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80Y1 -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 Google Patents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80Y1
KR200454180Y1 KR2020100012993U KR20100012993U KR200454180Y1 KR 200454180 Y1 KR200454180 Y1 KR 200454180Y1 KR 2020100012993 U KR2020100012993 U KR 2020100012993U KR 20100012993 U KR20100012993 U KR 20100012993U KR 200454180 Y1 KR200454180 Y1 KR 200454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gae
wearing
head
form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혜란
Original Assignee
김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란 filed Critical 김혜란
Priority to KR2020100012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4Blocking; Pressing; Steaming;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는, 착용자의 머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착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은 대바늘을 이용한 변형고무뜨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 개의 수직 방향의 골과 돌기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착용부와; 착용부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에 의해 착용부 하부 선단의 수평 코를 연속으로 감아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와; 상기 착용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뜨기할 실의 일측은 착용부의 하부 수직코를 감아 연결된 채 착용부의 돌기를 따라 착용부 상단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착용부의 돌기를 형성하는 수직코를 감싸 설치되어 있어, 상기 착용부와 다른 색상의 실이 돌기을 덮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레게돌기형성부와;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바늘 선단이 착용부 상단 중앙의 수직코 사이의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한 다음 바늘코가 코바늘사슬뜨기할 실 중간을 건 후 다시 최초의 관통 지점을 다시 빠져 나오도록 한 다음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측 선단의 실이 착용부 상단의 수직코를 감아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착용부 중앙 선단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다수 개의 실이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 착용부 중앙 선단에 일측이 연결된 다수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는 레게머리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골과 돌기가 형성되도록 착용부를 형성하고, 착용부 하부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부에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를 이용하여 레게머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줄기를 형성함으로써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착용부의 일측 돌기에는 고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리에 고글을 끼우거나, 옷걸이를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구조가 제공되며, 레게머리형성부를 구성하는 각 줄기는 코바늘사슬뜨기와 같은 간편한 뜨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면서 착용부의 상단 수직코를 감싼 구조로 형성되어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고, 코뜨기를 이용하여 착용부와 색상이 다른 실이 착용부의 돌기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착용부의 돌기 전체 또는 일부 돌기의 외주면으로 색상이 다른 실이 설치되어 착용부에도 돌기를 따라 여러 색상을 갖는 레게돌기형성부가 형성되어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보다 현저하게 연출할 수 있고, 레게돌기형성부를 형성하는 실이 착용부 상부로 연장되도록 하고,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실과 겹친 채 코바늘사슬뜨기를 통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상으로 레게머리형성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ed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The knit cap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aring space formed inwardly so that the wearer's head is accommodated inwar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 plurality of vertical valleys and protrusions formed by deforming rubber using a large needle. And wearing portion is formed; A finishing part formed on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aring part and wound around the horizontal nose of the lower end of the wearing part by turning back using a crochet hook; It is formed by using a crochet using a needle of a different color than the wearing part, one side of the thread to be crocheted is installed to the top of the wearing part along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lower vertical nose of the wearing part, The middle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vertical nose to form a protrusion of the wear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ward direction,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a shape covering the protrusions of the thread different from the wearing portion; It is formed by crocheting with a crochet hook, where the tip of the crochet penetrates the space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vertical nose at the top of the wearing section, and then the needle nose crosses the middle of the thread for crocheting,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enetration point again. The needle chain is made after being pulled out, and the thread of one end is wound around the vertical nose at the top of the wearing part and connected to it, and a plurality of yarns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 at the center end of the wearing part. It is installed by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ms connected to one side at the front end of the wearing portion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r part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valleys and protrusion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nish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ear part, and a plurality having a shape such as a reggae head using a crochet hook using a crochet hook at the top. By forming the stems of the dog can create a reggae-like design, and one side projection of the wear portion to form a ring forming part to provide goggles or hooks on the hook to provide an easy-to-use structure, reggae head forming part Each stem to be formed is formed using a simple knitting method such as crochet hook,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wrapped around the upper vertical nose of the wearer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 the thread is installed along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the periphery of all or some of the protrusions of the wearing part As a different color thread is installed, reggae protrusions having various colors along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worn part, so that the reggae head-like design can be produced more remarkably. It is possible to produce a reggae head forming part in a variety of colors by forming a reggae head forming part through the crochet stitches while overlapping the thread for forming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Description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Knit cap looks like dreadlocks}Knit cap looks like dreadlocks}

본 고안은 니트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자의 외주면 및 상부에 레게머리와 같은 형상이 나타나도록 한,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 h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it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such that a shape such as a reggae head appear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at.

