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602Y1 - Cradle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Cradle for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602Y1
KR200455602Y1 KR2020110001469U KR20110001469U KR200455602Y1 KR 200455602 Y1 KR200455602 Y1 KR 200455602Y1 KR 2020110001469 U KR2020110001469 U KR 2020110001469U KR 20110001469 U KR20110001469 U KR 20110001469U KR 200455602 Y1 KR200455602 Y1 KR 200455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opening
cradle
screen
magnify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4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202011000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smartphone,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 and th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 to expose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M) to the front side; Located in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10, the magnifying lens 20 of the rectangular shape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that shields external light from being introduced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Speakers 40 and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nd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Description

스마트폰용 거치대{Smart phone cradle}Smartphone cradle {Smart phone cradle}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smartphone that can double the usability of the mounted smartphone.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비하여 커다랗고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뛰어난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A smart phone,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by applying an application such as an app, and also provides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while providing a larger and higher quality image tha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since the smartphone provides excellent video, many people wat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이러한 스마트폰은 생활의 패턴을 바꿀 정도로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주변기기에 관련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Since such smartphones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so as to change a life patter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peripheral devices as well as ap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smartphone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치된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by reflecting the above trend, which can double the usability of the mounted smartphone, and can also be used for smartphone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hereby providing a smart cradle for versatility. For the purpose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상기 거치부(10)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거치부(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 한쌍의 홈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embodiment of the cradle for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 and the opening to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11);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nd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In order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 phone 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 phone M is inserted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ide of the mounting part 10.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for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 and the opening that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11);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Shanghai Dongbo government for correcting the movement of the smart phone M to the upper or lower sid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inserting portion 12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 phone M to the upper or lower side ( 13);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for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 and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Mounting unit 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a pair of grooves 16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0 to be immersed in the cent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for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 and the opening that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11);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posed groove 17 for exposing the button (B)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ed smartphone (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73)와,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73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body portion 70 and the body connected to the battery 73 as being installed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ase body portion 70 The charging port 74 further includes.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3)는 상기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충전단자(75)가 상기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상기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73)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charging terminal (75)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portion (70); When the body charging terminal 75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phone (M) to supply power to the smartphone (M).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또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을 상기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를 더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30 or the base body portion 70, and further includes a solar cell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73.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wall (12a) of the insertion portion 12 opposite to the opening 11, the front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inserted smartphone (M)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1). (14) is further included.

본원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단순히 거치함으로써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화면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하고, 증진된 음질의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책상위에 비치하여 탁상용 TV 또는 오디오로도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radle for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usability by simply mounting the smartphone. In particular, by expand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o a size of about 6 to 8 inches, and generates enhanced sound quality, it can be used as a desktop TV or audio on a desk, and eyes fatigue and deterioration even after long hours of watching. Can be prevented.

또한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smartphone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그리고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동안 충전이 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And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convenience by not having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charging by being charged while using the smartpho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개구부 및 전방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한 도면으로 상하이동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4의 전방가압부 내부의 전방가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6의 전방가압부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거치부 내부의 개구부 주위면에 마련된 틈새폐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몸체부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radle for the smartphone of Figure 1,
3 is a rear view of the holder for the smartphone of Figure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portion and the front pressing unit i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racting portion of FIG.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by extracting the holder of FIG. 3;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ront pressing unit inside the front pressing unit of 4;
7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VII 'of the front pressing of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p closing surface provid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in the mounting portion of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olar cell is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of FI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radl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용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radle for the smartphone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cradle for the smartphone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거치대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와;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와;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와;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와;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60)과;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cradle for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 and the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11 to expos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to the front side ( 10);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that shields external light from being introduced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light blocking film 60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part 30 to prevent the surrounding light from being irradiated to the magnifying lens 20; It includes; base body portion 70 is supported by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50).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개구부 및 전방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한 도면으로 상하이동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mounting portion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the front pressing por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tracting the mounting portion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거치부(10)는 확대렌즈(20)의 반대측인 몸체부(30)의 후방에 설치되며, 스마트폰(M)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곳이다. The mounting portion 1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30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magnifying lens 20, where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and mounted.

