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156Y1 -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56Y1
KR200453156Y1 KR2020100012472U KR20100012472U KR200453156Y1 KR 200453156 Y1 KR200453156 Y1 KR 200453156Y1 KR 2020100012472 U KR2020100012472 U KR 2020100012472U KR 20100012472 U KR20100012472 U KR 20100012472U KR 200453156 Y1 KR200453156 Y1 KR 200453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distribution equipment
alar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394U (ko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쌍용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5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배전설비에서는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에 기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초기에 감지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해서, 수배전설비의 화재사고에 대하여 초기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처케 하므로 수배전설비의 화재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Fire Watch Device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본 고안은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수요처에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수배전설비의 화재 사고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수배전설비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처에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수배전설비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배전설비에 의해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수요처에 공급하는데, 전력 공급시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과열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수배전설비에서는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에 기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초기에 감지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해서, 수배전설비의 화재사고에 대하여 초기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처케 하여서 수배전설비의 화재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는,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에 따라 시각적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램프에 전원을 연결하는 계전기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에 있어서, 온도감지기 및 연기감지기로부터의 전압과 설정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화재 발생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화재 발생 통지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1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계전기에 전달하고 상기 계전기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2 아이솔레이터와;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처케 하므로 수배전설비의 화재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기(10a~10c), 연기감지기(20a~20b), 제어부(30), 감지기 전원부(40), 비교부(50), 아이솔레이터(isolator; 60a, 60b), 계전기(70), 리셋스위치(80), 직류전원부(90), 스피커(SP) 및 경고램프(AL)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온도감지기(10a~10c)는 수배전설비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수배전설비에서 과열이 발생하면 해당 과열에 따른 온도를 감지하여서 해당 감지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온도감지기(10a~10c)는 다양한 온도감지센서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수배전설비 내부에 구비되는 수배전설비에서 과열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를 감지하여서 해당 감지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출력한다.
연기감지기(20a~20c)는 수배전설비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과열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면 해당 연기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 연기의 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연기감지기(20a~20c)는 다양한 가스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수배전설비 내부에 구비되는 수배전설비에서 발생한 과열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면 해당 연기를 감지하여서 해당 감지 연기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인가한다.
비교부(50)는 수배전설비에서의 발열에 기인하여 온도감지기(10a~10c) 및 연기감지기(20a~20c)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제어부(30)에 화재 발생을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교부(50)의 제1 입력단(+)에는 온도감지기(10a~10c) 및 연기감지기(20a~20c)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입력되고, 비교부(50)의 제2 입력단(-)에는 저항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비교부(50)의 출력단은 제어부(30)에 연결된다. 비교부(50)는 온도감지기(10a~10c) 및 연기감지기(20a~20c)로부터 제1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입력단(-)의 설정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제어부(30)에 하이레벨(high level)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여서 화재 발생을 통지하며, 온도감지기(10a~10c) 및 연기감지기(20a~20c)로부터 제1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입력단(-)의 설정 기준 전압 보다 낮으면 제어부(30)에 로우레벨(low level)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여서 화재 발생 되지 않았음을 통지한다.
제어부(30)는 비교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서 화재 발생시에 해당 화재 발생을 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발생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비교부(50)로부터 로우레벨 전압의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서 화재 경보를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 처리하고, 비교부(50)로부터 하이레벨 전압의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서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여서 화재 경보를 발생한다.
제어부(30)는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아이솔레이터(60a)를 통해 스피커(SP)에 경보음 출력을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피커(SP)에 의해 화재 발생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출력함과 아울러, 아이솔레이터(60b)를 통해 계전기(70)에 시각적인 경보를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계전기(70)에 의해 경고램프(AL)로의 전류 공급 경로를 연결하여서 경고램프(AL)를 점등하여 화재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아이솔레이터(60a)는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신호를 스피커(SP)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제어부(30)로부터 스피커(SP)에 인가되는 신호는 전달하지만 스피커(SP)로부터 제어부(30)에 인가되는 신호는 차단함으로써 제어부(30)의 구동을 안정화시킨다.
아이솔레이터(60b)는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신호를 계전기(7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제어부(30)로부터 계전기(70)에 인가되는 신호는 전달하지만 계전기(70)로부터 제어부(30)에 인가되는 신호는 차단함으로써 제어부(30)의 구동을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화재가 발생하여서 스피커(SP) 및 경고램프(AL)를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한 후에 복구되어서 운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리셋스위치(80)가 온(on)되는 경우에 리셋(reset) 됨으로써 스피커(SP) 및 경고램프(AL)를 통한 경보 발생을 중지하고 비교부(5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거하여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직류전원부(90)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서 정류하여 생성한 직류 전류를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Vcc)으로서 공급한다. 감지기 전원부(40)는 직류전원부(9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전원(Vcc)을 전압 조정하여 온도감지기(10a~10c) 및 연기감지기(20a~20c)에 구동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는 수배전설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 수행한다.
수배전설비에서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수요처에 공급하는 중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수배전설비 내부의 수배전설비에서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온도감지기(10a~10c)는 해당 과열에 따른 온도를 감지하여서 해당 감지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인가하며, 연기감지기(20a~20c)는 해당 과열에 의해 발생된 연기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 연기의 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비교부(50)에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50)는 온도감지기(10a~10c)에 의한 온도 감지에 따른 전압과 연기감지기(20a~20c)에 의한 연기 감지에 따른 전압을 제1 입력단(+)에 입력받는데, 제1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입력단(-)의 설정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제어부(30)에 하이레벨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여서 화재 발생을 통지한다.
이에, 제어부(30)는 비교부(50)로부터 하이레벨 전압의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서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여서 화재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가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아이솔레이터(60a)를 통해 스피커(SP)에 경보음 출력을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피커(SP)에 의해 화재 발생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출력함과 아울러, 아이솔레이터(60b)를 통해 계전기(70)에 시각적인 경보를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계전기(70)에 의해 경고램프(AL)로의 전류 공급 경로를 연결하여서 경고램프(AL)를 점등하여 화재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이처럼, 스피커(SP)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함과 아울러 경고램프(AL)에 의해 발광하여서 화재 발생을 알려줌에 따라, 수배전설비의 운용자가 해당 화재 발생을 인지하여서 화재 발생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화재 복구한 후 리셋스위치(80)를 수동 조작하여 온(on) 시키는 경우에, 제어부(30)는 리셋(reset) 됨으로써 스피커(SP) 및 경고램프(AL)를 통한 경보 발생을 중지하고 비교부(5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거하여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는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처케 하므로 수배전설비의 화재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수배전설비에서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고함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배전설비에 과부하 또는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초기 화재 현상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처케 하므로 수배전설비의 화재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10a~10c; 온도감지기
20a~20c; 연기감지기
30; 제어부
40; 감지기 전원부
50; 비교부
60a, 60b; 아이솔레이터
70; 계전기
80; 리셋스위치
90; 직류전원부
SP; 스피커
AL; 경고램프

