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912Y1 -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912Y1
KR200455912Y1 KR2020100008922U KR20100008922U KR200455912Y1 KR 200455912 Y1 KR200455912 Y1 KR 200455912Y1 KR 2020100008922 U KR2020100008922 U KR 2020100008922U KR 20100008922 U KR20100008922 U KR 20100008922U KR 200455912 Y1 KR200455912 Y1 KR 200455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breaker
power supply
relay switch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일
Original Assignee
이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일 filed Critical 이하일
Priority to KR2020100008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operative power

Landscapes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의 순간 정전시 기 충전되어있던 전압을 차단기에 트립 전압을 인가하는 릴레이 스위치로 방전하여 릴레이스위치로 하여금 원래의 비 접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순간 차단 지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ACB(Air Circuit Breaker) 혹은 VCB(Vaccum Circuit Breaker)(이하 모두 "차단기"라 칭한다)에 전원 공급을 하는데 사용하는 전원 공급장치[CTD(Condenser Trip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공급장치에는, AC 입력전원의 순간 정전시(1 내지 2초)에는 차단기의 차단을 방지하는 순간차단 지연부를 설치한 차단기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용 전원 공급장치에는, 차단기에 연결되는 각종 직류 전원제품[부하(負荷)]들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전원의 단락, 지락, 결상 혹은 정전 등의 사고가 있는 경우, 차단기 측으로 전해 콘덴서(캐패시터)에 기 충전되어 있던 소정의 전압을 릴레이 접점단을 통하여 차단기의 트립 코일측으로 방전되게 함으로써 차단기를 신속히 단락되게 하는 차단기 차단 회로를 구비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차단기용 전원 공급장치는 순간적인 정전 즉, 불과 1 내지 2초 동안의 순간 정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회로 구성으로 인하여 차단기는 순간정전때 마다 계속하여 차단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차단기의 차단시마다 그 차단기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사용상의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음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력전압이 1 내지 2초의 순간 정전의 경우에는 차단기에 트립 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측의 릴레이스위치로 하여금 원래의 비 접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한 차단기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는, AC 전압을 정류부를 통하여 DC 전압으로 정류 후 출력부를 통해 차단기로 인가하도록 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입력전압의 순간 정전시 기 충전되어있던 전압을 상기 차단기에 트립 전압을 인가하는 DC측 릴레이 스위치로 방전하여 DC측 릴레이스위치로 하여금 비접점 상태를 유지하게 한 순간차단 지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순간 차단 지연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인가되는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와 순간 정전시 상기 콘덴서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상기 DC측의 릴레이 스위치로 인가하여 DC측의 릴레이 스위치를 비 접점 상태로 유지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DC측의 릴레이 스위치가 즉시 접점 위치로 전환되게 선택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단기용 전원 공급장치에 차단 지연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입력전압이 순간 정전(대략 1내지 2초)시, 차단 지연부의 콘덴서에 기 충전되어 있던 전압을 차단기에 트립 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측의 릴레이 스위치로 방전하여 그 직류측의 릴레이스위치로 하여금 비접점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차단기의 불필요한 차단 작동을 없게 하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가 차단기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1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차단 전원공급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가 차단기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100)는, AC전원 입력부(101)에서 공급되는 AC전압을 DC전압으로 정류하여 차단기(110)로 공급함과 아울러 단락,지락, 결상 혹은 정전시에는 차단기(120)에 설치된 트립 코일을 여자 시키는 전압을 인가하여 차단기(120)를 속히 차단함으로써 불안정한 전압 공급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제품 손상을 없게 하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1 내지 2초간의 깜빡거리는 순간 정전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장치(100)로 부터 차단기(110)에 설치된 트립 코일을 여자 시키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하여 순간차단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순간 차단 지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차단 전원공급장치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단 전원공급장치(100)는 AC전원 입력부(101), 정류부(102), 순간차단 지연부(103), 차단부(104) 및 출력부(105)로 이루어져 있다. AC전원 입력부(101)는 AC전원을 입력받는다.
상기 정류부(102)는 AC전원 입력부(101)로부터 AC 전원 전압을 평활화하여 DC전압으로 정류한다. 정류 작용을 하는 정류부(102)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부(102)에서 정류된 DC 전압은 차단기(120)(도1참조)와 결선되는 출력부(105)를 통하여 각종 직류 전원 제품(부하들)을 가동하는데 사용한다.
또 정류부(102)에서 정류된 DC 전원 전압은 상기 순간차단 지연부(103) 및 차단부(104)의 각각 전해 콘덴서(C1) 및 (C2)측으로 인가되어 전해 콘덴서(C1) 및 (C2)를 각각 충전되게 하고, 또한 상기 차단부(104)의 릴레이 스위치(104a)의 릴레이(RY)에 인가되어 릴레이(RY)를 작동시킴으로써 릴레이(RY)와 연동되게 구성된 접점부(RYb)를 비(非)접점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차단기(120)(도1참조)를 차단하는 트립 코일(미도시)측으로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차단기(120)가 차단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AC전원 입력부(101)로부터의 전원 전압의 정전(혹은 단락, 결상, 지락 등)이 발생되는 경우, 출력부(105)로부터의 모든 DC전압의 출력이 없게 됨은 물론 상기 순간차단 지연부(103) 및 차단부(104)측으로도 DC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104)의 릴레이 스위치(104a)의 릴레이(RY) 또한 작동 중단으로 인하여, 접점부(RYb)는 비(非) 접점 상태에서 가상선인 접점 상태로 속히 전환되며, 전해 콘덴서(C1)로부터 방전되는 소정의 전압이 접점 상태를 유지하는 접점부(RYb)를 경유 후 출력부(105)의 출력단을 통하여 차단기(120) (도1참조)의 트립 코일(미도시)측으로 인가되며,이에 의해 차단기(120)의 신속한 차단이 실행된다. 정전이 회복되면 사용자들은 차단기 또한 원래 상태로 복귀하면된다.
상기 순간차단 지연부(103)는 정전 상태가 1 혹은 2초 동안 순간적으로 발생하였다가 복귀되는 경우 적용되어 차단기(120)의 불필요한 차단을 없도록 하는 것이다. 순간차단 지연부(103)의 사용은 사용자들이 선택 스위치(103a)의 선택에 따라서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컨데, 사용자들이 순간적인 정전의 경우에도 차단기가 신속히 차단됨을 원하는 경우에는, 선택 스위치(103a)를 가상선 위치인 오프(off)상태로 위치되게 조작하면 된다. 선택 스위치(103a)를 가상선 위치인 오프(off)상태로 위치하게 조작하면, 상기 순간차단 지연부(103)의 전해 콘덴서(C2)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이 상기 차단부(104)의 릴레이 스위치(104a)로 인가되지 않게 되어 릴레이 스위치(104a)의 작동 중단으로 인하여 상기 차단부(104)는 상기와 같이 작동하면서 차단기의 신속한 차단이 실행되게 한다.
반면에 순간적인 정전의 경우에 차단기의 차단이 실행되지 않게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 스위치(103a)를 실선 위치로 조작하여 선택 스위치(103a)를 온(on)상태로 유지하게 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1 혹은 2초 동안의 순간적인 정전 상태가 발생 하게 되면, 상기 순간차단 지연부(103)의 전해 콘덴서(C2)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은 실선위치의 선택 스위치(103a)를 통하여 상기 차단부(104)의 릴레이 스위치(104a)로 인가되어 릴레이(RY)를 원래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릴레이와 연동되는 접점부(RYb) 또한 원래의 실선위치인 비(非)접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순간정전에는 차단기가 차단되는 일이 없게 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6은 방전용 스위치를, D1,D2,D3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를, 그리고 R1~R3는 저항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순간 정전에는 차단기의 불필요한 차단이 없게 하여 사용자들에게 사용함에 편리성을 주는 유용한 이점이 있다.
100: 전원공급장치 120 : 차단기
102 : 정류부 103 : 순간차단 지연부
104 : 차단부

