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08Y1 -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 Google Patents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908Y1
KR200451908Y1 KR2020100007533U KR20100007533U KR200451908Y1 KR 200451908 Y1 KR200451908 Y1 KR 200451908Y1 KR 2020100007533 U KR2020100007533 U KR 2020100007533U KR 20100007533 U KR20100007533 U KR 20100007533U KR 200451908 Y1 KR200451908 Y1 KR 200451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refrigerator
support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202010000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냉장고 힌지의 저면에 간편하게 받침프레임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냉장고 도어의 양측면에 받침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대형 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회전축에 가동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가동부재는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축관이 형성되고, 상기 축관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동판이 형성되어 도어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종래의 냉장고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부재의 저면에 결합 및 분리작업이 간편하도록 받침프레임을 구비하고, 받침프레임은 도어의 양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가 쳐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Door hinge of refrigerator A Support Frame}
본 고안은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냉장고 힌지의 저면에 간편하게 받침프레임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냉장고 도어의 양측면에 받침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의 냉각장치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저장실 내부에 보관된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본체 내부에 저장물이 수용되는 저장실이 형성되고, 본체 전면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냉장고용 도어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일측 상·하부가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의 내면 테두리에는 저장실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이 설치된다.
한편, 냉장고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의 전체가 회동하여 열릴수 있도록 냉장고용 힌지가 설치되는데, 냉장고용 힌지는 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의 내측에 삽입되는 회전축(3)과, 이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일단이 도어(1)의 측면에 고정되어 도어(1)를 회동시키는 가동부재(4)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부재(4)는 도어(1)를 개폐시키는 힌지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냉장고 힌지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고정부재(2)의 회전축(3)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부재(4)에는 축관(5)이 형성되고, 이의 측면에 판상으로 이루어진 가동판(6)이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1)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면서 도어(1)를 개폐시킨다.
한편 종래의 냉장고 힌지의 가동부재는 단순히 가동판이 도어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도어의 하중에 의해서 볼트가 파손되면서 가동판이 뒤틀리게 되어 가동부재의 교체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가동부재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가동판이 도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되므로 어려움이 많고, 특히 도어와 고정되는 가동판의 경우 볼트가 휘어지거나 유격이 발생할 경우 도어가 일측으로 쳐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 힌지는 유지보수작업시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 되므로 유지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이 냉장고 힌지에 가해지면 부품이 쉽게 파손되어 가동부재가 도어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냉장고 힌지의 교체작업시 부품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냉장고 힌지의 가동부재의 저면에 받침프레임을 간편하게 결합시켜 도어와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프레임을 "┎"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일단은 도어의 측면에 타단은 도어의 전면에 가동부재와 함께 일체로 고정되어 받침프레임이 도어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도어의 쳐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프레임을 가동부재와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받침프레임이 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프레임을 가동부재와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받침프레임이 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동부재와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부재의 가동판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지지판을 구비하여 도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업소용 대형 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가동부재의 일단이 도어에 고정되는 냉장고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축관 내부에 가동축공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축관의 측면에 가동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하되, 상기 가동판의 저면 내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리브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고정리브의 측면에 축관과 연결된 보강리브가 복수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의 내측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받침프레임의 일단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받침프레임은 바닥지지판과 측면지지판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바닥지지판은 