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21Y1 -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21Y1
KR200453721Y1 KR2020090016000U KR20090016000U KR200453721Y1 KR 200453721 Y1 KR200453721 Y1 KR 200453721Y1 KR 2020090016000 U KR2020090016000 U KR 2020090016000U KR 20090016000 U KR20090016000 U KR 20090016000U KR 200453721 Y1 KR200453721 Y1 KR 200453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peaker
sound
lower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재웅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채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채재웅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2020090016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테두리부는 커피 또는 음료용 컵의 개방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단을 이루면서 내측 사방에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본체의 크라운부 전방 수직면에는 연결잭, USB 단자 및 ON/OFF 스위치를 돌출된 창에 의해 보호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크라운부의 저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에 연결잭을 추가 설치하고, 스피커의 음향이 크라운부의 소공과 크라운부를 폐쇄하는 하부커버에 천공된 음향 배출용 구멍으로 동시에 음향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의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내측에 케이블을 감거나 수용할 수 있으면서 하부에 컵의 개방부가 걸리도록 링 형태의 소돌기를 형성한 하부덮개를 더욱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커피 전문점에서 제공된 컵의 개방부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자 형태로서 장식의 효과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발생 음향이 컵의 외부 및 내부로 전달된 상호 다른 음색이 어울려 청취에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컵에 내용물이 채워진 경우 결합되는 하부덮개에 의해 컵의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하부덮개의 내부에 케이블이나 전원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한 고안이다.
Figure R2020090016000
휴대용, 스피커, 컵, 음향기기, USB, 배터리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Decorative speaker for portable recorded sound player}
본 고안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외장형 스피커가 없거나 스피커가 있어도 출력이 약한 휴대용 iPOD, MP3, MD, CDP, PMP, DMB, PDA, 휴대폰 등과 같은 디지털 음향기기를 연결한 후 커피 또는 음료용 컵에 결합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iPOD, MP3, MD, CDP, PMP, DMB, PDA 등과 같이 디지털 음향을 저장해 두었다가 손쉽게 재생하여 즐길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는 콤팩트(compact)하여 휴대성이 용이하므로 널리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외장형 출력수단인 스피커를 갖추지 아니하거나 출력이 낮은 소형 스피커를 사용하므로 음향의 전달이 미약하여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통해서 청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위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않는 넓은 공간 또는 개인방에서도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이용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밖에 없어서 장시간 사용시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의 동료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활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외장 스피커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케이스 내부에 스피커를 설치하고, 상기 스피커의 음향이 외부로 발성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소공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피씨비(PCB) 보드를 설치한 다음 연결잭과 피씨비 보드를 리드선으로 연계하여 외부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일측에는 USB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는 3.7V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면서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 에 연결하는 케이블이나 전원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장치는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음향을 증폭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사용이 불필요하지만 단순히 음향을 증폭하는 것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고, 케이블이나 전원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은 별도의 주머니를 통해 보관하는 등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에 연결하여 단순히 음향을 증폭하는 스피커 장치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피 전문점에서 구매한 다양한 크기의 커피 또는 음료용 컵의 개방부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그 형상이 모자를 연상하도록 형성되어 장식의 효과를 제공하면서 디지털음향기기의 케이블 연결이 컵 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이 컵의 외부로는 원음이 나오게 하고 컵의 내부로 전달되어 변화되는 진동음이 어울려 청취에 즐거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 목적은 커피 또는 음료용 컵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할 때 컵의 개방부를 덮어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면서 휴대시 케이블이나 전원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덮개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특징은, 본체의 크라운부 상부 중앙에 다수의 소공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부에 형성된 소공의 저부에는 스피커를 설치하며, 크라운부의 내부에 PCB 보드를 설치한 다음 연결잭과 USB 단자, LED 램프 그리고 ON/OFF 스위치를 PCB 보드)에 접속하며, 크라운부 내부 일측에 USB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고 PCB 보드에 접속되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잭과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를 케이블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커피 또는 음료용 컵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와 공간을 제공하는 크라운부 및 상기 크라운부의 저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커버에 