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49Y1 -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549Y1 KR200452549Y1 KR2020090015424U KR20090015424U KR200452549Y1 KR 200452549 Y1 KR200452549 Y1 KR 200452549Y1 KR 2020090015424 U KR2020090015424 U KR 2020090015424U KR 20090015424 U KR20090015424 U KR 20090015424U KR 200452549 Y1 KR200452549 Y1 KR 2004525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unit
- charging
- power supply
- char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용밧데리를 위한 만능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versal charger for a rechargeable battery.
휴대가능한 다양한 전자제품이 등장하게 되면서 이들 제품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로 밧데리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재충전 가능한 밧데리의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With the advent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batteries are being used as a power supply for driving these products, and the use of rechargeable batteries is increasing.
이러한 재충전 밧데리는 사용제품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다종다양한 형태에 맞추기 위하여 충전기의 크기와 형태도 다르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별로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고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본인의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경제적 손실 역시 크다. These rechargeable batteries vary in size and shape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fit these various types, the size and shape of the charger are also provided differently. Therefore, having to use a separate charger for each product is not only inconvenient for the user's use, but also economic loss is great.
본 고안은 이러한 다종다양한 밧데리를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밧데리의 크기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밧데리 적재부를 설치하였으며, 일단 고정이 되고 나면 충전중에 밧데리의 적재상태가 흩어지지 않도록 한 안정장치도 함께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아무리 크기와 형태가 변한다하여도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크게 향상하였다.In order to charge such a variety of batteries with a single charger,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 battery loading part that actively chang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ttery, and once it is fixed, a stabilizer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scattered during charging. Also installed together. This configuration greatly improves the usability by allowing the charg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smoothly no matter how much the size or shape changes.
밧데리, 충전, 충전기 Battery, Charge, Charger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만능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versal charger for a variety of rechargeable batteries.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PMP, 노트북 등 휴대가능한 전자제품이 사용되면서 이들의 동작전원공급장치로 재충전 가능한 밧데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PMPs, and laptops are used, batteries that can be recharged with their operating power supplies are widely used.
이러한 충전 밧데리는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너무나 다양하여 이들 제품별로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의 중복적인 구입은 사용자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경제적으로도 낭비이다. These rechargeable batteries are so diverse in size and shape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used that they are equipped with a separate charger for each product. The redundant purchase of such a charger is not only a user's inconvenience but also a waste of mone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충전기의 단자를 이동가능하게 하고, 충전기의 하측에 밧데리 고정장치를 임의로 크기변형가능토록 한 만능충전기가 일부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provided a universal charger which is capable of moving the terminal of the charger and allowing the battery fixing device to be arbitrarily resized under the charger.
본 고안은 충전밧데리의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되어지는 밧데리와 접촉하는 단자부를 밧데리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임의로 수정설치가능하게 하여 다종다양한 밧데리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 variety of batteries in the charg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by allowing the termina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to be charged can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ype of the battery.
본 고안은 또한 크기가 다른 밧데리일 경우라 하여도 하부에서 밧데리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일단 고정이 된 경우 충전중에 밧데리의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고정장치를 갖춘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charger with a stable fixing device that can be fixed in the bottom of the battery even if the battery is of a different size, there is no shaking of the battery during charging once it is fixed.
본 고안은 밧데리의 (+)(-) 단자의 위치가 다양한 밧데리에 대응하여 충전용 단자를 임의로 좌우이동가능하게 하여 종류와 형태별로 충전이 손쉽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harge by type and shape by moving the charging terminal arbitrarily in response to the battery of various positions of the (+) (-) terminal of the battery.
본 고안은 또한 밧데리의 크기가 다를 경우라도 밧데리의 하부에서 충전되는 밧데리를 직접 고정하는 고정장치도 설치하여 일단 충전이 시작되면 흔들림이 없이 충전이 가능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the battery to be charged without shaking once the charging is started by installing a fixing device for directly fixing the battery charg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even if the size of the battery is different.
본 고안의 구성으로 인하여 밧데리의 단자위치가 종류별로 다르다하여도 얼마든지 정확하게 충전단자를 밧데리에 접촉하여 충전작업이 이뤄지게 되었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erminal position of the batter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xactly contacting the charging terminal with the battery.
또한 밧데리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하부에서 밧데리를 직접 압박 고정하도록 하여 충전동작중에 흔들림 없이 충전이 가능하게 되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size of the battery is different by pressing the battery directly from the bottom to be able to charge without shaking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여행중 혹은 주변에 공급전원이 없는 경우 본 고안의 경우 내장된 밧데리로 부터 직접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었다.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during or around the trip,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direct charging from the built-in battery.
본 고안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한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of a lithium polymer battery of various sizes and shapes.
본 고안은 특히 충방전 단자부가 임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일단 충전을 위한 셋팅이 되면 더이상의 이동이 없도록 자체적인 고정구조를 갖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ed structure of its own so tha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 portion can be moved arbitrarily, and there is no further movement once it is set for charging.
