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71Y1 - Whiteboard stand - Google Patents

Whiteboard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71Y1
KR200455371Y1 KR2020080016529U KR20080016529U KR200455371Y1 KR 200455371 Y1 KR200455371 Y1 KR 200455371Y1 KR 2020080016529 U KR2020080016529 U KR 2020080016529U KR 20080016529 U KR20080016529 U KR 20080016529U KR 200455371 Y1 KR200455371 Y1 KR 200455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whiteboard
sliding plat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6318U (en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8001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71Y1/en
Publication of KR20100006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7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WHITE BOARD)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보드를 별도의 도구나 공구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거치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of a white board (WHITE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ite board stand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and height-adjustable without a separate tool or tool.

본 고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는,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와,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The whiteboard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portion consisting of a pair of longitudinal frames having a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transverse frame connecting the longitudinal frames, Supported on one side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whiteboard is spaced forward from the longitudinal frame to support, and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whiteboard is pulled backwards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front of the vertical frame It includes a fixing part.

화이트보드, 스탠드, 높이, Whiteboard, stand, height,

Description

화이트보드 스탠드 {STAND FOR WHITE BOARD}Whiteboard Stand {STAND FOR WHITE BOARD}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WHITE BOARD)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보드를 별도의 도구나 공구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거치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of a white board (WHITE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ite board stand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and height-adjustable without a separate tool or tool.

일반적으로 화이트보드(WHITE BOARD)는 그 표면에 합성수지판을 피복한 필기면이 형성되면서 유성마카펜과 같은 특수용 필기구를 사용하여 전달사항 등을 필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white board (WHITE BOARD) is composed of a writing surface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plate on the surface thereof is configured to write the transfer matters using a special writing instruments such as oil-based marker pen.

이러한 종래 화이트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한 벽면에 못을 고정시키고 보드의 상단에 설치된 걸고리부를 못에 삽입시켜 걸게 됨으로써 일정한 장소의 벽면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When the conventional whiteboard is to be used to fix the nail on a certain wall surface and the hook por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ard is inserted into the nail to be fixed to the wall of a certain place to use.

하지만, 이처럼 벽면의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되면 화이트보드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사람은 화이트보드의 필기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흔히 별도의 받침대(의자 또는 책상)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게 된다.However, if the fixed heigh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wall, the height of the whiteboard cannot be adjusted. Therefore, a relatively short person may not use the writing surface of the whiteboard efficiently. This often leads to the inconvenience of using a separate pedestal (chair or desk).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이트보드의 높이를 낮게 설치하면 화이트보드의 필기면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는 있으나 뒷자리에 앉는 사람은 앞자리에 앉은 사람에 의해 시야가 가려 화이트보드의 하부측 내용을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o prevent this, if the height of the whiteboard is set low, the writing surface of the whiteboard can be used properly, but the person sitting at the back seat is blinded by the person sitting at the front seat, so the contents of the lower side of the whiteboard cannot be seen.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화이트보드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화이트보드를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필기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 필기된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를 수반하기도 한다. 더불어 필기면의 하부측 내용을 바라볼 때 그 시야각이 하향으로 형성되면 필기 내용이 흐리게 전달되는 문제 또한 안고 있다.In addition, the whiteboard may be fixedly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nd may be accompanied by a problem such that the writing written b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writing surface is not easily s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rson looking at the whiteboard. In addition, when the viewing angle is formed downward when looking at the lower side of the writing surface, the writing content is blurred.

상술한 종래 화이트보드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의 거치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또한 용이한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hiteboard described abov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tand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when mounting the whiteboard.

또한, 화이트보드가 경사지게 거치되는 받침 구조로 이루어지되 화이트보드의 하측은 단순 지지되고 상측은 스탠드에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손쉽고 견고하게 화이트보드를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whiteboard is made of a support structure that is mounted obliquely, but the lower side of the whiteboard is simply supported and the upper side is to provide a stand that can easily and firmly mount the whiteboard by tightly fixed to the stand.

더불어, 화이트보드의 다양한 크기에 대처하여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tand that can be mounted to cope with various sizes of the whiteboard.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는,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 및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hiteboard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longitudinal frames having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transverse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A fram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the lower end of the whiteboard is supported by the front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ame; And a fix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allowing the upper end of the whiteboard to be pulled backwar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이때, 상기 고정부는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 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에 형성되는 나사홀을 통해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을 전, 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회손잡이로 이루어진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at both ends of the guide plat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sliding plate having a guide groove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to be guided to the front and rear,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And a bolt body coupled through a screw hole formed at a rear end engaging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th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so as to slide the sliding plat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rotation, and the bolt.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consisting of a hand gri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상기 고정부의 다른 예는,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 내측면과 상기 종프레임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미끄럼판을 후방으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the front and rear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ends, the guide plat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sliding plate having a guide groove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to be guided to the front and rear,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And an elastic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liding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sliding plate backwards.