거치부(1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11)는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후술할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된다. The opening 11 form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일반적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은 대각선이 3.5인치에서 4.5 인치 범위인 크기를 가지며, 제조사별 및 사양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거치부(10)에 특정 크기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이 개구부(11)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대렌즈(20)에 의하여 확대된 영상이 개구부(11)의 정중앙에서 벗어나 보기가 불편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has a size range from 3.5 inches to 4.5 inches diagonally, the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s. Therefore, when mounting a smartphone of a specific size on the mounting portion 10,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ay be biased to the left or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or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magnifying lens It may be inconvenient to see the image enlarged by 20 outside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치부(10)에는 스마트폰 화면이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그 스마트폰(M) 좌우측 방향 및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한 기술구성이 채용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ounting portion 10 is adopted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the movement cor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martphone (M) so that the smartphone scree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거치부(10)의 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스마트폰(M)의 화면을 수평방향에서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ide of the mounting part 10. Accordingly, the smartphone M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u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삽입부(12)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보정부(1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삽입부(12)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스마트폰(M)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a)와, 거치부(1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한쌍의 슬라이더(13b)와, 지지판(13a)의 하부측에 마련된 것으로서 한쌍의 슬라이더(13b)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그 지지판(13a)을 승강시키는 승강경사부(13c)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승강경사부(13c)는 전체적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나, 여러계의 계단식 홈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13b)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채용함으로써,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을 수직방향에서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unit 12 is located in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for correcting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to the upper or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13) is installed.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1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13a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sertion unit 12 to support the smartphone M, and the mounting portion 10.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3a and the pair of sliders 13b which are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side and move away from each other.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lifting slope 13c. At this time, the elevating slope portion 13c is inclined as a whole, but a plurality of stepped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slider (13b) can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By employing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13, the smartphone M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us the screen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본원은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폰(M)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부(12)와, 스마트폰(M)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이동보정부(13)를 채용하고, 이에 따라 제조사별로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the size of the smartphone screen is different, in order to use it universally, the insertion unit 12 and the smartphone M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smartphone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mploying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13 to move to the upper or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ositi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size of each manufacturer by the manufacturer in the exact center of the opening (11).

도 6은 4의 전방가압부 내부의 전방가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6의 전방가압부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front pressing portion inside the front pressing portion of 4,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VII 'of the front pressing portion of 6.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는, 삽입된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방가압부(14)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폰(M)의 배면을 개구부(11) 측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탄성플레이트(14a)와, 탄성플레이트(14a)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날개(14b)와, 한쌍의 날개(14b)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4c)과, 내측후방벽(12a)에서 돌출되어 가이드공(14c)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14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마트폰(M)을 삽입부(12)에 삽입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플레이트(14a)가 화살표 방향으로 눌리면서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방향으로 탄성가압시키고, 이때 한쌍의 날개(14b)는 좌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the front pressing part 14 which presses the inserted smartphone M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11 is provided in the inner rear wall 12a of the insertion part 12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part 11. . The front pressing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elastic plate 14a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front side to elastically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M to the opening 11 side, and the elastic plate ( A pair of wings 14b bent inward at both ends of 14a, a guide hole 14c formed horizontally on the pair of wings 14b, and protrude from the inner rear wall 12a to guide the guide holes 14c. It may be implemented as a guide protrusion 14d penetrating. By this structure, when inserting the smart phone (M) into the insert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ure 7 the elastic plate 14a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ile the smart phone (M) in the opening 11 direction Elastic pressing, the pair of wings 14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arrow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제조사별 및 사양에 따라 두께에 있어 차이가 있고, 또한 동일 제조사 및 사양이라 하더라도 액세서리 커버가 장착된 여부에 따라 두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2)의 폭은 전체 두께가 큰 스마트폰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In general, smart phones have a difference in thickness according to manufacturers and specifications, and even the same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s may have a difference in thickness depending on whether an accessory cover is mount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12 should be large enough so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mart phone can be inserted.