니트 모자는 부드럽고 신축성이 뛰어나면서 보온성이 우수한 각종 털실로 제조되어 오래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광받고 있는 모자의 한 종류이다.Knit hats are made of various yarns that are soft and stretchy and hav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이러한 니트 모자는 소재 자체의 강성이 없는 관계로 주로 챙이 없는 모자로 제조되고, 챙이 있는 모자의 경우 챙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내부에 경도가 우수한 지류 등을 삽입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knit caps are mainly manufactured with no brim because of the rigidity of the material itself, and in the case of a brim hat, it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brim or inserting a paper having excellent hardness into the inside.

참고로, 챙이 있는 니트 모자로는 "앞챙이 구비된 니트 모자"(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505호)가 출원되어 공개된 바 있다.For reference, as a knitted hat with a brim, a "knit cap with a front brim"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6505) has been filed and disclosed.

상기 니트 모자는 횡편기로 편직되어 머리를 감싸주는 크라운부 및 후단부에 연장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그 연결부가 크라운부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앞챙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knit hat has a crown portion that is knitted with a flat knitting machine and covers the head and extends to the rear end, and the front portion is coupled to the crown bottom edge.

이러한 니트 모자는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디자인의 변형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써,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의 형상에 약간의 변화를 준 베레모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으로밖에 디자인을 연출할 수 밖에 없었다.The knitted hat has almost no deform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only way to produce the design is to form a beret shape with a slight change in the shape of the part where the head is accommodated.

즉,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머리를 수용하는 외피 부분의 형상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정도의 디자인 변화가 가능할 뿐이었으며, 외부 장식으로는 챙 외에 구 형상의 고리를 형성하는 정도만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nly a slight change in the shape of the outer portion accommodating the head was possible, and the exterior decoration is only used to form a spherical ring in addition to the visor. .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니트 모자의 디자인 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sign of a knitted hat that can produce a variety of shapes.

KR 20-0426505 (2006.09.06)KR 20-0426505 (2006.09.06)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는 종래에 공개된 모자들보다 보다 참신한 미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골과 돌기가 형성되도록 착용부를 형성하고, 착용부 하부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부에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를 이용하여 레게머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줄기를 형성함으로써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연출하려는 것이다.The knitted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have a more fresh aesthetic than conventionally disclosed hats, and forms a wearing part to form a plurality of valleys and protrusion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finishing part under the wearing part. On the other hand, by using a crochet hook using a crochet hook on the top to form a plurality of stems having the same shape as a reggae head to produce a design like a reggae head.

또, 착용부의 일측 돌기에는 고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리에 고글을 끼우거나, 옷걸이를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protrusion of the wear portion to form a ring forming portion to put the goggles on the hook, or to hang a hanger to provid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use.

또한, 레게머리형성부를 구성하는 각 줄기는 코바늘사슬뜨기와 같은 간편한 뜨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면서 착용부의 상단 수직코를 감싼 구조로 형성되어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stem constitut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s to be formed using a simple knitting method such as crochet hook, while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forming a structure wrapped around the top vertical nose of the wearing portion.

또, 코뜨기를 이용하여 착용부와 색상이 다른 실이 착용부의 돌기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착용부의 돌기 전체 또는 일부 돌기의 외주면으로 색상이 다른 실이 설치되어 착용부에도 돌기를 따라 여러 색상을 갖는 레게돌기형성부가 형성되어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보다 현저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a thread having a different color from the wearing part is installed along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using a crochet, so that a thread having a different colo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tire protrusion or part of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and the reggae having various colors along the protrusion is also worn on the wearing part. Protruding parts are formed to make the design such as the reggae head more remarkable.

