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84Y1 -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84Y1
KR200451684Y1 KR2020080005174U KR20080005174U KR200451684Y1 KR 200451684 Y1 KR200451684 Y1 KR 200451684Y1 KR 2020080005174 U KR2020080005174 U KR 2020080005174U KR 20080005174 U KR20080005174 U KR 20080005174U KR 200451684 Y1 KR200451684 Y1 KR 200451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discharge conduit
range hood
discharg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1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0793U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2020080005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84Y1/en
Publication of KR20090010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7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소화장치를 구성하는 방출도관 및 감지선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와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방출도관이 꺾이는 부분에 장착 브라켓트를 장착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트를 통과하고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도중에는 도관코일걸이를 더 장착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는 감지선과 방출도관을 레인지 후드에 고정지지하면서 더불어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방향을 장착 브라켓트의 통로를 통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means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conduit and the sensing line constituting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 mounting bracket is mounted on the bending por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injection nozzle,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injection nozzle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conduit, the conduit coil hanger is further mounted to support the sensing line and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range hood while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through the passage of the mount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레인지 후드, 소화기, 온도감지센서, 감지선, 분사노즐, 방출도관, 장착 브라켓트, 통로, 도관 장착홀, 감지선 장착홀, 도관코일걸이, 고정부, 장착고리. Range hood, fire extinguisher, temperature sensor, detection line, injection nozzle, discharge conduit, mounting bracket, passage, conduit mounting hole, detection line mounting hole, conduit coil hook, fixing part, mounting ring.

Description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Emission conduit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자동소화장치를 구성하는 방출도관 및 감지선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와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방출도관이 꺾이는 부분에 장착 브라켓트를 장착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트를 통과하고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도중에는 도관코일걸이를 더 장착하여, 방출도관과 감지선을 레인지 후드에 고정지지하면서 더불어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방출도관의 통과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means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conduit constituting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mounting brackets in the bending por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injection nozzle and mounting the mounting brackets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that passes through and is connected to the spray nozzle, a conduit coil hanger is further mounted to support the discharge conduit and the sensing line to the range hood while guiding the passing posi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pray nozzle is mounted. And a conduit fix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소화장치는 가정의 주방이나 음식점의 조리대 등과 같이 화재 위험에 노출되는 장소에 화재발생시 불길을 신속히 진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In general,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installed to quickly extinguish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a place exposed to a fire risk, such as a kitchen or a kitchen counter in a home.

그리고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분사노즐은 발화 가능성이 큰 가스레인지를 향하도록 조리대의 레인지 후드 저면 부분에 부착하여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range hood of the worktop so as to face a gas range having a high ignition possibility.

즉, 상기 자동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를 자동감지하여 초기에 소화기의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동시에 연료관의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하며, 화재경보를 울리는 등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설치된다. That i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provided with devices such as automatic detection of fire when the fire occurs to extinguish the fire by injecting the extinguishing liquid of the fire extinguisher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blocking the valve of the fuel pipe, and ringing the fire alarm. Is installed.

도시된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소화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소화장치(1)는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레인지(100)의 상부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20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인지 후드(200)의 상부에는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기(300)가 장착되며, 상기 레인지 후드(200)의 저면에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와 상기 소화기(300)와 방출도관(600)을 통해서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00)이 장착되고, 상기 가스레인지(100)나 레인지 후드(200)의 일측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300), 가스차단기(720), 경보기(74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700)가 설치된다. 1 shows a system of a gener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is a range hood for discharging the smell and smoke generated when cooking the food to the top of the gas range 100 for cooking food ( 200 is installed, the fire extinguisher 300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ange hood 200, the extinguishing fluid is stored therein, the bottom of the range hood 200, the temperature sensor 400 for detecting whether a fire occurs And connected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300 and the discharge conduit 600 and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500 for injecting extinguishing fluid in the event of a fire, the temperature sensor on one side of the gas range 100 or range hood 200 The control unit 700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300, the gas circuit breaker 720, and the alarm 740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50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소화기(300)와 분사노즐(500)을 연결하는 방출도관(600)은 동관으로 형성되어 소화액을 전달하는데 이때, 상기 방출도관(600)을 형성하는 동관은 특성상 한 번 이상 꺾지 않도록 설치된다. Here, the discharge conduit 600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300 and the injection nozzle 500 is formed of a copper tube to deliver a digestive fluid, wherein the copper tube forming the discharge conduit 600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bent at least once. do.