상기 탄성수단은, 수평으로 놓여지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결합체;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 내측면과 면접하는 제2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ans, the coil spring placed horizontally;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coupled, the first assembly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and interviewing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end locking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전술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가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whiteboard stand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plate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so that the sliding plate is tight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late.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 성되며, 전단부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ngitudinal frame,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portion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종프레임의 전후방향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종프레임이 관통하는 경사지지부; 및상기 경사지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단에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된 경사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전단 중앙에는 상기 파지부에 대한 상기 경사지지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되도록 상, 하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And the support portion holding portion; An inclined support portion which is bent downwardly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gripping portion to be integrally formed, and has a through hol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longitudinal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upport part which is bent downwardly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art and integrally formed, and an inclined support part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art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art. Forming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angle of the front bent downwardly bent to form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spaced up and down space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

한편, 상기 종프레임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 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frame,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is made of a sliding upper and lower, one side of the low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have.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종프레임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of an inclined frame bent downward inclined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frame, and a parallel frame bent in parallel to the groun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backward.

이때, 상기 평행프레임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parallel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caster.

또한,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단 사이,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 및 상기 평행프레임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parallel frame, respectively.

더하여,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의 좌, 우 각 일 측에는 받침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leg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inclined frame.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탠드의 편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화이트보드를 훨씬 수월하면서 신속하게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이트보드는 받침부에 걸쳐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하단부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안착되고 이후 화이트보드의 상단 일측을 고정부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후방으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손쉽고 신속한 화이트보드의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teboard can be mounted quickly and easily by the convenient structural features of the stand. Specifically, the whiteboard is naturally seated by sliding the lower end toward the front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supporting part, and then easily and quickly mounting the upper side of the whiteboard by the fastening part easily and quickly to allow the mounting of the whiteboard easily. do.

또한, 프레임부의 직립상태가 종프레임, 종프레임의 지지부 및 횡프레임의 연결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right state of the frame portion is stably maintain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frame, the support of the longitudinal frame and the transverse frame.

또한, 받침부의 상, 하 위치조정, 종프레임의 길이 신축의 효과에 의해 화이트보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시킬 수 있는, 그리고 화이트보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hiteboard by the effect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ment of the support portion, 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eight of the whiteboard provides an easy advantag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또는 동일한 형상적 특징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to be represented by the same member or the same shape feature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ite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shown in Figure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unit shown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unit shown in FIG. 2,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tand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1)는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와, 고정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whiteboard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00, a support part 200, and a fixing part 300.

프레임부(100)는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The frame part 100 includes a vertical frame 110 and a horizontal frame 130.

종프레임(110)은 지면에 직립하도록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즉 화이트보드(10)의 가로폭을 고려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frame 110 is disposed to stand upright on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at intervals considering the width of the white board 10.

종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직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 우 방향으로 경사지게(한 쌍의 종프레임(110)이 서로 상향으로 갈수록 좌, 우로 벌어지거나 혹은 모여지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vertical frame 110 is preferably vertically upr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inclin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frames 110 are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toward each other upwards or to be gather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rrange.

종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종프레임(110)이 전, 후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게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지지부(120)의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support 120 is formed so that the vertical frame 110 is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so as not to fall in the front, rear direc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ppor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횡프레임(130)은 한 쌍의 종프레임(110) 서로를 연결하도록 양 단이 좌, 우 종프레임(110)의 각 내측면에 고정된다. 횡프레임(130)은 하나가 구비되거나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가 구비되는 구체적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Horizontal frame 130 is fixed to each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 110, both ends to connect a pair of longitudinal frame 110 to each other. Horizontal frame 13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a specific example provided with a plurality.

횡프레임(130)은 종프레임(110)에서 형성된 지지부(120)와 더불어 프레임부(100)가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지면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horizontal frame 130 allows the frame part 100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120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10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on the ground without falling down in the front, 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종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받침부(200)가 구비되면서, 거치되는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200, and is supported b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s mounted.

받침부(200)는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받쳐지게 한다. 받침부(200)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supporting unit 200 allows the lower end of the whiteboard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pecific example of the supporting par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종프레임(110)의 상단에는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을 후방으로 당겨 종프레임(110)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300)가 구비된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300 to pull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이렇게 되면 전술한 받침부(200)에서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이 종프레임(110)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됨과 더불어 화이트보드(10)가 본 실시예의 스탠드(1)에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whiteboard 10 is support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whiteboard 10 is inclined from the stan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고정부(300)의 구체적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고정부(300)가 가이드판(310)과 미끄럼판(320) 및 회전체(330)를 포함 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As an example of the fixing part 300, an example illustrated in FIG. 3 may be presented. In the example of FIG. 3, an example is illustrated in which the fixing part 300 includes a guide plate 310, a sliding plate 320, and a rotating body 330.