그러나 삽입부(12)의 폭이 클 경우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의 스마트폰을 삽입하였을 때 삽입부(12) 내측에서 덜렁거리고, 따라서 개구부(11)의 주위면(11a)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광이 개구부(11)의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12 is large, when a smartphone having a thin thickne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2 is slack, so that a gap may be generate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11a of the opening 11. have. In this case, external light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peripheral surface 11a of the opening 11 and the smartphone M, so that the screen is not clearly seen.

본원은 상기한 전방가압부(14)를 채용함으로써, 전체 두께가 얇은 스마트폰이 삽입부(12)에 삽입될 경우에도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스마트폰(M)의 표면을 개구부 주위면(11a)에 밀착시켜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여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By adopting the front pressing unit 14 described above, the smart phone M can be pressed toward the opening 11 even when a smartphone having a total thickne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unit 12, and the smartphone ( The surface of M)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11a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11a and the smartphone M so that external light may not be introduced. Accordingly, the scree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urred.

도 8은 도 4의 거치부 내부의 개구부 주위면에 마련된 틈새폐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p closure surface provided on a periphery of the opening inside the mounting portion of FIG. 4.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 내측의 개구부(11) 주위에 형성된 주위면(11a)에는,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면(15)이 설치된다. 이러한 틈새폐쇄면(15)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되는데, 예를 들면 도톰한 두께의 벨벳 직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a formed around the opening 11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12, the gap closing surface 15 for closing the gap between the opening circumference 11a and the smartphone M is provided. This is installed. The gap closing surface 15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preferably made of a thick velvet fabric.

일반적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측의 표면은 평면으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조사 및 사양에 따라 약간의 굴곡이 있게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개구부 주위면(11a)의 표면은 평면으로 가공되지만, 주위 온도에 따라서 약간의 굴곡이 발생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의 표면과 개구부 주위면(11a)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가 발생될 때에는, 외부의 광이 틈새로 유입되어 유입된 광에 의하여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In general, the surface of the screen side of the smartphone (M) may be implemented as a plane, but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slight bend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s. In addition, although the surface of the opening peripheral surface 11a is processed into a plane, some curvature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according to ambient temperature. In this case, a slight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M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 and the opening peripheral surface 11a. When such a gap is generated, the screen is not clearly seen by the ligh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gap from the outside light.

본원은 상기한 틈새폐쇄면(15)을 채용함으로써, 스마트폰(M)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거나 개구부 주위면(11a)에 변형된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그 스마트폰(M)의 표면을 개구부 주위면(11a)에 밀착시켜 스마트폰(M)과 개구부 주위면(11a)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틈새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화면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employs the above-described clearance closing surface 15, so that even if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M) or the modified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pening peripheral surface (11a)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M) around the open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11a, the gap between the smartphone M and the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11a is closed, thereby preventing external light from flowing into the gap to prevent the screen from being blurred.

한편, 거치부(10)의 좌우측에는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된 한쌍의 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6)는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grooves 16 immersed to the cent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0. The groove 16 is for securing a space for moving the smartphone M inserted in the insertion portion 12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거치부(10)의 상부측에는,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조작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 exposure groove portion 17 for exposing the operation button B on the side surface of the smartphone M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 is formed.

스마트폰(M)의 측부면에는 그 스마트폰(M)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B)이 설치되는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노출홈부(17)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된 스마트폰(M)의 조작버튼(B)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M)이 삽입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그 스마트폰(M)을 조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smartphone (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B) for operating the smartphone (M), smart inserted by forming an exposed groove 17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phone M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smartphone M even when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

확대렌즈(20)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보이는 스마트폰(M)의 화면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좌우측 및 상하측 비율에 맞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현된다. 확대렌즈(20)는 스마트폰 화면을 선명하게 확대할 수 있도록 수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플란넬(flannel)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6 인치에서 8 인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ifying lens 20 enlarge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which is seen through the opening 11,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atios of the smartphone screen. The magnification lens 20 preferably does not have aberration so that the smartphone screen can be clearly enlarged. For example, the magnification lens 20 is a flannel lens. And preferably between 6 inches and 8 inches in diagonal direction.

