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968Y1 - A Packing Vessel - Google Patents

A Packing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968Y1
KR200455968Y1 KR2020100000727U KR20100000727U KR200455968Y1 KR 200455968 Y1 KR200455968 Y1 KR 200455968Y1 KR 2020100000727 U KR2020100000727 U KR 2020100000727U KR 20100000727 U KR20100000727 U KR 20100000727U KR 200455968 Y1 KR200455968 Y1 KR 200455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storage container
food
spac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7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519U (en
Inventor
오영숙
Original Assignee
오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숙 filed Critical 오영숙
Priority to KR2020100000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68Y1/en
Publication of KR20110007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턱을 갖는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container. The food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various f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is formed by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ide portion extend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the food is stored therein. It includes a space having a storage space, the side portion has a plurality of separation jaw is formed to protrude in a predetermined shape into the space portion an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the separation jaw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food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play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portions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s that are in close contact by forming a gap that allows air to flow between the food storage containers to be stacked, and check the food contained in the space from the outside hygienically By allowing storage, product quality and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식품 보관 용기{A Packing Vessel}Food Storage Containers {A Packing Vessel}

본 고안은 식품을 포장하여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container for packaging and storing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separation of food storage containers that are in close contact by forming a gap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between the food storage containers to be stacked. And it can be,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making it possible to check the food contained in the space from the outside and sanitarily stored.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식품, 예컨대, 쥐포, 구운 쥐포, 김, 과자, 또는 사탕을 보관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식품 형상에 상응하는 식품 보관 용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As is well known, in order to store and sell a variety of foods, for example, mousse, baked mousse, seaweed, confectionery, or candy, a food storage container corresponding to a food shape is required.

종래에는, 전술한 식품 보관 용기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 후,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으로의 식품 보관 용기의 운반시 운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다수의 식품 보관 용기를 밀착 적층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후,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해서 밀착 적층된 식품 보관 용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Conventionally, after carrying out the process of forming the above-described food storage container individually, a plurality of food storage containers to be closely stacked and transported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port efficiency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to the subsequent food storage and sealing process. do. Thereafter, the food storage containers closely stacked for the food storage and sealing process are separated separately.

하지만, 다수의 적층된 식품 보관 용기는, 운반시 자체 하중에 의해서 보다 밀착되어 인접하는 식품 보관 용기 사이에 유격이 거의 없어져 진공 상태를 형성하거나, 식품 보관 용기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및 마찰력에 의해서,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한 식품 보관 용기의 개별적인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전체 공정상에서,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제기되었다.However, many stacked food storage containers are mo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by their own load during transportation, so that there is almost no play between adjacent food storage containers to form a vacuum state, or by electrostatic attraction and friction between food storage containers, The problem arises that individual separation of food storage containers for subsequent food storage and closure processes is not easy. This has been raised as a major factor in lower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food storage containers in the whole process.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식품 보관 용기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격이 형성된 식품 보관 용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제기되었다. 또한, 식품 보관 용기의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필요성도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food storage container in which a play is formed such that air can smoothly flow between adjacent food storage container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ne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to ensure that the food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always hygienic.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forming a clearanc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between food storage containers to be stacked.

또한, 본 고안은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container that can be hygienically stored by chec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space from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는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분리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 식품 포장 용기는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리턱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분리턱을 갖는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 및 제2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od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various foods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has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ide portion extend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ood is stored. It includes a space portion, the side portion has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jaw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into the space portion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second food packaging container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ide portion extending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storing the food. And a spac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eparation protrusions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into the space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separation jaw is formed.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the first separation jaw and the second separation jaw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may be formed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each side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may be formed at least three or more in each side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각 측면부에는, 상기 하면부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은,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로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sid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a plurality of uneven surf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uneven surface,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When stacking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to the top, it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tacking direction.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은 상기 분리턱 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surface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separation step.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면부에 대향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일정 형상의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n edge portion form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t one end of the side portion and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pace portion, One side may be attached with a cover of a predetermined shape for sealing the space.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jaw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Thus, a play may be formed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각 하면부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삽입된 식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재면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each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the food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보다는 적어도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mounting surface may be formed at least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surface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본 고안에 의하면,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서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후속하는 각 분리된 식품 보관 용기의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상의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of the subsequent separated food storage containers by forming a gap between the food storage containers are stack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in the sealing process more.

