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724Y1 -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 Google Patents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24Y1
KR200456724Y1 KR2020110002779U KR20110002779U KR200456724Y1 KR 200456724 Y1 KR200456724 Y1 KR 200456724Y1 KR 2020110002779 U KR2020110002779 U KR 2020110002779U KR 20110002779 U KR20110002779 U KR 20110002779U KR 200456724 Y1 KR200456724 Y1 KR 200456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ece
nozzle
gas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2020110002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24Y1/ko
Priority to US13/366,171 priority patent/US8840398B2/en
Priority to CN2012200585967U priority patent/CN202647845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4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1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with friction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라이터의 노즐을 감싸는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롤러를 향해 연장되어 롤러에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에 의해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을 통한 가스라이터의 점화에 요구되는 지력(指力)을 증가시켜 어린이에 의한 가스라이터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상기 노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과; 상기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로 구성되는 롤러와; 상기 노즐을 감싸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이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롤러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끝단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상부로 들려지는 부분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형성되되, 상기 스파크휠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은, 상기 스파크휠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이 상기 스파크휠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A gas lighter with roller-rotation restraining parts}
본 고안은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라이터의 노즐을 감싸는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롤러를 향해 연장되어 롤러에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에 의해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을 통한 가스라이터의 점화에 요구되는 지력(指力)을 증가시켜 어린이에 의한 가스라이터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가스라이터는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가스라이터로 많이 제조되고 있으며, 그중에 가격이 저렴한 일회용 가스라이터의 경우에는 음식점, 주점 등에서 판촉물로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의 가정에서는 다수개의 일회용 가스라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10)와, 탱크(10)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20)과, 노즐(20)을 개폐하는 레버(30)와, 노즐(2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40)과, 상기 발화석(40)과 마찰을 일으켜 노즐(2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롤러(50)와, 노즐(20)을 감싸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61)이 형성되는 캡(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롤러(50)를 회전시켜 발화석(40)과 롤러(50)의 외주면을 서로 마찰시킴으로써 발화석(40)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레버(30)를 눌러 노즐(20)을 개방시켜 탱크(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석유가스를 노즐(20)을 통하여 기화 상태로 분출시킴으로써 발화석(40)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 등으로 롤러(50)를 회전시면서 이와 동시에 레버(30)를 누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점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작은 힘으로도 롤러를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발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무심코 가스라이터의 롤러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발화석과 롤러의 마찰로 인한 불꽃 발생과 노즐 개방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안전 사고 및 화재의 위험을 배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약 4 ~ 5세 정도의 어린이도 가스라이터를 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다가 가스라이터가 점화되는 경우 화재 등의 불의의 안전 사고를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1995년 미국에서는 소비자제품보호위원회(CPSC)를 통하여 '어린이 점화 방지를 위한 라이터 안전 기준'(Safety Standard For Cigarette Lighters, Requirements for Child Resistance)을 마련하여 어린이 사용 차단 장치가 구비된 가스라이터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 어린이가 라이터를 가지고 놀다가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두고 있고, 미국 외의 여러 선진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규정을 제정하여 가스라이터로 인한 어린이 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성인에 비하여 완력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가스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어렵도록 제한하여 어린이를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가스라이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라이터의 노즐을 감싸는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롤러를 향해 연장되어 롤러에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에 의해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을 통한 가스라이터의 점화에 요구되는 지력(指力)을 증가시켜 어린이에 의한 가스라이터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상기 노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과; 상기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로 