몸체부(30)는 거치부(10)와 확대렌즈(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렌즈(20)와 개구부(11)를 4면에서 연결할 수 있는 내부덕트(35)가 설치된다. 이때, 몸체부(30) 또는 내부덕트(35) 내측벽,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덕트(35)의 내측벽에는 스마트폰(M)의 화면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흡수면(36)은 검정색깔의 코팅층 또는 검정색깔의 재질로 된다.The body portion 30 has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shielded from the outside so as to connect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magnifying lens 20 at the same time, so that no external light is introduce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30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inner duct 35 is provided to connect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opening 11 in four surfaces.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30 or the inner wall of the inner duct 35,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inner duct 35, the light absorption to absorb the light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not reflected The face 36 is formed. The light absorption surface 36 is made of a black coating layer or a black material.

이와 같이, 몸체부(30)는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 내부덕트(35)가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매우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As such, the body portion 30 has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shielded from the outside so that external light does not flow in, the inner duct 35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30, the image output from the smartphone screen is very You will see clearly.

스피커(40)(41)는 몸체부(30)의 양측 또는 후술할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스피커(40)(41)는 스마트폰(M)에 내장된 스피커에 비하여 월등히 커서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40)(41)는 스마트폰(M)의 이어폰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연결단자(미도시)가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그 내부에는 증폭회로가 내장되어 스마트폰의 음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Speakers 40 and 4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30 or the base body portion 7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base body portion 70. Speakers 40 and 41 are much larger than the speakers built into the smartphone M and output high quality sound. At this time, the speaker 40, 41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earphone output terminal of the smartphone (M) is connected, or an amplification circuit is built therein to amplify the sound signal of the smartphone. have.

각도조절지지부(50)는,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각도조절지지부(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0)의 양 측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베이스몸체부(7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art 30 and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 plate that is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30 and fixed to the base body portion 70 .

본원의 거치대는 확대렌즈(20)에 의하여 스마트폰(M)의 화면을 확대시킬 수 있으나 반비례하여 시야각은 작아진다. 따라서 확대렌즈(20)를 통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정확히 시청하고자 할 경우, 시청자의 눈이 확대렌즈(20)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가 시청자의 눈과 직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50)를 채용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은 책상위에 거치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동안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는 더더욱 중요한 기술구성이다. The crad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nlarg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by the magnifying lens 20, but inversely, the viewing angle becomes small.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accurately view the smartphone screen through the magnifying lens 20,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is perpendicular to the viewer's eye so that the viewer's eyes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magnifying lens 20. Should be. To this end, the angle adjusting unit 50 for adjusting the standing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is adopted. 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be able to wat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while being mounted on the desk,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unit 50 for securing the viewing angle is an even more important technical configuration.

광차단막(60)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 특히 천정에서 조사되는 광이 확대렌즈(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light blocking film 6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part 30 and blocks the light from the surroundings, especially light emitted from the ceiling, into the magnifying lens 20.

일반적으로 천정에는 대부분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명에서 발생되는 광이 확대렌즈(20)에 반사된 후 시청자의 눈으로 조사될 경우, 반사광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지 않도록 광차단막(60)이 설치되는 것이다. In general, the ceiling is mostly installed, when the light generated by the illumination is reflected by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n irradiated by the viewer's eye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not clearly seen by the reflected ligh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ight blocking film 60 is installed so that ambient light is not irradiated to the magnifying lens 20.

베이스몸체부(70)는 각도조절지지부(5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피커(40)(41)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71)과, 스마트폰(M)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7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볼륨(71) 및 스위치(7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본원의 거치대를 TV 나 오디오를 조작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base body part 70 supports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a volume 71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40, 41, and a plurality of switches for operating the smartphone M ( 72) is installed. Accordingly, by operating the volume 71 and the switch 72, the hold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operating a TV or audio.

