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235Y1 - book projector - Google Patents

book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235Y1
KR200454235Y1 KR2020090009733U KR20090009733U KR200454235Y1 KR 200454235 Y1 KR200454235 Y1 KR 200454235Y1 KR 2020090009733 U KR2020090009733 U KR 2020090009733U KR 20090009733 U KR20090009733 U KR 20090009733U KR 200454235 Y1 KR200454235 Y1 KR 200454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ight source
book
signal
projec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7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1087U (en
Inventor
김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디컬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디컬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디컬쳐
Priority to KR2020090009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35Y1/en
Publication of KR20110001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0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8Scan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4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적 투영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서적 투영기는, 투명재질을 가지는 제1투영면 및 제2투영면과;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광원과;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와; 상기 제1광원 및 상기 제2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컴퓨터와; 상기 제어컴퓨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사이의 신호전송을 스위칭하고, 제1광원 및 제2광원의 온/오프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적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원활한 서적 스캔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projector, and a book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rojection plane and a second projection plane having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A second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 first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book projected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plane, the first camera being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A second camera install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a book projected through the second projection plan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 control computer for displaying; And a switching circuit for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computer,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switching ON / OFF signals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ooth book scanning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ok.

서적, 스캔, 투영, 카메라 Book, scan, projection, camera

Description

서적 투영기{book projector}Book projector {book projector}

본 고안은 서적 투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적의 안쪽 면에 기재된 그림이나 문자 등을 이미지 형태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서적 투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proj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k projector for photographing pictures or characters written on the inner side of books in an image form and storing them on a storage medium or displaying them on a screen using a computer.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자료를 입력시키는 방법에는 크게 사람이 직접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워드나 캐드작업 등을 수행하여 작성된 그 자료를 입력시키는 방법과, 스캐너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Generally, a method of inputting data into a computer includes a method of inputting the created data by performing a word or a CAD operation using a keyboard or a mouse or the like, and a method of generating an image file using a scanner There is a way.

사람이 직접 워드나 캐드작업을 통하여 자료를 입력시키는 방법은 오타가 발생되고 작업이 느린 단점이 있어 스캐너를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A method of inputting data through a word or CAD operation by a person is often a method of using a scanner because there is an error and a work is slow.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스캐너는 유리판 상에 스캔 대상물을 올려놓고 유리판 아래쪽에서 스캐닝헤드(scanning head)가 이동되면서 스캔하는 플랫베드(flatbed : 평판)방식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Most of the scanners currently in use are flatbed (flatbed) systems in which a scanning object is placed on a glass plate and a scanning head is scanned from below the glass plate.

그러나 이러한 스캐너는 서적을 스캔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다.However, these scanners are difficult to scan books.

이는 그림이나 문자 등이 도시된 서적의 안쪽 면이 스캐너의 유리판 상에 밀착되어야 원활한 스캔이 이루어지는데, 서적의 경우에는 제본되어 있는 관계로 그 중앙부가 밀착되지 않아 원활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is is because the inner side of a book or the like in which a picture or a letter is displayed must be closely attached to the glass plate of the scanner to perform a smooth scan. In the case of a book, a smooth sca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center portion is not closely attached.

또한 스캔하고자 하는 서적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book to be scanned is large or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cope with it appropriatel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서적 투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ok projector capable of overcom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본된 서적을 원활하게 스캔할 수 있는 서적 투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 projector capable of smoothly scanning bound book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서적의 크기에 대응하여 스캔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서적 투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 projector capable of adjusting the sc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 book.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서적의 제1면 및 제2면을 순차적으로 스캔하거나 제1면 및 제2면을 동시에 스캔할 수 있는 서적 투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 projector capable of sequentially scanning first and second sides of a book or simultaneously scanning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book.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서적 투영기는, 중앙부위에서 서로 맞닿으며 가장자리 부위로 갈수록 경사면을 이루어 서적의 안쪽 면이 접촉시 투영되도록 투명재질을 가지는 제1투영면 및 제2투영면과;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투영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투영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 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1투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2투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2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와; 상기 제1광원 및 상기 제2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컴퓨터와; 상기 제어컴퓨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사이의 신호전송을 스위칭하고, 제1광원 및 제2광원의 온/오프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k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book is projected on the contact surface, A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a second projection surface; A first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 second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emitting light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 first camera install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book installed with a lens toward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projected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 second camera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book installed with a lens toward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projected through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 control computer for displaying; And a switching circuit for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computer,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switching ON / OFF signals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상기 제어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투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투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computer generate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receiv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in response to a first proj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In response to an input second projection signal, generate an imaging operati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and receiv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 신호를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1광원에 전달하고,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 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 및 상기 제2광원에 전달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신호가 입력 되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rein the switching circuit switche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to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are inpu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to the second camer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are inputted And when the image signals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inputted, the switching operation for transferring the image signals to the control computer can be performed.