구성되는 롤러와; 상기 노즐을 감싸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이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롤러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끝단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상부로 들려지는 부분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형성되되, 상기 스파크휠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은, 상기 스파크휠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이 상기 스파크휠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는 라이터의 캡에 롤러와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해 롤러를 회전시키게 되면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에 의해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을 통한 가스라이터의 점화에 요구되는 지력(指力)을 증가시키게 되어, 성인에 비하여 힘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가스라이터를 쉽게 켜지 못하게 하여 라이터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롤러 회전 억제편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립홈을 폐쇄하는 돌기 및 삽입홈이 형성된 롤러 회전 억제편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 그 이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100)는,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110)와; 탱크(110)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120)과; 노즐(120)을 개폐하는 레버(130)와; 노즐(12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140)과; 상기 발화석(140)과의 마찰을 통해 노즐(12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151)과,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155)로 구성되는 롤러와; 탱크(110)의 상부에 노즐(1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면 일측으로부터 롤러(150)를 향해 연장되어 끝단이 롤러(150)의 스파크휠(151)에 형성된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어, 점화를 위한 롤러(150) 회전시 롤러(150)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구비되는 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어린이가 가스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어렵도록 하기 위해, 점화를 유도하는 롤러를 회전시키는데 일정 이상의 힘이 필요하도록 가스라이터의 캡에 롤러의 스파크휠에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해 롤러를 회전시키게 되면 스파크휠의 둘레에 형성된 요홈에 롤러 회전 억제편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회전억제력을 능가하는 지력(指力)으로 롤러를 회전시켜야만 라이터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각 구성을 살펴보면, 탱크(110)는 가스라이터의 점화 연료로 액화석유가스를 수용하고 있으며, 탱크(110)의 상부 일측에는 액화석유가스를 기체 가스로 분사하는 노즐(120)이 구비되어 있다.
탱크(110)의 상부 중앙에는 롤러 지지부(161)와 발화석 장착부(163)를 갖는 지지대(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 지지부(161)에는 롤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화석 장착부(163)에는 발화석(140)이 스프링(16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발화석(140)의 상단부가 롤러(150)의 하부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150)는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요홈(153)이 형성되어 발화석(140)과 마찰을 일으키는 스파크휠(151)과, 스파크휠(151)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157)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15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파크휠(151)의 동축상에는 양측에 상술한 사이드휠(155)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사이드휠(155)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스파크휠(15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외주면의 둘레에는 작동톱니(157)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휠(155)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작동톱니(157)는 사용자가 사이드휠(155)을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과 사이드휠(155) 사이의 밀착력 및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라이터 점화를 위해 롤러(150)에 손가락을 밀착시키면, 스파크휠(15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한 쌍의 사이드휠(155)에 손가락이 밀착되며, 사용자가 지력을 가하여 사이드휠(155)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휠(155) 사이에 구비된 스파크휠(151)이 회전하면서 스파크휠(151)이 발화석(140)과 마찰을 일으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일으키게 된다.
레버(130)는 지지대(16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노즐(120)과 결합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150)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131)의 반대측에는 누름판(1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130)는 사용자가 롤러(150)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킨 후 바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레버(130)의 누름판(133)을 누르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레버(130)의 결합부(131)가 노즐(120)을 들어올려 개방하여 노즐(120)에서 가스가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탱크(110)의 상부에는 노즐(120)을 감싸는 캡몸체(171)와, 상기 캡몸체(171)로부터 롤러(150)의 스파크휠(151)을 향해 연장되어 끝단이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180)을 갖는 캡(1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몸체(171)는 노즐(12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시, 바람에 의해 불꽃이 꺼지지 않도록 바람을 막는 역할을 하며, 캡몸체(171)에서 노즐(120)과 대향하는 상부 판면에는 노즐(120)로부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1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몸체(17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롤러(150)의 상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어, 롤러(150)에서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된다.