이때, 레게돌기형성부를 형성하는 실이 착용부 상부로 연장되도록 하고,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실과 겹친 채 코바늘사슬뜨기를 통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상으로 레게머리형성부를 연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thread forming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ing portion, and overlapping the thread for form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to form a reggae head forming portion through the crochet hook to produce a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n a more various colors I will.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머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착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은 대바늘을 이용한 변형고무뜨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 개의 수직 방향의 골과 돌기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착용부와; 착용부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에 의해 착용부 하부 선단의 수평 코를 연속으로 감아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와; 상기 착용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뜨기할 실의 일측은 착용부의 하부 수직코를 감아 연결된 채 착용부의 돌기를 따라 착용부 상단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착용부의 돌기를 형성하는 수직코를 감싸 설치되어 있어, 상기 착용부와 다른 색상의 실이 돌기을 덮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레게돌기형성부와;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바늘 선단이 착용부 상단 중앙의 수직코 사이의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한 다음 바늘코가 코바늘사슬뜨기할 실 중간을 건 후 다시 최초의 관통 지점을 다시 빠져 나오도록 한 다음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측 선단의 실이 착용부 상단의 수직코를 감아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착용부 중앙 선단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다수 개의 실이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 착용부 중앙 선단에 일측이 연결된 다수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는 레게머리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knitted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aring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wearer's head is accommodated in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itted hat is formed by deforming rubber using a large needle. A wearing part in which valleys and protrusions in a vertical direction are continuously formed; A finishing part formed on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aring part and wound around the horizontal nose of the lower end of the wearing part by turning back using a crochet hook; It is formed by using a crochet using a needle of a different color than the wearing part, one side of the thread to be crocheted is installed to the top of the wearing part along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lower vertical nose of the wearing part, The middle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vertical nose to form a protrusion of the wear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ward direction,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a shape covering the protrusions of the thread different from the wearing portion; It is formed by crocheting with a crochet hook, where the tip of the crochet penetrates the space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vertical nose at the top of the wearing section, and then the needle nose crosses the middle of the thread for crocheting,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enetration point again. The needle chain is made after being pulled out, and the thread of one end is wound around the vertical nose at the top of the wearing part and connected to it. It is installed by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ms connected to one side at the front end of the wearing portion is configured.

이때, 코뜨기할 실은 레게돌기형성부를 형성한 후 상부에 여분의 길이를 가지며, 여분의 부분은 코바늘사슬뜨기할 실가 겹쳐진 상태에서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두 실이 겹쳐진 상태에서 레게머리형성부의 줄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yarn to be crocheted has an extra length at the top after forming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and the extra portion is formed with a crochet in a state where the yarn to be crocheted is overlapped, thereby forming a reggae head in a state where two different threads are overlapped.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negative stem.

또, 상기 마감부의 하부 양측에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하부줄기가 형성되어 있어, 레게머리형성부의 전부 또는 일부 줄기를 묶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wo lower stems formed by crochet hooks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inishing part, so that all or some stems of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may be bundled.

본 고안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골과 돌기가 형성되도록 착용부를 형성하고, 착용부 하부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부에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를 이용하여 레게머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줄기를 형성함으로써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r part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valleys and protrusion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nish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ear part, and a plurality having a shape such as a reggae head using a crochet hook using a crochet hook at the top. By forming the stem of the dog, it is possible to create a reggae-like design.

또, 착용부의 일측 돌기에는 고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리에 고글을 끼우거나, 옷걸이를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one side protrusion of the wearing por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use by forming a ring forming portion to fit the goggles on the hook or to hang the hanger.

또한, 레게머리형성부를 구성하는 각 줄기는 코바늘사슬뜨기와 같은 간편한 뜨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면서 착용부의 상단 수직코를 감싼 구조로 형성되어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each stem constitut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s formed using a simple knitting method such as crochet stitches are formed in a structure wrapped around the upper vertical nose of the wearing por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 코뜨기를 이용하여 착용부와 색상이 다른 실이 착용부의 돌기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착용부의 돌기 전체 또는 일부 돌기의 외주면으로 색상이 다른 실이 설치되어 착용부에도 돌기를 따라 여러 색상을 갖는 레게돌기형성부가 형성되어 레게머리와 같은 디자인을 보다 현저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thread having a different color from the wearing part is installed along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using a crochet, so that a thread having a different colo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tire protrusion or part of the protrusion of the wearing part, and the reggae having various colors along the protrusion is also worn on the wearing part.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more remarkable to design such as reggae head.

이때, 레게돌기형성부를 형성하는 실이 착용부 상부로 연장되도록 하고,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실과 겹친 채 코바늘사슬뜨기를 통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상으로 레게머리형성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thread forming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ing portion, and overlapping the thread for form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to form a reggae head forming portion through the crochet hook to produce a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n a more various colors do.

