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49Y1 -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149Y1
KR200455149Y1 KR2020090001539U KR20090001539U KR200455149Y1 KR 200455149 Y1 KR200455149 Y1 KR 200455149Y1 KR 2020090001539 U KR2020090001539 U KR 2020090001539U KR 20090001539 U KR20090001539 U KR 20090001539U KR 200455149 Y1 KR200455149 Y1 KR 200455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camera
housing
mount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299U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to KR2020090001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멧의 내부에 카메라를 간편하게 장착하면서 카메라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 카메라 하우징으로 익스트림스포츠나 군, 경찰, 소방관 등이 사용하는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현재 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면서도 양손이 자유로워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동영상 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헬멧, 카메라, 촬영, 하우징, 틸트, 스크류, 소방, 경찰

Description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Housing that angle regulation that cohesion camera on helmet interior is possible}
본 고안은 헬멧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에 카메라를 간편하게 장착하면서 카메라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 카메라 하우징으로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현재 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면서도 양손이 자유로워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동영상 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것으로, 운동선수들이 쓰는 헬멧과, 오토바이를 탈 때 쓰는 헬멧 등이 있으며, 넓게는 공사장의 인부들이 사용을 하는 안전모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일반 헬멧은, 머리에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해주는 단순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헬멧 몸체에 카메라를 매입시켜 현장 상황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 도록 한 것은 소방관이나 경찰관들과 같이 위험에 항시 노출된 근무자들은, 위험물 또는 장애물로부터 자신의 두부를 보호하면서 상황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근무자들 자신의 상황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또 필요에 따라 현장 상황을 기록하여 추후 업무자료에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88245호에서는 헬멧 몸체에 음성 교신 수단과 카메라를 각각 마련하여, 현장에 있는 근무자가 외부에 음성 및 영상을 통해 외부와 교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방헬멧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소방 헬멧에는, 음성 교신 수단과 카메라의 장착이 소방 헬멧의 외부에서 음성 교신 수단과 카메라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카메라를 고정하는 부분이 단순한 연결체로 고정한 것으로 활동시 떨어질 위험이 매우 높으며, 외부 노출 관계로 현장에서의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777667호에서는 헬멧의 내부에 카메라를 매입하여 송신 모듈로 구성된 것이나 상기 소방헬멧은 단순히 내부에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해 외경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보조렌즈에 끼워 부착한 것이다.
이같이, 헬멧에 관통된 통공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조립할 경우 통공과 보조렌즈 조립이 통일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모두 제각각이여서 카메라 각도 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헬멧의 외경에 형성된 보조렌즈를 끼워 카메라를 고정하는 것이 전부로 보여져 견고히 장착되었다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헬멧에 카메라를 고정하는 부분이 단순히 끼워 조립 고정한 것으로 활동시 떨어질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에 카메라를 간편하게 장착하면서 카메라를 고정하는 하우징의 고정스크류와 틸트스크류에 의해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한 카메라 하우징으로 익스트림스포츠나 군, 경찰, 소방 작전 에서도 작전을 수행하면서 작전상황을 저장하여 기록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견고하게 장착되어 활동성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고안된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착 하우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은 소정의 위치에서 내외측으로 관통된 통공의 외측으로 후드가 부착되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과 상기 헬멧 내부에서 후드에 밀착되도록 카메라를 수납, 장착시키면서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을 위한 고정스크류와 틸트스크류를 구비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장착하우징은 일측과 상부가 개방되면서 카메라를 수납하는 공간을 내부에 구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측벽에 위치하여 헬멧의 외부에 서 관통 조립되어 카메라와 함께 장착하우징을 고정하면서 좌우 기울기를 조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스크류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 측벽에 위치하여 헬멧의 내부에 고정된 카메라의 상하 기울기를 조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헬멧의 내부 둘레면에 나사결합되는 틸트스크류로 구성된 구조이다.
이같이, 상기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시키는 하우징의 고정스크류와 틸트스크류는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 좌우로 카메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에 카메라 장착 하우징으로 어느 위치에서도 카메라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하우징의 고정스크류와 틸트스크류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을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헬멧착용 습성에 따라 각도를 맞춰 사용하므로 정확한 위치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헬멧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면서도 양손이 자유로워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동영상 저장장치를 활용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위치에서 내외측으 로 관통된 통공의 외측으로 후드가 부착되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과;
