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96Y1 - 물탱크 - Google Patents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96Y1
KR200452296Y1 KR2020090006668U KR20090006668U KR200452296Y1 KR 200452296 Y1 KR200452296 Y1 KR 200452296Y1 KR 2020090006668 U KR2020090006668 U KR 2020090006668U KR 20090006668 U KR20090006668 U KR 20090006668U KR 200452296 Y1 KR200452296 Y1 KR 200452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tank body
tank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973U (ko
Inventor
유병하
Original Assignee
유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하 filed Critical 유병하
Priority to KR2020090006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 air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분사노즐을 갖춘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불로어의 입구측에 설치한 공기유입파이프에 별도의 에어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부의 여과수단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간편하도록 된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과 배수관과 청소용 맨홀을 구비하는 탱크본체(1100)와, 탱크본체의 내부 바닥부로 배관하되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가진 복수의 공기공급파이프(1200)와,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해 탱크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블로어(1300)와, 이 블로어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설치된 공기유입파이프(1400)와, 탱크본체의 상부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설치된 여과수단을 구비하는 흡기부(1500)를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1510)은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파이프(1400)는 탱크본체의 최상부 내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여과수단으로 여과되어 탱크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블로어가 작동시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90006668
여과수단, 공기공급파이프, 탱크본체, 블로어

