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048Y1 - 진열함 - Google Patents

진열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048Y1
KR200454048Y1 KR2020080011644U KR20080011644U KR200454048Y1 KR 200454048 Y1 KR200454048 Y1 KR 200454048Y1 KR 2020080011644 U KR2020080011644 U KR 2020080011644U KR 20080011644 U KR20080011644 U KR 20080011644U KR 200454048 Y1 KR200454048 Y1 KR 200454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ece
hinge
vertical pie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592U (ko
Inventor
이금선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2020080011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4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87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around an axi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은행이나 전시회 등에서 사용되는 안내장 및 팜프렛 등을 꽂아줄 수 있는 진열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열함가 설치되는 지점에 따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진열함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이 정확히 확인될 수 있도록 한 진열함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팜프렛이나 카다로그가 각각 꽂아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실을 갖는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 양측면 외면에 각각 수직편이 면접지 되고,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는 받침편이 갖추어진 받침요소와;
상기 수직편의 상단 중간지점에는 수납함체를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수납함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 후단부에 수납함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열함{Showing it}
본 고안은 은행이나 전시회 등에서 사용되는 안내장 및 팜프렛 등을 꽂아줄 수 있는 진열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열함가 설치되는 지점에 따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진열함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이 정확히 확인될 수 있도록 한 진열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은행 또는 보험회사 등에는 적금 및 보험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는 팜프렛 등이 진열되어 은행과 보험회사를 찾는 손님들에게 가장 잘 보이는 장소에 비치시켜 놓으므로서, 고객이 진열함에 꽂혀있는 팜프렛을 꺼내어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적금이나 보험 등을 선택하여 가입을 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진열함는 은행과 보험회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시회 및 박람회 등과 같은 장소에서도 전시품 및 박람회에 참가한 제품 등을 설명하기 위한 카다로그 등을 꽂아 주는데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열함(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태를 갖는 다단의 수납실(2a)을 갖는 수납함체(2)를 갖추고,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 도록 하는 받침편(3)이 갖추어져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종래의 진열함는 수납함체의 각 수납실에 팜프렛 또는 카다로그를 꽂아준 상태에서 고객들에게 가장 잘 보일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켜 놓게 되면 은행이나 보험회사 또는 전시회 및 박람회에 참석한 고객이 수납함체에 꽂아져 있는 팜프렛 및 카다로그를 꺼내어 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열함는 수납함체가 받침편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의 상태를 갖고 있어 상기 수납함체의 각 수납실내에 꽂아지는 내용물도 항상 수직으로 꽂아져 있음에 따라 사용자와의 눈높이가 맞지 않아 내용물에 인쇄되어 있는 내용을 수납실에서 꺼내기전에는 정확히 확인할 수 없었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수납함체가 수직의 상태로만 위치하고 있어 상기 수납실에 꽂아지는 내용물도 수직의 상태에 있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수납함체내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을 수납함체로부터 꺼내지 않은 상태에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수납함체내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과 동일한 선상의 눈높이에 있어야만 확인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보편적으로 은행이나 보험회사 등의 안내데스크 및 전시회와 박람회 등의 안내데스크의 높이가 사람의 허리 또는 가슴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어 상기와 같은 안내데스크에 진열함가 위치할 경우 사람의 눈 높이에는 한참 아래에 있게 되므로서, 먼거리에서는 보일 수 있으나, 가까운 거리에서는 진열함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허리 또는 다리를 굽혀야만 정확히 확인을 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진열함가 위치하게 되는 높이에 따라 팜프렛 및 카다로그가 꽂아지는 수납함체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진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까운 거리에서도 다리나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납합체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의 내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팜프렛이나 카다로그가 각각 꽂아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실을 갖는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 양측면 외면에 각각 수직편이 면접지 되고,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는 받침편이 갖추어진 받침요소와;