가동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리브와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은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조립공정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냉장고 힌지의 유지보수작업시 부품 전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품의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어의 쳐짐현상이 발생할 경우 냉장고 힌지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가동부재의 후면에 받침프레임을 간편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받침프레임은 가동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일단계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받침프레임의 바닥지지판과 측면지지판이 도어의 양측면을 이단계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도어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도어의 쳐짐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받침프레임은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하여 냉장고 힌지와 도어가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힌지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가동부재와 받침프레임을 뒤집은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받침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업소용 대형 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2)의 회전축(3)에 가동부재(4)를 결합하되, 상기 가동부재(4)는 회전축(3)과 결합되도록 축관(5)이 형성되고, 상기 축관(5)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동판(6)이 형성되어 도어(1)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도어(1)를 개폐시키는 종래의 냉장고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면에 결합 및 분리작업이 간편하도록 받침프레임(20)이 설치되어 도어(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와 결합되는 가동부재(10)는, 상기 회전축(3)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관(11)의 내부에 가동축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축관(11)의 측면에 가동판(12)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가동판(12)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축관(11)과 연결되는 부분의 폭이 넓어졌다가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판(12)의 저면 내부에는 복수의 고정리브(1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13)의 내측에는 볼트구멍(14)이 관통되어 추후 가동판(12)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서 가동판(12)이 도어(1)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판(12)과 축관(11)의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5)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5)의 내측에는 고정홈(16)이 각각 형성되어 받침프레임(2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데, 상기 받침프레임(2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를 "┎"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바닥지지판(2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측면지지판(2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판(21)과 측면지지판(22)이 연결되는 중간부분에는 절개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24)의 측면 즉, 측면지지판(22)의 중간부분에 고정돌기(25)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리브(15)의 고정홈(16)에 억지끼움되어 일단계로 받침프레임(20)이 가동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닥지지판(21)과 측면지지판(22)의 내측에는 복수의 볼트구멍(23)이 형성되어 가동판(12)의 저면에 바닥지지판(21)을 밀착시켜 놓고 가동판(12)의 외부에서 고정리브(13)의 볼트구멍(14)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도어(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2)은 도어(1)의 측면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면 도어(1)의 양측면을 받침프레임(20)이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받침프레임(20)은 가동부재(10)와 결합 및 분리작업이 간편하면서 특히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냉장고 힌지의 가동부재가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한다.
도 5는 본 고안 받침프레임(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받침프레임(20)의 바닥지지판(21)이 가동판(12)의 저면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26)가 측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6)는 가동판(12)과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구멍(23)이 더 형성하여 가동판(12)과 받침프레임(20)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냉장고 힌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도어(1)의 하중에 의해서 도어(1)와 가동부재(4)가 뒤틀리면서 도어(1)가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도어(1)에 가동부재(4)를 고정시키는 볼트가 휘거나 파손되므로 볼트의 해체작업에 어려움이 많으나, 본 고안의 가동부재(10)와 받침프레임(20)은 도어(1)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도어(1)가 쳐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냉장고 힌지에서 가동부재(4)를 분리하여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가동부재(10)에 받침프레임(20)의 바닥지지판(21)을 밀착시키고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리브(13)의 볼트구멍(14)에 볼트를 삽입하여 도어(1)에 가동판(12)을 고정시키면 간편하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받침프레임(20)의 측면지지판(22)이 도어(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판(12)과 바닥지지판(21)의 위치선정 작업이 수월하여 간편하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바닥지지파(21)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측면지지판(22)의 볼트구멍(23)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받침프레임(20)은 도어(1)의 양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부재(10) 또한 받침프레임(20)과 함께 도어(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더라도 받침프레임(20)이 도어(1)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쉽게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 