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11Y1 -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11Y1
KR200457011Y1 KR2020090001072U KR20090001072U KR200457011Y1 KR 200457011 Y1 KR200457011 Y1 KR 200457011Y1 KR 2020090001072 U KR2020090001072 U KR 2020090001072U KR 20090001072 U KR20090001072 U KR 20090001072U KR 200457011 Y1 KR200457011 Y1 KR 200457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in
top plate
rotation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946U (ko
Inventor
박병군
Original Assignee
박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군 filed Critical 박병군
Priority to KR2020090001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1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1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manually actuat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29Desks with inversed T-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6Table tops pivo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상판의 접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판과 다리간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제어레버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작은 힘으로도 쉽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해제를 위한 제어레버의 회동방향과 상판의 회동방향이 동일하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테이블 상판의 접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판의 밑면에 고정되는 회동프레임과,
중심축을 통해 일단부가 회동프레임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테이블다리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핀와,
일단부가 상기 제어핀에 연결되되, 회동축을 통해 상기 회동프레임에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렛대 형태로 회동되어 제어핀를 작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책상, 상판, 다리, 접기, 회동, 레버

Description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An apparatus for folding tabletop}
본 고안은 상판을 접을 수 있게 하는 테이블 상판의 접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상판의 밑면과 테이블 다리 사이에 부착되어 테이블 상판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접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테이블, 예를 들어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책상은 상판이 고정된 방식, 즉 항시 펼쳐진 형태를 갖는다.
이렇게 상판이 고정된 테이블은 상판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져, 운반이나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많은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판 접기식 테이블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8983호 『폴딩테이블』과 제707483호 『책상』이 있다.
상기 두 종래기술 모두 테이블 다리와 상판을 연결하는 폴딩수단에 의해 상판이 회동하여 지면과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들에 적용된 폴딩수단은 공통적으로 스프링이 장착된 작동레 버를 앞쪽으로 당기면 로킹부가 해제되어 상판이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작동레버를 단순히 손으로 앞쪽으로 당겨 스프링을 압축시키므로 많은 힘이 요구되고 그 조작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손으로는 작동레버를 앞쪽으로 당기고 다른 손으로는 테이블을 잡아 테이블전체가 끌려가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조작이 쉽지 않다.
더구나 이렇게 하나의 작동레버를 당기는 과정에서 양손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작동레버, 즉 로킹부는 테이블의 한쪽 다리에만 구비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상판과 다리 간 체결이 한쪽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며, 양쪽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사용과정에서 상판의 위치고정이 불안정해진다.
그리고 상판을 접는 과정에서 한손으로는 작동레버를 잡아당기는 수평력을 가해야 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테이블의 상판을 위로 들어 올리는 수직력을 가해야 하나, 통상적으로 사람의 양팔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할 때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힘을 쓸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구조는 조작하는 사람의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테이블의 상판을 접을 때, 작동레버가 지렛대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작업이 가능한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 한쪽에만 접기장치를 설치하여 한 손만으로도 접기장치의 해제 및 상판의 접기가 가능한 접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기장치를 상판 양쪽에 설치하여 양 손으로 동시에 접기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종래기술에 비해 상판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어 안정적인 상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조작레버의 작동방향과 상판의 접기 방향이 동일하도록 하여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작업이 용이한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에 설치편이 구비되고 테이블 상판의 밑면에 고정되는 회동프레임과,
중심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회동프레임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테이블 다리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연결부와 회동프레임 간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핀과,
일단부가 상기 제어핀에 연결되되 회동축을 통해 회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지렛대 형태로 회동되어 제어핀을 작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와 제어핀 간의 체결은, 연결부 중 중심축이 관통하는 부분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삽입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어핀이 삽입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어핀에는 별도의 탄성수단이 장착되어 연결부와 제어핀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제어핀이 자동으로 연결부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먼저 조작레버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조작레버를 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해 작은 힘으로도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레버의 단부를 위쪽, 즉 상판을 향해 들어 올리면 상판의 고정이 해제되는 구조이므로, 조작레버의 작동과 상판의 접힘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의 작동방향과 상판의 접힘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한손으로 상판과 조작레버를 동시에 움켜쥐면서 조작레버의 작동과 상판의 접힘동작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기장치를 상판 양측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안정적으로 상판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접기장치(1000)에 의해 테이블의 상판(D)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접기장치(1000)의 전체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접기장치(1000)는 테이블의 상판(D)과 다리(700) 간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며, 크게 회동프레임(100)과 연결부(200), 제어핀(310) 및 조작레버(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동프레임(100)은 상판(D) 접기에 필요한 회동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D)의 밑면에 나사나 접착제 등의 공지 부착수단을 통해 장착 고정된다.