도 1은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의 한 예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의 착용부에 골과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에 레게돌기형성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탄내 사진.
도 3은 본 고안에서 착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변형고무뜨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서 레게돌기형성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고안에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는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고안에서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 방법으로 마감부를 형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레게머리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바늘사슬뜨기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고안에서 하부줄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에서 고리형성부에서 고리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knitted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Natan in the bone and th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wearing portion of the knit cap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gae projection formed on the projec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deformed rubber knit for forming a wear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hotographs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hotographs showing an example of forming a reggae head form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forming a reggae head form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forming a finish by the reverse method using a crochet hook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crochet hook for forming a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stem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forming a ring in the ring form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knit cap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knit cap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는 크게 착용부(10)와, 마감부(20), 고리형성부(70) 및 레게머리형성부(40)로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a knit hat having a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wearing part 10, a finishing part 20, a ring forming part 70, and a reggae head forming part 40.

아울러, 착용부(10)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레게돌기형성부(3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gulating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aring portion 10.

착용부(10)는 착용자의 머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착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The wearing part 10 has a wearing space 11 formed inward so that the wearer's head is accommodated inside.

아울러, 착용부(10)는 대바늘을 이용한 변형고무뜨기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수직 방향의 골(13)과 돌기(12)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portion 10 is formed by deforming rubber knitting using a large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alleys 13 and the projections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succession.

이러한 착용부(10)는 레게머리형성부(40)와 함께 어울려, 보다 자연스럽게 레게머리와 같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is wearing portion 10 is matched with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natural aesthetic like reggae head.

대바늘을 이용한 변형고무뜨기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첫코는 안뜨기 방향으로 빼 뜨기로 빼준 다음, 두번째 및 세번째 코를 한꺼번에 뜬다.In the method of deforming rubber using a large need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nose is first drawn out in the purl direction, and then the second and third noses are floated at once.

이때, 실은 안뜨기 방향으로 놓고 두 코를 겉뜨기 방향으로 한꺼번에 떠주면 된다.At this time, the thread is placed in the purl direction, and both noses are floated at once in the purl direction.

세번째는 다시 안뜨기 방향으로 한 코 떠준 다음, 다시 2번 반복으로 실을 안 쪽으로 놓은 상태에서 두코 한꺼번에 겉뜨기로 뜬다.The third one is snorted in the purl direction, and then double-doubled, with the thread placed inwards, and floated together.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13)과 돌기(12)가 연속으로 형성되게 된다.When this operation is repeated, the valley 13 and the protrusion 12 are naturally formed as shown in FIG. 2.

이와 같이 변형고무뜨기 방법으로 평평하게 실을 뜬 다음에는 남은 실을 이용하여 양쪽 끝을 박음질 처리하면서 상단부 부분을 당겨 동그란 호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착용부(10)의 형성이 끝나게 된다.
As such, after the yarn is flattened by the method of deforming rubber, the upper part is pulled while forming a round arc while the both ends are sewn using the remaining thread to form the wear part 10.

마감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에 의해 착용부(10) 하부 선단의 수평 코를 연속으로 감아 형성된다.Finishing portion 20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aring portion 10, as shown, is formed by winding the horizontal nose of the lower end of the wearing portion 10 by turning back using a crochet hook.

이러한 마감부(20)는 니트 모자의 하부 둘레를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모자 하부가 너풀거리는 느낌이 들지 않고 안쪽으로 다소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is finish portion 20 serves to finish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knit cap neatly,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does not feel ruffled and serves to tighten inward.

도 9에는 마감부(20) 형성을 위한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n example of a turn back using a crochet needle for forming the finish 20.

도면을 보면, 먼저, 올라가기 사슬을 한 코 뜬 다음, 바늘 끝을 두번째 그림의 화살표 방향으로 앞으로 돌려 앞단의 끝 코를 뜨고, 세번째 및 네번째 그림과 같이 짧은뜨기의 요령으로 뜨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In the drawing, first, the nose chain is raised by one nose, then the tip of the needle is turn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second figure, the nose of the fore tip is raised and repeated by the short knitting technique as shown in the third and fourth figures. can do.

고리형성부(70)는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용부(10)의 전체 돌기(12) 중 일부 돌기(12)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12, the annular portion 70 is formed on some of the protrusions 12 of the entire protrus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이때, 고리형성부(70)의 상부와 하부는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며, 중간부분은 코바늘에 의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ing forming portion 70 is formed by the crochet using the crochet hook,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by the crochet hook by the crochet hook.

이때, 코뜨기는 일반적인 코뜨기가 아니라, 코뜨기할 실은 착용부(10)의 돌기(12)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수직코(12a)를 감싸 설치되어 있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착용부(10)의 돌기(12)를 덮는 형상을 취하게 되며, 이 경우 코뜨기할 실을 착용부(10)를 구성하는 실과 다르게 하거나 일부 다르게 하여 보다 나은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ochet is not a general crochet, but the yarn to be crocheted is installed around the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formed along the project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takes a shape covering the protrus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better aesthetic by different or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yarn constituting the wearing portion 10.