Claims (2)

  1. AC전압을 정류부를 통하여 DC 전압으로 정류 후 출력부를 통해 차단기로 인가하도록 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입력전압의 순간 정전시 기 충전되어있던 전압을 상기 차단기에 트립 전압을 인가하는 DC측 릴레이 스위치로 방전하여 DC측 릴레이스위치로 하여금 비접점 상태를 유지하게 한 순간차단 지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순간 차단 지연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인가되는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와 순간 정전시 상기 콘덴서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상기 DC측의 릴레이 스위치로 인가하여 DC측의 릴레이 스위치를 비 접점 상태로 유지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DC측 릴레이 스위치가 즉시 접점 위치로 전환되게 선택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KR2020100008922U 2010-08-26 2010-08-26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KR200455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22U KR200455912Y1 (ko) 2010-08-26 2010-08-26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22U KR200455912Y1 (ko) 2010-08-26 2010-08-26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912Y1 true KR200455912Y1 (ko) 2011-10-04

Family

ID=7307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22U KR200455912Y1 (ko) 2010-08-26 2010-08-26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37A (ko) *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파세텍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2016001248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07071B1 (ko) * 2014-07-23 2016-03-29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 정전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62Y1 (ko) * 2001-08-22 2001-11-23 김창화 차단 지연시간 조정이 가능한 씨.티.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62Y1 (ko) * 2001-08-22 2001-11-23 김창화 차단 지연시간 조정이 가능한 씨.티.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37A (ko) *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파세텍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07071B1 (ko) * 2014-07-23 2016-03-29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 정전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40144B1 (ko) * 2014-07-23 2016-07-15 주식회사 파세텍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2016001248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40145B1 (ko) * 2014-07-24 2016-07-15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65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power supply and/or detection circuit failures within an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101550374B1 (ko) 고전압 dc 차단기
KR101521545B1 (ko) 고압 직류 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6213179A (ja) 直流回路遮断器および使用方法
US20160028222A1 (en) Circuit breaking arrangement
US9300126B2 (en) Electrical apparatus for the short-circuit protection of a three-phase load in a three-phase system
KR101684840B1 (ko) 컨버터 유닛 시스템 및 컨버터 유닛
EP2424061A2 (en) Branch circuit protection with in-line solid state device
US20140334047A1 (en) Self-power circuit for protecting relay
KR200455912Y1 (ko) 차단기용 전원공급장치
CN107534438A (zh) 直流固态断路器及配电系统
GB2518733A (en) Neutral line breakage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corresponding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JP5651508B2 (ja) 突入電流抑制装置
KR101809944B1 (ko)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한 아크억제형 직류차단기
KR20170006765A (ko) 고전압 배터리 팩 보호용 안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회로 모듈
CN112103922B (zh) 一种电源保护装置、方法和驱动器
KR101270879B1 (ko)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접속 장치
US10411457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n AC voltage network
CN101807497B (zh) 带选择性的直流断路器
JP2007110844A (ja) 直流電源遮断装置
KR101387730B1 (ko) 트리거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칭장치
CN108281331B (zh) 三相欠压跳闸装置以及具有三相欠压跳闸装置的塑壳断路器
JP2007242268A (ja) 漏電遮断器
KR101522955B1 (ko) 결상 보호 차단기
JP5818152B2 (ja) 直流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