즉, 롤러 회전 억제편(180)은 스파크휠(151)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끝단이 스파크휠(151)에 형성된 요홈(153)에 걸림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라이터의 점화를 위해 롤러(150)를 회전시키는 경우,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스파크휠(151)이 회전됨에 따라 롤러 회전 억제편(180)에 의해 스파크휠(151)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롤러(150)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을 능가하는 지력으로 롤러를 회전시켜야만 라이터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캡몸체(171)와 롤러 회전 억제편(180)으로 구성되는 캡(170)의 재질은 통상 냉간압연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냉간압연강판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라이터 점화를 위해 롤러(150)를 회전시킬 경우,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파크휠(151)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력에 의해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스파크휠(151)의 요홈(153)과 요홈(153) 사이의 돌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상부로 들려지고, 다음 요홈(153)에 다시 걸림 접촉되는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이에 의해 롤러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점화를 위해 롤러(150)를 회전시키게 되면, 다수의 요홈(153)이 스파크휠(151)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스파크휠의 요홈과 요홈 사이의 돌출된 부분이 롤러 회전 억제편(180)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어 롤러 회전 억제편(180)을 들어올리고, 이어서 들어올려진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다음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롤러 회전 억제편(180)에 부하가 걸려 롤러(150)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됨에 따라 롤러(150)의 회전시 작용하는 회전억제력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력이 약한 어린이들은 롤러(150)를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고, 반면에 지력이 강한 성인은 비교적 용이하게 롤러(1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회전억제력이 작용한다.
즉, 롤러의 회전을 억제하는 구성이 없는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1 ~ 2kg중 정도의 작은 힘으로도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어 지력이 약한 어린 아이들도 쉽게 점화가 가능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100)는 롤러(150)를 회전시킬 시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180)에 의해 롤러(150)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이 작용함에 따라, 점화를 위해 스파크휠(151)과 발화석(140) 간에 스파크가 발생할 만큼의 충분한 회전력을 롤러(150)에 가해주기 위해서는 대략 4kg중 이상의 상당히 강한 힘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지력이 약한 어린이가 롤러를 회전시켜 라이터를 점화 조작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린이에 의한 가스라이터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캡(170)에 구비된 롤러 회전 억제편(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크휠(151)의 상부에 접촉되어 스파크휠(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스라이터의 점화시, 점화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점화된 불꽃에 의해 노즐(120)의 주변부가 가열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노즐(120) 주변에 배치된 롤러(150) 및 롤러(150)를 지지하고 있는 롤러 지지부(161)가 직접적인 열을 받게 된다. 여기서 롤러 지지부(161)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장시간 가열되면 녹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롤러 지지부(161)가 열에 의해 손상될 경우, 롤러 지지부(161)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150)와 발화석(140)이 롤러 지지부(161)를 이탈하여 외부로 튀어오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고안의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100)는 캡(170)의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롤러(150)의 상부에 접촉되어 롤러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점화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 롤러 지지부(161)가 일부 손상되더라도 캡(170)의 롤러 회전 억제편(180)에 의해 롤러(15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롤러(150)가 롤러 지지부(161)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캡(17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공정상의 이유로 캡(170) 상면의 불꽃토출공(173)으로부터 롤러 회전 억제편(180)의 끝단까지 중앙부를 따라 조립홈(175)이 형성되게 되고, 이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181,183)가 롤러 회전 억제편(180)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캡(170)은 제조 공정 중에 다수개의 캡(170)이 공급피더에서 배출될 때, 캡(170)의 조립홈(175)을 통해 다른 캡(170)이 삽입되어 상호 엉키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17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캡(170)은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금속판 부분이 다른 캡(170)의 조립홈(175)을 통해 삽입되어 상호 엉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롤러 회전 억제편의 끝단에 조립홈을 폐쇄하는 돌기 및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롤러 회전 억제편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립홈을 폐쇄하는 돌기 및 삽입홈이 형성된 롤러 회전 억제편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롤러 회전 억제편(180)은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191,193)로 구성되되, 일측 플레이트(191)의 끝단에는 타측 플레이트(193) 