아울러, 코바늘사슬뜨기 하는 부분은 돌기(12)와 연결 상태에 있지 아니한 관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와 이격되어 결과적으로 고리(72)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crochet hook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2 as shown in the relationship that is not in connection with the protrusion 12, and as a result, to form a ring 72.

이러한 고리형성부(7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의 고리(71)는 그 크기를 크게 하여 고글을 끼우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간 부분에는 보조고리(72)를 형성하여 옷걸이 등에 본 고안의 모자를 거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ing forming part 70 may be used for fitting the goggles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ring 71, and forming an auxiliary ring 72 in the middle part of the hook hanger. It can be used for such purposes as hanging th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러한 고리(71)는 후술하는 레게머리형성부(40)의 일부 줄기를 관통시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ing 71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various designs by penetrating a part of the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고리형성부(70)에서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레게돌기형성부(30)를 참조하기로 한다.For the method of crocheting the crochet hook in the ring forming portion 70 will be referred to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고리형성부(70)에서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레게머리형성부(40)를 참조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knitting the crochet hook using the crochet in the ring forming portion 70 will be referred to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레게머리형성부(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착용부(10) 중앙 선단에 연결된 채 다수 개의 줄기로 형성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레게머리와 같은 형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4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ems with one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tip of the wearing part 10, and is configured to naturally form a reggae head.

레게머리형성부(40)의 각 줄기는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된다.Each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is formed by crochet stitches using a crochet hook.

이때, 코바늘의 선단이 착용부(10)의 상단 중앙 수직코(14) 사이이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한 다음 바늘코에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 중간이 걸쳐지도록 한 다음 다시 최초의 관통 지점을 다시 빠져나오도록 한 다음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tip of the crochet needle penetrate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enter vertical nose 14 of the wearing portion 10, and then intersects the middle of the thread 41 to be crocheted to the needle nose, and then again the first penetration point. Get out again and then crochet.

즉, 레게머리형성부(40)의 한 줄기는 일측 선단의 실이 착용부(10) 상단 중앙 수직코(14)를 감아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That is, one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40 will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hread of one end is wound around the wearing portion 10 and the upper central nose 14.

도 6 및 도 7은 이러한 레게머리형성부(40)의 한 줄기를 형성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illustrate an example of forming one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40.

먼저, 도 6의 첫번째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바늘(50)을 착용부(10) 상단 중앙 수직코(14) 사이의 양 옆의 공간을 관통시킨다.First, as shown in the first picture of FIG. 6, the crochet needle 50 penetrates the spaces on both sides between the central vertical nose 14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ing portion 10.

그런 다음 두번째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게머리형성부(40)의 한 줄기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 중간 지점이 코바늘(50)의 바늘코(51)에 걸리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the second picture, the needle 41 of the crochet hook 50 has a middle point of a separate crochet thread 41 to form a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바늘 코에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이 걸린 다음에는 세번째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시 원래의 틈으로 코바늘(50)을 잡아 빼는데, 이 때 바늘코(51)에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이 걸려 있어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은 상단 중앙 수직코(14) 사이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한 형태가 된다.After the needle 41 is hooked to the needle nose, the needle 50 is pulled back into the original gap, as shown in the third picture. At this time, the needle 41 is crocheted to the needle nose 51. The thread 41 to be crocheted so as to penetrate the space between the two sides between the upper center vertical nose 14.

그런 다음에는 네번째 사진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바늘사슬뜨기를 연속 동작으로 실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착용부(10) 상단으로부터 사슬 모양의 레게머리형성부(40)가 형성되는 것이다.Then, by carrying out a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rochet hook as shown in the fourth photograph and FIG. 7, as a result, a chain-shaped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wearing portion 10.

도 10에는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10 illustrates a crochet hook method using a crochet hook.

먼저, 화살표 방향으로 바늘을 움직인 다음, 두번째로 루프를 통해 실을 걸어 빼내고, 다시 실을 걸어 2코 째를 빼내 연속적으로 사슬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First, the needl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secondly, the thread is pulled out through the loop, and the second thread is pulled out again to form a chain shape continuous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레게돌기형성부(3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레게돌기형성부(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용부(10)를 형성하는 실과 다른 색상의 별도의 실을 이용하여 착용부(10)의 돌기(12) 외주면을 따라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art 3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of the wearing part 10 by using a separate thread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thread forming the wearing part 10. It is formed by the crochet using a crochet hook.