Description

물탱크{WATER TANK}
본 고안은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노즐을 갖춘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설치된 불로어의 입구측에 설치한 공기유입파이프에 별도의 에어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부의 여과수단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간편하도록 된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그 지하 또는 그 옥상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공급받아 두고 각각의 입주 공간으로 연결된다.
대부분의 물탱크는 탱크본체의 일측에서 그 내부로 연결되는 급수관을 연결하고, 타측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관을 연결하여 이 배수관으로부터 각각의 입주 공간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탱크를 설치할 때는 소방 법규상 그 배수관을 임의의 치수 만큼 높게 설치하여야 한다. (배수관의 높이 치수는 물탱크의 저장 용량과 연관되는 것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모두 다르다.) 이는 유사시 소방수로 사용하기 위한 일졍량의 물을 비치하고자 하는 것이 그 이유인데 물의 사구역 부분이 커서 수질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물이 급수관으로 유입되었다가 배수관으로 배출될 때, 이 배수관 이하의 물은 물탱크 청소주기(약 6개월 내지 1년)동안 흐름이 늘 정지되어 있는 관계로 사구역화 되고, 사구역화 된 부분에서는 물의 부폐가 발생한다. 이렇게 사구역에서 물이 부폐하게 되면 그 부폐부분으로부터 불량한 부유물이 위로 전달되어 전체적인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장된 물은 그 물의 속에 함유되어 있던 산소가 점차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용존산소량이 극히 적어진다. 이와 같이 용존산소량이 적은 물은 유기물의 증가로 물의 오탁을 촉발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롭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20-0380051호로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가 제안되어 있는바,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과 배수관과 청소용 맨홀을 구비하는 탱크본체를 갖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바닥부로 배관하되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가진 복수의 공기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기공급파이프로 외부의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공기 유입파이프의 중단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어와, 이 블로어에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공기 유입파이프의 외측단과 블로어의 사이에 설치된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의 바닥에 위치한 공기공급파이프로부터 시작되는 물의 대류현상은 탱크 내부의 사구역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고 물의 부폐를 방지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물속에 녹아든 산소는 물의 정화 소독을 위해 투입되었던 염소를 빨리 기화시켜 배출시키는 작용도 한다.
한편, 상기 블로어는 계속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타이머나 타이밍 콘트롤 수단을 마련하여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탱크본체 속으로 유입되었던 공기는 수면 위로 도달된 후, 맨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배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20-0368597호로 "물탱크"가 제안되어 있는바,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과 배수관을 구비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내부로 이어지는 급수관에 마련한 살수수단; 상기한 탱크본체 내부의 물을 그 하반부로 부터 흡입하여 물의 수면 위로 살수되는 형태로 순환시키는 물 순환기구; 상기한 탱크본체의 상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하되,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배기관; 상기한 탱크본체의 상측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마련하되, 여과수단을 구비하는 흡기부;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에 살수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그 속으로 물을 공급할 때 분사의 형태로 공급하여 물속의 용존산소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서 좋다. 뿐만 아니라 평상시 물을 순환 시킬 수 있는 물 순환장치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물 속의 염소가스 등 유해가스를 발산시켜 수질을 높일 수 있고, 역시 살수 하는 형태로 순환시키기 때문에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흐름 을 유발하여 탱크본체 내부의 사구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여과수단를 구비한 흡기부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살수 공급시 새로운 공기를 물 속에 함유시킬 수 있어 좋고,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한 배기관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물 속에서 발산되는 유해가스가 재차 물속에 녹아들지 않고 즉시 즉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물탱크는 물속의 염소가스를 발산시키고, 흡기부을 통해 들어오는 깨끗한 공기를 물속에 많이 함유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이며, 지속적인 물의 흐름으로 물의 오탁을 예방하는 등 다방면으로 우수한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380051호로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는 상기 탱크본체의 바닥에 위치한 공기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시작되는 물의 대류현상은 탱크 내부의 사구역 발생을 막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또 물의 부폐를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물속에 녹아든 산소는 물의 정화 소독을 위해 투입되었던 염소를 빨리 기화시켜 배출시키는 잇점이 있지만, 실용신안등록 제20-0368597호 "물탱크"의 여과수단를 구비한 흡기부이 마련되지 않아서 물탱크의 상부 공기가 부폐함은 물론 물속에서 발산되는 유해가스가 재차 물속에 녹아들어 위생에 좋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반면에 실용신안등록 제20-0368597호 "물탱크"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80051 호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와 같이 깨끗한 공기가 공기공급파이프로 물탱크의 하부로 직접 공급되지 않아서 탱크 내부의 사구역 발생을 막는 효과가 적고, 또 물의 부폐 방지효과가 약하며, 물속에 녹는 산소의 양이 적어서 물의 정화 소독을 위해 투입되었던 염소를 빨리 기화시켜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사노즐을 갖춘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설치된 불로어의 입구측에 설치한 공기유입파이프에 별도의 에어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부의 여과수단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간편하도록 된 물탱크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탱크본체의 상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하되,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배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탱크는,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과 배수관과 청소용 맨홀을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바닥부로 배관하되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가진 복수의 공기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해 상기 탱크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블로어와, 이 블로어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설치된 공기유입 파이프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설치된 여과수단을 구비하는 흡기부을 포함하되, 상기 여과수단은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파이프는 상기 탱크본체의 최상부 내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으로 여과되어 탱크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블로어가 작동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탱크본체의 상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하되,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배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탱크에 의하면, 분사노즐을 갖춘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설치된 불로어의 입구측에 설치한 공기유입파이프에 별도의 에어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부의 여과수단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물탱크에 의하면, 탱크본체의 상측에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한 배기부를 갖추었기 때문에 물 속에서 발산되는 유해가스가 재차 물속에 녹아들지 않고 즉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종래 기술 및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부호는 인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물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물탱크(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1110)과 배수관(1120)과 청소용 맨홀(1130)을 구비하는 탱크본체(1100)와, 상기 탱크본체(1100)의 내부 바닥부로 배관하되 다수의 공기분사노즐(1210)을 가진 공기공급파이프(1200)와, 상기 공기공급파이프(1200)로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해 상기 탱크본체(1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공급파이프(1200)에 설치된 블로어(1300)와, 이 블로어(1300)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설치된 공기유입파이프(1400)와, 상기 탱크본체(1100)의 상부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설치된 여과수단(1510)을 구비하는 흡기부(15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파이프(1200)는 복수개로 분기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1100)는 급수관(1110)과 배수관(1120)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고 배출하게 되는 한편, 상기 맨홀(1130)을 통해서 물탱크(1000)의 탱크본 체(110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요지구성은, 상기 여과수단(1510)은 필터와 같은 것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파이프(1400)는 상기 탱크본체(1100)의 최상부 내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여과수단(1510)으로 여과되어 탱크본체(1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블로어(1300)가 작동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1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수단(1510)으로 여과된 깨끗한 공기가 상기 블로어(1300)의 작동시 상기 공기유입파이프(1400)와 블로어(1300) 및 공기공급파이프(1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서 탱크본체(1100)로 공급되게 된다. 즉, 상기 공기분사노즐(1210)을 갖춘 공기공급파이프(1200)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설치된 불로어(1300)의 입구측에 설치한 공기유입파이프(1400)에 별도의 에어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기부(1500)의 여과수단(1510)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기부(1500)는 맨홀(11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1100)의 상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하되,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1610)을 구비하는 배기부(1600)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1100)의 상측에 공기배출수단(1610)을 구비한 배기부(1600)를 갖추었기 때문에 물속에서 발산되는 유해가스가 재차 물속에 녹아들지 않고 즉시 탱크본체(1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식수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700은 수위센서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물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0 물탱크 1100 탱크본체
1110 급수관 1120 배수관
1130 맨홀 1200 공기공급파이프
1300 블로어 1400 공기유입파이프
1500 흡기부 1510 여과수단
1600 배기부 1610 공기배출수단