연결잭을 추가 설치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커피 또는 음료용 컵의 개방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단을 이루면서 내측 사방에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크라운부 전방 수직면에는 연결잭, USB 단자 및 ON/OFF 스위치를 돌출된 창에 의해 보호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하부커버에 음향 배출용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스피커의 음향이 크라운부의 다수의 소공 및 하부커버의 구멍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데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내측에 USB 케이블 및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 연결용 케이블을 감거나 수용할 수 있는 리브 및 공간을 제공하면서 하부에 커피 및 음료용 컵의 개방부가 걸리도록 링 형태의 소돌기를 형성한 하부덮개를 마련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는 휴식을 위한 커피 전문점 등에서 구매한 다양한 크기의 커피 또는 음료용 컵을 개방부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며 모자 형태를 연상시켜 장식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연결잭이 크라운부 및 하부커버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디지털음향기기의 케이블 연결이 컵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이 컵의 외부로는 원음과 컵의 내부로 전달된 후 발생하는 진동음이 상호 어울려 청취에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컵에 내용물이 채워진 경우 결합되는 하부덮개에 의해 컵의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하부덮개의 내부에 케이블이나 전원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한 고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는 링 형태의 테두리부(17)와 공간을 제공하는 크라운부(18) 및 크라운부(18)를 폐쇄하는 하부커버(19)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라운부(18) 상부 중앙에는 다수의 소공(11)이 천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크라운부(18)에 형성된 소공(11)의 저부에는 스피커(12)를 설치하게 되며, 크라운부(18)의 내부에 PCB 보드(13)를 설치한 다음 연결잭(14)과 USB 단자(15), LED 램프(16) 그리고 ON/OFF 스위치(6)를 PCB 보드(13)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크라운부(18) 내부 일측에 USB 케이블(3)에 의해 충전되고 PCB 보드(13)에 접속되는 리튬폴리머 배터리(8)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연결잭(14)과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2)를 케이블(4)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크라운부(18) 전방 수직면에는 상기 연결잭(14), USB 단자(15) 및 ON/OFF 스위치(6)를 돌출된 창(18')에 의해 충격 및 불필요한 접촉을 제안하여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배치하게 되고, 크라운부(18)의 창(18') 상측으로는 LED 램프(16)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1)의 크라운부(18)를 폐쇄하는 하부커버(19)는 통상적인 체결용 볼트로서 결합하게 되고, 스피커(12)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통과하도록 배출용 구멍(19')을 다수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음향기기(2)를 컵(5)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음악을 청취할 때 케이블(3)의 노출이 불필요하므로 하부커버(19)에 연결잭(14')을 추가 설치하여 컵(5) 내부에 디지털음향기기(2) 및 케이블(3)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의 테두리부(17)는 커피 점문점(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레 등)에서 제공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커피 또는 음료용 컵(5)의 개방부(51) 크기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2단을 이루면서 내측 사방에 작은 돌기인 제1 걸림돌기(17a)와 제2 걸림돌기(17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17)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17a) 또는 제2 걸림돌기(17b)로는 재활용되는 컵(5)의 개방부(51) 크기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끼워진 후 걸리도록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고, 스피커(12)의 음향이 크라운부(18)에 천공된 다수의 소공(11) 및 하부커버(19)에 천공된 구멍(19')으로 흘러나와 청취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1)와 재활용하는 컵(5)의 결합을 통해 음악을 청취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있는 컵(5)에 사용될 때 내용물이 증발하여 하부커버(19)에 천공된 구멍(19')으로 유입되어 부품의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하부덮개(7)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하부덮개(7)는 본체(1)의 테두리부(17)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내측에 USB 케이블(3) 및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2) 연결용 케이블(4)을 감아서 수용할 수 있는 리브 (71) 및 공간(72)을 제공하면서 하부에 커피 및 음료용 컵(5)의 개방부(51)가 걸리도록 링 형태의 소돌기(73)를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소돌기(73)는 각 커피 전문점에서 제공하는 컵(5)의 개방부(51) 지름의 크고 작은 모든 것에 적합하도록 그 간격을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체(1)의 크라운부(18)에 장착된 USB 단자(15)로 USB 케이블(3)을 접속시켜 미도시된 컴퓨터로부터 5V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PCB 보드(13)로 전달된 후 리튬폴리머 배터리(8)를 충전시키게 되고, LED 램프(16)를 통해 충전 여부를 확인시키게 된다. 상기 LED 램프(16)는 충전시 붉은색으로 표시되고 충전이 끝나면 소등되며, 음악을 청취할 때에는 연두색으로 표시되고, 충전과 음악의 청취가 동시에 이루어지면 주황색으로 표시됨을 확인하면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8)는 대략 2시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약 5시간 동안 음악을 증폭하여 청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를 도 1에서와 같이 단독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디지털음향기기(2)와 크라운부(18)에 장착된 연결잭(14)을 케이블(4)로 연결하여 신호가 PCB 보드(13)에 전달되면 제어를 통해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2)로 발성시켜 이어폰이나 핸드폰 없이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12)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는 크라운부(18)의 상부에 천공된 다수의 소공(1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됨과 동시에 하부커버(19)에 천공된 구멍(19')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음악을 청취하게 된다.
