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79Y1 -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179Y1
KR200452179Y1 KR2020090006088U KR20090006088U KR200452179Y1 KR 200452179 Y1 KR200452179 Y1 KR 200452179Y1 KR 2020090006088 U KR2020090006088 U KR 2020090006088U KR 20090006088 U KR20090006088 U KR 20090006088U KR 200452179 Y1 KR200452179 Y1 KR 20045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body
slits
hemispheres
transmission lin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0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596U (en
Inventor
나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to KR2020090006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79Y1/en
Publication of KR20100011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구형 몸체 및 홀더부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는 내부 빈 상태로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결합되는 부위에 고공의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홀더부는 관통홀 부위에서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송전선을 홀딩함으로써 항공기가 구형 몸체를 통해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한다.따라서, 바람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includes a spherical body and a holder portion. The spherical body has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an empty state,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high-power transmission line passes through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lder portion extends from the spherical body at the through hole to allow the aircraft to identify the power line through the spherical body, thus minimizing wind noise.

Description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Aviation Obstacle Indicators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본 고안은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 또는 야간에 저공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송전선 등과 같은 장애물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easily identifying obstacl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lines from low-flying aircraft during the day or night.

일반적으로, 전력송전 또는 통신을 위한 송전선은 지면으로부터 매우 높게 설치된 다수의 송전탑들 사이에서 고공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In general, power transmission lines for power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are connected at high altitudes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towers installed very high from the ground.

이에, 저공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또는 헬리콥터가 고공의 상기 송전선을 신속하게 식별하기란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상기 송전선을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상기 송전선에 설치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an aircraft or a helicopter flying at high speed from low air to quickly identify the high power transmission line, a separat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line can be quickly identified even at a long distance. Done.

이러한 표시 장치는 원거리에서도 식별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큰 구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형 몸체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된 구조로 상기 송전선에 설치된다.Such a display device has a bulky spherical body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from a distance. The spherical body is installed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in a structure in which two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nside thereof is blocked from the outside.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된 구조를 갖는 구형 몸체는 고공에서 부는 강한 바람에 의해서 공명음 및 풍절음과 같은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pherical bod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evere noise such as resonance sound and wind blowing sound are generated by strong wind blowing in the air.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바람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by wind.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구형 몸체 및 홀더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includes a spherical body and a holder.

상기 구형 몸체는 내부가 빈 상태로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결합되는 부위에 고공의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관통홀 부위에서 상기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송전선을 홀딩함으로써 항공기가 상기 구형 몸체를 통해 상기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한다.The spherical body has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coupled to each oth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high-power transmission line passes through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lder portion extends from the spherical body at the through-hole portion to hol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so that an aircraft identifies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rough the spherical body.

이에, 상기 구형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에 외부의 바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을 갖는다.Thus, the spherical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slits and second slits open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so that external wind passes therethrough.

여기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 각각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의 중심 부위들을 기점으로 하여 방사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 각각은 조류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폭을 가질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may be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starting from the central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may have a width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algae.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은 중심 부위들 안쪽에 제1 및 제2 보강 부재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들 각각은 십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inside the central portions. Thu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may be configured in a cross shap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특징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구형 몸체, 제1 체결부, 제2 체결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includes a spherical body, a first fastening portion, a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상기 구형 몸체는 내부가 빈 상태로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구형 몸체의 상단 부위에 체결된다. 상기 제2 체결부는 고공의 송전선에 체결된다.The spherical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empty interior.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pherical body.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a high-power transmission line.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형 몸체가 상기 송전선에 매달린 구조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을 연결하여 항공기가 상기 구형 몸체를 통해 상기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so that the spherical body has a structure suspend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so that an aircraft identifies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rough the spherical body.

이에, 상기 구형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에 외부의 바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을 갖는다.Thus, the spherical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slits and second slits open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so that external wind passes therethrough.

이러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따르면, 송전선에 설치되는 구형 몸체를 이루고 있는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에 외부의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을 형성함으로써, 바람이 상기 구형 몸체의 외면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공명음 및 풍절음과 같은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the wind is formed by forming first slits and second slits for allowing external wind to pass throug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forming the spherical body installed on the transmission li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such as resonance sound and wind noise generated by hi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이로써, 상기 구형 몸체가 설치된 송전선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여 상기 구형 몸체와 인접한 지역 주민들이 상기와 같은 소음들로 인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ransmission line in which the spherical body is installed so that local residents adjacent to the spherical body are not damaged by the noises.

