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80Y1 - 잔량 확인 건전지 - Google Patents

잔량 확인 건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80Y1
KR200457780Y1 KR2020100004052U KR20100004052U KR200457780Y1 KR 200457780 Y1 KR200457780 Y1 KR 200457780Y1 KR 2020100004052 U KR2020100004052 U KR 2020100004052U KR 20100004052 U KR20100004052 U KR 20100004052U KR 200457780 Y1 KR200457780 Y1 KR 200457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aining amount
remaining
nichrome wir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050U (ko
Inventor
홍은지
Original Assignee
홍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지 filed Critical 홍은지
Priority to KR2020100004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44Cells or batteri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ell condition indicating means
    • H01M6/505Cell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량 확인 건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전지의 외부 측면에 건전지의 잔량 확인을 할 수 있는 잔량 확인 장치를 구비하여 집이나 회사 또는 야외에서 다른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건전지의 잔량 유무와 잔량의 정도를 확인하여 건전지의 잔량에 따라 계획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잔량 확인 건전지 {Battery enable to check remaing quantity}
본 고안은 잔량 확인 건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나 야외에서도 건전지의 사용 유무와 사용 잔량을 확인할 수 있어, 별도의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간단히 건전지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잔량 확인 건전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전지의 잔량을 확인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건전지 잔량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150)에 양극(160)과 음극(170)을 건전지(100)의 양극(180)과 음극(190)에 맞추어 삽입하면, 상기 건전지(100)의 잔량이 남아있는 경우 전류가 상기 양극(160)과 음극(170)의 연결된 전선을 따라 램프(140)에 불이 들어오는 방식으로 건전지(100)의 잔량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건전지(100)의 잔량이 남아 있는 정도는 확인할 수 없고 잔량의 유무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150)를 휴대하고 있을 때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제품의 발달로 건전지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건전지의 교환 및 보관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건전지의 현재 잔량을 알고 싶어도 별도의 잔량 점검장치가 제공되지 않아 건전지 잔량의 확인 없이 건전지를 폐기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잔량이 충분한 건전지까지 폐기됨으로써, 환경오염 및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교, 회사, 집안 또는 야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건전지의 잔량을 손쉽게 확인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건전지 이외의 다른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를 휴대하지 아니하여도 건전지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여, 건전지 확인장치의 구입과 휴대의 불편함을 줄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잔량이 충분한 건전지까지 폐기됨으로써 환경오염 및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는 니크롬선, 및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되되, 상기 건전지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의 잔량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 건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되, 어느 한 지점에는 연결이 끊어진 절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니크롬선, 및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되되, 상기 건전지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의 잔량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 건전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건전지의 외부 측면에 건전지의 잔량 확인을 할 수 있는 잔량 확인 장치를 구비하여 집이나 회사 또는 야외에서 다른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건전지의 잔량 유무와 잔량의 정도를 확인하여 건전지의 잔량에 따라 계획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전지 잔량 확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량 확인 건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량 확인 건전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량 확인 건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잔량 확인 건전지(200)는,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200)의 양극(210)과 음극(220)을 연결하는 니크롬선(240), 및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240)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2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200)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200)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되되, 상기 건전지(200)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의 잔량 표시부(230)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니크롬선(240)은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200)의 양극(210)과 음극(22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상기 니크롬선(240)은 건전지(2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하게 삽입 형성되어 일반 건전지와 같은 크기와 같은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건전지(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니크롬선(240)에 접촉되어 니크롬선(2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색되면서 건전지(20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230)가 구비되어 있다.
잔량 표시부(230)는 사람이 눈으로 식별시 식별이 용이하도록 건전지(200)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되게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잔량 표시부(230)는 상기 장방형의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240)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2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200)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200)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된다.
따라서, 건전지(200)의 양극(210)과 음극(220)을 통해 전류가 니크롬선(240)을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온 잉크가 반응하게 되고, 이때 건전지(200)의 잔량과 전류 흐름의 세기에 따라서 발생되는 열도 차이가 발생되므로, 변온 잉크의 변화량이 잔량 표시부(230)에서는 건전지 잔량의 많고 적음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잔량 표시부(230)는 인지가 용이하도록 건전지 형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는 잔량 표시부(230)를 건전지 형상으로 도시하였고 니크롬선(240)에 의해 잔량이 표시되는 잔량부(230a)와, 소진부(230b)로 도시하였다.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량 확인 건전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잔량 확인 건전지(200)는,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200)의 양극(210)과 음극(220)을 연결하되, 어느 한 지점에는 연결이 끊어진 절단부(250)가 구비되어 있는 니크롬선(240), 및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240)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2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200)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200)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되되, 상기 건전지(200)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의 잔량 표시부(230)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니크롬선(240)이 건전지(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양극(210)과 음극(220)을 연결하는데, 니크롬선(240)의 일부가 끊어진 절단부(250)가 구비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도 3a와 같이 니크롬선(240)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따라서, 잔량 표시부(230)에도 건전지(200)의 잔량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절단부(250)에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 내지는 손가락(310)과 같은 신체 일부를 접촉시키면 도 3b와 같이 전류가 니크롬선(240)에 흐르게 된다.
이때 니크롬선(2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인해 변온잉크(230a)가 반응하여, 건전지(200)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는 변온잉크가 잔량 표시부(230)의 구역 전체를 모두 채우게 되고, 건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발생되는 열도 작아지고 변온잉크(230a)의 변화량도 줄어들어 잔량 표시부(230)의 구역을 일부만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니크롬선(240)의 절단부(250)는 전도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잔량 확인시 전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로 이격된 양쪽 끝단 니크롬선(240)의 형상이 알파벳 티(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단부(250)에는 전류가 통하는 어느 물체를 접하여도 같은 반응을 보이나 전도율이 좋은 도체를 사용하면 더 정확한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잔량 표시부(230)는 인지가 용이하도록 건전지 형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는 잔량 표시부(230)를 건전지 형상으로 도시하고 니크롬선(240)에 의해 잔량이 표시되는 잔량부(230a)와, 소진부(230b)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건전지의 외부 측면에 건전지의 잔량 확인을 할 수 있는 잔량 확인 장치를 구비하여 집이나 회사 또는 야외에서 다른 건전지 잔량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건전지의 잔량 유무와 잔량의 정도를 확인하여 건전지의 잔량에 따라 계획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전력을 모두 소모한 건전지들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건전지 자체에 건전지 잔량이 표시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건전지와 그렇지 않은 건전지의 구별을 손쉽게 하여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능률을 올리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건전지 210: 건전지 양극
220: 건전지 음극 230: 잔량 표시부
240: 니크롬선 250: 니크롬선 절단부