상기 스위칭 회로는 USB 허브일 수 있다.The switching circuit may be a USB hub.

상기 서적 투영기는, 상기 제1투영면과 상기 제1카메라와의 거리 및 상기 제2투영면과 상기 제2카메라와의 거리를, 투영되는 서적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제어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거나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book projector includes distanc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and the first camer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plane and the second camer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jected book, The distance adjustment mean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computer or manually controlled.

본 고안에 따르면, 2개의 광원 및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서적의 내면의 이미지를 동시 또는 선택 스캔이 가능하다. 또한 서적의 사이즈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여 스캔하는 것이 가능해 스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캔 면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light sources and two cameras are provided, so that the ima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ok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can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can by adjus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thereby improving the scanning efficiency.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scan area.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intention,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 투영기의 외형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적투영기의 하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FIG. 1 is an outline view of a book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e of a lower end of the book projector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sectional views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투영 기는, 제1투영면(110), 제2투영면(120), 제1광원(152), 제2광원(154), 제1카메라(156), 제2카메라(158), 제어컴퓨터(도 4의 400), 및 스위칭 회로(도 4의 300)를 구비한다.1 to 3, a book proj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ojection plane 110, a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 first light source 152, a second light source 154, A first camera 156, a second camera 158, a control computer (400 in FIG. 4), and a switching circuit (300 in FIG. 4).

상기 서적투영기의 본체(100)에 제1투영면(110), 제2투영면(120), 제1광원(152), 제2광원(154), 제1카메라(156), 제2카메라(158), 및 스위칭 회로(도 4의 30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컴퓨터(도 4의 400)는 상기 서적투영기의 본체(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시 서적 투영기의 본체(100)가 상기 제어컴퓨터(4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을 가진다.A first projection plane 110, a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 first light source 152, a second light source 154, a first camera 156, a second camera 158, And a switching circuit (300 in FIG. 4), and the control computer (400 in FIG. 4)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of the book projecto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so that the main body 100 of the book projector, And is controlled by the computer 400.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은 중앙부위에서 서로 맞닿고, 가장자리 부위로 갈수록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며, 투명재질을 가진다.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entral portion and have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edge portion and have a transparent material.

즉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은 서적의 안쪽면의 중앙부위부터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서적 안쪽의 펼침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That is,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spreading structure inside the book so as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book.

이에 따라, 상기 제1투영면(110)에는 서적 안쪽의 제1면이 밀착되고, 상기 제2투영면에는 서적 안쪽의 제2면이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surface on the inside of the book is closely attached, and a second surface on the inside of the book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의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적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서적의 가장 큰 사이즈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The size of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book, bu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largest size of a general book.

상기 제1광원(152)은 상기 제1투영면(110)과 대향하는 위치(대각선 방향)의 하단부(150)에 설치되며 상기 제1투영면(110)으로 광을 조사한다. 원활한 광의 조 사를 위해 상기 제1광원(152)은 광의 조사방향이 상기 제1투영면(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152 is disposed at a lower end 150 in a position (diag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emits light 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The first light source 15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

상기 제2광원(154)은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대각선 방향)의 하단부(150)에 설치되며 상기 제2투영면(120)으로 광을 조사한다. 원활한 광의 조사를 위해 상기 제2광원(154)은 광의 조사방향이 상기 제2투영면(120)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154 is disposed at a lower end 150 at a position (diag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irradiates light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20.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for the purpose of smooth light irradiation.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비하거나, 고휘도 칩 LED 어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or may have a high brightness chip LED array structure.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 각각은 LED나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an LED or a back-light unit.

상기 제1카메라(156)는 상기 제1투영면(110)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150)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1투영면(110)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투영면(110)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The first camera 156 is installed at a lower end 150 of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facing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a lens is installed toward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has a configuration for capturing an image of a book to be projected.

상기 제2카메라(158)는 상기 제2투영면(120)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150)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2투영면(120)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2투영면(120)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The second camera 158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150 of the position facing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the lens is installed towar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through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has a configuration for capturing an image of a book to be projected.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는 CCD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may be cameras based on CCD image sensors.

상기 제어컴퓨터(400)는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6)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 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control computer 400 controls on / off of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6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and displays the received image.