또한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73)가 설치되고,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는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 예를 들면 USB 포트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용충전기의 전선과 연결된 충전단자를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면 배터리(73)가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용충전기의 충전단자는 배터리(73)를 충전할 경우만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고, 평소에는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거치대는 전선이 연결되지 않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어, 이동성이 매우 좋다. In addition, a rechargeable battery 73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body 70, and a body charging port 74 connected to the battery 73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ase body 70, for example, USB. The port is installed. Accordingly, the battery 73 is charged when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existing common charger is connected to the body charging port 74. By such a configuration,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ommon charger is connected to the body charging port 74 only when charging the battery 73, and is usually separated. Therefore, the crad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wire, very good mobility.

배터리(73)는 스피커(40)(41)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피커(40)(41)가 스마트폰(M)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The battery 73 supplies power to the speakers 40 and 41 so that the speakers 40 and 41 amplify and output the sound signals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M.

또한 배터리(73)는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73)는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몸체부충전단자(75)가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더 나아가 충전이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73 supplies power to the smartphone (M). To this end, the battery 73 is connected to the body charging terminal 75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portion 70, when the body charging terminal 75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phone (M) smart phone ( Supply power to M) and further charge it.

한편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는 직접 몸체부충전포트(74)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존의 공용충전기의 충전단자를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폰(M)이 충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ody charging terminal 75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phone M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charging port 74, in which case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existing common charger body charging port 74 The smartphone M may be charged by connecting to it.

그리고, 몸체부(30) 또는 베이스몸체부(70),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이나, 조명등의 광에 의하여 태양전지(80)는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73)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73)는 항상 충전상태가 될 수도 있다. And, in the body portion 30 or the base body portion 70, the body portion 30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the solar cell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73 is Can be installed. Accordingly, the solar cell 80 generates electricity and supplies the battery 73 to the battery 73 by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day or light such as an illumination lamp, and thus the battery 73 may be always in a charged state.

이와 같이, 본원 고안의 스마트폰용 거치대는, 스마트폰(M)을 단순히 거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또한 증진된 음질의 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책상위에 비치하여 사용할 때 TV 또는 오디오로도 사용할 수 있고, 화면이 확대되므로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the smart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to a size of about 6 to 8 inches by simply mounting the smart phone M, and can also generate enhanced sound quality. .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TV or audio when used on a desk, and the screen is enlarged, so that eyes tired and eyesight can be prevented even when watching for a long time.

