 아래쪽으로 형성된 연결 톱니(42)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 톱니는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동은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야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부재(40)가 상기 구동 부재(5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작동 부재(40)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작동 부재(40)는 상기 구동 부재(50)가 아래쪽으로 눌려질 때, 구동된다. 그동안, 상기 연결 부재(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부재(50)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작동 부재(40)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연결 톱니(42)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연결 톱니(35)에 대하여 비회전의 유휴 상태에서 구동된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 부재(50)가 상기 연결 부재(30)를 다시 구동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30)를 새로 아래쪽으로 누르도록 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부재(30)는 비회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결 부재(30) 및 작동 부재(40)는 일 방향 구동 메커니즘을 가지며,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일 방향 구동은 상기 연결 톱니의 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동등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크 몸체(60)는 상기 내측 로드(10)의 바닥부에 고정되며, 걸레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메커니즘(70)은 상기 내측 로드(10)와 외측 로드(20)를 적소에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상태(telescopic state)로 만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20)에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메커니즘(70)은 상기 외측 로드(20)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클램핑 슬리브(clamping sleeve: 70a);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의 하부에 마련된 만입(灣入)부(indentation: 71);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진 그루브(inclined groove: 72); 및 상기 경사진 그루브(72) 내에서의 상하운동을 위해 상기 경사진 그루브(72)에 대응하는 돌출부(73)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에 장착되는 회전 슬리브(rotating sleeve: 70b)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상기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는 상기 회전 슬리브(70b)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상기 만입(灣入)부(71)의 작용으로, 상기 내측 로드(10)와 외측 로드(20)는 바닥의 청소를 위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에 의해 적소에 잠겨지거나, 또는 상기 걸레의 탈수를 위해, 상기 내측 로드(10)가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의 내측 상단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잠금 후크(locking hooks: 74)가 마련된다. 상기 외측 로드(20)에는 상기 잠금 후크(74)가 끼워지는 홀(21)이 마련된다. 상기 외측 로드(20)가 일정 높이로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잠금 후크(74)는 상기 내측 로드(10) 내부에 있는 고정캡(34)에 걸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슬리브(70b)는 전술한 상기 잠금 메커니즘(70)을 이용하여 위쪽에 위치하며, 그 바닥부에 마련된 원뿔형의 내측벽(75)을 통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의 원뿔형의 외측벽(76)을 클램핑하여, 상기 내측 로드(10)가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에 의해 적소에 클램핑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외측 로드(20)는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없으며, 상기 잠금 메커니즘(70)의 잠금 상태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메커니즘(70)의 잠금을 해제함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그루브(72)를 따라 상기 돌출부(7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전 슬리브(70b)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의 원뿔형의 외측벽(76)으로부터 상기 회전 슬리브(70b)의 원뿔형의 내측벽(75)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로드(10)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70a)에 의해 더 이상 클램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외측 로드(20)는 상기 내측 로드(10)에 대해 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로드(20)가 아래쪽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구동 부재(50) 역시 동시에 아래쪽으로 내려가 상기 작동 부재(40)의 스레디드 슬리브(4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작동 부재(4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내측 로드(10)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로드(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외측 로드(20)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부재(40)는 상기 연결 부재(30)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내측 로드(10)는 상기 외측 로드(20)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로드(20)가 아래쪽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내측 로드(10)와 디스크 몸체(6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원심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 몸체(60)에 부착된 걸레(도 1 참조)로부터 물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로드(20)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로드(10)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관성력의 작용으로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외측 로드(20)를 몇 번 상하운동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 로드(10)와 디스크 몸체(60)는 양동이 몸체(bucket body: 80)의 탈수 바구니(dewatering basket: 81) 내에서 10번 이상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탈수 바구니(81)는, 상기 종래 기술에 마련된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탈수 바구니를 회전시키는 내부 구동 메커니즘의 도움 없이, 상기 양동이 몸체(80) 내에서 회전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구동방식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탈수 바구니(81)는 상기 내측 로드(10)에 의해 상기 디스크 몸체(60)가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몸체(60)의 걸레는 원심력의 작용으로 탈수된다. 한편, 탈수된 물은 상기 양동이 몸체(80) 내부에 수용된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내측 로드(in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부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는 바닥부를 갖는 외측 로드(external rod);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에 있는 개구(opening)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engaging element);
    상기 외측 로드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로드와 함께 동시에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길게 늘여진 모양으로 형성된 구동 부재(driving element);
    상기 연결 부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연결 부재를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작동 부재(actuating element);