한편, 커피 전문점에서 제공된 컵(5)을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를 얻으면서 음 악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의 테두리부(17) 내측으로 재활용할 컵(5)의 개방부(51)를 끼우면 커피 전문점에 제공되는 크고 작은 컵(5) 대부분이 제1 걸림돌기(17a) 또는 제2 걸림돌기(17b)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컵(5)과 본체(1)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3a와 같이 세워놓은 상태 또는 누워놓은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디지털음향기기(2)를 컵(5)의 외부에 놓고 곡의 선택 및 조정을 편리하게 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음향기기(2)를 컵(5)의 내부에 수용하여 연결잭(14')에 케이블(3)로 연결함으로써 주변이 깔끔하게 정리된 상태에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하부덮개(7)는 평상시에 USB 케이블(3) 및 연결 케이블(4)을 리브(71)에 감거나 공간(72) 내에 수용시키는 도구로서 사용하게 되면서 휴대할 때에는 본체(1)의 테두리부(17)에 결합되는 것이고, 커피 또는 음료 등의 내용물이 채워진 컵(5)에 사용할 경우에는 저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소돌기(73)가 컵(5)의 개방부(51)에 걸려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이 컵(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컵(5)의 내용물이 본체(10)의 하부커버(19)에 천공된 구멍(19')으로 유입됨을 차단하여 PCB 보드 등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장기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측면도와 저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디지털음향기기
3: USB 케이블 4: 케이블
5: 컵 6: 스위치
7: 하부덮개 11: 소공
12: 스피커 13: PCB 보드
14: 연결잭 15: USB 단자
16:LED 케이블 17: 테두리부
18: 크라운부 19: 하부커버
19': 구멍 51: 개방부
71: 리브 72 공간

Claims (2)

  1. 본체(1)의 크라운부(18) 상부 중앙에 다수의 소공(11)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부(18)에 형성된 소공(11)의 저부에는 스피커(12)를 설치하며, 크라운부(18)의 내부에 PCB 보드(13)를 설치한 다음 연결잭(14)과 USB 단자(15), LED 램프(16) 그리고 ON/OFF 스위치(6)를 PCB 보드(13)에 접속하며, 크라운부(18) 내부 일측에 USB 케이블(3)에 의해 충전되고 PCB 보드(13)에 접속되는 리튬폴리머 배터리(8)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잭(14)과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2)를 케이블(4)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커피 또는 음료용 컵(5)의 개방부(51)에 결합되는 테두리부(17)와 공간을 제공하는 크라운부(18) 및 상기 크라운부(18)의 저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19)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커버(19)에 연결잭(14')을 추가 설치하고, 상기 테두리부(17)는 커피 또는 음료용 컵(5)의 개방부(51) 크기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단을 이루면서 내측 사방에 제1 걸림돌기(17a)와 제2 걸림돌기(17b)를 형성하며, 상기 크라운부(18) 전방 수직면에는 연결잭(14), USB 단자(15) 및 ON/OFF 스위치(6)를 돌출된 창(18')에 의해 보호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하부커버(19)에 음향 배출용 구멍(19')을 형성하여 상기 스피커(12)의 음향이 크라운부(18)의 다수의 소공(11) 및 하부커버(10)의 구멍(19')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테두리부(17)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내측에 USB 케이블(3) 및 휴대용 디지털음향기기(2) 연결용 케이블(4)을 감거나 수용할 수 있는 리브(71) 및 공간(72)을 제공하면서 하부에 커피 및 음료용 컵(5)의 개방부(51)가 걸리도록 링 형태의 소돌기(73)를 형성한 하부덮개(7)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KR2020090016000U 2009-12-09 2009-12-09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KR200453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00U KR200453721Y1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00U KR200453721Y1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721Y1 true KR200453721Y1 (ko) 2011-05-23