이때, 코뜨기할 실(31)의 일측은 도 4의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착용부(10)의 하부 수직코(10a) 양 옆 공간을 관통한 후 코뜨기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하부 수직코(10a)를 감은 채 설치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yarn to be crocheted 31 passes through the spac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vertical nose 10a of the wearing portion 10, a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pictures of FIG. It is installed with the nose 10a wound.

도 4의 첫번째 그림을 살펴보면, 코바늘(50)을 착용부(10) 하부 수직코(10a)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바늘코(51)에 코뜨기할 실(31)을 걸고 나서, 두 번째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Looking at the first picture of FIG. 4, after the needle 50 is pierced through the vertical nose 10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earer 10, the thread 31 to be crocheted is hooked to the needle nose 51. As you can see,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런 다음 코뜨기를 실시하는데, 이때, 세번째 및 네번째 사진 및 도 5의 사진에 순서대로 나타난 바와 같이 코뜨기를 할 때 바늘코(51)에 코뜨기할 실(31)을 걸기 전에 돌기(12)를 형성하는 돌기수직코(12a)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하여 결국, 돌기(12)를 형성하는 돌기수직코(12a)를 감싸면서 코뜨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n, the knitt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projections 12 before hanging the thread 31 to be crocheted to the needle nose 51 when the knitting is performed as shown in the third and fourth photographs and the photograph of FIG. 5 in sequence. Through the spaces on both sides of the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to form the end, the wrapping is made while wrapping the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forming the projection 12.

이때, 돌기(12)를 형성하는 돌기수직코(12a)를 순서대로 모두 감싸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일정한 코 만큼 건너뛰면서 감싸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미감의 연출에 있어 보다 양질의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forming the projection 12 may be all wrapped in order to install, but to install while skipping by a certain nose to provide a better aesthetic in the direction of the aesthetics.

이와 같이 형성된 레게돌기형성부(30)는 착용부(10)와 다른 색상의 실이 돌기(12)를 덮는 형상이 되어 돌기(12)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in which a thread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wearing portion 10 covers the protrusion 12 so that a variety of designs can be pro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protrusion 12 is formed. .

일 예로, 각각의 돌기(12)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거나, 일부 돌기(12)에는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하지 않는 방법 등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by forming a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using threads of different colors for each protrusion 12, or by not forming a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on some of the protrusions 12. Various designs can be produced.

레게머리형성부(40)를 형성함에 있어서,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하는 꼬뜨기할 실을 길게 하여,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한 후 상부에 여분의 길이가 남도록 하고, 이 여분의 실을 이용하여 코바늘사슬뜨기를 실시하여 레게머리형성부(40)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form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the thread to be formed to form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is lengthened, so that an extra length is left on the upper portion after forming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by performing a crochet stitch using an extra thread.

또,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과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하고 남은 여분의 실이나 고리형성부(70)를 형성하고 남은 여분의 실들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코바늘사슬뜨기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두 실이 겹쳐진 상태에서 레게머리형성부의 줄기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yarn 41 to be crocheted and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are formed, and the remaining excess yarn or ring forming portion 70 is formed to overlap the remaining yarn. Crochet in the state may be carried out to form the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wo different yarns overlap.

이 경우 여분의 실과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의 색상을 달리 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by varying the color of the extra thread and the yarn 41 to be crochete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variety of design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0)에 수직 방향의 다수 개의 골(13)과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데다, 착용부(10) 돌기(12) 외측으로 다수 개의 고리(71)가 형성되어 있어 고글을 끼우거나, 옷걸이에 모자를 걸거나, 레게머리형성부(40)를 형성하는 여러 줄기를 걸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knit hat having the reggae hea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valleys 13 and protrusions 1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earing part 10, and the wearing part ( 10) a plurality of rings 71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12 to put goggles, hang a hat on a hanger, or hang various stems forming a reggae head forming part 40 to produce various designs, etc. It will be able to play various roles.

또한, 레게돌기형성부(30)가 형성되어 있어 착용부(10)에 다양한 색상의 레게머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is formed to form a reggae head shape of various colors on the wearing portion 10.

또, 착용부(10) 상단 중앙으로부터 여러 갈래 레게머리형성부(40)의 줄기가 늘어진 형태가 되어 자연스러운 레게머리 형상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stem of the various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wearing portion 10 is elongated to have a natural reggae head shape.