또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구형 몸체의 무게가 가벼워져 상기 구형 몸체의 이동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에 소모되는 운송 및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spherical body is light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ove and install the spherical body, thereby reducing the transportation and work costs consumed. You can expect economic effec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 바깥쪽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er side of a first hemispher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0)는 구형 몸체(100) 및 홀더부(2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pherical body 100 and a holder part 200.

구형 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제1 및 제2 반구체(110, 120)들이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항공기로부터 원거리에서의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형 몸체(100)를 내부가 빈 상태로 부피를 크게 제작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금형을 이용하기 때문이다.The spherical bod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110 and 120 are coupled through bolts and nu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because a mold is used because the spherical body 100 needs to be manufactured in a large volume in an empty state in order to enable identification at a distance from an aircraft.

즉, 금형을 이용하여 구형 몸체(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들로 분리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형 몸체(100)는 고공의 송전선(W)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가벼우면서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That i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pherical body 100 using a mold because it must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structures. The spherical body 10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that is light and easy to work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of high altitude.

구동 몸체는 제1 및 제2 반구체(110, 120)들의 결합되는 부위에 고공의 송전선(W)이 관통하는 관통홀(130)을 갖는다. 이에, 홀더부(200)는 구동 몸체의 관통홀(130) 부위에 구성되어 송전선(W)을 홀딩함으로써, 구동 몸체가 송전선(W)에 설치되도록 한다. The driving body has a through hole 130 through which the transmission line W of the high hole penetrates to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110 and 120 are coupled. Thus, the holder 200 is configured in the through-hole 130 portion of the drive body to hol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so that the drive body is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구체적으로, 홀더부(200)는 관통홀(130) 부위에서 구동 몸체로부터 송전선(W)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송전선(W)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반구체(110, 120)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In detail, the holder part 200 may cover th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line W from the driving body a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30. 120 has a structure extending from each of them.

이러한 홀더부(200)는 제1 반구체(110)로부터 연장된 부위와 제2 반구체(120)로부터 연장된 부위를 서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시켜 송전선(W)을 홀딩하게 된다. The holder part 200 holds the transmission line W by coupl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emisphere 110 and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hemisphere 120 through a bolt and a nut.

한편, 송전선(W)에 설치된 구형 몸체(100)는 야간에도 항공기로부터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면에 발광 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발광 소자(미도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력으로 구형 몸체(100)의 설치 위치상 태양광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herical body 100 installed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on the outer surface in order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from the aircraft at night. In this case, sunlight may be u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herical body 100 as power for emitting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구형 몸체(100)는 제1 및 제2 반구체(110, 120)들 각각에 고공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1 슬릿(112)들과 제2 슬 릿(122)들을 갖는다. The spherical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lits 112 and a second slit 122 open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110 and 120 so that the wind blowing strongly at high altitude passes through the inside thereof. )

제1 슬릿(112)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반구체(110)의 중심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하부 방향을 따라 방사상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제1 반구체(110)가 외부로부터 가해는 힘에 의하여 가지는 응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lits 112 are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along a lower direction start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hemisphere 110. This is to prevent the stress which the 1st hemispherical body 110 has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from falling as much as possible.

이와 달리, 제1 슬릿(112)들은 격자 구조 또는 빗살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로 제1 반구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슬릿(122)들도 제2 반구체(120)의 중심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상부 방향을 따라 방사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contrast, the first slits 1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hemisphere 110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lattice structure or a comb tooth structure. Similarly, the second slits 122 may be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along the upper direction start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hemisphere 120.

또한, 제1 슬릿(112)들 및 제2 슬릿(122)들 각각의 폭(W)은 약 1㎝ 미만일 경우에는 바람의 통과가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람이 통과할 경우에도 소정의 휘파람 소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의 폭(W)이 2㎝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류 중 참새 등과 같은 작은 새가 구형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와 집을 지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폭(W)은 약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의 폭(W)은 약 1.5㎝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width W of each of the first slits 112 and the second slits 122 is less than about 1 cm, not only does the wind pass smoothly, but also a predetermined whistle sound occurs when the wind passe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width W exceeds 2 cm, it is preferable because a small bird such as a sparrow among birds may enter the spherical body 100 and build a house. Therefore, the width W is preferably about 1 to 2 cm. In addition, the width W is more preferably about 1.5 cm.