이러한 회동프레임(100)은 상판(D)에 장착된 상태에서 봤을 때 상판(D)에 부착되는 상면 하부 양측에 측판(112)(114)이 구비되고 양 측판(112)(114)에는 후술하는 연결부(200)와 조작레버(400)의 설치를 위한 제1체결공(116)과 제2체결공(118)이 전후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프레임(100) 중 상기 제1,2체결공(116)(118) 사이 지점에는 후술하는 제어핀(3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편(120)이 위치되며, 설치편(120)에는 설치공(122)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122)은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제2체결공(118)보다 아래쪽에 형성되도록 하여 지렛대 형태의 조작레버(400)와 제어핀(310)간 결합 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프레임(100)에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 다리(7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200)는 일단부 좌우 양 측벽에는 회동프레임(10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2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00)는 회동프레임(100)의 양 측판(112)(114) 사이에 전체가 삽입되어 연결공(216)과 제1체결공(116)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되고, 별도의 중심축(500)이 각 연결공(216)과 제1체결공(116)을 관통함에 따라 회동프레임(100)과 연결부(200)는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20)를 두어 상판(D)이 회동하기 전에는 제어핀(310)과 설치편(120)이 연결부(200)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평상시 접기장치(1000)의 내부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도 3]참조).
그리고 연결부(200) 양측벽 사이의 일측 공간상에는 후술하는 제어핀(310)과의 직접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편(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편(230)은 연결공(216)과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연결공(216)보다 직경이 큰 원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편(230)의 원둘레 상에는 제어핀(310)이 체결되는 삽입공(232)이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핀(310)은 연결부(200)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회동프레임(100) 의 회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길이의 원형 핀 형태이고 회동프레임(100) 내에 위치한 설치편(120)의 설치공(122)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어핀(310)은 각 설치공(1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어핀(310)의 전후 양단부는 설치공(122)으로부터 돌출되어 뒤쪽 부분은 상기 연결부(200)의 삽입공(232)에 끼워지는 삽입구간(312)이 되고, 중간 지점부터 앞쪽 끝부분 까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탄성수단(320)이 설치되는 설치구간(314)이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간(312)과 설치구간(314) 간 경계지점에는 직경 차에 의한 단턱부(315)가 형성되고, 설치구간(314)의 앞쪽 단부에는 조작레버(400)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공(3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핀(310)의 설치구간(314)상에 설치되는 탄성수단(320)은 작동된 제어핀(310)의 위치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핀(310)의 설치구간(314)이 탄성수단(320)전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며, 양 설치편(12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수단(320)의 내경은 제어핀(310)의 삽입구간(312)직경보다 작게 제작됨에 따라, 제어핀(310)의 작동 시 탄성수단(320)이 단턱부(315)에 의해 눌려 압축 된다.
상기 회동프레임(100)의 양 측판(112)(114)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118)에는 회동축(600)이 관통 설치되고, 이러한 회동축(600)에는 상기 제어핀(31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400)가 연결된다.
상기 조작레버(400)는 단순 막대 형태의 회동대(410) 일단부에 회동축(600) 및 제어핀(310)과의 연결을 위한 링크편(42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링크편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축(600)이 관통되는 제1링크공(42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어핀(310)의 힌지공(316)과 연통되어 별도의 힌지축(425)이 관통되는 제2링크공(424)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대(410)의 타단부에는 손잡이(4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작레버(400)는 일종의 지렛대 구조라 볼 수 있는데, 즉 회동축(600)이 받침점이 되고 손잡이(430)는 힘점, 링크편(420)과 제어핀(310)과의 연결지점이 작용점이 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전체 연결구조를 정리하면, 상판(D)과 테이블다리(700)에 각각 결합되는 회동프레임(100)과 연결부(200)는 중심축(500)을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제어핀(310)이 연결부에 체결되되, 별도의 지렛대 형태로 작동되는 조작레버(400)에 의해 체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회동프레임(100)의 회동이 자유로워 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과정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본 고안 특 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테이블을 사용할 때에는 [도 4a]와 같이 체결핀(310)이 연결부(200)의 아래쪽 삽입공(232)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상판을 접고자 할 경우 [도 4b]와 같이 작업자가 한손으로 상판(D)과 조작레버(400)의 손잡이(430)를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손잡이를 누르면 손잡이(430) 부분이 위쪽으로 들리면서 회동대(410)가 회동축(60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회동대(410)가 회동함에 따라 링크편(420)도 함께 회동하여 아래쪽 단부가 앞쪽을 향하도록 젖혀짐에 따라, 결국 제어핀(310)이 앞쪽으로 당겨져 연결부(200)의 삽입공(232)에 삽입되어 있던 삽입구간(312)이 분리된다.
