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76Y1 -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 Google Patents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76Y1
KR200452976Y1 KR2020080013572U KR20080013572U KR200452976Y1 KR 200452976 Y1 KR200452976 Y1 KR 200452976Y1 KR 2020080013572 U KR2020080013572 U KR 2020080013572U KR 20080013572 U KR20080013572 U KR 20080013572U KR 200452976 Y1 KR200452976 Y1 KR 200452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de
support plate
walking mechanism
stride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110U (ko
Inventor
황준하
Original Assignee
황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하 filed Critical 황준하
Priority to KR2020080013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7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11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양 발판을 구름운동시키는 레일, 및 양측 발판과 연결되어 양측 발판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진 되도록 하는 발판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 구동부는 상기 받침판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베어링으로 지지된 연결축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플라이휘일이 일체로 형성된 플라이휘일 유닛, 상기 좌,우 플라이휘일의 외경측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보폭 조절홈 및 이 홈에 삽입 관통되어 적정위치로 체결되는 보폭조절 체결구, 및 상기 보폭조절 체결구와 발판에 힌지연결된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워킹기구, 플라이휘일, 보폭조절, 경사도조절, 전후진, 구름운동

Description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Stride controllable walking device}
본 고안은 워킹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적절한 크기의 보폭 및 경사도로서 워킹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동 지속성을 향상을 통해 유산소 운동량을 증대시켜 현대인에게 건강을 제공할 수 있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 도시인들은 대부분 실내에서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생활화 하여 성인병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런닝운동은 안전하면서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기는 하지만, 도심 공간의 부족 및 오염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도시인은 고액의 이용료가 요구되는 헬스클럽을 이용하거나 또는 직접 고가의 런닝머신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걷기 운동(워킹)이 달리기 운동보다 유산소 운동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와 함께 노인이나 장애인들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저가의 워킹 기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워킹 기구의 일예로써 등록특허 제10-0758764호가 있는 바, 이 특허의 워킹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기능을 하는 상방으로 개방된 케이스 형상의 바디(10)와 상기 바디 내부에 장착되어 발판이 교차되어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0)는 바닥면(11)이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 중앙에는 구동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벽(12)이 바닥면(11)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2) 상면에는 구동부(20)의 장착을 위한 축(13)이 지지벽(12) 상면에 대해 수직 상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축(13)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롤러(21)와 상기 롤러(21)의 양 측면에 힌지연결되는 로드(22)와 상기 로드(22)에 힌지연결되는 발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워킹 기구는 구조상 전,후진 운동 폭이 작을 수밖에 없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로드(22)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운동폭의 중간부에서 좌우 발판이 외측면으로 순간적으로 벌려져서 운동자의 균형이 불완전해지고 그로 인해 운동자의 무릎관절이나 고관절에도 상당한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의 워킹 기구는 관성을 확보할 메카니즘이 미비하여 운동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고, 보폭을 조절할 수 없어 실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결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이휘일을 이용하여 관성에 의한 운동의 연속성을 확보하면서 운동자의 신체에 맞추어 전,후진 걸음걸이의 폭(보폭)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워킹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걷기 운동을 즐기면서 동시에 휴대폰 배터리 등을 충전시킬 수 있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워킹기구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양 발판을 구름운동시키는 레일, 및 양측 발판과 연결되어 양측 발판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진 되도록 하는 발판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 구동부는 상기 받침판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베어링으로 지지된 연결축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플라이휘일이 일체로 형성된 플라이휘일 유닛, 상기 좌,우 플라이휘일의 외경측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보폭 조절홈 및 이 홈에 삽입 관통되어 적정위치로 체결되는 보폭조절 체결구, 및 상기 보폭조절 체결구와 발판에 힌지연결된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폭 조절홈에 체결된 보폭조절 체결구의 위치로써, 즉 상기 플라이휘일의 중심으로부터 보폭조절 체결구 위치까지의 거리로써 운동자의 운동 보폭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라이휘일의 연결축에 선택적으로 소형 발전기를 부착하여 상기 발전기에 휴대폰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워킹 운동과 동시에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는 상기 구성에 의해 운동자의 보폭에 맞추어 전,후진 운동 폭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양측 발판의 상반적인 직선운동에 의해 팔자(八字) 걸음걸이의 교정 효과가 크다. 