상기 스위칭 회로(300)는 상기 제어컴퓨터(400),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 사이의 신호전송을 스위칭하고, 제1광원(152) 및 제2광원(154)의 온/오프 신호를 스위칭한다.The switching circuit 300 switches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computer 400,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and switches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On / off < / RTI >

상기 제어컴퓨터(400) 및 상기 스위칭회로(300)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computer 400 and the switching circu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는 상기 제1투영면(110)과 상기 제1카메라(156)와의 거리, 및 상기 제2투영면(120)과 상기 제2카메라(158)와의 거리를 투영되는 서적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the second camera 158 (Not shown) for adjus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제어컴퓨터(4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거나 수동으로 제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istance adjusting means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computer 400 or manually controlled.

일반적으로 서적은 사이즈가 서로 다르다, A4, B5 등 사이즈가 다양하다.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의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적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서적의 가장 큰 사이즈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을 통하여 서적을 투영하는 경우에,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의 사이즈보다 작은 서적을 투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들(156,158)을 통해 촬영하는 촬영면적이 서적의 사이즈보다 크게 되어 쓸모없는 부분까지 촬영될 수 있다.In general, books are different in size, A4, B5, etc. vary in size. The size of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book, bu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largest size of a general book. When projecting a book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projecting a book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The photographing area taken through the cameras 156 and 158 becom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book, so that a useless portion can be photographed.

이 경우에는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의 자동 초점조절기능인 오토 포커싱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면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otographing area by using the auto focusing function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그러나 상기 오토 포커싱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오토 포커싱 기능으로써 커버되지 않는 경우에는, 촬영면적을 서적의 사이즈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투영면(110)과 상기 제1카메라(156)와의 거리, 및 상기 제2투영면(120)과 상기 제2카메라(158)와의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However, if it is impossible to use the autofocusing function or is not covered by the auto focusing fun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first camera 156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the second camera 158 need to be adjusted.

이에 상기 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투영면(110)과 상기 제1카메라(156)와의 거리, 및 상기 제2투영면(120)과 상기 제2카메라(158)와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The distanc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and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plane 120 and the second camera 158.

거리조절은 촬영면적과 서적의 사이즈가 동일 또는 유사한 거리를 미리 설정해 놓고,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상기 제어컴퓨터(400)의 설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y manually setting the same or similar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area and the size of the book,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istance through the setting program of the control computer 400.

예를 들어, 수동으로 조절하는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의 측면(130)을 내벽(132)과 외벽(134)의 이중구조로 하고, 내벽(132)은 상기 제1투영면(110) 및 상기 제2투영면(1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벽(134)은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의 하단부(15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벽(132)은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 걸림턱을 두어 내벽(132)이 특정위치에서 외벽(134)에 고정되도록 함에 의해 거리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자동으로 하는 경우에는 모터와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고 이를 상기 제어컴퓨터(4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거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4, the side surface 130 of 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has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wall 132 and an outer wall 134, and the inner wall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10 and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20 and the outer wall 13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portion 150 of 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The inner wall 132 can be vertically moved, and the inner wall 132 can be fixed to the outer wall 134 at a specific position by providing a fixing jaw. In the case of automatic control,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istance by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control circuit by the control computer 400.

이외에도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various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used as the distance control means.

상기 거리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에, 거리조절이 되더라도,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의 조사방향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의 광 조사방향을 조절하거나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의 촬영범위가 서적의 사이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의 렌즈방향을 조절하거나 카메라들(156,158)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adjusted so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appropriately maintained even if the distance is adjusted,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need to adjus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15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lens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or to arrange the cameras 156 and 158 appropriately.

즉 상기 거리조절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광원(152,154)의 광 조사방향 및 상기 카메라들(156,158)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That is,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s 152 and 154 and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s 156 and 158 in cooperation with the distance adjusting means.

도 5 및 도 6은 상기 스위칭 회로(300) 및 상기 제어컴퓨터(400)의 신호 스위칭 및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들이다.5 and 6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ignal switching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switching circuit 300 and the control computer 400. Referring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컴퓨터(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투영신호, 즉 서적의 내측 1면을 스캔하라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카메라(156)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152) 온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30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회로(300)에서는 상기 제1카메라(156)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152) 온 신호를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1광원(152)에 전송하여 상기 제1광원(152)이 온 되도록하고, 상기 제1카메라(156)에서는 상기 제1투영면(110)으로 투영되는 상기 서적의 내측 1면을 촬영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computer 400 receives a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156 and a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156 in response to a first proj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that is, And generates the first light source 152 ON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witching circuit 300. The switching circuit 300 transmit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first light source 152 on signal to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first light source 152, The light source 152 is turned on and the first camera 156 photographs the inner one side of the book projected onto the first projection plane 110.