가이드판(310)은 평판 형상이면서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되게 절곡된 가이드돌기(312)가 형성되며, 하면이 종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312)는 가로폭이 가이드판 몸체(311)의 가로폭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guide plate 310 has a flat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312 that are bent upwardly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312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late body 311.

미끄럼판(320)은 가로폭이 대략 가이드판 몸체(311)의 가로폭에 대응되며, 미끄럼판 몸체(321)의 중앙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홈(321a)이 형성되어 여기에 가이드돌기(31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판(320)은 가이드돌기(312)가 절개홈(3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판 몸체(311)의 상면에 면접하여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The sliding plate 32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a width of the guide plate body 311, and a cutout groove 321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plate body 321 i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s,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312 is formed therein. ) Can be inserted. Therefore, the sliding plate 320 may slide while being gu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intervie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body 311 in a state where the guide protrusion 312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 321a.

그리고 미끄럼판 몸체(321)의 전, 후 양단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322, 323)가 형성된다. 미끄럼판(320)의 전단 걸림부(322)는 그 내측면과 종프레임(110) 상단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수용되며, 이 상태에서 미끄럼판(320)이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면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 밀착된다.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ing plate body 321 is formed with engaging portions 322, 323 bent downward. The shear engaging portion 322 of the sliding plate 320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s accommodated, in this state the sliding plate 320 is Sliding backward, the top of the white board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럼판(320)의 후방 이동이 좀 더 진행되면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보다 가압되어 화이트보드(10)가 유동없는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When the upper side of the white board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rear side of the sliding plate 320 is further progressed,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s more pressed to the white board 10 Is in a fixed state without flow.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방 미끄럼 이동을 위한 수단에 의해 이동력이 작용하는 부위이다.The rear end lock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is a portion where the moving force acts by means for the front and rear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320.

미끄럼 이동을 위한 수단의 구체적 일예로 볼트몸체(331)와 회전손잡이(332)로 이루어진 회전체(330)가 제시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eans for sliding movement, the rotating body 330 consisting of the bolt body 331 and the rotation handle 332 may be presented.

우선,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홀(3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몸체(331)는 이 나사홀(323a)을 통해 나사 결합되면서 그 끝단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된다.First, a screw hole 323a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and the bolt body 331 is screwed through the screw hole 323a. While the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그리고, 나사홀(323a)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몸체(331)의 후방 쪽 단부에는 볼트몸체(33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332)가 결합된다.Then, the rotary knob 332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lt body 331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screw hole 323a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bolt body 331.

회전손잡이(332)의 회전에 따라 볼트몸체(331)가 함께 회전하며, 볼트몸체(331)는 끝단이 종프레임(110) 후면에 닿아 지지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볼트몸체(331)가 나사결합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는 볼트몸체(331) 외주면의 나사산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미끄럼판(320)은 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The bolt body 331 rotates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332, the bolt body 331 is rotated in place with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back end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In this process,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to which the bolt body 331 is screwed is moved forwards and backwards along the threa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body 331, thereby sliding plate 320 is I will slide back and forth.

회전체(330)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판(3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판(320)의 전단 걸림부(322)에 의해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후방으로 당겨져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체(3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미끄럼판(3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화이트보드(10)의 밀착 고정이 해제된다.When the sliding plate 320 is move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3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side of the white board 10 is rearward by the front end engaging portion 322 of the sliding plate 320. Pulled and tightly fixed to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n, when the rotating body 3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liding plate 320 is moved forward to release the close fixing of the white board (10).

이때, 미끄럼판(320)의 후방 이동에 의해 화이트보드(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가압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미끄럼판(320)의 상면을 가압하 면서 가이드판(310)에 결합되어 미끄럼판(320)의 희망하는 고정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350)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10)에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홈을 통해 볼트결합되는 볼트(351)와, 이 볼트(351)에 의해 미끄럼판(320)의 상면이 가압되게 하는 와셔(352)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white board 10 is fixed by the rear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32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sliding plate 320 before and after the pressing member 350. Can be. The pressing member 35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plate 310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320 to prevent the flow of the sliding plate 320 to the front and the rear in a desired fixed position. Specific example of the pressing member 350 is a bolt 351 that is bolted to the guide plate 310 through a bolt groov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sliding plate 320 by the bolt 351 An example consisting of a washer 352 that allows the top of the to be pressed may be presented.