상기 후드 내측에 렌즈가 위치하면서 헬멧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헬멧 내부에서 후드에 밀착되도록 카메라를 수납, 장착시키면서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을 위한 고정스크류와 틸트스크류를 구비한 하우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헬멧에 장착된 하우징의 일부분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조립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120)를 장착하는 하우징(130)은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110)의 내부에 카메라(120)를 간편하게 장착하면서 카메라(120)를 고정하는 하우징(130)의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에 의해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한 카메라(120) 하우징(130)으로 익스트림스포츠나 군, 경찰, 소방 작전 에서도 작전을 수행하면서 작전상황을 저장하여 기록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견고하게 장착되어 활동성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120)를 내입하는 반구형의 헬멧(110)을 포함하며, 상기 헬멧(110)에는, 현장 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120)에 의해 수득되어진 영상을 외부에 송출하는 무선 송신모듈(도면 미 도시)과 카메라(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도면 미 도시) 및 상기 카메라(120)와 무선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면 미 도시)가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아울러, 상기 헬멧(110)에 카메라(120)를 내입시켜 장착하는 것으로 카메라(120)가 내입되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내외측으로 관통된 통공의 외측으로 후드(112)가 부착된다.
상기 후드(112)는 카메라(120)의 렌즈(122)로 들어오는 불필요한 빛들을 차단 해주기 위한 것으로 정확한 익스트림스포츠나 군, 경, 소방 작전 시 움직임이 많은 상황에서도 카메라(120)의 정확한 촬영을 위함과 헬멧(110)의 외측에 통공을 뚫었을 경우 지저분한 부분들을 후드(112)가 미려하게 덮어주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상기 헬멧(110)의 통공에 삽입되어 외부에 위치하는 후드(112)가 내부로 연결된 후드(112)의 일측 부분에 카메라(120)의 렌즈(122)가 위치하면서 헬멧(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헬멧(110) 내부에서 카메라(120)가 후드(112)에 밀착되도록 헬멧(110) 내부에 카메라(120)를 장착하는 하우징(130)은 수납, 장착시키면서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을 위한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를 구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30)에는 카메라(120)를 수납하는 공간을 내부에 구성한 것으로 사각형상을 하면서 네개의 측벽 중 상단의 일측벽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30)의 밑면 일측에는 카메라(120)를 구동시키는 연결선들이 진입할 수 있는 컨넥트 연결 홀(131)과 카메라(120)와 하우징(130)이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선 홀을 구성한 카메라 고정 홀(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0)의 양측 측벽에는 헬멧(110)에 카메라(120)를 내포하여 고정하면서 좌,우 기울기를 조정하는 고정스크류(132)가 스프링(136)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의 하측 측벽에는 헬멧(110)에 고정된 카메라(120)의 상,하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스크류(134)가 스프링(136)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헬멧(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32)의 나사결합은 헬멧(110)의 외부에서 헬멧(110)을 관통하여 하우징(130)에 스프링(136)과 함께 체결되는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고정스크류(132)를 헬멧(110)의 내부측에서 하우징(130)에 장착되면서 헬멧(110)의 내부 둘레면으로 장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헬멧(110)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120) 하우징(130)의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 좌우로 카메라(1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헬멧(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좌,우 기울기 조절하는 고정스크류(132) 중 좌측에 위치한 고정스크류(132)는 좌측방향으로 우측에 위치한 고정스크류(132)는 우측방향으로 방향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헬멧(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 하 기울기 조절하는 틸트스크류(134)에 형성된 나사형태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틸트스크류(134)쪽이 올라오면서 반대로 렌즈부분은 아래로 향하게 상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헬멧(110)의 카메라(120)를 각도 조절할 수 있는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는 나사형태로 조임과 풀림의 회전에 따라 점차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승강 궤적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고정스크류(132)는 헬멧(110)의 내부에 위치한 하우징(130)의 좌우에서는 헬멧(110)의 외부에서 관통하여 내부에서 스프링(136)을 개재하여 하우징(130)에 너트(138)와 함께 결합되고, 틸트스크류(134)는 헬멧(110)의 내부에서 고정스크류(132)와 반대 방향으로 헬멧(110) 내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130)의 하단 위치에서 스프링(136)을 개재하여 하우징(130)에 너트(138)와 함께 결합되어 헬멧(110)의 내부 둘레면에 체결 고정으로 위치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기울기 조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120)를 장착하는 하우징(130)에 의해 카메라(120)를 장착하기 위해 헬멧(110)의 소정의 위치에 통공하여 후드(112)를 부착하고, 헬멧(110)의 내부에서 카메라(120)를 하우징에 내포시켜 헬멧(110)의 내측부의 후드(112)가 위치한 곳에 밀착 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헬멧(110)의 외부측에서 후드(112) 양측으로 고정스크류(132)가 관통하여 헬멧(110) 내부로 진입한 고정스크류(132)는 스프링(136)을 개재하여 하우징(130)과 결합하면서 헬멧(110)의 내부에 하우징(130)과 함께 카메라(120)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헬멧(110)의 내부 측에서 틸트스크류(134)가 하우징(130)의 하단에서 스프링(136)을 개재하여 결합되면서 헬멧(110)의 내부 둘레면에 나사 조립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같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120) 하우징(130)에 의한 간단한 헬멧(110) 카메라(120) 장착으로 헬멧(110)의 내부에 카메라(120)가 형성되어 현장 영상을 수득이 가능하게 되며, 카메라(120) 각도 조절로 정확한 초점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하게되어 익스트림스포츠나 군.경.소방 작전 에서도 작전을 수행하면서 작전상황을 저장하여 기록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활동성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헬멧에 장착된 하우징의 일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헬멧에 장착된 하우징의 기울기 조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의 경찰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한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헬멧 112:후드
120:카메라 122:렌즈
130:하우징 131:컨넥트 연결 홀
132:고정스크류 133:카메라 고정 홀
134:틸트스크류 136:스프링
138:너트