본 고안은 또한 크기가 다른 밧데리라 하여도 하부에서 직접 충전밧데리를 압박고정하며, 이 압박고정도 걸림돌기구조로 누구나 사용이 용이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sses and charges the charging battery directly from the bottom, even with batteries of different sizes, and this high pressure locking mechanism makes it easy for anyone to use.
이하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충전회로블록도를 도1에 도시하며,도 2는 본 고안의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평면도이며, 도 4 는 평면도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5 는 하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과 7 은 AA선과 BB선 단면도이다.Figure 1 shows a charging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plan view, Figure 5 is a front view as seen from the bottom,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본 고안은 전용충전기에 의한 직류공급부(1b)와 불규칙한 입력전압을 배터리 충전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공급부(1a)로 구성되는 외부전원공급부(1)와 예비밧데리적재부(50)가 동시에 설치되어지며, 밧데리충전부(4)에 충전할 밧데리가 거치되어지면 외부전원공급부(1)에 대한 외부전원공급이 되는 경우 외부전원공급부로부터 밧데리충전부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며, 외부전원공급부에 대한 전원공급이 없는 경우 예비밧데리적재부(50)에 대한 전원이 내부전원공급부(6)를 통하고 전원변화부(C)와 스위치부(5)의 제2스위치(s/w2)에 중앙연산처리장치(2)로부터의 인네이블신호에 의하여 내부전원공급부(6)를 통하여 밧데리충전부로 직접 공급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동작상태를 표시부(7)에 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충전회로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 and the spare
상기한 충전회로부의 출력스위치부와 연결되어져 있으며, 단자가이드부(11a)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한 단자(10)들이 설치되어진 충방전단자부,Charge / discharge terminal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switch unit of the charging circuit unit, the
상기한 충방전단자부의 단자들이 부분노출되어져있고, 충전밧데리들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부(V)를 형성하며, 이 공간부의 하측으로는 적재된 밧데리의 하부를 압박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20)가 설치되어져 있는 밧데리 적재부로 구성되는 2차전지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rminals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 part are partially exposed, and form a space part V in which the charging batteries can be loaded, and a
본 고안에서 밧데리충전부(4)에 충전하고자 하는 밧데리의 거치상태가 역접속인 경우 역전류의 흐름에 의한 회로파손 등을 막기위하여 역접속방지회로(3)에 의하여 역전류의 흐름을 차단가능하게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is placed in the
본 고안은 또한 예비밧데리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내부전원공급부(6)과 컨버터(C)를 거쳐 밧데리충전부(4)에 공급한다. 예비밧데리적재부에 설치되어지는 밧데리도 역시 충전밧데리와 같은 3.6V내외의 전압을 갖게 되므로, 이들 자체의 전압으로는 충분한 충전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예비밧데리적재부로부터 나오는 전압을 컨버터(C)에 의하여 충전전압인 4.2V까지 승압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supplies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spare battery loading portion to the
본 고안에서 스위치부(5)는 예비밧데리적재부(50)와 밧데리충전부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하여 줄 수 있는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로 구성한다. 밧데리충전부에는 사용자의 실수로 역으로 밧데리를 충전할 경우가 빈발할 수 있지만, 예비밧데리적재부의 전원은 고정상태이므로 역접속의 우려가 전무하여 제1스위치의 신호만으로 온오프하여 전원공급과 차단이 되게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에서 충전회로부는 도 1에 도시하듯이 외부전원공급부(1)에 0.5 내지 12 혹은 24 V의 전원 공급되면, 충전에 필요한 전압 4.2V가 발생가능하게 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어지며, 이 공급부에 대한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s/w3)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내부전원공급부(6)은 Vcc전원공급부와 내부에 설치된 예비밧데리적재부의 전원을 직접공급하기위한 보조전원공급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 내부전원공급부는 예비밧데리적재부(50)와 연결되어져 이곳에 대한 전원을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직접 밧데리 충전전원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비밧데리적재부의 전원이 충분치 않은 경우 외부전원공급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power supply of 0.5 to 12 or 24 V is suppli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 as shown in FIG. The switch s / w3 for turning on and off is installed. The internal power supply unit 6 is composed of a Vcc power supply unit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directly supplying power of a spare battery loading unit installed therein. The internal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spare
또한 본 고안은 내부전원공급부(50)에 대한 스위치부(5)와 예비밧데리적재부(50)의 사이에 밧데리역접속방지회로(3)을 설치하여 역접속에 의한 역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밧데리를 적재하면서 반대로 적재하는 경우 이곳을 통하여 내부에 밧데리내부에 잔류한 전원이 흐르게 되어 받을 수 있는 손상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밧데리역접속방지회로의 동작이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의 동작신호를 받지 않고, 거치된 밧데리의 전원이 최하 1V이상만 잔류한 것이라면 회로가 동작하여 역전류의 진입을 차단하게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reverse connection prevention circuit (3) between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충방전단자부의 단자(10)을 지지하는 단자보디부(12)의 상측에 요철부(2)를 형성하며, 이 보디부의 정면으로 노출되어진 단자들과 반대측면에는 돌기부(15)를 형성하며, 이 돌기부는 단자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기어부(18)에 상기한 돌기부들이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밧데리 거치부의 하부측 고정장치(20)는 밧데리적재부(V)의 좌우측면에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걸림기어(21)에 걸림돌기(22)가 걸리도록 하며,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상기한 걸림돌기(22)는 밧데리적재부의 하부측에 설치된 밧데리압박부(25)와 탄력연결부(24)에 의하여 연결되어져 있으며,The engaging projection 22 is connected by the
상기한 탄력연결부는 밧데리적재부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6)에 걸쳐져 있는 키홀더(27)와 연결되어져 키홀더의 압박과 해제에 의하여 걸림기어와 걸림돌기의 맞물림이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따라서 크기가 길거나 짧은 밧데리라 하여도 이 고정장치로 안정되게 적재되어지며, 특히 한번 고정이 되어지면 걸림돌기(22)와 걸림기어(21)사이에 설치된 키홀더(27)을 풀어 주지 않는 한 고정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Therefore, even if the battery is long or short in size, it is stably loaded with this fixing device, and in particular, once fixed, it is fixed unless the
본 고안에서 밧데리적재부(V)와 반대되는 저면측에 예비밧데리적재부(50)를 설치하며, 이곳에는 적어도 충전을 하고자 하는 밧데리의 2 내지 3배의 용량을 갖는 밧데리를 항시 만충전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re
예비밧데리적재부의 설치형태는 밧데리가 거치되어질 수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고 채용가능하며 특별히 형태가 크기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The installation form of the spare battery loading part can be adopted as long as the battery can be mounted, and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size in particular.