Claims (1)

  1.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에 따라 시각적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램프에 전원을 연결하는 계전기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에 있어서,
    온도감지기 및 연기감지기로부터의 전압과 설정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화재 발생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화재 발생 통지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화재 경보 발생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1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계전기에 전달하고 상기 계전기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2 아이솔레이터와;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KR2020100012472U 2010-12-02 2010-12-02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KR200453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72U KR200453156Y1 (ko) 2010-12-02 2010-12-02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72U KR200453156Y1 (ko) 2010-12-02 2010-12-02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448A Division KR20100124444A (ko) 2009-05-19 2009-05-19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94U KR20110000394U (ko) 2011-01-13
KR200453156Y1 true KR200453156Y1 (ko) 2011-04-11

Family

ID=4420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72U KR200453156Y1 (ko) 2010-12-02 2010-12-02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54B1 (ko)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05B1 (ko) * 2013-12-09 2015-03-13 주식회사 다웅네트웍스 화재 경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49B1 (ko) 2007-04-27 2007-07-03 (주) 동보파워텍 수배전반 내부 위험감시용 아크, 열, 가스 감지센서를내장한 최대수요전력 관리장치
KR20080067602A (ko) * 2008-06-16 2008-07-21 (주) 동보파워텍 수배전반 내부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JP2008245430A (ja) 2007-03-27 2008-10-09 Kandenko Co Ltd 電気室から負荷機器まで長い距離を有する施設の送電構造
KR100932187B1 (ko)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430A (ja) 2007-03-27 2008-10-09 Kandenko Co Ltd 電気室から負荷機器まで長い距離を有する施設の送電構造
KR100734149B1 (ko) 2007-04-27 2007-07-03 (주) 동보파워텍 수배전반 내부 위험감시용 아크, 열, 가스 감지센서를내장한 최대수요전력 관리장치
KR20080067602A (ko) * 2008-06-16 2008-07-21 (주) 동보파워텍 수배전반 내부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KR100932187B1 (ko)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54B1 (ko)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94U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4935B2 (en) Method for hushing a CO detector through power-on reset
US20080112100A1 (en) Digital electric leakage detecting and monitoring device
KR101820162B1 (ko) 직렬아크의 고정도 검출시스템
CN103366490A (zh) 一种电气火灾预警装置以及方法
KR20120092978A (ko) 활선 접근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0453156Y1 (ko)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20100124444A (ko) 수배전설비 화재감시장치
CN201178514Y (zh) 报警灯异常监控装置
CN103729962A (zh) 电器屏柜防火监测方法、装置及系统
TWI468705B (zh) Transformer monitoring device
KR101094621B1 (ko)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의 전자회로 및 신호처리방법
KR101088484B1 (ko) 가로등 제어함 감시 시스템
KR101550824B1 (ko) 기 설치된 선로에 흐르고 있는 미세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13784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100807263B1 (ko) 이상발생 감지 정류시스템
JP5035155B2 (ja) 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のセンサ判定方法
JP5859285B2 (ja) 火災報知設備及びそれに利用する火災感知器
JP6611475B2 (ja) 異常判定システム
JP2016224928A (ja) 火災受信機
KR102004170B1 (ko) 전력 제어 체크 시스템
JP2013020511A (ja) プロセス制御装置
JP6377897B2 (ja) 警報器
JP2005038241A (ja) 温度調節器
JP2007135259A (ja) コネクタ接触不良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