또한, 전동 러닝머신이 원동기에 의해 속도를 높여가는 데 비해 본 고안에 따른 보폭 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는 스스로의 힘에 의해 가속하게 되므로 그 측면에서는 보다 실제 걸음걸이에 가까운 효과를 볼 수 있고, 받침판의 경사도를 높일 경우에는 등산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보폭 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는 걷기 운동을 즐기면서 동시에 휴대폰 배터리 등도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는 크게 구분해서 길다란 받침판(100), 발판 구동부(200), 및 손잡이(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00)에는 전방측에 플라이휘일 지지대(110)가 설치되고 그의 후방측으로는 다수의 양측 발판용 레일 지지대(120) 및 그 상부에 안내 레일(130)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측의 레일 지지대(120)는 각기 2열로 배치하여 운동자의 신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기구 구조의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 1열로도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00)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5도 정도 상향 경사져 있다.
상기 발판 구동부(200)는 상기 플라이휘일 지지대(110)에 횡방향으로 지지된 플라이휘일 유닛(210), 상기 레일 지지대(120)에 지지된 좌,우측 발판(220) 및 상기 플라이휘일 유닛(210)과 상기 좌,우측 발판(220)을 연결하는 구동 레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이휘일 유닛(210)은 1쌍의 좌,우측 플라이휘일(211)과 그리고 상기 좌,우 플라이휘일(211)의 중심에 서로 연결된 것으로 베어링(212)으로 지지된 연결축(213)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플라이휘일 지지대(110)의 상부 브라켓트(111)안에 지지된다. 상기 좌,우 플라이휘일(211) 각각은 서로 180도 회전 간격으로 위치하고 또 중심원으로부터 먼 외경측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보폭 조절홈(214) 및 이 홈에 삽입되어 적정위치에 체결되는 볼트??너트로 구성된 보폭조절 체결구(215)(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발판(220)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발이 끼워지는 고정밴드(221), 돌출된 지압돌기(222), 그리고 하면에는 다수의 로울러(22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레버(230)는 상기 플라이휘일 유닛(210)의 보폭 조절레버(215)와 상기 좌,우측 발판(220)에 대해 힌지 연결(hinge joint) 또는 턴버클 연결(turnbuckle joint)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발판(220)의 바닥부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220)의 하부에는 다수의 로울러(223) 및 상기 로울러(223)가 안내 레일(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2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0)는 운동자의 신체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런닝머신의 손잡이와 유사하게 워킹기구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그 하부측에는 바닥판경사도 조절구(310)가 장착되어 필요시 바닥판(100)의 오르막 경사도를 0~45도 범위 안에서 조절하여 등산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플라이휘일 유닛(210)의 연결축(213)에 소형 발전기(400)를 설치하고 상기 소형 발전기에 적절한 어댑터를 접속시켜 놓음으로써, 워킹운동과 동시에 개인 휴대폰 등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6a,6b,6c,6d는 본 고안에 따른 워킹기구의 순차적인 구동부(200)의 행정(cycle)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좌측발판 최전방위치-우측발판 최후방위치 상태를, 도 6b는 좌,우측발판 중간위치 상태를, 도 6c는 좌측발판 최후방위치-우측발판 최전방위치를, 그리고 도 6d는 다시 좌,우측발판 중간위치 상태를 보여 준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워킹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동자는 양 발판(220)에 자신의 양 발을 올려 놓고 손잡이(300)를 잡은 후 상기 양 발판(220)을 움직여서 보폭(운동폭)을 조절한다. 이 때, 보폭 조절은 상기 1쌍의 플라이휘일(211) 각각에 형성된 180도 간격으로 위치한보폭 조절홈(214)에 삽입된 볼트·너트로 구성된 보폭조절 체결구(21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런 다음, 운동자는 양 발판(220)을 전,후로 연속적으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수동 워킹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플라이휘일은 관성으로 인해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며 플라이휘일의 구동에 의해 운동자의 신체의 균형 및 걸음걸이의 속도도 안정성을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워킹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보폭조절 체결구(215)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발판(220)의 바닥부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6a,b,c,d는 본 고안에 따른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의 1 행정(cycle)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1 : 바닥면
12 : 지지벽 13 : 축
20 : 구동 21 : 롤러
22 : 로드 23 : 발판
100 : 바닥판 110 : 플라이휘일 지지대
111 : 브라켓트 120 : 레일 지지대
130 : 안내 레일 200 : 발판 구동부
211 : 플라이휘일 212 : 베어링
213 : 연결축 214 : 보폭 조절홈
215 : 보폭조절 체결구 220 : 발판
221 : 고정밴드 222 : 지압돌기
223 : 로울러 224 : 가드
230 : 구동 레버 300 : 손잡이
310 : 바닥판경사도 조절구 400 : 소형 발전기