상기 수직편의 상단 중간지점에는 수납함체를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수납함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 후단부에 수납함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요소의 수직편 내면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하는 수납함체가 일정한 각도가 되면 상기 수납함체의 후단면 부분이 걸려 더 이상 회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편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팜프렛이나 카다로그가 각각 꽂아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실을 갖는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 양측면 외면에 각각 수직편이 면접지 되고,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는 받침편이 갖추어진 받침요소와;
상기 수직편의 상단 중간지점에는 수납함체를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수납함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 후단부에 수납함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와;
상기 수납함체와 수직편을 결합시켜 주는 힌지중 어느 한쪽의 힌지에 수납함체가 일정한 간격으로만 회동을 수행하고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요소는 힌지의 내부에 갖추어진 중공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에는 걸림돌기를 갖춘 회전판이 갖추어지고, 타측에는 탄지편이 갖추어진 축핀과;
상기 축핀에 감싸여지는 상태로 하여 일단은 탄지편에 탄지되고, 타측은 수납함체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이 수직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와;
상기 축핀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편 외주연에 동심원상으로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의 인쇄물이 수납되는 수납함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진열함가 위치하는 장소의 높이에 따라 자유롭게 진열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어 수납함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물의 내용이 사람이 눈높이에 맞아 용이하게 확인됨에 따라 필요한 인쇄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진열함의 정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 진열함의 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인 진열함(10)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팜프렛이나 카다로그가 각각 꽂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납실(21)을 갖는 수납함체(20)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 양측면 외면에 위치하여 힌지(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납함체(20)는 후방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곡선형의 모양을 갖도록 하므로서, 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수납실의 높이가 높아져 각각의 수납실에 꽂아지는 내용물이 다단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수납실에 꽂아져 있는 내용물을 수월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요소(40)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편(41)의 양측면 중간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져 수납함체(20)의 하단부 양측면에 면접지 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수직편(42)을 갖추어 상기 수직편과 수납함체(20)를 힌지(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에 의해 결합된 수납함체(20)의 저면은 받침편(41)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수납함체(20)의 저면 후단부분을 라운드(22) 처리하여 수납함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요소의 수직편(42) 내면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하는 수납함체(20)가 일정한 각도가 되면 상기 수납함체의 후단면 부분이 걸려 더 이상 회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편(50)을 갖추어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수납함체(20)에 갖추어져 있는 각각의 수납실(21)에 팜프렛이나 카다로그 등과 같은 인쇄물을 꽂아준 상태에서 진열함(10)를 진열시켜 주고자 하는 장소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함체(20)는 저면이 받침요소(40)의 받침편(41)과 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수납함체를 전방을 향하여 강제 회동시켜 주더라도 회동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후방을 향하여 회동시켜 줄 경우에는 수납함체(20)의 저면 후단부분에 처리되어 있는 라운드(22)에 의해 수납함체가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진열 장소의 높이에 따라 수납함체(20)를 후방을 향하 여 회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수납함체는 받침요소(40)의 수직편(42)과 면접지된 상태에서 힌지(30)를 중심으로 회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수납함체와 수직편이 면접지 되어 있어 이들의 면마찰력에 의해 수납함체를 회동시켜 준 각도에 멈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을 수행하는 수납함체(20)의 후단면 부분이 수직편(4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편(50)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회동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수납함체가 필요 이상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은 물론, 수납함체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물의 무게에 의해 수납함체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체(20)와 수직편을 결합시켜 주는 힌지(30)중 어느 한쪽의 힌지에 수납함체가 일정한 간격으로만 회동을 수행하고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요소(60)를 갖추어준다.