또한,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hec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space from the outside to be stored hygienical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제2 식품 보관 용기 위에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식품 보관 용기 위에 제1 식품 보관 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식품이 포장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식품이 포장 보관된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is packaged and stored in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food of FIG. 5 is packaged and stored.

이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에 차이가 있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각종 식품, 예컨대, 건조되거나 구운 쥐포, 오징어, 김, 과자, 또는 사탕을 넣은 후 포장하여 보관하는 보관 용기를 이른다.Food storage containers (110,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a to 2b,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is different i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eparation jaw (112-1.122-1) And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Here, the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refer to storage containers for packing and storing various foods, for example, dried or baked ratfish, squid, seaweed, confectionery, or cand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10,120)로서 두 종류를 예시하였지만,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가 다른 식품 보관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wo types are illustrated as the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jaw 112-1.122-1 may further include a food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fferent position.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separating jaws 112-1 and 122-1,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은 제1 테두리부(112-3)와, 제1 테두리부(112-3)의 중심 부분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제1 공간부(113)를 포함한다.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includes a first edge portion 112-3 and a first space portion 113 formed to be stepped downward in a center por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112-3.

제1 테두리부(112-3)는 커버(도 5의 130)가 부착되는 부분이며, 일측에 손잡이부(112-4)가 돌출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에 의해 밀봉 및 밀폐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를 소비자가 한 손으로는 손잡이부(112-4)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커버(130)를 잡은 상태에서 커버(130)를 벗겨 내면 손쉽게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140)을 인출할 수 있다.The first edge portion 112-3 is a portion to which a cover (130 of FIG. 5) is attached, and a handle portion 112-4 protrudes from one side thereof.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nsumer holds the handle 112-4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sealed and sealed by the cover 130. If the cover 130 is peeled off while the cover 130 is held, the food 140 stored in the space 113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can be easily taken out.

제1 공간부(113)는 식품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부분으로서, 제1 하면부(111)와, 제1 하면부(111)와 수직하도록 제1 하면부(111)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제1 측면부(112)를 포함한다. 제1 하면부(111)와 제1 측면부(112)에 의해서 식품이 보관될 수 있는 제1 수납 공간(113-1)이 형성된다. 제1 측면부(11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제1 테두리부(112-3)가 연결된다.The first space portion 113 is a portion in which food is inserted and stored, an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and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1 side portion 112 is included. The first lower surface part 111 and the first side surface part 112 form a first storage space 113-1 in which food can be stored. The first edge portion 112-3 i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portion 112.

이때 제1 측면부(112)에는 제1 수납 공간(113-1)의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복수의 제1 분리턱(1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적층될 때, 제1 테두리면(112-3)에 대해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하면부(111)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하면부(111)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제1 측면부(112)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분리턱(112-1)은 제1 측면부(112)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 분리턱(112-1)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ng jaws 112-1 protrudes from the first side surface 112 in a predetermined shape to the in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may be stac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edge surface 112-3. .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may extend from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to the first side portion 112 in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at least three first separating jaws 11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12.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four first separation jaws 112-1 are formed is disclosed.

제1 측면부(112)에는 제1 하면부(111)에서 일정 높이로 요철면(112-2)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면(112-2)의 높이는 적어도 제1 분리턱(112-1) 보다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철면(112-2)을 측면에 형성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시 용이하게 정렬하여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에서 개별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을 적층할 때, 제1 수납 공간(113-1)에 제2 공간부(123)의 하부가 삽입되어 복수의 제1 분리턱(112-1) 위에 제2 하면부(121)가 탑재된다. 이때 제1 테두리면(112-3) 위로 제2 측면부(122)의 요철면(122-2)의 일부가 돌출되기 때문에, 돌출된 제2 측면부(122)의 요철면(122-2)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간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에 적층된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uneven surface 112-2 is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112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The height of the uneven surface 112-2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higher than the first separation step 112-1. The reason why the uneven surface 112-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is that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can be easily aligned and stacked, and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are stacked.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separate the individual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120) at (110,12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part 1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s. The second lower surface part 121 is mounted on the jaw 112-1. In this case, since a part of the uneven surface 122-2 of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22 protrudes over the first edge surface 112-3, the uneven surface 122-2 of the protruding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22 may be formed. 2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can move between the food storage container 120 and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refore,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can be easily separated.