상기 제1카메라(156)를 통해 촬영된 서적의 이미지는 상기 스위칭회로(300) 를 통해 상기 제어컴퓨터(400)에 전달되게 되고, 상기 제어컴퓨터(400)에서는 상기 제1카메라(156)를 통해 촬영된 서적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각종 응용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e image of the book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15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omputer 400 via the switching circuit 300 and the control computer 400 transmits the image through the first camera 156 The image of the taken book is received,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erformed and displayed or displayed immediately.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2카메라(158) 및 상기 제2광원(15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econd camera 158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컴퓨터(400) 및 상기 스위칭회로(300)는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의 동작제어 및 신호 송수신만을 담당하고,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의 온/오프 제어는 별도의 장치나 회로를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이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omputer 400 and the switching circuit 300 take charge of only the operation control and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Off control of the second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device or circuit. Also,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54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power is suppli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회로(300)의 동작제어,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의 동작제어 및 신호송수신, 및 상기 제1광원(152) 및 상기 제2광원(154)의 온/오프 제어는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에 내장된 제어회로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어컴퓨터는 일반 컴퓨터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를 통해 제공되는 서적의 촬영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제어회로의 동작을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들(스캔시작 및 종료버튼, 서적크기 선택버튼, 전원버튼, 전원표시램프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circuit 300, the operation control and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152 and the second camera 158 On / off control of the two light sources 154 is performed through a control circuit built in 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and the control computer displays, on a display screen of a book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circuit, Or to store the data. At this time, the control circu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 buttons (a scan start and end button, a book size selection button, a power button, a power indicator,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by a user.

이 경우에는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를 통해 촬영된 서적의 이미지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USB 등의 연결포트가 구비되며, USB 등의 연결포트를 통해 외 부 PC나 메모리장치(메모리 스틱, 외장하드, 메모리 카드 등)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서적 투영기 본체(100)의 스캔동작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nection port such as a USB for providing an image of a book photographed through 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is provided, and an external PC or a memory device such as a memory stick, Hard disk, memory card, etc.) is connected, the scan operation of the book projector main body 100 can be started by sensing this.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를 통해 동시에 스캔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300)에서 순차적 또는 동시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에 촬영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스위칭회로(300)를 통해 상기 제어컴퓨터(400)에 전송되게 된다.When the scan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ar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switched by the switching circuit 300, And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i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ing circuit 300 to the control computer 400 ).

상기 스위칭 회로(300)는 일반적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스위칭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witching circuit 3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witching circuit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general.

도 6은 상기 스위칭 회로(300)가 USB허브(300a)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6 shows a case where the switching circuit 300 is a USB hub 300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컴퓨터(400)는 호스트 컴퓨터로서 상기 USB허브(300a)에 USB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156)와 상기 제2카메라(158)가 상기 USB허브(300a)에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6, the control computer 400 is connected to the USB hub 300a via a USB cable as a host computer, and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are connected to the USB hub 300a, And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300a via a USB cable.

상기 USB허브(300a)은 도 5에서 설명한 스위칭회로(30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USB hub 300a functions as the switching circuit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제어컴퓨터(400)는 상기 제1카메라(156) 및 상기 제2카메라(158)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In FIGS. 5 and 6, the control computer 40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images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156 and the second camera 158.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 재생하거나, 촬영된 서적의 이미지를 페이지별로 선택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페이지의 선택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해당 문자를 인 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여 문자인식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 function of real-time playback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function of selectively browsing the images of the photographed book on a page-by-page basis. In addition, the selection area of a specific page can be enlarged, reduced, and rotat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by providing a softwa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character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특히 상기 제어컴퓨터(400)에서는 전자북(e-book) 등의 제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비하여, 기존의 스캐너 등과 달리 스캔한 내용을 전자북의 형태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control computer 400 includes an application for producing an electronic book (e-book)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edit the scanned contents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book, unlike a conventional scan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적 투영기는 2개의 광원 및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서적의 내면의 이미지를 동시 또는 선택 스캔이 가능하다. 또한 서적의 사이즈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여 스캔하는 것이 가능해 스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ok proj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light sources and two cameras, so that the ima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ok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can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can by adjus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thereby improving the scanning efficiency.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uld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투영기의 외형사시도이고,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ook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서적투영기의 하단부의 구조도이고,Fig. 2 is a structural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book projector of Fig. 1,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ure 1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제어컴퓨터 및 스위칭회로의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들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omputer and the switching circuit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0 : 제1투영면 120 : 제2투영면110: first projection plane 120: second projection plane