이때, 레게머리형성부(40)를 형성할 때, 하나의 실이 아닌 색이 서로 다른 두 실의 중간을 바늘코(51)에 걸어 코바늘사슬뜨기를 실시하게 되면 하나의 줄기에 다양한 색상이 교차되어 표현되어 보다 개선된 미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forming the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0, if the needle crochet hooks the middle of two yarns of different colors instead of one thread and performs a crochet hook, various colors cross one stem. It can be expressed to express a more improved aesthetics.

아울러, 착용부(10)를 형성할 때도, 서로 색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실을 이용하여 대바늘변형고무뜨기를 실시할 경우 여러 색상이 교차되어 개선된 미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forming the wearing portion 10, when using the needle stitching rubber deformation using two or more different colors, the different colors can be crossed to express the improved aesthetics.

한편,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감부(20)의 하부 양측에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하부줄기(60)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wo lower stems 60 formed by crochet stitches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inishing portion 20.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레게머리형성부(40)의 전부 또는 일부 줄기를 하부줄기(60)로 묶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all or some of the stems of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40 may be tied to the lower stem 60 to produce various designs.

10 : 착용부 10a : 착용부 하부 수직코
11 : 착용공간 12 : 돌기
12a : 돌기수직코 13 : 골
14 : 상단 중앙 수직코 20 : 마감부
30 : 레게돌기형성부 31 : 코뜨기할 실
40 : 레게머리형성부 41 : 코바늘사슬뜨기할 실
50 : 코바늘 51 : 바늘코
60 : 하부줄기 70 : 고리형성부
71 : 고리 72 : 보조고리
10: wearing part 10a: wearing part vertical nose
11: wearing space 12: protrusion
12a: projection vertical nose 13: goal
14: top center vertical nose 20: finish
30: reggae protrusion forming part 31: yarn to be crocheted
40: reggae head forming portion 41: crochet thread
50: crochet needle 51: needle nose
60: lower stem 70: ring-forming part
71: ring 72: auxiliary ring

Claims (3)

니트 모자에 있어서,
착용자의 머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착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은 대바늘을 이용한 변형고무뜨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 개의 수직 방향의 골(13)과 돌기(12)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착용부(10)와;
착용부(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바늘을 이용한 뒤돌아뜨기에 의해 착용부(10) 하부 선단의 수평 코를 연속으로 감아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20)와;
상기 착용부(10)의 전체 돌기(12) 중 일부 돌기(12)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뜨기할 실은 착용부(10)의 돌기(12)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수직코(12a)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돌기(12)와 이격되어 고리(71)를 형성하는 고리형성부(70)와;
코바늘을 이용한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바늘 선단이 착용부(10) 상단 중앙 수직코(14) 사이의 양 옆의 공간을 관통한 다음 바늘코(51)가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 중간을 건 후 다시 최초의 관통 지점을 다시 빠져 나오도록 한 다음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측 선단의 실(41)이 착용부(10) 상단 중앙 수직코(14)를 감아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착용부(10) 중앙 선단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다수 개의 실(41)이 코바늘사슬뜨기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 착용부(10) 중앙 선단에 일측이 연결된 다수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는 레게머리형성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
In the knitted hat,
The wearing space 11 is formed inwardly so that the wearer's head is accommodated inwar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valleys 13 and protrusions 12 continuously formed by deforming rubber using a needle. Wearing portion 10;
A finishing part 20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0 and continuously wound around the horizontal nose of the lower end of the wearing part 10 by turning back using a crochet hook;
Is formed on some of the protrusions 12 of the entire project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by a crochet using a crochet hook, the project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the yarn to be crocheted I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formed along the),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by the crochet hook using a crochet hook is formed with a ring forming a ring 71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12 ( 70);
It is formed by the crochet hook using a crochet needle, the needle tip penetrates the space between both sides between the vertical center nose 14 of the top of the wearing portion 10, and then the needle nose 51 stitches the yarn 41. After passing through the middle, the first penetrating point is pulled out again, and then the crochet hook is made, so that the thread 41 of one end is wound around the vertical nose 14 of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 and connected. Reggae head having a plurality of stems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end of the wear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eads 41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t the center end of the wearing portion 10 is formed Formed portion 40; configured to include,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10)와 다른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코바늘을 이용한 코뜨기에 의해 형성되되, 코뜨기할 실(31)의 일측은 착용부(10)의 하부 수직코(10a)를 감아 연결된 채 착용부(10)의 돌기(12)를 따라 착용부(10) 상단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착용부(10)의 돌기(12)를 형성하는 돌기수직코(12a)를 감싸 설치되어 있어, 상기 착용부(10)와 다른 색상의 실이 돌기(12)을 덮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레게돌기형성부(3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by using a crochet using a needle of a different color than the wearing portion 10, one side of the thread 31 to be crochete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lower vertical nose (10a) of the wearing portion 10 Along the protrus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is installed up to the top of the wearing portion 10, the middle portion is a projection vertical nose 12a to form a protrusion 12 of the wearing portion 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ward direction It is installed wrapped around,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is configured to form a shape that covers the protrusion 12, the thread of a different color than the wearing portion 10;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formed,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제 2항에 있어서,
코뜨기할 실(31)은 레게돌기형성부(30)를 형성한 후 상부에 여분의 길이를 가지며, 여분의 부분은 코바늘사슬뜨기할 실(41)이 겹쳐진 상태에서 코바늘사슬뜨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두 실이 겹쳐진 상태에서 레게머리형성부(40)의 줄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게머리 형상을 갖는 니트 모자.
The method of claim 2,
Thread 31 to be crocheted has an extra length at the top after forming the reggae protrusion forming portion 30, and the extra portions are crocheted in a state where the threads 41 to be crocheted overlap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stem of the reggae head forming part 40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two threads overlap,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KR2020100012993U 2010-12-15 2010-12-15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KR2004541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93U KR200454180Y1 (en) 2010-12-15 2010-12-15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93U KR200454180Y1 (en) 2010-12-15 2010-12-15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80Y1 true KR200454180Y1 (en) 2011-06-20