또한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smartphone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거치부 11 ... 개구부
11a ... 개구부 주위면 12 ... 삽입부
13 ... 상하이동보정부 13a ... 지지플레이트
13b ... 슬라이더 13c ... 승강경사부
14 ... 전방가압부 14a ... 탄성플레이트
14b ... 날개 14c ... 가이드공
14d ... 가이드돌기 15 ... 틈새폐쇄면
16 ... 홈부 17 ... 노출홈부
20 ... 확대렌즈 30 ... 몸체부
35 ... 내부덕트 36 ... 광흡수면
40, 41 ... 스피커 50 ... 각도조절지지부
60 ... 광차단막 70 ... 베이스몸체부
71 ... 볼륨 72 ... 스위치
73 ... 배터리 74 ... 몸체부충전포트
75 ... 몸체부충전단자 80 ... 태양전지
10 ... mounting 11 ... opening
11a ... periphery of opening 12 ... insert
13 ... Shanghai Dongbo Government 13a ... Support Plate
13b ... slider 13c ... lifting ramp
14 ... front pressing part 14a ... elastic plate
14b ... wing 14c ... guide ball
14 d ... guide protrusion 15 ... clearance closing surface
16 ... groove 17 ... exposed groove
20 ... magnifying lens 30 ... body
35 ... internal duct 36 ... light absorption surface
40, 41 ... Speaker 50 ... Angle support
60 ... light shield 70 ... base body
71 ... Volume 72 ... Switch
73 ... Battery 74 ... Body charging port
75 ... Body charging terminal 80 ... Solar cell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상기 거치부(10)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A mounting part 10 having an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and an opening 11 through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nd
And a base body portion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is supported;
In order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insert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 is a cradl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A mounting part 10 having an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and an opening 11 through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In order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unit 12, and the Shanghai Dongbo government 13 for correcting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M to the upper or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cradle for a smartphone comprising:).
삭제delete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거치부(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 한쌍의 홈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A mounting part 10 having an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and an opening 11 through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A cradle for a smartphone, comprising: a pair of grooves 16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adle 10 to be immersed in the center side of the cradle 10.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 및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A mounting part 10 having an insertion part 12 into which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and an opening 11 through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 magnified len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lder 10 to enlarge the smartphone scree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A body part 30 for shielding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magnifying lens 20 and the mounting part 10;
A speaker (40) (41)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phone (M);
As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0,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upright angle of the magnifying lens 20;
A base body part 70 on which the angle adjustment support part 50 is supported; And
The cradl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adle (10), including an exposed groove portion (17) for exposing the button (B) of the side surface of the smart phone (M) inse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73)와,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6 and 7,
Installed inside the base body 70, the rechargeable battery 73 and the body portion charging port 74 connected to the battery 73 as being installed on the back or front of the base body 70 A cradl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3)는 상기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충전단자(75)가 상기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상기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ttery 73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charging terminal 75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portion 70;
When the body charging terminal 75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 phone (M)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phone (M); cradle for a smartph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또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1,
Mounted on the body portion 30 or the base body portion 70, the cradle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olar cell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73).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을 상기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6 and 7,
A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wall 12a of the insertion part 12 opposite to the opening 11, the front pressing part 14 for pressing the inserted smartphone M toward the opening 11 is further provided. Smartphon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2020110001469U 2011-02-22 2011-02-22 Cradle for smartphone KR2004556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69U KR200455602Y1 (en) 2011-02-22 2011-02-22 Cradle for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69U KR200455602Y1 (en) 2011-02-22 2011-02-22 Cradle for smart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602Y1 true KR200455602Y1 (en) 2011-09-15

Family

ID=4508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469U KR200455602Y1 (en) 2011-02-22 2011-02-22 Cradle for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602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53Y1 (en) * 2004-03-08 2004-06-26 채용수 The magnifier apparatus for display of cellular phone in moveable type
KR200386671Y1 (en) * 2005-03-22 2005-06-16 (주)큐세븐 Mobile telephone mounting device with speak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53Y1 (en) * 2004-03-08 2004-06-26 채용수 The magnifier apparatus for display of cellular phone in moveable type
KR200386671Y1 (en) * 2005-03-22 2005-06-16 (주)큐세븐 Mobile telephone mounting device with speak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7242B2 (en) Camera module
US10791274B2 (en) Camera module capable of wide-angle shooting normal-angle shoot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4403830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03312839A (en) Mobile terminal
US9350409B2 (en)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in
US9854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89108A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20180105502A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nic component
KR20150114305A (en) Lens assembly
KR20140090921A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KR20140012814A (en) Camera module
KR20120128254A (en) Smart phone cradle
KR200455602Y1 (en) Cradle for smartphone
CN109151289A (en) Light filling mould group and terminal device
KR101375650B1 (en) Folder type case for smart phone
KR20120083988A (en) Solar charging apparatus for full-touch cellular phone
KR20120129728A (en) Smart phone cradle
CN103631073A (en)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55601Y1 (en) Multifunctional Smartphone Cradle
KR101641486B1 (en) Mobile terminal
KR20120006212U (en) Smart phone cradle
CN201600535U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auxiliary lens thereof
KR20120128257A (en) Smart phone cradle
KR200461647Y1 (en) Smart phone cradle
KR20120129194A (en) Smart phone cra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