한편, 고정부(300)의 다른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3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300, an example of the fixing part 300 illustrated in FIG. 4 may be provided.

도 4에 도시된 고정부(300)는 전술한 가이드판(310)과 미끄럼판(320)을 포함하면서 회전체(330)가 아닌 탄성수단(340)을 포함한다.The fixing part 300 shown in FIG. 4 includes the aforementioned guide plate 310 and sliding plate 320 and includes elastic means 340 instead of the rotating body 330.

탄성수단(340)은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 내측면을 후방으로 밀어 미끄럼판(320)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며, 탄성수단(340)의 구체적 일 예로 코일스프링(341)과, 제1 및 제2 결합체(342, 343)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The elastic means 340 is supported by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o pus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to the rear to slide the sliding plate 320 to the rear, elastic means ( An example of the coil spring 341 and the first and second combinations 342 and 343 may be present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340.

코일스프링(341)은 화이트보드(10) 상단의 가압 고정이 가능하도록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밀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한 탄성력을 보유한다.Since the coil spring 341 should be able to push the rear end catch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can be pressurized and fixed, the coil spring 341 has an elastic force in consideration of this.

코일스프링(341)은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며, 일단은 제1 결합체(342)에, 그리고 타단은 제2 결합체(343)에 결합된다.The coil spring 341 is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assembly 34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assembly 343.

제1 결합체(342)는 전면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후면 에는 코일스프링(341)의 일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돌기(342a)가 형성된다.The first assembly 342 is fixed to the fro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he rear end is formed with a projection 342a to be fitted with one end of the coil spring 341.

제2 결합체(343) 또한 전면에 코일스프링(341)의 타단부가 끼워질 수 있게 돌기(343a)가 형성되며, 후면은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의 내측면과 면접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assembly 343 also has a protrusion 343a form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341 to be fitted therei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343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Is formed.

이 예에 의하면, 코일스프링(341)은 제1 결합체(342)를 통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결합체(343)를 통해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후방으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써 미끄럼판(320)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coil spring 341 is support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hrough the first assembly 342 and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through the second assembly 343.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rear, whereby the sliding plate 320 can slide back.

사용자는 화이트보드(10)의 거치시 먼저 코일스프링(34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전방으로 밀어 전단 걸림부(322)와 종프레임(110) 전면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으로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을 수용시킨 후 후단 걸림부(323)를 미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미끄럼판(320)의 후방 미끄럼 이동에 의한 화이트보드(10) 상단의 밀착 고정을 이뤄낼 수 있다.When the whiteboard 10 is mounted, the user first pushes the rear end catch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forwar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41 and the front end catching portion 322 and the front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o secure the space between, and accommodate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n this space by releasing the pushing force of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by the rear sliding of the sliding plate 320,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t can achieve a close fixation of.

화이트보드(10) 상단이 후방으로 밀착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경우에도 전술한 가압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pp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s tightly fixed to the re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sliding plate 320 is prevented, and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mber 350 may be provided.

한편, 고정부(300)의 또 다른 예로는 도 5에 도시된 고정부(3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300, an example of the fixing part 300 illustrated in FIG. 5 may be provided.

도 5에 도시된 고정부(300)는, 캡(360)과, 미끄럼판(320)과, 가이드 끼움 부(370)와, 탄성수단(340)이 포함된다.The fixing part 300 illustrated in FIG. 5 includes a cap 360, a sliding plate 320, a guide fitting part 370, and an elastic means 340.

캡(360)은 종프레임(110)의 상단에 씌워져 결합된다.Cap 360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of the vertical frame (110).

미끄럼판은 전술한 미끄럼판(320)과 동일한 부재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sliding plate is the same member as the sliding plate 320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described.

미끄럼판(320)은 캡(360)의 상면에서 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미끄럼판(3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끼움부(370)가 포함된다.The sliding plate 320 slid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360, and includes a guide fitting portion 370 to prevent the sliding plate 320 from being separated while guiding the movement.

가이드 끼움부(370)는 캡(36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361)을 통해 단부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끼움부(370)의 몸체(371)의 단부가 관통홀(361)에 결합되는 것이며, 결합방식의 일 예로 도 5에서는 가이드 끼움부 몸체(371)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360)의 관통홀(361)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The guide fitting portion 370 has an e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6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p 360. Specifically, the end portion of the body 371 of the guide fitting portion 37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61. As an example of the coupling metho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fitting body 371 and the cap is formed. An example in which screw grooves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61 of 360 is screwed together.

가이드 끼움부(370)의 몸체(371)의 외경은 미끄럼판(320)이 가이드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홈(321a)의 폭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몸체(371)의 상단에는 미끄럼판(3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압판(372)가 형성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371 of the guide fitting portion 370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 321a so that the sliding plate 320 can slide while being guided. The pressure plate 37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371 to prevent the sliding plate 320 from being separated.