그러나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종래의 방출도관은 레인지 후드나 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있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소화액의 전달시 방출도관이 흔들리고 심할 경우에는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방출도관 연결된 분사노즐의 위치가 변경되어 화재 발생시 신속한 진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is not fixed to the range hood or case, so when the discharge conduit shakes and is severe when external shock or extinguishing fluid is delivered, the posi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dui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extinguish fire in case of fire.

또한, 상기 방출도관은 꺾이는 부분을 레인지 후드나 케이스에 고정시 방출 도관 방향의 변경 없이 장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conduit is difficult to be mounted without changing the discharge conduit direction when fixing the bent portion to the range hood or case, as well as a separate component that maintains the direction is required.

또한, 상기 레인지 후드의 저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은 이를 지지해주는 별도의 부품이 없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중에 의하여 처짐이 발생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ange hood does not have a separate part to support it, so that sag occurs due to its own weight over time, and foreign matters are stacked inside, so that the extinguishing fluid can be quickly produced in case of fir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not be discharg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화기와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방출도관이 꺾이는 부분에 판 형상의 장착 브라켓트를 장착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트를 통과하고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도중에는 도관코일걸이를 더 장착하여, 방출도관과 감지선을 레인지 후드에 고정장착하면서 장착 브라켓트에 형성되는 여러 곳의 배출통로를 통해서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방출도관의 통과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unting conduit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injection nozzle is mounted to the plate-shaped mounting bracket,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On the way, the conduit coil hanger is additionally mounted, and the discharge conduit and the sensing line are fixedly mounted on the range hood, and the position of the ejection conduit is accurately gu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injection nozzle is mounted through various discharge passages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ease conduit fix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레인지나 오븐의 상부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레인지 후드가 설치되고, 상기 레인지 후드의 상부에는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기가 장착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저면에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소화기와 방출도관을 통해서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가스레인지나 레인지 후드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른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가 장착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와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방출도관이 꺾이는 부분에 도관 장착홀이 중앙에 형성되면서 그 양측에는 감지선 장착홀이 연장형성되는 통로가 내면을 따라 십자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 브라켓트를 고정장착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트를 통과하고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도중에는 코일 형상의 고정부가 상기 레인지 후드의 저면에 고정장착되면서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고정바가 상기 방출도관을 지지하는 도관코일걸이를 더 장착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는 감지선과 방출도관을 레인지 후드에 고정지지하면서 더불어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의 방향을 장착 브라켓트의 통로를 통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ange hood for discharging the smell and smoke generated when cooking the food to the top of the gas cooker or oven for cooking food is installed, the digestive fluid is provided inside the top of the range hood The fire extinguisher is stored, and the bottom of the range hood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fire and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discharge conduit and spraying extinguishing fluid in the event of a fire.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conduit fixing means for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conduit mounting hole in the center where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injection nozzle is bent. As it is formed, passages along which the sensing line mounting holes are formed extend on both sides. A ring is fixedly mounted to the mounting bracket which is formed in a shape, and a coil-shaped fixing part is fixedly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range hood while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The fixed bar further includes a conduit coil hook for supporting the discharge conduit, while holding the sensing line and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range hood while fix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guided through the passage.

본 고안에 따르면, 소화기와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방출도관이 꺾이는 부분에 설치되는 장착 브라켓트를 통해서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방향으로 방출도관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더불어 방출도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injection nozzle can be accurately gu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mount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which is installed at the bending part,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uctua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can be prevented. There is.

또한, 레인지 후드의 형상 변경에 따른 분사노즐의 위치 변경시 여러 방향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통해서 별도의 부품교환 없이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moothly handl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of the range hood without a separate part replacement.