쪽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195)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플레이트(193)의 끝단에는 상기 돌기(195)가 삽입되는 삽입홈(19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95)가 상기 삽입홈(197)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91,193) 사이에 형성되는 조립홈(175)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캡(170)의 제조공정에서 다수개의 캡(170)이 공급피더에서 배출될 때, 캡(170)의 조립홈(175)을 통해 다른 캡(170)이 삽입되어 상호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캡(170)에 형성된 조립홈(175)을 폐쇄함으로써 캡(17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라이터의 점화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롤러(150)의 사이드휠(155)에 손가락을 밀착하고 힘을 가하여 롤러(150)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사이드휠(155)에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라이터의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가 사이드휠(155)을 회전시키게 되면, 한 쌍의 사이드휠(155) 사이에 구비된 스파크휠(151)이 회전하면서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된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스파크휠(151)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며, 이로 인해 롤러(150)의 회전을 억제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됨으로써 롤러(150)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보다 큰 힘을 가해야 롤러(150)가 회전하게 되며, 지력이 강한 성인은 비교적 용이하게 롤러(15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력이 약한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롤러(150)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이 가스라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됨으로써 롤러(150)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보다 큰 힘을 롤러(150)의 사이드휠(155)에 가하게 되면, 사이드휠(155)이 회전억제력을 이기고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사이드휠(155) 사이에 구비된 스파크휠(151)이 회전하면서 스파크휠(151)이 발화석(140)과 마찰을 일으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일으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레버(130)의 누름판(133)을 누름으로써 노즐(120)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어 스파크에 의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는 스파크휠에 접촉되어 스파크휠의 회전을 억제하는 구성 이외에도,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에 접촉하여 사이드휠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롤러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200)는 캡(270)의 롤러 회전 억제편(280)이 롤러(150)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롤러(150)의 상부 전면(全面)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끝단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 사이에 걸림 접촉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롤러 회전 억제편(280)은 끝단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휠(155)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스파크휠(151)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라이터의 점화를 위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을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 각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 사이에 롤러 회전 억제편(280)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사이드휠(155)이 회전됨에 따라 롤러 회전 억제편(180)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휠(155)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이 작용하며, 이로 인해 롤러(150)을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때, 각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 사이에 롤러 회전 억제편(180)이 걸림 접촉됨으로써 롤러(150)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보다 큰 힘을 한 쌍의 사이드휠(155)에 가하게 되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이 회전억제력을 이기고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사이드휠(155) 사이에 구비된 스파크휠(151)이 회전하면서 스파크휠(151)이 발화석(140,도 4 참조)과 마찰을 일으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일으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레버(130)의 누름판(133)을 누름으로써 노즐(120)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어 스파크에 의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은 특히, 스파크휠에 형성된 요홈의 깊이가 상당히 낮거나, 혹은 불규칙한 패턴 등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으로는 스파크휠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는 롤러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캡에 구비된 롤러 회전 억제편이 롤러의 한 쌍의 사이드휠 및 스파크휠에 동시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300)는 상술한 제2 실시예의 롤러 회전 억제편(280,도9 참조)의 형태에서, 롤러 회전 억제편(380)의 중앙부에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는 보조 억제편(381)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캡(370)의 롤러 회전 억제편(380)이 롤러(150)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롤러(150)의 상부 전면(全面)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롤러 회전 억제편(380)의 양측 끝단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에 걸림 접촉되어 있고, 롤러 회전 억제편(380)의 