제1 슬릿(112)들 및 제2 슬릿(122)들 특히 제2 슬릿(122)들은 빗물이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로의 역할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슬릿(122)들이 제2 반구의 정 중심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정 중심에 빗물의 배수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배수홀(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first slits 112 and the second slits 122, in particular the second slits 122, may also serve as drains through which rainwater drains to the outside.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slits 122 are no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emisphere, a separate draina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emisphere to smoothly drain the rainwater.

이와 같이, 송전선(W)에 설치되는 구형 몸체(100)를 이루고 있는 제1 및 제2 반구체(110, 120)들 각각에 외부의 강한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제1 슬릿(112)들 및 제2 슬릿(122)들을 형성함으로써, 바람이 구형 몸체(100)의 외면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공명음 및 풍절음과 같은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slits 112 and the first to allow the external strong wind to pass throug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110 and 120 forming the spherical body 100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line (W). By forming the two slits 122,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such as the resonance sound and wind noise generated by the wind hit the outer surface of the spherical body 100.

이로써, 구형 몸체(100)가 설치된 송전선(W)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여 구형 몸체(100)와 인접한 지역 주민들이 상기와 같은 소음들로 인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ransmission line W in which the spherical body 100 is installed may be improved so that local residents adjacent to the spherical body 100 may not be damaged by the noises.

또한, 제1 슬릿(112)들 및 제2 슬릿(122)들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구형 몸체(100)의 무게가 가벼워져 상기 구형 몸체(100)의 이동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에 소모되는 운송 및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spherical body 100 is reduc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slits 112 and the second slits 122, so that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spherical body 100 may be easi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economic effects to reduce transportation and work costs consumed.

이하, 제1 슬릿(112)들이 형성된 제1 반구체(110)의 강도 보강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first hemisphere 110 having the first slits 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 안쪽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ide of a first hemisphere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제1 반구체(110)는 중심 부위 안쪽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1 보강 부재(114)를 포함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3, the first hemisphere 110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for reinforcing strength inside the central portion.

이는, 구형 몸체(100)의 제1 반구체(110)가 제2 반구체(120)와 결합되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림(140)이 구성되어 소정의 강도를 가지지만, 제1 반구체(110)의 중심 부위는 재질 특성 상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1 슬릿(112)들의 형성으로 인하여 제1 반구체(110)의 중심 부위 강도는 더 약해지기 때문이다. This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hemisphere 110 of the spherical body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hemisphere 120, the rim 140 is generally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but the first hemisphere 110 This is because the central part of) can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strength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hemisphere 110 becomes weak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slits 112.

제1 보강 부재(114)는 제1 반구체(110)의 중심 부위 안쪽에 강도가 사방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보강 부재(114)는 제1 반구체(110)의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 부재(114)는 상기의 십자 형태 및 방사상 형태가 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so that the strength can be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hemisphere (110). In contras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may be configured in a radial form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hemisphere 110.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 shape and the radial shape are combined.

제1 보강 부재(114)는 제1 반구체(110)를 금형 공정을 통해 제작할 때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보강 부재(114)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의 판을 외부에서 제작하여 제1 반구체(110)의 중심 부위 안쪽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may be formed together when the first hemisphere 110 is manufactured through a mold process. On the contrar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strength from the outside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hemisphere 110.

또한, 제1 보강 부재(114)는 상기의 두 경우를 모두 적용하여 제1 반구체(110)를 제작할 때 십자 형태로 형성한 다음, 그 중심 부위에 금속 재질의 판을 결합시켜 더욱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ross when manufacturing the first hemisphere 110 by applying both of the above cases, and then further strengthen the strength by bonding a metal plate to the central portion thereof can do.

이와 마찬가지로,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반구체(120)도 중심 부위 안쪽에 제1 보강 부재(114)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보강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강도가 보강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milarly,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second hemisphere 120 also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inside the center portion, thereby strengthening the strength.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몸체가 송전선에 설치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pherical body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3 except for the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lin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100)는 구형 몸체(300), 제1 체결부(400), 제2 체결부(500) 및 연결부(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apparatus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herical body 300, a first fastening part 400, a second fastening part 500, and a connecting part 600. do.