    걸레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 로드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디스크 몸체(disc body); 및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외측 로드를 적소에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상태(telescopic state)로 만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에 장착되는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로드가 위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선형운동에 의해 회전되고, 아울러, 상기 연결 부재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됨으로써, 관성력에 의해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디스크 몸체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흡수된 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심력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웜(worm) 또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수용하는 상기 작동 부재는 스레디드 슬리브(threaded sleeve)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선형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작동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내측 로드의 상단에 위치되어, 환상 부재(annular element) 및 고정캡(fixing cap)에 의해 적소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바닥부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위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 톱니(engaging teeth)가 마련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바닥부에 위쪽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 톱니와 접촉하도록 아래쪽으로 형성된 연결 톱니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flange)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부 내주면에는 환상 홈(annular groove)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연결 부재의 환상 홈에 끼워 맞춰지도록 외주면에 마련된 돌출립(projecting ri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외측 로드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클램핑 슬리브(clamping sleeve;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하부에 마련된 만입(灣入)부(indentation);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진 그루브(inclined groove); 및
    상기 경사진 그루브 내에서의 상하운동을 위해 상기 경사진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 슬리브에 장착되는 회전 슬리브(rotating sleeve)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상기 회전 슬리브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고, 상기 만입(灣入)부의 작용으로, 상기 내측 로드와 상기 외측 로드가 바닥의 청소를 위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에 의해 적소에 잠겨지거나, 또는 상기 걸레의 탈수를 위해 상기 내측 로드가 회전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내측 상단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잠금 후크(locking hooks)가 마련되고, 상기 외측 로드에는 상기 잠금 후크가 끼워지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외측 로드가 일정 높이로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측 로드 내부에 있는 고정캡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몸체는 양동이 몸체(bucket body) 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탈수 바구니(dewatering basket)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몸체가 상기 내측 로드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탈수 바구니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디스크 몸체에 구비된 걸레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며, 탈수된 물은 상기 양동이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KR2020100000518U 2009-05-27 2010-01-18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KR200458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18U KR200458282Y1 (ko) 2009-05-27 2010-01-18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209417 2009-05-27
KR2020100000518U KR200458282Y1 (ko) 2009-05-27 2010-01-18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42U KR20100011842U (ko) 2010-12-07
KR200458282Y1 true KR200458282Y1 (ko) 2012-01-31

Family

ID=4420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518U KR200458282Y1 (ko) 2009-05-27 2010-01-18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109B1 (ko) 2012-07-27 2012-12-07 박영봉 밀대형 청소도구
CN103120575A (zh) * 2013-02-05 2013-05-29 童弋康 手压式旋转拖把杆
CN103654665A (zh) * 2013-11-26 2014-03-26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升降旋转式拖把清洗和脱水组合装置
CN103654663A (zh) * 2013-11-26 2014-03-26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拖把清洗脱水组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11B1 (ko) * 2011-06-09 2012-05-18 (주)에다스 탈수 가능한 자루걸레 및 탈수함
KR101301449B1 (ko) * 2012-02-25 2013-08-28 조재식 텔레스코픽 마스트
CN110151079A (zh) * 2019-05-16 2019-08-23 曹英姿 清洁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895A (ja) * 1989-11-10 1991-07-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種板の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54444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쏠리테크 위성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역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갭 필러
KR100760051B1 (ko) 2006-03-14 2007-09-18 흐시아오-훙 치앙 수월하게 자동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대걸레 몹 구조물
KR200454444Y1 (ko) 2010-01-14 2011-07-04 첸 주이-야오 자가 회전 자루걸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895A (ja) * 1989-11-10 1991-07-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種板の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54444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쏠리테크 위성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역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갭 필러
KR100760051B1 (ko) 2006-03-14 2007-09-18 흐시아오-훙 치앙 수월하게 자동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대걸레 몹 구조물
KR200454444Y1 (ko) 2010-01-14 2011-07-04 첸 주이-야오 자가 회전 자루걸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109B1 (ko) 2012-07-27 2012-12-07 박영봉 밀대형 청소도구
CN103120575A (zh) * 2013-02-05 2013-05-29 童弋康 手压式旋转拖把杆
CN103654665A (zh) * 2013-11-26 2014-03-26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升降旋转式拖把清洗和脱水组合装置
CN103654663A (zh) * 2013-11-26 2014-03-26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拖把清洗脱水组合装置
CN103654663B (zh) * 2013-11-26 2015-12-02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拖把清洗脱水组合装置
CN103654665B (zh) * 2013-11-26 2015-12-09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升降旋转式拖把清洗和脱水组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42U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282Y1 (ko)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
US8220101B2 (en) Telescopically rotatable mop
US8291544B2 (en) Mop with the function of dewatering the yarns by twisting in a single direction via an up-and-down linear motion
EP2255712B1 (en) Telescopically rotatable mop
US8336160B2 (en) Dual rotating dewater bucket and mop thereof
US8544133B2 (en) Mopping device with a multi-turn actuator
KR101007943B1 (ko)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JP3167763U (ja) 回転式モップ組
US8291538B2 (en) Mop structure of converting vertical linear displacement into unidirectional rotation for dewatering a mop
US7111546B2 (en) Salad spinner with improved drive assembly
US8112840B2 (en) Disc rota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a mop
US8739347B2 (en) Spiral drive mechanism and spin mop with the same
US8978193B2 (en) Spin mop
KR100936643B1 (ko) 페달식 회전탈수장치
EP2255714B1 (en) A rotational positioning device for a dewatering basket of a non-treading type wringer bucket
KR200462559Y1 (ko) 회전접이식 자루걸레
CA2708621C (en) Mop with wringing device
KR20110111807A (ko) 몹과 세탁탈수통 조립체
JP3156219U (ja) モップ
TWM381377U (en) Telescopic rotating mop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AU2010101343A4 (en) Free-of-bearing rotational positioning device for a dewatering basket of a non-treading type wringer bucket
KR101450747B1 (ko) 세탁탈수장치
KR200451307Y1 (ko) 회전 탈수형 대걸레
CN211022504U (zh) 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