가압판(372)는 몸체(371)를 관통홀(361)에 결합시킬 때 파지하는 부분이 되기도 하며, 또한 미끄럼판(320)이 희망하는 위치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몸체(371)을 보다 더 회전시켜 결합하게 되면, 가압판(372)이 미끄럼판(320)의 상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pressure plate 372 may be a gripping portion when the body 371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61, and further rotates the body 371 so that the sliding plate 320 is prevented from flowing at a desired position. When combined, the pressing plate 372 serve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320.

캡(360)의 측부에는 전술한 탄성수단(340)이 구비된다.The side of the cap 360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means 340 described above.

탄성수단(340)의 구체적 예로, 전술한 코일스프링(341)과, 제2 결합체(343)를 포함하되, 코일스프링(341)의 일단부는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캡(360)의 측부에 형성된 스프링홈(362)을 통해 이 스프링홈(362) 내측에서 돌출된 돌기(363a)에 끼워져 결합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elastic means 34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il spring 34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343, one end of the coil spring 341 is not fixed to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but the cap ( An example of fitting and engaging the protrusion 363a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pring groove 362 through the spring groove 362 formed on the side of the 360 is provided.

도 6에서는 받침부(200)의 구체적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6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the base 200.

화이트보드(10)는 스탠드(1)에 거치시 다소 경사지게, 구체적으로는 상단보다 하단이 전방으로 위치하여 뒤로 젖혀져 거치되는 것이 화이트보드(10)의 필기면 하부에 쓰여진 글씨까지 뚜렷이 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자의 필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아주 큰 강의실에서처럼 화이트보드(10)로부터 한참 떨어진 곳까지 수강생이 있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회의실, 상담실, 소형 강의실 등에서는 화이트보드(10)를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가 화이트보드(10)로부터 멀지 않으며, 이 경우 화이트보드(10)가 다소 경사지게 거치됨으로써 화이트보드(10)로부터 가까운 영역에서는 천장의 전등빛 등의 반사 경로가 바라보는 사람의 시야 범위를 벗어날 수 있게 되어, 화이트보드(10) 필기면에 기재된 내용의 가시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The white board 10 is slightly inclined when mounted on the stand 1,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white board 10 is positioned forward and is tilted backward so that the white board 10 can clearly see the writing written on the lower side of the writing surface of the white board 10.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It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handwriting of the note taker. In addition, in most conference rooms, counseling rooms, and small lecture rooms, the position of the person looking at the whiteboard 10 is the whiteboard (10), except when there are students far away from the whiteboard (10). In this case, the whiteboard 10 is slightly inclined so that the reflection path of the ceiling light, etc., may be out of the viewing range of the viewer. 10) The visibility of the content written on the writing surface can be further improv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1)에 화이트보드(10)가 다소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되, 거치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하는 거치상태를 형성하도 록 받침부(200)가 제시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board 200 is provided to allow the white board 10 to be mounted to the stand 1 to be inclined somewhat, to form a mounting state to naturally incline in the mounting process.

받침부(200)는 종프레임(11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방 돌출 부위는 하방으로 다소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 부위에 화이트보드(10)의 하단부가 받쳐질 때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화이트보드(10)가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Support portion 20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0). At this time, the front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whiteboard 10 is naturally supported to slide forward. As a result, the whiteboard 1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in the forward direction.

그리고, 받침부(200)의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01)가 형성됨으로써 화이트보드(10)가 받침부(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ard 20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ing part 200 so that the white board 10 may be suppor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art 200.

받침부(20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10)와, 경사지지부(220)와, 경사받침부(230)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support 200, an example consisting of a gripper 210, an inclined support 220, and an inclined support 230 may be presented.

파지부(210)는 후술할 끼움돌기(211)의 끼움이나 끼움해제가 용이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gripper 210 is a part that can be gripped to facilitate the fitting or release of the fitting protrusion 211 to be described later.

경사지지부(220)는 파지부(21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서, 경사지지부(220)에는 종프레임(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221)의 좌우 폭은 종프레임(110)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는 적당한 폭으로 형성되며, 관통홀(221)의 전후 길이는 종프레임(110)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지지부(220)가 종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즉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면 관통홀(221)이 종프레임(110)의 전후 폭을 수용하고도 남는 여유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경사지지부(220)는 이 상태에서 전, 후로 유동공간을 갖게 된 다.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is an integrally formed portion that is bent downwardly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10.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has a through hole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frame 110 may pass through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 Is formed. At this time, the right and left width of the through hole 221 is formed to a suitable width to allow the penetra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through hole 221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do. Accordingly, when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hat i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through hole 221 may have a margin remaining to accommodate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Since the space is formed,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has a flow space before and after in this state.