특히 요철면(112-2,122-2)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원활한 적층을 위해서 요철면(112-2,122-2)은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uneven surface 112-2, 122-2 is laminated o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 uneven surfaces 112-2 and 122-2 are laminated for smooth lamin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unevennes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제1 수납 공간(113-1)의 바닥면 즉, 제1 하면부(111)에서 일정 높이로 식품이 탑재될 수 있는 탑재면(111-1)이 돌출되어 있다. 탑재면(111-1)은 하면부(11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8각 링 형태로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탑재면(111-1)은 다양한 형태로 제1 하부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surface 111-1, on which the food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that is,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The mounting surface 111-1 is uniforml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mounting surface 111-1 is formed in an octagonal ring shape is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ounting surface 111-1 may be formed on the first lower surface 111 in various forms.

탑재면(111-1)은 제1 분리턱(112-1)의 안쪽의 제1 하부면(111)에 형성되며, 제1 분리턱(112-1)과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면(111-1)이 제1 분리턱(112-1) 보다 낮게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 경우, 식품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분리턱(112-1)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탑재면(111-1)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은 제1 하면부(111)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1 하면부(111)의 외측면을 통하여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이 탑재면(111-1)을 가질 때보다는 쉽게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하면부(111)에 탑재면(111-1)을 형성함으로써,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이 제1 하면부(111)의 외측면을 통하여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 식품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mounting surface 111-1 is formed on the first lower surface 111 inside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same level or higher than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If the mounting surface 111-1 is not formed or formed lower than the first separation step 112-1,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n edge portion of the food collides with the first separation step 112-1 and is damaged. Because there is. When the mounting surface 111-1 is not formed,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and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Sinc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s widened throug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he problem that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is more easily deteriorated than when having the mounting surface (111-1) may occur. Because. That is, by forming the mounting surface 111-1 on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has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By reduc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the food is easily deteriorated.

그리고 탑재면(111-1)을 통하여 식품이 제1 공간부(113)에 떠있는 형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식품을 중심으로 한 제1 공간부(113)에 존재하는 기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And since the food is stored in the form floating in the first space portion 113 through the mounting surface (111-1), to smooth the flow of the gas present in the first space portion 113 centered on the food Keep your food fresh.

한편,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식품 팩(pack)에 사용되는 투명한 폴리에틸렌 수지(PET;polyethylen terephthalate)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에서 제1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부(113)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식품을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transparent polyethylene resin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used in the food pack (pack), thereby storing food stored in the first space 113 from the out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That is, by chec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113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ood can always be hygienically stored,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food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면부(111)의 형상은 8각 형상으로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공간부(113)에 보관되는 식품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 is illustrated as an octagonal shap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ood stored in the space 113.

다음으로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는 제2 테두리부(122-3)와, 제2 테두리부(122-3)의 중심 부분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제2 공간부(123)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는 제2 측면부(122)에 형성된 제2 분리턱(122-1)의 위치가 제1 분리턱(112-1)의 위치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식품 보관 용기(1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2-1)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Next,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ncludes a second edge portion 122-3 and a second space portion 123 formed to be stepp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edge portion 122-3.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jaw 122-1 formed in the second side portion 122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separation jaw 112-1, Since it is the same as the 1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nd shape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s 112-1 and 122-1.

또한, 본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편의상,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하면부, 측면부, 및 테두리부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면부, 측면부, 및 테두리부는 하나의 동일한 재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case)로서 이해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convenience,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re separately described, but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by one and the same material.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as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로 두 개의 식품 보관 용기를 예로 들어 상술하였으나, 다수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교대로 및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120) as described above taking two food storage containers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stacked food storage containers are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food storag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ainers 120 can be stacked alternately and sequentially.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제1 삽입 공간(113-1)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공간부(123)의 일부가 삽입되어 적층된다.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 second space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placed in the first insertion space 113-1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 portion of the portion 123 is inserted and stacked.