Claims (3)

  1. 외주면을 따라서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되, 어느 한 지점에는 연결이 끊어진 절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니크롬선; 및
    어느 일단이 상기 니크롬선과 접촉되어 상기 니크롬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색이 변화되며 건전지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건전지의 외주면 일측에 변온 잉크로 인쇄되되, 상기 건전지의 잔량을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장방형의 잔량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니크롬선의 절단부는, 전도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잔량 확인시 전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로 이격된 양쪽 끝단의 형상이 알파벳 티(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 건전지.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4052U 2010-04-19 2010-04-19 잔량 확인 건전지 KR200457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52U KR200457780Y1 (ko) 2010-04-19 2010-04-19 잔량 확인 건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52U KR200457780Y1 (ko) 2010-04-19 2010-04-19 잔량 확인 건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50U KR20110010050U (ko) 2011-10-26
KR200457780Y1 true KR200457780Y1 (ko) 2012-01-06

Family

ID=4584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52U KR200457780Y1 (ko) 2010-04-19 2010-04-19 잔량 확인 건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89U (ko) 2020-05-28 2021-12-07 황영상 건전지의 봉인 시트지
KR20220002154U (ko) 2021-03-02 2022-09-13 천종석 배터리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포장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3346B (zh) * 2020-12-15 2022-09-20 宁波卓越印务有限公司 可提示电池新旧的电池标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425A (ja) * 1993-08-04 1995-02-21 Mitsubishi Rayon Co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法
JPH0749425Y2 (ja) 1987-05-19 1995-11-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チェッ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425Y2 (ja) 1987-05-19 1995-11-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チェッカ
JPH0749425A (ja) * 1993-08-04 1995-02-21 Mitsubishi Rayon Co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89U (ko) 2020-05-28 2021-12-07 황영상 건전지의 봉인 시트지
KR20220002154U (ko) 2021-03-02 2022-09-13 천종석 배터리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포장 조립체
KR20240000698U (ko) 2021-03-02 2024-04-30 천종석 배터리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포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50U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31213A (en) Member for measurement of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in battery pack
KR200457780Y1 (ko) 잔량 확인 건전지
US8297994B2 (en) Switching device having an insulating enclosure with a rotary component and an inspection element with a detection element and a transmission member
JP5055445B2 (ja) 極性補正可能な多機能コネクタースイッチ
DE60103599D1 (de) Elektrische Steckverbindungsvorrichtung, Batterie mit dieser Vorrich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r Batterie
JP5064775B2 (ja) パック電池
CN201533082U (zh) 一种带指示功能的连接端口
CN10748226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聚合物电池及移动终端
KR102307298B1 (ko) 긴급 전화 전원 공급용 배터리 모듈
CN107874319B (zh) 电子烟及其电源结构
KR102162920B1 (ko)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E60133245D1 (de) Leitfähiges Material für Sekundärbatterie-Elektrode mit alkalischem Elektrolyt
CN207572661U (zh) Led光源焊接式夜间荧光识别连接器
US20190308540A1 (en) Two-in-one car cigarette lighter
CN204517457U (zh) 一种充电器型充电宝
CN203553284U (zh) 一种阶梯式电池结构
CN104659400A (zh) 一种阶梯式电池结构
CN209946254U (zh) 一种仅三个元件的低成本led试电笔
CN216449714U (zh) 一种智能型插座电气故障检查器
CN210442495U (zh) 一种封闭式电气设备内部短路检测棒
CN206004006U (zh) 一种连接器
CN215773650U (zh) 一种电脑屏幕开启灯光指示电路及装置
CN210982681U (zh) 一种随身携带的迷你数显监控电流电压测试仪
CN206585101U (zh) 一种16pin金手指及使用该金手指的电源插头连接器
CN205752685U (zh) 插pin焊接电池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