Claims (3)

  1. 소정의 위치에서 내외측으로 관통된 통공의 외측으로 후드(112)가 부착되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110)과;
    상기 후드(112) 내측에 렌즈(122)가 위치하면서 헬멧(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0)와;
    상기 헬멧(110) 내부에서 후드(112)에 밀착되도록 카메라(120)를 수납, 장착시키면서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을 위한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를 구비한 하우징(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20)를 수납하는 공간을 내부에 구성하면서 일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한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양측 측벽에 위치하여 헬멧(110)의 외부에서 관통 조립되어 카메라(120)와 함께 하우징(130)을 고정하면서 좌우 기울기를 조정하는 스프링(136)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스크류(132)와;
    상기 하우징(130)의 하측 측벽에 위치하여 헬멧(110)의 내부에 고정된 카메라(120)의 상하 기울기를 조정하는 스프링(136)을 구비하여 헬멧(110)의 내부 둘레면에 나사결합되는 틸트스크류(134);로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110)에 카메라(120)를 장착시키는 하우징(130)의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는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 좌우로 카메라(1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KR2020090001539U 2009-02-12 2009-02-12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KR200455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39U KR200455149Y1 (ko) 2009-02-12 2009-02-12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39U KR200455149Y1 (ko) 2009-02-12 2009-02-12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9U KR20100008299U (ko) 2010-08-20
KR200455149Y1 true KR200455149Y1 (ko) 2011-08-22

Family

ID=4445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39U KR200455149Y1 (ko) 2009-02-12 2009-02-12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9B1 (ko) 2013-03-11 2014-02-27 이규환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하는 헬멧
KR20150002963U (ko)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아이디폰 헬멧 탈착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67B1 (ko) * 2006-07-25 2007-11-29 김무중 소방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67B1 (ko) * 2006-07-25 2007-11-29 김무중 소방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9B1 (ko) 2013-03-11 2014-02-27 이규환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하는 헬멧
KR20150002963U (ko)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아이디폰 헬멧 탈착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9U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843B2 (en) Image orientation control for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US10397526B2 (en) Security camera with adjustable lens aiming mechanism
JP5787357B2 (ja) モーションセンシティブ画像取込装置を安定的に支持するためのウエイト付き取付装置
US10407144B2 (en) Underwater specta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71367A1 (en) Video camera housing for football helmet
KR200455149Y1 (ko)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KR20140017940A (ko) 채증 카메라가 부착된 헬멧
CN210054749U (zh) 一种用于应急救援指挥管控的智能安全帽
CN107532771A (zh) 摄像机安装系统
CN214306211U (zh) 一种摄像头云平台
KR200479210Y1 (ko) 헬멧 탈착 브래킷
EP2183910B1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CN203057520U (zh) 用于监控摄像机的扩音器和监控摄像机
US20160266473A1 (en) Imaging device holder
CN203057305U (zh) 用于监控摄像机的球罩和监控摄像机
CN219662825U (zh) 体育运动考训装置
CN218410883U (zh) 一种枪瞄摄像头
CN209201200U (zh) 夜视仪
CN216145067U (zh) 易于组装的运动相机
JP5207094B1 (ja) 長焦点レンズの為の一脚用自由雲台
CN205647797U (zh) 一种安防监控摄像机保护球罩
CN1387079A (zh) 头戴照相机
CA2847931C (en) Security camera with adjustable lens aiming mechanism
AU2014240254B2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JP2006176931A (ja) 撮影機能付き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