이때 제1 분리턱(112-1) 및 제2 분리턱(122-1)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된다. 즉,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분리턱(112-1)의 일측면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1 하면부(121)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어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밀착되어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and the second separating jaw 122-1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lower surface part 111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are formed. 2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121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formed to allow the air to smoothly flow. That is,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may have a first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121, air may smoothly flow between the lower surface 111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121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By forming a clearance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12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각 분리된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상의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전술한 유격에 의해서,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상호 진공 상태를 형성하지 않게 되고,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및 마찰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됨으로써,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를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in the subsequent food storage and sealing process of each separated food storage container (110,120). That is, due to the above-described play,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do not form a mutual vacuum state, and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and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do not occur. By being hardly affected, the separation of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may be facilitated.

예컨대,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개별적으로 형성한 후, 후속하는 공정으로의 운반시 앞서 예시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방식으로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다수 적층하여 운반한 후,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해서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각각 분리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에 의해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되어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re separately formed, the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may be stacked in a manner of stacking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illustrated above in the subsequent process. Afte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stacks),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stacked for the food storage and sealing process are separated. At this time,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11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121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by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s 112-1 and 121-1. Since the clearance between the air can be smoothly introduced there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에는,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112-2,12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각 측면부(112,122)의 요철면(112-2,121-2)에 의해서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의 마주보는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공기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공간부(113)로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증가하여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요철면(112-2,12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공간부(113)로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증가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철면(112-2,121-2)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원활한 적층을 위해서 요철면(112-2,121-2)은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neven surfaces 112-2 and 121-2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12 and 122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Here,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12 and 122 are formed by the uneven surfaces 112-2 and 121-2 of the side surfaces 112 and 122. As the area facing each other increases, the clearance that allows air to flow into the space portion 113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is increased, so that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re easily separated. Can be done. Here, the shapes of the uneven surfaces 112-2 and 121-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shapes in which the clearance that may allow air to flow into the first space 113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may be increased. Of course this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uneven surfaces 112-2 and 121-2 are uneven surfaces 112-2 and 121-2 for smooth lamination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20 are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unevenness is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tacking direction.

한편,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이 각각 두 개 미만으로 형성되면,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균형이 불균일해짐으로써, 식품 보관 용기의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은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에 적어도 세 개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112-1, 121-1) is formed less than two, respectively,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op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the first And the non-uniform stacking balance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which makes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inconveni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re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s 112-1 and 121-1 b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112 and 122, respectively.

여기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분리턱(112-1)의 일측면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테두리부(112-3)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테두리부(122-3)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각 테두리부(112-3,122-3)에 의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ng jaw 112-1 may have a second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rtion 121, the play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112-3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edge portion 122-3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As a result, the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by the edges 112-3 and 122-3 may be facilitated.

이때 식품 보관 용기를 적층할 때, 특정 식품 보관 용기를 중심으로 상하에 특정 식품 보관 용기와 다른 식품 보관 용기가 배치하는 방식으로 적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적층하는 경우,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교대로 적층한다. 즉 제1 식품 보관 용기(110)를 중심으로 상하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적층한다.At this time, when stack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the specific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other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in a manner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specific food storage contain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110 and 120 are stacked,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are alternately stacked. That is,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120 is stacked above and below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so as to be dispos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한 제품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식품이 포장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식품이 포장 보관된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The product packaged by us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is packaged and stored in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food of FIG. 5 is packaged and stor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품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수납 공간(113-1)에 식품(140)이 삽입되고,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에 커버(130)의 가장자리 부분이 부착되어 제1 수납 공간(113-1)을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5 and 6, a product 140 is inserted into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3-1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0, and a first edge portion 112-3 and a handle part. An edge portion of the cover 130 is attached to 112-4 to seal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3-1.

이때 식품(140)은 제1 수납 공간(113-1)에 형성된 탑재면(111-1)에 탑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od 14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11-1 form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3-1.

그리고 커버(130)는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하거나 열압착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커버(130)는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때 커버(130)의 소재로는 제1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140)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 또는 햇볕을 차단하여 식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13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edge portion 112-3 and the handle portion 112-4 via an adhesive or a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The cover 130 is sized to cover the first edge portion 112-3 and the handle portion 112-4.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cover 130 may be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identifying the food 140 stored in the first space 113, or an aluminum foil or plastic material that can block the sun from inhibiting food deterioration. Films can be used.