Claims (5)

  1.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설치되어 양 발판을 구름운동시키는 레일, 및 양측 발판과 연결되어 양측 발판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진 되도록 하는 발판 구동부로 구성되는 워킹기구에 있어서,
    상기 발판 구동부가 상기 받침판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베어링으로 지지된 연결축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플라이휘일이 일체로 형성된 플라이휘일 유닛;
    상기 좌,우 플라이휘일의 외경측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보폭 조절홈 및 이 홈에 삽입 관통되어 적정위치로 체결되는 보폭조절 체결구; 및
    상기 보폭조절 체결구와 발판에 힌지연결된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하부에 경사도 조절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일측 발판 마다 2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 유닛에 소형 발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전방부에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KR2020080013572U 2008-10-10 2008-10-10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KR200452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72U KR200452976Y1 (ko) 2008-10-10 2008-10-10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72U KR200452976Y1 (ko) 2008-10-10 2008-10-10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10U KR20100004110U (ko) 2010-04-20
KR200452976Y1 true KR200452976Y1 (ko) 2011-04-05

Family

ID=4424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72U KR200452976Y1 (ko) 2008-10-10 2008-10-10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698A (zh) * 2019-04-09 2019-07-05 樊燕龙 一种家用医疗塑形跑步机
CN110090399B (zh) * 2019-05-27 2021-02-19 青岛市市立医院 一种联动型医疗跑步机
CN112618297B (zh) * 2021-01-18 2023-04-07 青岛市城阳区人民医院 一种创伤骨科术后康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30A (ko) * 1999-12-21 2000-04-06 최윤석 계단밟기 운동기구
KR200249815Y1 (ko) 2001-06-01 2001-11-16 쿠오-룽 리 스텝 엑서사이저
KR20030012651A (ko) * 2001-08-02 2003-02-12 안배현 보행 운동기구
KR200397820Y1 (ko) 2005-07-22 2005-10-07 하이 핀 쿠오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30A (ko) * 1999-12-21 2000-04-06 최윤석 계단밟기 운동기구
KR200249815Y1 (ko) 2001-06-01 2001-11-16 쿠오-룽 리 스텝 엑서사이저
KR20030012651A (ko) * 2001-08-02 2003-02-12 안배현 보행 운동기구
KR200397820Y1 (ko) 2005-07-22 2005-10-07 하이 핀 쿠오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10U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83B2 (en) High-incline treadmill
US8864627B2 (en) Power generating manually operated treadmill
US5518473A (en) Exercise device
US7704192B2 (en)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adjustable stride
US7374522B2 (en) Exercise device having a movable platform
US4974831A (en) Exercise treadmill
CA2479768C (en) Port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preventing lactic-acid build-up
KR200452976Y1 (ko) 보폭조절이 가능한 워킹기구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KR20110059317A (ko) 보행 자전거
CN109925665A (zh) 一种攀爬健身机
CN214861198U (zh) 一种田径训练用起跑练习装置
KR200287195Y1 (ko)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CN213219080U (zh) 一种具有足底按摩功能的脚腿关节锻炼装置
CN210302198U (zh) 脚底按摩跑步机
CN215841429U (zh) 一种能够多自由度活动的健身车
JP2004154511A (ja) 歩行等足腰運動用器具
KR102330726B1 (ko) 싸이클형 운동기구
KR100478936B1 (ko) 제자리 뜀뛰기 및 제자리 회전 겸용 운동기구
CN201744124U (zh) 圆形轨道跑步健身器
CN2484991Y (zh) 走步机
EP2633890B1 (en) Walk training device
KR20090004487U (ko) 손잡이가 구비된 러닝 머신
GB2270007A (en) Exercise treadmill
CN102107065A (zh) 轨道跑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