또한, 장착 브라켓트를 통과하여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방출도관을 도관코일걸이를 이용해서 레인지 후드에 지지할 수 있어 방출도관의 처짐에 따른 소화액의 전달 불량 및 분사노즐에 부하를 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condui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can be supported on the range hood by using a conduit coil hook, which can prevent the delivery of the extinguishing fluid and the load to the injection nozzl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It works.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관코일걸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2 (a) and 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 and 3 (b) Front view showing a conduit coil hoo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1)은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레인지(10)나 오븐의 상부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20)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기(30)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저면에 장착되고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 및 상기 소화기(30)와 방출도관(60)을 통해서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0)와, 상기 가스레인지(10)나 레인지 후드(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40)의 입력신호에 따른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된다. Emission conduit fixing means (1)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nge hood 20 for discharging the smell and smoke generated when cooking food to the top of the gas range 10 or oven for cooking food, and Fire extinguisher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nge hood 20 and the extinguishing liquid is stored t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the fire extinguisher 3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ange hood 20 to detect whether a fire occurs And a spray nozzle 50 connected through the discharge conduit 60 and injecting extinguishing fluid in the event of a fire,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gas range 10 or the range hood 20 and in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40.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70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여기서, 상기 레인지 후드(20)는 설치장소와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소화기(30), 온도감지센서(40), 분사노즐(50)은 상황에 따라 장착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0)은 가스레인지(10)나 오븐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분사각을 140°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ange hood 2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and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30,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revealed. At this time, the injection nozzle 5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as range 10 or oven to form a spray angle within 140 °.

그리고 본 고안은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1)을 구성하는 소화기(30)와 분사노즐(50)을 연결하는 방출도관(60)이 꺾이는 부분(C)으로 장착 브라켓트(80)를 장착하여 분사노즐(50)이 장착되는 방향으로 방출도관(60)을 안내하면서 고정지지하고 더불어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를 통과하고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방출도관(60)의 도중에 처짐 방지 및 고정지지를 위한 도관코일걸이(90)를 더 장착한 것이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unting bracket (80) as a portion (C) where the discharge conduit (60)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3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constituting the discharge conduit fixing means (1) for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o guide and fix the discharge conduit 6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50 is mounted, to prevent sag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60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The conduit coil hook 90 for fixed support is further mounted.

상기 레인지 후드(20)에 고정결합되면서 방출도관(60)을 고정지지하는 장착 브라켓트(8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나 장소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절단형성한 후 프레스나 절곡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방출도관(60)과 감지선(42)이 통과하는 통로(81)를 함몰형성한 것이다. The mounting bracket 80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range hood 20 and fixedly supports the discharge conduit 60 is cut and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a position or a place where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to be used, and then presses or bends. Using the device, a recess 81 is formed through which the discharge conduit 60 and the sensing line 42 pass.

여기서, 상기 통로(81)는 그 형상이 수직이나 수평, ╋,┻, ┳, ┣, 곡면 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되, 본 고안에서 상기 통로(81)는 프레스를 금속판에 가압하여 도 2(a)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b)와 같이 편심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passage 81 is formed by selecting a variety of shapes, such as vertical or horizontal, ╋, ┻, ┳, ┣, curved shape, the passage 8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age 81 is pressed to the metal plate As shown in FIG. 2 (a), not only horizontal but also an eccentric cross shape as shown in FIG. 2 (b) will be described.

즉,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기 통로(81)는 유입통로(81a)에 방출도관(60)이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50)이 장착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수직배출통로(81b)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통로(81)는 한 곳에 형성되는 유입통로(81a)에 방출도관(60)이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50)이 장착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수직배출통로(81b)나 수평배출통로(81c)를 따라 외부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assage 81 formed horizontall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rtical discharge passage 81b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nduit 60 is inserted into the inflow passage 81a and the injection nozzle 50 is mounted. Or a cross-shaped passage 81 is a vertical discharge passage 81b which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nduit 6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assage 81a formed in one place so that the injection nozzle 50 is mounted. It will go out along the horizontal discharge passage (81c).

여기서, 상기 배출통로(81b, 81c)를 수직과 수평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변경에 따른 별도의 장착 브라켓트(80)의 제작 없이 방출도관(60)이 꺾이는 부분(C)에 대처하면서 상기 분사노즐(50)과 방출도관(60)을 안내하기 위해 서 수직과 수평으로 형성한 것이다. Here, the discharge passage (81b, 81c) is form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o the portion (C) where the discharge conduit 60 is bent without the production of a separate mounting bracket 8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ange hood 20. While coping, the spray nozzle 50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are formed to be vertical and horizontal.