이때, 파지부(210)의 전단부 중앙에는 끼움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종프레임(110)의 후면에는 이 끼움돌기(211)에 대응하는 끼움홀(111)이 형성된다. 끼움돌기(211)는 파지부(210)에 대한 경사지지부(22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돌출되어 경사지지부(220)를 종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방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끼움홀(111)에 끼울 수 있으며, 끼운 상태에서 경사지지부(220)를 놓게 되면 경사지지부(220)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경사지지부(220)의 관통홀(221) 전방 부위가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걸쳐져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끼움돌기(211)를 끼움홀(111)에서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사지지부(22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한 여유공간을 확보한 후 후방 이동에 의해 끼움돌기(211)가 끼움홀(11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21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grip portion 210. In addition, a fitting hole 111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211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fitting protrusion 211 protrudes while forming the same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with respect to the holding part 210 so that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11 by the forward movement, when the inclined support 220 is placed in the fitted state, the inclined support 220 rotates downward naturally by its own weight, and the through-holes of the inclined support 220 221) The front portion is positioned over the front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When the fitting protrusion 211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hole 111,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is rotated upward to secure the above free space, and then the fitting protrusion 211 is fitted by the rearward movement. 111).

이러한 끼움홀(111)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서 상, 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되면, 전술한 방식으로 원하는 상, 하 높이를 선택하여 받침부(2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화이트보드(10)의 다양한 크기에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프레임(110)이 하기에서 설명될 상부프레임(115) 및 하부프레임(116)으로 이루어져 서로 신축 자재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화이트보드(10)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용이해진다.When the fitting hole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110, a plurality of formed holes can be selected to position the supporting part 200 by selecting a desired upper and lower height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n this case, the whiteboard 10 may not only cope with various sizes of the whiteboard 10, but also when the vertical frame 110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115 and a lower frame 11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is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height adjustment of 10 is also possible while being easy.

경사지지부(220)의 전단부에는 경사받침부(230)가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경사받침부(230)는 경사지지부(220)의 전단에서 전방으 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3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formed integrally. The inclined support part 230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ly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이때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의 의미는,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경사받침부(230)의 하향 경사보다 더 하향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며,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근접하는 경사지지부(220)의 전단 위치에서 종프레임(11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경사받침부(230)는 그 경사 범위가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범위 내에서 경사지지부(220)의 경사보다 더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음도 물론이고,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경사받침부(230)처럼 경사지지부(220)보다는 상향으로 경사지되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는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 또한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is not limited to forming an inclination that is further downward tha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support part 230 based on the support part 200 illustrated by the solid line of FIG. 6. It means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at the front end position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near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In other words,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30 may be inclined downward more tha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220 in the inclination rang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of FIG. It also includes an inclined upwardly rather than the inclined support part 220 as the inclined support part 230 shown by the solid line bu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그리고, 경사받침부(230)의 전단부에는 전술한 지지돌기(20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support protrusion 201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30.

한편, 종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의 스탠드(1)에 화이트보드(10) 거치시 화이트보드(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프레임(115)과 하부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frame 110 may be made of the upper frame 115 and the lower frame 116 to enable the height of the white board 10 when the white board 10 is mounted on the stan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부프레임(115)은 하부프레임(116)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부프레임(115)의 내측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frame 115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116 i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longitudinal sides of the upper frame 115.

그리고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길이방향에서의 희망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117)가 구비될 수 있다.A stopper 117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6 so as to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5.

스토퍼(117)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 임(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도시 생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 나사부재는 고정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끝단이 상부프레임(115)의 대응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stopper 117, an example of a screw member screwed through a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6 may be presented. The screw member is screwed into the fixing hole, th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5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one side can be suppressed the vertical flow of the upper frame 115.

스토퍼(117)의 또 다른 예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통해 끼워지는 끼움부재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끼움부재는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후, 상부프레임(115)의 대응 일측면에서 상, 하로 이격되는 다수의 대응홀에 끼워짐으로써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topper 117, although not shown, an example of a fitting member fitted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6 may be provided. After the fitt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e vertical flow of the upper frame 115 may be suppressed by being fitted i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spaced up and down on the corresponding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15.

그리고 이 경우 전술한 고정부(300)는 상부프레임(115)의 상단에 구비되며, 받침부(200)는 스토퍼(117)에 간섭하지 않는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fixing part 30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15, the supporting part 2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opper 117.

