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840Y1 -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840Y1
KR200455840Y1 KR2020090014587U KR20090014587U KR200455840Y1 KR 200455840 Y1 KR200455840 Y1 KR 200455840Y1 KR 2020090014587 U KR2020090014587 U KR 2020090014587U KR 20090014587 U KR20090014587 U KR 20090014587U KR 200455840 Y1 KR200455840 Y1 KR 20045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plate
stud
plate
display device
lar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865U (ko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주)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티 filed Critical (주)디앤티
Priority to KR2020090014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84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양단에 스터드가 압입되는 스터드 플레이트와;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 재질인 케이스 내측면에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에 스터드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형성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에 접착제 유입홀을 형성한 후 스터드 플레이트를 수납홈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스터드를 상대물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할 때 스터드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 영상, LCD, 스터드, 조립, 내구성

Description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STUD PLATE ASSEMBLY STRUCTURE FOR LARGE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스터드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형성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에 접착제 유입홀을 형성한 후 스터드 플레이트를 수납홈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도록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동작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는 발전을 거듭하여 대화면이 얇은 박막으로 동작가능하기 때문에, 근래 들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제품 외관에 스크류가 보이지 않는 컨셉이 최근 디자인 트렌드의 흐름이다.
한편, 케이스가 합성수지 재질인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크를 이용할 수 있어 제품의 디자인을 고급화시킬 수 있는 데 비하여, 케이스가 금속 재질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측면에 스터드 플레이트(3)를 접착제를 통해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터드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식은 단순히 플레이트를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키기 때문에 접착력에 한계가 있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스터드를 상대물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하고자 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스터드 플레이트와 접착제의 접착이 약해 스터드 플레이트가 회전되어 체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에 스터드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형성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에 접착제 유입홀을 형성한 후 스터드 플레이트를 수납홈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스터드를 상대물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할 때 스터드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양단에 스터드가 압입되는 스터드 플레이트와;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 재질인 케이스 내측면에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는 이지아이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을 압입하여 그 두께를 0.8~2.0㎜로 유지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는 세로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복수의 접착제 유입홀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납홈은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에 따르면, 케이스에 스터드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형성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에 접착제 유입홀을 형성한 후 스터드 플레이트를 수납홈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스터드를 상대물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할 때 스터드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스터드 플레이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제품의 내구성 증대 및 고급화를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100)는 스터드 플레이트(110)와, 수납홈(1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터드 플레이트(110)는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양단에 통상의 방법에 의해 스터드(Stud)(111)가 압입된다. 여기에서, 스터드 플레이트(110)는 이지아이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을 압입하여 그 두께를 0.8~2.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가 얇을수록 접착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스터드(111)가 압입될 수 있는 최소 두께(0.8㎜)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한, 스터드 플레이트(110)는 접착제(130)가 기둥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스터드 플레이트(11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세로측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복수의 접착제 유입홀(1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납홈(120)은 스터드 플레이트(110)가 부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1) 내측면에 스터드 플레이트(1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납홈(120)은 스터드 플레이트(11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스터드 플레이트(110)의 수납시 유격이 없도록 오차를 최소화시킨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의 제작시 스터드 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수납홈(120)을 형성한다.
또한, 이지아이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을 압입한 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플레이트를 제작후 플레이트의 일측면 양단에 스터드(111)를 압입하여 스터드 플레이트(110)를 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납홈(120) 내측 또는 스터드 플레이트(110)중 스터드(111)가 미돌출된 면에 접착제(에폭시 레진)(13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130)는 스터드 플레이트(110)의 접착제 유입홀(113)에 충진되도록 충분한 량을 도포한다. 또한, 수납홈(120) 또는 스터드 플레이트(110)에 모두 접착제(130)를 도포할 수도 있다.
접착제(130)의 도포가 완료되면, 수납홈(120)에 스터드 플레이트(110)의 스터드(11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플레이트(110)의 접착제 유입홀(113)에 접착제(130)가 유입되면서 원기둥 형태의 고착된다.
따라서, 스터드(111)를 상대물(미도시)에 삽입하여 너트를 전동 공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때 스터드 플레이트(110)가 수납홈(120)에 안착되고, 접착제 유입홀(113)에 접착제(130)가 원기둥 형태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터드 플레이트(110) 자체가 회전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10 : 스터드 플레이트
111 : 스터드 113 : 접착제 유입홀
120 : 수납홈 130 : 접착제

Claims (4)

  1.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양단에 스터드가 압입되며, 세로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복수의 접착제 유입홀이 형성되는 스터드 플레이트와;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 재질인 케이스 내측면에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는,
    이지아이강판 또는 갈바늄 강판을 압입하여 그 두께를 0.8~2.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상기 스터드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KR2020090014587U 2009-11-10 2009-11-10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KR20045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87U KR200455840Y1 (ko) 2009-11-10 2009-11-10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87U KR200455840Y1 (ko) 2009-11-10 2009-11-10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65U KR20110004865U (ko) 2011-05-18
KR200455840Y1 true KR200455840Y1 (ko) 2011-09-27

Family

ID=4508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587U KR200455840Y1 (ko) 2009-11-10 2009-11-10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648B1 (ko) 2022-12-21 2023-12-22 경일정밀 주식회사 판넬에 스터드를 조립하기 위한 스터드 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47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루프 몰딩
KR20050096751A (ko) * 2004-03-31 2005-10-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이물방지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87762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90074651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브래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47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루프 몰딩
KR20050096751A (ko) * 2004-03-31 2005-10-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이물방지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87762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90074651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표시장치용 월 마운트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648B1 (ko) 2022-12-21 2023-12-22 경일정밀 주식회사 판넬에 스터드를 조립하기 위한 스터드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65U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433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US9254005B2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CN106886100B (zh) 显示装置
JP2008298964A (ja) キャビネットの組み立て構造及び薄型表示装置
JP2009021674A (ja) 携帯用電子機器
US2011001334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41893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455840Y1 (ko)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터드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
US9221167B2 (en) Screw bit holder
CN107390778B (zh) 壳体用部件以及电子设备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JP5505059B2 (ja) 表示装置
US7921996B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340265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sin black matrix having polarizing function
JP2010032470A (ja) ケースの防水構造
US20130021728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743314B2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画像表示装置
JP2006284642A (ja) 液晶表示装置
JP2013101218A (ja) 表示装置のフロントユニット
US9435941B2 (en) Backlight module and fixture thereof
JP5967451B2 (ja) バンド取付構造および腕時計
KR10170303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포켓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CN113825570B (zh) 振动装置
KR1006432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5825193B2 (ja) 電子機器及び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