도 1 은 본고안의 충전회로블록도,1 is a charging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충전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평면도,3 is a plan view,
도 4 는 평면도의 CC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plan view;
도 5 는 하부에서 바라본 정면도,5 is a front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도 6과 7 은 AA선과 BB선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424U KR200452549Y1 (en) | 2009-11-27 | 2009-11-27 |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424U KR200452549Y1 (en) | 2009-11-27 | 2009-11-27 |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2549Y1 true KR200452549Y1 (en) | 2011-03-04 |
Family
ID=4424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424U KR200452549Y1 (en) | 2009-11-27 | 2009-11-27 |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549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38850A (en) * | 2011-04-13 | 2012-10-17 | 三星Sdi株式会社 | Fixture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
WO2013009094A2 (en) * | 2011-07-11 | 2013-01-17 | Kim Young Jo |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a battery using a discarded battery |
WO2013081222A1 (en) * | 2011-11-28 | 2013-06-06 | Choi Sang Hyo | Terminal case for multi-type batteries |
KR101290890B1 (en) | 2011-12-27 | 2013-07-29 | 임영삼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KR101812182B1 (en) * | 2016-04-12 | 2017-1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6773A (en) * | 2005-03-04 | 2006-09-13 | 김경식 | Battery recharger for a mobile phone |
-
2009
- 2009-11-27 KR KR2020090015424U patent/KR200452549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6773A (en) * | 2005-03-04 | 2006-09-13 | 김경식 | Battery recharger for a mobile phon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38850A (en) * | 2011-04-13 | 2012-10-17 | 三星Sdi株式会社 | Fixture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
WO2013009094A2 (en) * | 2011-07-11 | 2013-01-17 | Kim Young Jo |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a battery using a discarded battery |
WO2013009094A3 (en) * | 2011-07-11 | 2013-04-11 | Kim Young Jo |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a battery using a discarded battery |
WO2013081222A1 (en) * | 2011-11-28 | 2013-06-06 | Choi Sang Hyo | Terminal case for multi-type batteries |
KR101356309B1 (en) | 2011-11-28 | 2014-01-27 | 최상효 |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
KR101290890B1 (en) | 2011-12-27 | 2013-07-29 | 임영삼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KR101812182B1 (en) * | 2016-04-12 | 2017-1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0890B1 (en)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
US20110199041A1 (en) | Rechargeable battery product | |
US5629602A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ttachment for supplying power and charging battery | |
JP3904489B2 (en) | Charge control circuit, charger, power supply circui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attery pack | |
KR200452549Y1 (en) |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
EP1814015A1 (en) | Multifunctional charger device | |
US20040189253A1 (en) | AC adapter power supply apparatus | |
JP3180247U (en) |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devices that can discharge in the reverse direction | |
WO2014006905A2 (en) | Backpack-type power supply | |
JP2019017201A (en) | Power supply unit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 |
US20090265570A1 (en) |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437948B1 (en)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
JP2009247161A (en) | Charger | |
KR20070051988A (en) |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 |
JP2006504240A (en) | Exterior battery pack | |
KR20180089723A (en) | Auxiliary battery module of variable capacity type | |
US7026790B2 (en) | Built-in battery controller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 | |
JPH11143591A (en) | Power unit | |
KR101523699B1 (en) |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 |
JP2006340114A (en) | Portable telephone, built-in battery pack for portable telephone, and auxiliary power for portable telephone | |
WO2008007965A1 (en) |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 |
JPH11155239A (en) | Charging equipment for secondary battery | |
KR100623625B1 (en) | Portable type apparatus for universal supplying an electric power | |
KR102711885B1 (en) | Auxiliary Battery With Status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 |
KR101599492B1 (en) | Battery pack,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