Family

ID=444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93U KR200454180Y1 (en) 2010-12-15 2010-12-15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8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400B1 (en) 2018-07-20 2020-01-17 (주)우노 앤 컴퍼니 Wig yarn bundle for Dreadlocks attaching hai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05A (en) * 2002-09-24 2004-03-31 정병일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from animal husbandry
KR20040081634A (en) * 2003-03-14 2004-09-22 오문환 A knitting cap with a brand face
KR200426405Y1 (en) 2006-06-21 2006-09-19 장영근 Knit hat
KR20100011764U (en) * 2009-05-26 2010-12-06 (주)청림인터내셔날 Knit hat having an adjustable size means
KR20100011763U (en) * 2009-05-26 2010-12-06 (주)청림인터내셔날 Knit hat having an adjustable size function with an rear open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05A (en) * 2002-09-24 2004-03-31 정병일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from animal husbandry
KR20040081634A (en) * 2003-03-14 2004-09-22 오문환 A knitting cap with a brand face
KR200426405Y1 (en) 2006-06-21 2006-09-19 장영근 Knit hat
KR20100011764U (en) * 2009-05-26 2010-12-06 (주)청림인터내셔날 Knit hat having an adjustable size means
KR20100011763U (en) * 2009-05-26 2010-12-06 (주)청림인터내셔날 Knit hat having an adjustable size function with an rear ope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400B1 (en) 2018-07-20 2020-01-17 (주)우노 앤 컴퍼니 Wig yarn bundle for Dreadlocks attaching hai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08B2 (en) Stitched garment with opening incorporated into stitched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141395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aperture
US20060048275A1 (en) Headwear having exposed stitches to fix a lower hem thereof
KR200454180Y1 (en)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JP6199509B2 (en) Shoe upper knitting method and shoe upper
JP2012167395A (en) Knitted fabric
KR200454182Y1 (en)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JP3217553U (en) socks
KR200454181Y1 (en) Knit hat with reggae head shape
JP2008184717A (en) Knit cap with artificial hair
KR2001009914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united cap with peak
JP3227382U (en) mask
JP3201801U (en) Hair net
KR101606081B1 (en) Connection Method Sleeve and Shoulder by Hand Knitting
KR101609627B1 (en) Form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Jacket for Man by Hand Knitting
KR101606084B1 (en) Fabrication Method of One-Piece Dress Having Wave Pattern by Hand Knitting
JP3105271U (en) Versatile neck warmer
KR200304039Y1 (en) Head string for decoration
KR101265443B1 (en) Kniting method of muffler
KR200464688Y1 (en) Textile having loop
KR100685537B1 (en) Cap maintaining the shape of crown
KR101830845B1 (en) Turtle neck of knitwear
JP3205114U (en) Knitted cap
KR20210155208A (en) Fabrication method of dress having wave pattern by knitting
KR20150004444U (en) Seamless knitted 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