힌지의 부품을 일부만 교체할 경우 즉, 종래의 가동부재(4)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가동부재(40)의 저면에 받침프레임(20)의 바닥지지판(21)을 밀착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도어(1)의 측면에 고정시킨 다음 측면지지판(22) 또한 도어(1)에 고정시키면 전체적인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힌지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을 감축할 수 있고, 무엇보다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가동부재(10)의 볼트구멍(14)은 종래의 가동부재(4)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받침프레임(20)만을 별도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범위를 확대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받침프레임(20)은 가동부재(10)와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바닥지지판(21)의 일단에 연장부(26)를 형성하여 가동판(12)의 저면을 완전히 밀폐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2: 고정부재
3: 회전축 4,10: 가동부재
5,11: 축관 11a: 가동축공
6,12: 가동판 13: 고정리브
14: 볼트구멍 15: 보강리브
16: 고정홈 20: 받침프레임
21: 바닥지지판 22: 측면지지판
23: 볼트구멍 24: 절개홈
25: 고정돌기 26: 연장부

Claims (4)

  1. 삭제
  2. 업소용 대형 냉장고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2)의 회전축(3)에 결합되는 가동부재(4)의 일단이 도어(1)에 고정되에 도어(1)를 개폐시키는 냉장고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0)의 축관(11) 내부에 가동축공(11a)이 형성되어 회전축(3)이 삽입되고, 상기 축관(11)의 측면에 가동판(12)이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1)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하되, 상기 가동판(12)의 저면 내부에 볼트구멍(14)이 형성된 고정리브(13)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고정리브(13)의 측면에 축관(11)과 연결된 보강리브(15)가 복수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15)의 내측에 고정홈(16)을 형성하여 받침프레임(20)의 일단을 삽입 고정하되, 상기 받침프레임(20)은 ┎"자 형상으로 절곡된 바닥지지판(21)과 측면지지판(22)이 연결되는 중간부분에 절개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24)의 측면에 고정돌기(25)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리브(15)의 고정홈(16)에 억지끼움되며, 상기 바닥지지판(21)과 측면지지판(22)의 내측에 복수의 볼트구멍(23)을 형성하여 고정리브(13)와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2)은 도어(1)의 측면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0)의 바닥지지판(21)이 가동판(12)의 저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26)가 측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6)는 가동판(12)과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구멍(2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KR2020100007533U 2010-07-16 2010-07-16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KR200451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33U KR200451908Y1 (ko) 2010-07-16 2010-07-16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33U KR200451908Y1 (ko) 2010-07-16 2010-07-16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908Y1 true KR200451908Y1 (ko) 2011-01-18

Family

ID=442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33U KR200451908Y1 (ko) 2010-07-16 2010-07-16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411A (zh) * 2019-04-30 2020-10-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门体挡板结构及洗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537U (ko) * 1996-10-21 1998-07-15 배순훈 냉장고의 도어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하부힌지 결합 구조물
KR200277264Y1 (ko) * 2002-02-28 2002-06-01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20020077264A (ko) * 2001-03-30 2002-10-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적층 필름 라미네이트 알루미늄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5442B1 (ko) 2006-12-13 2007-10-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537U (ko) * 1996-10-21 1998-07-15 배순훈 냉장고의 도어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하부힌지 결합 구조물
KR20020077264A (ko) * 2001-03-30 2002-10-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적층 필름 라미네이트 알루미늄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77264Y1 (ko) * 2002-02-28 2002-06-01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100765442B1 (ko) 2006-12-13 2007-10-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411A (zh) * 2019-04-30 2020-10-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门体挡板结构及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221B2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385330A2 (en) Refrigerator and door thereof
US9493973B2 (en) Hinge
JP2009228948A (ja) 冷蔵庫
US11268708B2 (en) Outdoor unit for central air conditioner and central air conditioner having same
CN102147181B (zh) 对开门冰箱及其翻转梁
CN103438645B (zh) 一种翻转梁及其冰箱
KR20100035095A (ko) 냉장고
KR200451908Y1 (ko) 냉장고 힌지용 받침프레임
CN210033035U (zh) 用于冰箱的轴套装置及冰箱
CN202074773U (zh) 对开门冰箱及其翻转梁
CN203163393U (zh) 制冷设备
CN103485623A (zh) 一种滑撑
CN104329877B (zh) 门体立梁及门体
CN102818422B (zh) 冰箱
KR20040090429A (ko) 냉장고 도어의 홀더 핸들 구조
KR20120009144A (ko) 김치냉장고의 보강용 상부힌지
CA2881825C (en) Hinge
US20190162464A1 (en) Cooling appliance
CN106014036A (zh) 一种带有转轴的开合机构
KR102195545B1 (ko) 냉장고 도어
CN103105036B (zh) 制冷设备
KR20130024207A (ko) 냉장고
JP2014098494A (ja) 冷蔵庫
JP4568260B2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