Family

ID=4448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000U KR200453721Y1 (ko) 2009-12-09 2009-12-09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2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94B1 (ko) 2012-06-20 2014-03-13 정석환 음향효과 발생 용기
KR200474217Y1 (ko) 2013-04-16 2014-08-28 남철환 핸드폰 거치대 겸용 일회용 컵 뚜껑
KR101754160B1 (ko) * 2016-02-19 2017-07-06 주식회사 사운드블렌딩 컵 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컵
KR101933795B1 (ko) * 2017-06-16 2018-12-2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089U (ja) 1983-08-30 1985-03-26 成宮 一暢 装飾スピ−カ−
KR19990017110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오디오 시스템용 장식장
JP2002501313A (ja) 1998-01-07 2002-01-15 エヌシーティ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装飾的スピーカ覆い
JP2004248203A (ja) 2003-02-17 2004-09-02 Kansai Tlo Kk 音調電飾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089U (ja) 1983-08-30 1985-03-26 成宮 一暢 装飾スピ−カ−
KR19990017110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오디오 시스템용 장식장
JP2002501313A (ja) 1998-01-07 2002-01-15 エヌシーティ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装飾的スピーカ覆い
JP2004248203A (ja) 2003-02-17 2004-09-02 Kansai Tlo Kk 音調電飾スピー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94B1 (ko) 2012-06-20 2014-03-13 정석환 음향효과 발생 용기
KR200474217Y1 (ko) 2013-04-16 2014-08-28 남철환 핸드폰 거치대 겸용 일회용 컵 뚜껑
KR101754160B1 (ko) * 2016-02-19 2017-07-06 주식회사 사운드블렌딩 컵 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컵
WO2017142128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사운드블렌딩 컵 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컵
KR101933795B1 (ko) * 2017-06-16 2018-12-2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2554B2 (en) Magnetic floating loudspeaker
US10021486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mobile audio player
US20100046781A1 (en) Headphone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453721Y1 (ko)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장식 스피커
CN106454580A (zh) 具有音响和fm广播功能的耳机充电装置
KR101372945B1 (ko) 스피커로 분리 가능한 착탈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음향출력 방법
CN202424796U (zh) 适用于iphone4或iphone4s手机的保护壳
JP2005184050A (ja) 携帯電話用音響箱
CN104796816A (zh) 一种自动开关的wifi智能音箱
KR20120084427A (ko) 휴대폰 케이스 보관용 패키지
CN204069264U (zh) 蓝牙装置
CN106790868A (zh) 一种方便收纳耳机的手机壳
KR20140131789A (ko) 휴대폰 단말기용 스피커음량 증대장치
CN203747945U (zh) 一种微型音响
CN205545842U (zh) 双壳式蓝牙音响
CN208768259U (zh) 主动式抗噪耳机总成及连接线组件
CN202663518U (zh) 便携式音箱播放器
CN203747947U (zh) 一种微型音响
CN202998389U (zh) 声音播放装置
CN206196053U (zh) 扩音装置
CN104811850A (zh) 一种基于wifi的智能音箱
KR100802003B1 (ko)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JP2006295489A (ja) 携帯用音楽再生機器
CN204887351U (zh) 一种基于usb插头的新型蓝牙耳机
CN216217486U (zh) 耳机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