구형 몸체(300)는 내부가 빈 상태로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이 상하 방향으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구형 몸체(300)는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pherical body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are coupled through bolts and nut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n empty interior. In contrast, the spherical body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are coup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 체결부(400)는 구형 몸체(300) 중 제3 반구체(310)의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구형 몸체(300)의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경우에는 제1 체결부(400)는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이 서로 결합된 부위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400 may be fasten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hird hemisphere 310 of the spherical body 300. In this case, when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of the spherical body 300 are coup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fastening part 400 may include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It can be fastened to the top of the combined site.

제2 체결부(500)는 고공의 송전선(W)에 체결된다. 연결부(600)는 구동 몸체가 송전선(W)에 매달린 구조를 갖도록 제1 및 제2 체결부(500)들을 연결하여 항공기가 원거리에서도 구형 몸체(300)를 통해 송전선(W)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fastening part 500 is fastened to the high power transmission line (W). The connection part 60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500 so that the driving body has a structure suspend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so that the aircraft can identify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through the spherical body 300 even at a long distance. do.

이에, 제1 및 제2 체결부(400, 500)들 각각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연결부(600)는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체결부(400, 5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400 and 500 may be configured in a bloc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connection part 600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400 and 50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ble for connecting them.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구동 몸체를 송전선(W)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지상에서 제1 체결부(400)를 구동 몸체에 체결시킨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rive body to the transmission line (W)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briefly, first to fast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400 to the drive body on the ground.

이어, 제1 체결부(400)가 체결된 구동 몸체와 같이 제2 체결부(500) 및 연결부(600)를 송전선(W)으로 이동한다. 이어, 제2 체결부(500)를 송전선(W)에 체결시킨다. 이어, 연결부(600)를 제2 체결부(500)에 연결시킨다. 이어, 제2 체결부(500) 에 연결된 연결부(600)에 구동 몸체에 체결된 제1 체결부(400)를 연결시켜 설치 작업을 마무리한다.Subsequently, the second fastening part 500 and the connection part 600 are mov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as the driving body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400 is fastened. Subsequently, the second fastening part 500 is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Subsequently, the connection part 6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500. Subsequently,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400 fastened to the driving body to the connection part 600 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500.

이와 같이, 구동 몸체를 송전선(W)에 매달린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송전선(W)이 구동 몸체를 관통하는 구조보다 그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by configuring the drive body in a structure suspend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made easier tha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 penetrates the drive body as shown in FIG. 1.

또한, 구형 몸체(300)는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 각각에 고공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3 슬릿(312)들과 제4 슬릿(322)들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spherical body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slits 312 and a fourth slit opened in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so that the wind blowing strongly in the air passes through the inside thereof. 322).

이하, 제3 슬릿(312)들과 제4 슬릿(322)들 각각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슬릿(112)들 및 제2 슬릿(122)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third slits 312 and the fourth slits 32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slits 112 and the second slits 122 shown in FIGS. 1 and 2. Duplicat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제3 및 제4 반구체(310, 320)들 각각은 중심 부위들 안쪽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설명한 제1 보강 부재(114) 및 제2 보강 부재(미도시)와 동일한 제3 및 제4 보강 부재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hemispheres 310 and 32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14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described in FIG. 3 to reinforce the strength inside the central portions. It may include third and fourth reinforcing members (not shown).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고안은 항공기로부터 고공의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구형 몸체에 다수의 슬릿들을 형성함으로써, 고공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에 대하여 공명음 또는 풍절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in the spherical body for identifying the high-power transmission line from the aircraft, the aviation obstacle tha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such as resonance sound or wind blowing sound against the wind blowing strongly in the high air It can be used for 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 바깥쪽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er side of a first hemisphere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 안쪽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ide of a first hemisphere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W : 송전선 100, 300 : 구형 몸체W: Transmission line 100, 300: Spherical body