한편, 종프레임(110)은 지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게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지지부(120)의 구체적 일 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121)과 평행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frame 110 has a support 120 is formed at the bottom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not to fall in the front, rear direction from the ground, a specific example of the support 120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Likewise, an example consisting of the inclined frame 121 and the parallel frame 122 may be presented.

경사프레임(121)은 종프레임(110)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형성되며, 평행프레임(122)은 경사프레임(121)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절곡 형성된다.The inclined frame 121 is bent downwardly inclined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the parallel frame 122 is formed to be bent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o the rear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지면에 평행하면서 전, 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평행프레임(122)과, 이 평행프레임(122)의 전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경사프레임(121)에 의해 종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쓰러짐이 방지되면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110 is prevented from fall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parallel frame 122 which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has a length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inclined frame 12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arallel frame 122. It can keep upright.

그리고, 평행프레임(122)의 하측에는 본 실시예의 스탠드(1)를 지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the lower side of the parallel frame 12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aster 123 to freely move the stan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ground.

횡프레임(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가 구비될 수 도 있으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121)의 상단 사이,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 및 평행프레임(122)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세 개의 횡프레임(130)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Horizontal frame 130 may be provided with one as described above, bu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between the top of the inclined frame 121, between the bottom of the inclined frame 121 and parallel frame 122 By having three transverse frames 130 that connect between the rear ends of each can have a more stable support structure.

이때, 본 실시예의 스탠드(1)가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보다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130)에는 그 좌, 우 각 일측에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다리(131)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ore firmly prevent the stan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rom falling forward, the horizontal frame 130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touches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force A supporting leg 131 may be provided.

받침다리(131)의 구체적 일 예로는 일단이 횡프레임(130)에 고정되는 받침축(131a)과, 받침축(131a)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지면과 닿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받침판(131b)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One specific example of the support leg 131 is a support plate 131a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a disc-shaped suppor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being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131a ( An example consisting of 131b) may be presented.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컨대, 상술한 바에서는 본 고안이 화이트보드의 거치용도로 사용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칠판이나 광고판 등의 다양한 거치물의 거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bar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ounting purpose of the whiteboard,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used as a mounting purpose of a variety of such as a blackboard or billboar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ite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shown in FIG.

도 4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shown in FI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ing part shown in FIG. 2;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사용 상태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tand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화이트보드의 스탠드 10; 화이트보드One; Stand 10 on the whiteboard; Whiteboard