중앙부에는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380)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끝단이 스파크휠(151)의 요홈(153)에 걸림 접촉되는 보조 억제편(38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라이터의 점화를 위해 한 쌍의 사이드휠(155)을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 각 사이드휠(155)의 작동톱니(157) 사이에 롤러 회전 억제편(380)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사이드휠(155)이 회전됨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 휠(155)에 회전억제력이 작용하고, 동시에 한 쌍의 사이드휠(155) 사이에 구비된 스파크휠(151)이 회전하면서 스파크휠(151)의 작동톱니(153) 사이에 걸림 접촉된 보조 억제편(381)에 의해서도 스파크휠(151)에 회전억제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로 인해 롤러에 작용하는 회전억제력이 더욱 강화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300)는 롤러 회전 억제편(380)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휠(155)에 회전억제력이 작용하고, 동시에 롤러 회전 억제편(38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 억제편(381)에 의해서도 스파크휠(151)에도 회전억제력이 작용함으로써,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라이터(100,200)에 비해 롤러(150)의 회전에 더 강화된 회전억제력이 작용하여, 이에 따라 가스라이터를 장시간 사용함에 있어서도 롤러 회전 억제편(380)의 강성이 오래 유지될 수 있으며, 롤러에 충분한 회전억제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캡(270,370)을 제조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롤러 회전 억제편의 조립홈을 폐쇄하는 돌기 및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는 라이터의 캡에 롤러와 걸림 접촉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비하여, 점화를 위해 롤러를 회전시키게 되면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있는 롤러 회전 억제편에 의해 롤러의 회전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을 통한 가스라이터의 점화에 요구되는 지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성인에 비하여 힘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가스라이터를 쉽게 켜지 못하게 하여 라이터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0 : 탱크 120 : 노즐
130 : 레버 140 : 발화석
150 : 롤러 151 : 스파크휠
153 : 요홈 155 : 사이드휠
157 : 작동톱니 160: 지지대
170,280,380 : 캡 171 : 캡몸체
173 : 불꽃토출공 175 : 조립홈
180,190,280,380 : 롤러 회전 억제편 181,183,191,193 : 플레이트
195: 돌기 197 : 삽입홈
381 : 보조 억제편

Claims (7)

  1.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상기 노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과; 상기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로 구성되는 롤러와; 상기 노즐을 감싸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이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롤러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끝단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상부로 들려지는 부분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형성되되,
    상기 스파크휠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은,
    상기 스파크휠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이 상기 스파크휠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2. 삭제
  3. 삭제
  4.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상기 노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발화석과; 상기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의 양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휠로 구성되는 롤러와; 상기 노즐을 감싸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이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캡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롤러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끝단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점화를 위한 롤러 회전시,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어 상부로 들려지는 부분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기 롤러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에 일정한 회전억제력을 부가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형성되되,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은,
    상기 롤러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휠의 작동톱니 사이에 각각 걸림 접촉되며,
    상기 스파크휠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파크휠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끝단이 상기 스파크휠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 접촉되는 보조 억제편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불꽃토출공으로부터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의 끝단까지 중앙부를 따라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은,
    상기 조립홈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회전 억제편을 구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일측 플레이트의 끝단에는 타측 플레이트 쪽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플레이트의 끝단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냉간압연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KR2020110002779U 2011-04-04 2011-04-04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KR200456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79U KR200456724Y1 (ko) 2011-04-04 2011-04-04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US13/366,171 US8840398B2 (en) 2011-04-04 2012-02-03 Gas lighter with roller-rotation restraining part