상기 걸이요소(60)는 힌지(30)의 내부가 갖추어진 중공부(31)를 관통하는 축핀(61)의 일측에는 걸림돌기(63)를 갖추고 있는 회전판(62)과, 반대편의 축핀 끝단부에는 탄지편(64)을 갖추며, 상기 축핀에 감싸여지는 상태로 하여 일단은 탄지편에 탄지되고, 타측은 수납함체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이 수직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65)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축핀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편(42) 외주연에 동심원상으로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다 수개의 걸림홈(66)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다른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65)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축핀(61)이 내측 방향으로 밀려 회전판(62)에 갖추어진 걸림돌기(63)가 수직판(42)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갖추어져 있는 다수개의 걸림홈(66)중 수직함체(20)의 회동 각도에 맞는 위치에 있는 걸림홈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다가 상기 수직함체의 각도를 조절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2)을 외측으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 탄성부(65)가 강제로 압축되면서 축핀이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홈(66)으로부터 걸림돌기(63)가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함체(20)를 회동시켜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당겨주고 있던 회전판(62)을 놓아주게 되면 강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65)의 원상 복귀력에 의해 회전판에 갖추어져 있는 걸림돌기(63)가 걸림홈(66)에 걸리게 되므로서, 수직함체가 조절된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진열함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열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정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수납함체 30:힌지
40:받침요소 41:받침편
42:수직편 60:걸이요소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팜프렛이나 카다로그가 각각 꽂아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실을 갖는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부 양측면 외면에 각각 수직편이 면접지 되고,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는 받침편이 갖추어진 받침요소와; 상기 수직편의 상단 중간지점에는 수납함체를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수납함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수납함체의 하단 후단부에 수납함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와; 상기 수납함체와 수직편을 결합시켜 주는 힌지중 어느 한쪽의 힌지에 수납함체가 일정한 간격으로만 회동을 수행하고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요소를 형성하되,
    상기 걸이요소를 힌지의 내부에 갖추어진 중공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에는 걸림돌기를 갖춘 회전판이 갖추어지고, 타측에는 탄지편이 갖추어진 축핀과;
    상기 축핀에 감싸여지는 상태로 하여 일단은 탄지편에 탄지되고, 타측은 수납함체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이 수직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와;
    상기 축핀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편 외주연에 동심원상으로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함.
KR2020080011644U 2008-08-29 2008-08-29 진열함 KR200454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4U KR200454048Y1 (ko) 2008-08-29 2008-08-29 진열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4U KR200454048Y1 (ko) 2008-08-29 2008-08-29 진열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92U KR20100002592U (ko) 2010-03-10
KR200454048Y1 true KR200454048Y1 (ko) 2011-06-14

Family

ID=4419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644U KR200454048Y1 (ko) 2008-08-29 2008-08-29 진열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4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710A (ja) 1997-12-02 1999-06-15 Shinwa Plastic:Kk スタンドラック及びペン立て構造
KR200176284Y1 (ko) 1999-10-09 2000-03-15 이근직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쇄물 무인배부대
KR20010076284A (ko) * 2000-01-20 2001-08-11 요코야마 다카요시 어큐물레이터
KR200298682Y1 (ko) 2002-09-13 2002-12-26 양영임 정보지 배포대
KR20050033702A (ko) * 2003-10-07 2005-04-13 최덕환 렌티큘라 시트의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710A (ja) 1997-12-02 1999-06-15 Shinwa Plastic:Kk スタンドラック及びペン立て構造
KR200176284Y1 (ko) 1999-10-09 2000-03-15 이근직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쇄물 무인배부대
KR20010076284A (ko) * 2000-01-20 2001-08-11 요코야마 다카요시 어큐물레이터
KR200298682Y1 (ko) 2002-09-13 2002-12-26 양영임 정보지 배포대
KR20050033702A (ko) * 2003-10-07 2005-04-13 최덕환 렌티큘라 시트의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92U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943B2 (en) Shelving system
US8789899B2 (en) Merchandiser rack
US6443317B1 (en) Conversion tower display system
US8833571B2 (en) Eyewear display and modules for same
US8127695B2 (en) Display stand with table
US5351841A (en) Merchandise case with advertising display
US9271570B2 (en) Foldable display unit
US20100127604A1 (en) Collapsible showcase
US20180213946A1 (en) An anti-theft storage and display assembly
USD545588S1 (en) Retail merchandising unit
US5899343A (en) Jewelry display device
US3070416A (en) Secretarial cabinet
KR200454048Y1 (ko) 진열함
US3249392A (en) Button display rack
KR102310447B1 (ko) 약품 진열대
US7040495B2 (en) Point of sale display construc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 products
JP4296065B2 (ja) 多目的家具
US20210100362A1 (en) Drawer organizing system
US20080042529A1 (en) Display case and related methods
CA2628357A1 (en) Advertising door system for cigarette shelf
US7938496B1 (en) Hinged turntable
US20130229094A1 (en) Modular desk
KR100908922B1 (ko) 상품 진열대
US20040149880A1 (en) Easel with storage rack
US11670196B2 (en) Support arrangement for a unit used within a retail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