100; 프레임부 110; 종프레임100; Frame unit 110; Bell frame

111; 끼움홀 115; 상부프레임111; Fitting hole 115; Upper frame

116; 하부프레임 117; 스토퍼116; Lower frame 117; stopper

120; 지지부 121; 경사프레임120; Support 121; Inclined frame

122; 평행프레임 123; 캐스터122; Parallel frame 123; Caster

130; 횡프레임 131; 받침다리130; Transverse frame 131; Support leg

131a; 받침축 131b; 받침판131a; Support shaft 131b; Support Plate

200; 받침부 201; 지지돌기200; Base 201; Support protrusion

210; 파지부 211; 끼움돌기210; Gripping portion 211; Snapping

220; 경사지지부 221; 관통홀220; Inclined support 221; Through hole

230; 경사받침부 300; 고정부230; Tilt support 300; Fixture

310; 가이드판 311; 가이드판 몸체310; Guide plate 311; Guide plate body

312; 가이드돌기 320; 미끄럼판312; Guide protrusion 320; Sliding plate

321; 미끄럼판 몸체 321a; 절개홈321; Sliding plate body 321a; Incision

322, 323; 걸림부 322; 전단 걸림부322, 323; Catching portion 322; Shear hang

323; 후단 걸림부 323a;나사홀323; Trailing end 323a; screw hole

330; 회전체 331; 볼트몸체330; Rotating body 331; Bolt body

332; 회전손잡이 350; 가압부재332; Rotary handle 350; Pressure member

351; 볼트 352; 와셔351; Bolt 352; washer

Claims (6)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120)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110)과, 상기 종프레임(110)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Frame portion 100 consisting of a pair of longitudinal frame 110, the support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in the front, rear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frame 130 connecting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110 ); 상기 종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200); 및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white board 10 is supported by the front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ame 110 to support the 200; And 상기 종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110)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110, the upper portion of the white board 10 is pulled to the rear fixed portion 300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10; 상기 고정부(300)는,The fixing part 300,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312)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310);A guide plate 310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guide protrusions 312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상기 가이드돌기(312)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321a)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320); 및A sliding plate 320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321a formed to insert the guide protrusion 312 so as to be guided to the front and the rear,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bent downward at both ends thereof; And 상기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에 형성되는 나사홀(323a)을 통해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320)을 전, 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볼트몸체(331)와, 상기 볼트몸체(331)의 후단에 결합되는 회손잡이(332)로 이루어진 회전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The sliding plate 320 is coupled through a screw hole 323a formed in the rear end engaging portion 323 of the sliding plate 320 and the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10.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back, the bolt body 331 for sliding to the rear, the rotating body 330 consisting of a turn handle 332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lt body 331; Whiteboard stand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미끄럼판(320)이 상기 가이드판(310)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미끄럼판(32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판(310)에 결합되는 가압부재(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The sliding plate 320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member 350 coupled to the guide plate 310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320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late 310. Whiteboard stan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받침부(200)는 파지부(210)와, 상기 파지부(2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종프레임(110)의 전후방향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종프레임(110)이 관통하는 경사지지부(220)와, 상기 경사지지부(22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단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201)가 형성된 경사받침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support portion 200 is bent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lding portion 210, the front end of the holding portion 210 is formed integrally and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hole 221 is formed to be inclined support 220 through which the vertical frame 110 penetrates, bent downward inclined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220 is formed integrally and protrudes upward in the front end The support protrusion 201 is formed, including the inclined support 200 is formed, 상기 파지부(210)의 전단 중앙에는 상기 파지부(210)에 대한 상기 경사지지부(22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끼움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110)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돌기(211)가 끼움결합되도록 상, 하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끼움홀(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gripping portion 210 is formed a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20 with respect to the gripping portion 210 is bent downwardly inclined forward to form a fitting protrusion 211, the White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111 are spaced up and down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211 is fitte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종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16)과, 상기 하부프레임(116)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 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상부프레임(115)으로 이루어지되,The vertical frame 110, the lower frame 116, and the upper frame 115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116 to slide up and down, 상기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15)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1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6 is a white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117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11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종프레임(110)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프레임(121)과, 상기 경사프레임(121)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지되,The support unit 120, the inclined frame 121 is bent downwardly inclined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frame 110, and a parallel frame bent in parallel to the groun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to the rear ( 122),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경사프레임(121)의 상단 사이, 상기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 및 상기 평행프레임(122)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고,The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and the rear end of the parallel frame 122, 상기 평행프레임(122)의 하측에는 캐스터(123)가 구비되며,The lower side of the parallel frame 122 is provided with a caster 123, 상기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130)의 좌, 우 각 일측에는 받침다리(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White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leg 131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21).
KR2020080016529U 2008-12-12 2008-12-12 Whiteboard stand KR2004553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en) 2008-12-12 2008-12-12 Whiteboard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en) 2008-12-12 2008-12-12 Whiteboard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18U KR20100006318U (en) 2010-06-22
KR200455371Y1 true KR200455371Y1 (en) 2011-09-02

Family

ID=4445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en) 2008-12-12 2008-12-12 Whiteboard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7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92Y1 (en) * 2014-03-21 2014-07-11 오준석 Stand for white board
KR200489497Y1 (en) * 2017-09-12 2019-06-26 선영화이트보드(주) Board 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77Y1 (en) * 2003-10-01 2004-01-03 선영화이트보드(주) Stand frame for locking up blackbord
KR100735839B1 (en) 2006-06-23 2007-07-04 주식회사 퍼시스 Angle adjustable white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77Y1 (en) * 2003-10-01 2004-01-03 선영화이트보드(주) Stand frame for locking up blackbord
KR100735839B1 (en) 2006-06-23 2007-07-04 주식회사 퍼시스 Angle adjustable white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18U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732B1 (en) Chair mountable desk apparatus
US6830292B1 (en) Table for a motor vehicle seat
US6454369B1 (en) Pull-out keyboard tray
KR200455371Y1 (en) Whiteboard stand
KR101596010B1 (en) Book support and desk for reading room
KR101400683B1 (en) 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KR101539201B1 (en) Easel with fixtures
KR100832777B1 (en) Screen having portable white board function
KR200397757Y1 (en) a writing table have a reading desk
KR200337577Y1 (en) Stand frame for locking up blackbord
KR102198928B1 (en) Book Pedestal retainer
US6527247B1 (en) Article support stand
KR200415288Y1 (en) Tray for Keyboard
KR20220103419A (en) picture frame stand
KR200425779Y1 (en) A simplicity book-stand
KR20140057762A (en) 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KR20060034810A (en) Panel having multi functions for desk
WO2020100786A1 (en) Table shelf and easel system
KR200336922Y1 (en) Angle adjusting structure of upper plate for desk
JP6451952B2 (en) Book stand
KR101642585B1 (en) Table having reading desk
JPH10146224A (en) Desk for personal computer
CN218127640U (en) White board support
KR102404800B1 (en) Stand that can hold various computer bodies
JP6768028B2 (en) Bedside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