CN2012200585967U CN202647845U (zh) 2011-04-04 2012-02-21 具备辊旋转抑制片的气体打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79U KR200456724Y1 (ko) 2011-04-04 2011-04-04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724Y1 true KR200456724Y1 (ko) 2011-11-15

Family

ID=4692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779U KR200456724Y1 (ko) 2011-04-04 2011-04-04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0398B2 (ko)
KR (1) KR200456724Y1 (ko)
CN (1) CN20264784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23A (ko) 2017-09-26 2019-04-03 이기용 가스 라이터
KR20220164886A (ko) 2021-06-07 2022-12-14 이현태 바람막이 라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3942B2 (en) 2008-08-20 2014-02-18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USD805247S1 (en) * 2016-07-06 2017-12-12 Great Quality, Inc. Combination lighter and cigar splitter
US10502419B2 (en) 2017-09-12 2019-12-10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CN109489480A (zh) * 2018-12-20 2019-03-19 孙博文 一种警用喷雾器喷头
USD949461S1 (en) * 2020-10-05 2022-04-19 KCI Newport, Inc. Lighter
USD980506S1 (en) * 2021-07-01 2023-03-07 Tokai Seiki Co. (HK), Ltd. Cigarette ligh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358A (ja) * 1999-09-13 2001-06-08 Tokai Corp ガスライター
JP2005077061A (ja) 2003-09-03 2005-03-24 Tokai Corp ノズルキャップ外れ防止構造
KR100711582B1 (ko) 2006-04-19 2007-04-27 이강우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안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845A (en) * 1927-06-03 1935-05-28 Art Metal Works Inc Cigar lighter
US2438727A (en) * 1945-05-21 1948-03-30 Troubh Bernard Automatic lighter
US3154936A (en) * 1963-12-31 1964-11-03 Products Res And Dev Corp Lighter for bottled-gas torches
FR1539844A (fr) * 1967-08-01 1968-09-20 Dupont S T Mécanisme de commande de la molette d'un briquet pyrophorique automatique
BE792568A (fr) * 1972-01-07 1973-03-30 Genoud & Cie Ets Mecanisme de briquet automatique
GB1509620A (en) * 1975-10-27 1978-05-04 Wilkinson Sword Ltd Pyrophoric lighters
US5120216A (en) * 1991-04-22 1992-06-09 Iwax, Inc. Operation member for lighter
US5358401A (en) * 1992-04-09 1994-10-25 Masayuki Iwahori Ignition mechanism for a lighter
US5743725A (en) * 1996-12-02 1998-04-28 Cli-Claque Company Limited Safety lighter
FR2799531B1 (fr) * 1999-10-12 2002-02-08 Hameur Briquet a allumage phyrophorique
EP1323981A1 (en) * 2000-10-02 2003-07-02 Tokai Corporation Gas lighter
US6837705B2 (en) * 2001-02-24 2005-01-04 Swedish Matach Lighters B.V. Child resistant gas lighters
KR20030018251A (ko) * 2001-08-27 2003-03-06 전종구 브레이크 휠이 구비된 안전 가스라이타
US20090286192A1 (en) * 2008-05-16 2009-11-19 Yuzo Ochiai Disposable lighter for sight-impaired us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358A (ja) * 1999-09-13 2001-06-08 Tokai Corp ガスライター
JP2005077061A (ja) 2003-09-03 2005-03-24 Tokai Corp ノズルキャップ外れ防止構造
KR100711582B1 (ko) 2006-04-19 2007-04-27 이강우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안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23A (ko) 2017-09-26 2019-04-03 이기용 가스 라이터
KR20220164886A (ko) 2021-06-07 2022-12-14 이현태 바람막이 라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0398B2 (en) 2014-09-23
CN202647845U (zh) 2013-01-02
US20120251961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724Y1 (ko) 롤러 회전 억제편이 구비된 가스라이터
KR101288020B1 (ko) 롤러 회전 억제커버가 구비된 가스라이터
US5913674A (en) Safety lighter
KR200202998Y1 (ko) 발화저지기능을 갖는 발화석 점화식 가스라이터
US6146128A (en) Cigarette lighter with security arrangement
KR200468067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가스라이터
KR101364728B1 (ko) 업소용 가스버너 점화장치
US6962493B2 (en) Safety disposable lighter
KR100711582B1 (ko)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안전 장치
US20110097675A1 (en) Safety lighter with double-wheel and buffer-wheel ignition device
CN210511657U (zh) 一种具有安全开关的喷火枪
WO2021139367A1 (zh) 一种打火机的点火机构及包含所述点火机构的打火机
KR100680773B1 (ko)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안전 장치
US20070172782A1 (en) Disposable lighter with safety ignition feature
US20190203938A1 (en) Arc lighter
US6099298A (en) Gas lighter with safety device
US20080076083A1 (en) Safety lighter
US20100047729A1 (en) Lighter with childproof windshield
KR101821484B1 (ko) 불길차단라이타
CN201177275Y (zh) 一种安全点火器
CN103363556A (zh) 用于加热器的自动关断装置
KR20140036882A (ko) 안전 라이타
KR950005455Y1 (ko) 가스 라이터의 점화 안전 장치
KR960000033Y1 (ko) 가스 라이터의 점화 안전 장치
CN201059583Y (zh) 带保险件的打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