그리고 제어핀(310)이 앞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단턱부(315)가 탄성수단(320)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수단(320)의 타측은 설치편(12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체적으로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프레임(100)을 연결부(200)에 고정 결합시키는 용도인 제어핀(310)이 연결부(200)와 분리됨에 따라, 테이블 상판(D)과 회동프레임(100)은 [도 5a]와 같이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앞쪽이 들려지는 형태로 접힌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은 한손으로 조작레버(400)와 상판(D)을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접기장치(1000)를 상판(D) 양측에 설치하더라도 양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판(D)의 접기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접기장치 작동과 상판의 접기 작업에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밖에 없어 접기장치를 한쪽에만 구비해야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테이블의 사용 시 상판의 위치고정이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상판의 위치고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지랫대 원리로 작동되는 조작레버(400)에 의해 제어핀(310)이 당겨짐에 따라 조작레버가 직선방향으로 당겨지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레버(400)의 회동대(410)가 위쪽으로, 즉 상판(D)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한손으로 상판(D)과 손잡이(430)를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단순히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회동프레임의 잠김이 해제되고, 또 그 상태에서 단순히 팔을 들어 올리면 상판(D)이 접히는 방식이므로, 테이블의 상판을 접기 위해서 한 손으로는 작동 레버를 당기는 수평력을 가해야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책상의 상판을 위로 들어 올리는 수직력을 가해야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작업이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레버(400)의 작동방향과 상판의 회동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작업자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판(D)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도 5B]처럼 상판(D)과 손잡이(430)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펴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수단(320)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핀(310)이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 삽입구간(312)이 연결부(200)의 위쪽에 형성된 삽입공(232)에 다시 삽입되어 회동프레임(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조작레버가 지렛대형태로 작동되어 제어핀을 작동시킴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작은 힘으로도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판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작레버가 작동됨에 따라 작업자의 움직임이 편할 뿐만 아니라 한손만으로도 상판 접기가 가능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Claims (3)

  1. 테이블의 상판(D)과 테이블의 다리(70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D)의 회동을 가능케 하는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D)의 밑면에 고정되는 회동프레임(100);
    중심축(500)에 의해 상기 회동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리(700)의 상면 전체와 접촉하면서 상기 다리(70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축(500)이 관통하는 부분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상판(D)의 회동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삽입공(232)을 구비하는 연결부(200);
    상기 회동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공(232)에 삽입되거나 상기 삽입공(232)으로부터 인출되는 일단을 구비한 제어핀(310); 및
    회동축(600)을 통해 상기 회동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핀(310)과 결합하여 회동 시 상기 제어핀(310)의 직선왕복운동을 유발시키며, 상기 회동축(600)으로부터 상기 회동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조작레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핀(310)에는 별도의 탄성수단(320)이 장착되되, 상기 탄성수단(320)은 상기 제어핀(310)의 일단을 상기 삽입공(232)에 삽입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어핀(310)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KR2020090001072U 2009-02-02 2009-02-02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KR200457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72U KR200457011Y1 (ko) 2009-02-02 2009-02-02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72U KR200457011Y1 (ko) 2009-02-02 2009-02-02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46U KR20100007946U (ko) 2010-08-11
KR200457011Y1 true KR200457011Y1 (ko) 2011-12-01

Family

ID=4445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072U KR200457011Y1 (ko) 2009-02-02 2009-02-02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60B1 (ko) * 2018-09-11 2020-02-04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559Y1 (ko) * 2004-04-16 2004-07-07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559Y1 (ko) * 2004-04-16 2004-07-07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46U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3679A1 (en) Transport trolley
US20130160237A1 (en) Power-operated caster brake mechanism
KR200457011Y1 (ko) 테이블 상판 접기장치
JP2008259720A (ja) 移動家具、天板付き家具及び椅子
CN204930966U (zh) 一种座椅的伸缩搁脚机构
WO1997035740A3 (en) Tumble seat with displaceable side handle release
KR102216564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CN201067233Y (zh) 可折叠的儿童餐椅
EP0965696A3 (en) Detachable front loader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CN112891793B (zh) 一种消防车便捷式放置灭火器
KR10221657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CN208174917U (zh) 具有能收折拉杆的音箱设备
US20220040843A1 (en) Grip tongs apparatus
CN101172568A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CN104206193B (zh) 具有可旋转手柄的修枝剪
EP1867547A2 (en) Transport trolley
KR100907678B1 (ko) 책상 상판 접기 장치
CN201144140Y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CN109198829B (zh) 两折反向伞的两段式收合结构
JP2007302234A (ja) 複数の機構のそれぞれをロープを介して動作させる装置
US20040065239A1 (en)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rod to lift object
CN100531615C (zh) 外合伞具构造
KR200386243Y1 (ko) 절첩식 테이블
CN213959549U (zh) 多连杆按压式低压配电柜抽屉防跌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