110 : 제1 반구체 112 : 제1 슬릿110: first hemisphere 112: first slit

114 : 제1 보강 부재 120 : 제2 반구체114: first reinforcing member 120: second hemisphere

122 : 제2 슬릿 130 : 관통홀122: second slit 130: through hole

200 : 홀더부 310 : 제3 반구체200: holder portion 310: third hemisphere

320 : 제4 반구체 400 : 제1 체결부320: fourth hemisphere 400: first fastening portion

500 : 제2 체결부 600 : 연결부500: second fastening part 600: connection part

1000, 1100 :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0, 1100: Aviation Obstacle Indicator

Claims (8)

내부가 빈 상태로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결합되는 부위에 고공의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구형 몸체; 및A spherical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coup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an empty st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transmission line of high air passes through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And 상기 관통홀 부위에서 상기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송전선을 홀딩함으로써 항공기가 상기 구형 몸체를 통해 상기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And a holder part extending from the spherical body at the through hole to hol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so that an aircraft can identify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rough the spherical body. 상기 구형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에 외부의 바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1 슬릿들과 제2 슬릿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And the spherical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slits and second slits open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so that external wind passes there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 각각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의 중심 부위들을 기점으로 하여 방사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is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from a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 각각은 조류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has a width for preventing a bird from pas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은 중심 부위들 안쪽에 제1 및 제2 보강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includes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inside center por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들 각각은 십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has a cross shape. 내부가 빈 상태로 제1 및 제2 반구체들이 서로 결합되는 구형 몸체;A spherical bod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empty interior; 상기 구형 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 A first fastening part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spherical body; 고공의 송전선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A second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high-power transmission line; And 상기 구형 몸체가 상기 송전선에 매달린 구조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을 연결하여 항공기가 상기 구형 몸체를 통해 상기 송전선을 식별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so that the spherical body has a structure suspend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llowing an aircraft to identify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rough the spherical body; 상기 구형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에 외부의 바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And the spherical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slits and second slits open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so that external wind passes therethroug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들 및 제2 슬릿들 각각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의 중심 부위들을 기점으로 하여 방사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viation obstacle display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slits and the second slits is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from a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들 각각의 중심 부위들 안쪽에 제1 및 제2 보강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pherical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inside central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es.
KR2020090006088U 2009-05-20 2009-05-20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KR2004521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8U KR200452179Y1 (en) 2009-05-20 2009-05-20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8U KR200452179Y1 (en) 2009-05-20 2009-05-20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96U KR20100011596U (en) 2010-11-30
KR200452179Y1 true KR200452179Y1 (en) 2011-02-10

Family

ID=4420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088U KR200452179Y1 (en) 2009-05-20 2009-05-20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7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739A (en) * 2001-08-10 2004-03-18 알타나 파마 아게 Tricyclic imidazopyridines
KR20050100881A (en) *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739A (en) * 2001-08-10 2004-03-18 알타나 파마 아게 Tricyclic imidazopyridines
KR20050100881A (en) *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96U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2173T3 (en) Hybrid concrete-composite tower for a wind turbine
US20080008575A1 (en) Vertical axis wind system
EP3568593B1 (en) Hatches of nacelle and helicopter hoisting platform
CN105822507A (en) Method for building wind generating equipment and wind generating equipment
US7722328B2 (en) Rotor blade connection
EP2466129A2 (en) Heli-hoist platform
ES2388431T3 (en) Wind power installation with an obstacle beacon
KR200452179Y1 (en)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AU2015202491B2 (en) Frangible guy wire of an airport mast
US8707656B2 (en) Safety blanket
KR200458271Y1 (en)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CN110637156B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wind turbine
CN207150308U (en) A kind of plant protection unmanned plane and its motor anti-corrosion structure
US8920120B2 (en) Arrangement with a nacelle and a radiator arrangement
KR20100118304A (en) 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US20160265507A1 (en) Safety structure for performing servicing operations in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CA2940854A1 (en) Fastening system for an elongated composite member, a stress distribution member, and a pylon
KR102194195B1 (en) Transmission Line Spacer
CN114008321A (en) Spiral strake set for reducing vortex induced vibration of wind power tower
JP2009256881A (en) Construction method of net for preventing fall of exfoliation concrete
EP2386008B1 (en) Handrail construction
CN204407826U (en) The anti-bird pest protective cover of grading ring of wind resistance folding
KR200467545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low of rainwater
JP3811477B2 (en) Pole support structure
KR101155743B1 (en) Prefabricated street light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