Claims (2)

  1.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급수관과 배수관과 청소용 맨홀을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바닥부로 배관하되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가진 복수의 공기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해 상기 탱크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블로어와, 이 블로어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설치된 공기유입파이프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설치된 여과수단을 구비하는 흡기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파이프는 상기 탱크본체의 최상부 내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으로 여과되어 탱크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블로어가 작동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상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하되,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배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KR2020090006668U 2009-06-01 2009-06-01 물탱크 KR200452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68U KR200452296Y1 (ko) 2009-06-01 2009-06-01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68U KR200452296Y1 (ko) 2009-06-01 2009-06-01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73U KR20100011973U (ko) 2010-12-09
KR200452296Y1 true KR200452296Y1 (ko) 2011-02-22

Family

ID=4420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668U KR200452296Y1 (ko) 2009-06-01 2009-06-01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8880A (zh) * 2012-10-18 2013-01-23 上海祥企供水设备厂 过滤式自动补水罐
CN109205115B (zh) * 2018-11-21 2019-12-03 安徽硅宝有机硅新材料有限公司 一种化工贮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597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비에스텍 전방향 이동 승용완구
KR20030080051A (ko) * 2001-03-01 2003-10-10 브러쉬 웰만 인코포레이티드 주물의 열간 등방향 정압 프레스
KR200368597Y1 (ko) 2004-08-19 2004-11-26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물탱크
KR200380051Y1 (ko) 2004-12-21 2005-03-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051A (ko) * 2001-03-01 2003-10-10 브러쉬 웰만 인코포레이티드 주물의 열간 등방향 정압 프레스
KR20030068597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비에스텍 전방향 이동 승용완구
KR200368597Y1 (ko) 2004-08-19 2004-11-26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물탱크
KR200380051Y1 (ko) 2004-12-21 2005-03-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73U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107B1 (ko) 양돈농가 악취 저감장치
WO2017020775A1 (zh) 一种汽车尾气消音净化装置
KR200452296Y1 (ko) 물탱크
KR200368597Y1 (ko) 물탱크
KR200446050Y1 (ko)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200380051Y1 (ko)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KR102196567B1 (ko) 축산용 미니 세정탑
CN201394411Y (zh) 热焦油有害气体净化器
KR100957825B1 (ko) 외부 순환식 멤브레인을 이용한 중수 및 빗물 처리 시스템
KR102282157B1 (ko) 축사의 악취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 방법
US7997232B2 (en) Aquarium
CN204974671U (zh) 一种安全节能高氯酸通风柜
CN208660714U (zh) 一种具有去污层次性的高效便捷式油烟净化装置
KR20110114393A (ko) 전시용 수족관
CN207401342U (zh) 除臭系统
CN206897171U (zh) 一种生物油烟净化器
KR20120005740U (ko) 전염병 바이러스 침입 방지를 위한 가축 사육시설
CN112675651A (zh) 一种养殖场换气方法和污染气体净化装置
JP2008002251A (ja) 雨水及び生活雑排水の再利用給水システム
CN103861441A (zh) 一种用于火化机的烟气净化装置
CN215138415U (zh) 一种喷淋废气吸收系统
KR102129760B1 (ko) 통기 기능을 갖는 식수저장용 물탱크
JP5785601B2 (ja) ガス濾過システム
KR200361723Y1 (ko) 원통형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