전술한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terms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described for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제1 식품 보관 용기
111 : 제1 하부면
112 : 제1 측면부
112-1 : 제1 분리턱
112-2 : 요철면
112-3 : 제1 테두리부
112-4 : 손잡이부
113 : 제1 공간부
110: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111: first lower surface
112: first side portion
112-1: first separating jaw
112-2: Uneven surface
112-3: first edge portion
112-4: handle portion
113: first space part

Claims (12)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분리턱을 갖는 제1 식품 보관 용기; 및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리턱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분리턱을 갖는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 및 제2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식품 보관 용기.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which puts various foods,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ide portion extending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pace portion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ood is stored;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eparation jaw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into the space portion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ide portion extending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pace portion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ood is stored; And a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into the space part,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eparating jaw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separating jaw is formed. ,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the first separation jaw and the second separation jaw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od storage container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is a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each s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is at least three food storage 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each s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각 측면부에는,
상기 하면부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은,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로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In each sid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A plurality of uneven surfac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uneven surfaces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tacking direction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contain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은 상기 분리턱 보다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even surface is a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higher than the separation ja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면부에 대향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일정 형상의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Further comprising an edge portion form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t one end of the side portion and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pace portion,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of a predetermined shape for sealing the spac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i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is stacked on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ng jaw contacts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to contact an edge of the first food storage container. And a play is formed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food sto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am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a transparent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각 하면부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삽입된 식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재면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od storage containers,
At least one mounting surface on which each of the food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is mounted protrudingly formed on each lower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보다는 적어도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height of the mounting surface is a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안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unting surface is a food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aw.
KR2020100000727U 2010-01-22 2010-01-22 A Packing Vessel KR2004559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en) 2010-01-22 2010-01-22 A Packing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en) 2010-01-22 2010-01-22 A Packing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19U KR20110007519U (en) 2011-07-28
KR200455968Y1 true KR200455968Y1 (en) 2011-10-06

Family

ID=4559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en) 2010-01-22 2010-01-22 A Packing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6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485B1 (en) * 2020-05-08 2022-04-25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Package container
KR200497853Y1 (en) * 2023-07-14 2024-03-15 주식회사 천년식향 Plate package for plating vacuum-packed fo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14Y1 (en) 2002-05-16 2002-08-03 동진기업 주식회사 Food preservation vessel for in a heap
JP2006021796A (en) 2004-07-08 2006-01-26 Seiko Epson Corp T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14Y1 (en) 2002-05-16 2002-08-03 동진기업 주식회사 Food preservation vessel for in a heap
JP2006021796A (en) 2004-07-08 2006-01-26 Seiko Epson Corp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19U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164B2 (en) Nestable lid for packaging systems
US20120073997A1 (en) Sanitary snap-on can carrier and transport device
US2893550A (en) Package for globular articl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130017054A1 (en) Package unit and loading method and loading structure therefor
KR200455968Y1 (en) A Packing Vessel
US4098400A (en) Returnable packaging system
US3610412A (en) Single-service delivery packages
US20190241340A1 (en) Packaging tray
CN103153809B (en) External packaging device for safeguarding at least one packaging item during transportation
CN202006907U (en) Packaging box for containing unframed solar photovoltaic modules
US6299919B1 (en) Packaging container for sliced foodstuffs, in particular cheese slices
CN100427366C (en) Fresh egg packing assembly and its package
KR100901450B1 (en) Packing buffer for stacked body in which semiconductor package trays are receivable
KR101693458B1 (en) Packaging container for agricultural products
JP200630640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19142578A (en) Packaging container
JP5664857B2 (en) Packaging structure for bag-like containers
JP2014530151A (en) Container for elongated articles
US9290304B2 (en) Device for packing bulk products, especially for food
KR200386101Y1 (en) A cup noodles economical packaging structure
KR200296312Y1 (en) Pakage and show case for food tool set
US20060113209A1 (en) Packaging, particularly a palletizable packaging, a pallet carrying it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JP6532027B2 (en) Method of protecting objects to be packed such as fruits by cushioning material
RU52826U1 (en) ONE-SECTION PACKAGING FOR FOOD (OPTIONS)
RU2112727C1 (en) Container for liquid and semiliquid products and method of packing th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