152 : 제1광원 154 ; 제2광원152: first light source 154; The second light source

156 : 제1카메라 158 : 제2카메라156: first camera 158: second camera

300 : 스위칭회로 400 : 제어컴퓨터300: switching circuit 400: control computer

Claims (5)

서적 투영기에 있어서:A book projector comprising: 중앙부위에서 서로 맞닿으며 가장자리 부위로 갈수록 경사면을 이루어 서적의 안쪽 면이 접촉시 투영되도록 투명재질을 가지는 제1투영면 및 제2투영면과;A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a second projection surface having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book is projected upo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book,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투영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A first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투영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A second light sour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emitting light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상기 제1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1투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A first camera installed at a lower end of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book installed with a lens toward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and projected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상기 제2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렌즈가 상기 제2투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2투영면을 통하여 투영되는 서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와;A second camera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book installed with a lens toward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and projected through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상기 제1광원 및 상기 제2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컴퓨터와;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 control computer for displaying; 상기 제어컴퓨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사이의 신호전송을 스위칭하고, 제1광원 및 제2광원의 온/오프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함 을 특징으로 하는 서적 투영기.And a switching circuit for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computer,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switching ON / OFF signals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투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투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적 투영기.Wherein the control computer generate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receiv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in response to a first proj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And generate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in response to the input second projection signal, and receiv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1광원 온 신호를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1광원에 전달하고,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동작신호 및 상기 제2광원 온 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 및 상기 제2광원에 전달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적 투영기.Wherein the switching circuit switche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to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light source ON signal are inpu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to the second camer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of the second camer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ON signal are inputted Wherein the controller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to the control computer when the image signal is input.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위칭 회로는 USB 허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적 투영기.Wherein the switching circuit is a USB hub.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적 투영기는, 상기 제1투영면과 상기 제1카메라와의 거리 및 상기 제2투영면과 상기 제2카메라와의 거리를, 투영되는 서적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제어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거나 수동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적 투영기.The book projector includes distanc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lane and the first camera and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plane and the second camer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jected book, Wherein the distance control means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computer.
KR2020090009733U 2009-07-24 2009-07-24 book projector KR2004542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33U KR200454235Y1 (en) 2009-07-24 2009-07-24 book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33U KR200454235Y1 (en) 2009-07-24 2009-07-24 book pro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087U KR20110001087U (en) 2011-02-01
KR200454235Y1 true KR200454235Y1 (en) 2011-06-23

Family

ID=4420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733U KR200454235Y1 (en) 2009-07-24 2009-07-24 book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35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616A (en) * 1999-08-28 2001-03-15 서평원 a STM-1 Interfacing Circuit in the Switching System
KR20030096732A (en) * 2002-06-17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Cooling stage of CV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396732Y1 (en) 2005-07-08 2005-09-27 퀄리플로나라테크 주식회사 Silicon crystal growth controllar using image binarization
KR20080079751A (en) * 2007-02-28 2008-09-02 김원섭 Camera device for taking picture having real siz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616A (en) * 1999-08-28 2001-03-15 서평원 a STM-1 Interfacing Circuit in the Switching System
KR20030096732A (en) * 2002-06-17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Cooling stage of CV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396732Y1 (en) 2005-07-08 2005-09-27 퀄리플로나라테크 주식회사 Silicon crystal growth controllar using image binarization
KR20080079751A (en) * 2007-02-28 2008-09-02 김원섭 Camera device for taking picture having real siz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087U (en)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9737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148573B2 (en) Non-uniform correction illumination pattern
US7176890B2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software program
KR101027306B1 (en) Apparatus of portable scan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38694B2 (en) Electronic handwriting input device
JP4534249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10009575A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JP2007067966A (en) Image processing system
JPH0888785A (en) Image input device
JP2005115185A (en) Projection devic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and projection image photographing system
US20060119734A1 (en) Docking station for near-object digital photography
JP2007082005A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JP4490888B2 (en) Imaging device
KR200454235Y1 (en) book projector
JP4561397B2 (en)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camera device
JP2006237937A (en) Image recording method and camera device
US20100097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inger depth using camera and touch screen having the apparatus
JP2011066699A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program for same
JP4098889B2 (en) Electronic camera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529700A (en) System for inputting word image and method for inputting word image
JP2004198817A (en) Presentation device
JP2006099115A (en) Projection apparatus with photographic functions, and projection image photographic system
JP2018191094A (en) Document reader, method of controlling document reader, and program
JP5061762B2 (en) Document camera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2027302A (en) Imaging apparatus with proj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