이때, 상기 수평배출통로(81c)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81)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85)은 꺾어지는 방출도관(60)에 부하와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곡면지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discharge passage (81c)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respectively, the corner portion (85) intersecting the passage 81 is curved to reduce the load and pressure on the discharge conduit 60 is bent Is formed.

그리고 금속판의 내면(86)을 따라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통로(81)는 그 형상이 중앙에 도관 장착홀(82)이 형성되면서 그 양측에는 감지선 장착홀(83)이 형성되는데 즉, 중앙에 형성되는 도관 장착홀(82)은 상기 방출도관(60)이 장착되고 그 양측에 형성되는 감지선 장착홀(83)의 한쪽에는 온도감지센서(40)와 연결되는 감지선(42)이 장착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assage 81 formed in a cross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86 of the metal plate has a conduit mounting hole 8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ensing line mounting hole 83 i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Conduit mounting hole 82 is formed is the discharge conduit 6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etection line mounting hole 83 formed on both sides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line 42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40 will be.

이때, 상기 도관 장착홀(82)은 방출도관(60)의 장착시 외표면이 장착 브라켓트의 내면(86)을 벗어나지 않도록 함몰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onduit mounting hole 82 is recessed so that the outer surface does not leave the inner surface 86 of the mounting bracket when the discharge conduit 60 is mounted.

또한,상기 통로(81)의 끝단(방출도관이 빠져나가는 배출통로 끝단)(84)은 상기 방출도관(60)이 꺾이는 부분(C)에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통로(81) 끝단(84)의 일부를 절개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passage 81 (th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conduit exits) 84 is the end 84 of the passage 81 so as to reduce the interference to the portion (C) where the discharge conduit 60 is bent. Make some incisions.

즉, 상기 유입통로(81a)는 방출도관(60)의 고정지지를 위해서 그대로 형성되고 배출통로(81b, 81c)는 방출도관(60)의 꺾임 시 수평 또는 그 이상의 각도가 설치될 때를 대비하여 끝단(84)의 일부를 절개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inflow passage (81a) is formed as it is for the fixed support of the discharge conduit 60 and the discharge passage (81b, 81c) is prepared in case the horizontal or more angles are installed when the discharge conduit 60 is folded A part of the end 84 is incised.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를 통과하고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방출도관(60)의 도중에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도관코일걸이(90)가 상기 레인지 후드(20)에 고 정되어 방출도관(60)을 고정지지하게 된다.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60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one or more conduit coil hooks 90 are fixed to the range hood 20 to discharge the conduit 60. ) Will be fixed.

즉, 상기 도관코일걸이(90)는 도시된 도 3(a)와 같이 링이나 바를 이용해서 상부는 고리 형상의 고정부(9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92)와 연결되는 하부는 고리형상의 장착고리(94)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conduit coil hanger 90 has a ring-shaped upper portion formed by using a ring or bar as shown in FIG. 3 (a), and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92 by an annular shape. The mounting ring 94 is formed.

그리고 도시된 도 3(b)의 도관코일걸이(90)는 링이나 바를 이용해서 상부는 코일 형상의 고정부(9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92)와 연결되는 하부는 고리형상의 장착고리(94)를 형성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duit coil hanger 90 of FIG. 3 (b) uses a ring or a bar to form a coil fixing part 92,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92 has an annular mounting ring. (94) was formed.

여기서, 상기 고정부(92)를 고리나 코일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레인지 후드(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장착고리(94)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코일 형상으로 한 것이다.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92 is formed in a ring or coil shape so as to absorb a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mounting ring 94 while being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range hood 20.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도관코일걸이(90)는 한 개가 상기 분사노즐(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출도관(60)을 지지하면서 상기 장착 브라켓트(80)와 도관코일걸이(90)의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클램프(90a)가 더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conduit coil hooks 90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80 and the conduit coil hooks 90 while one supports the discharge conduit 60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50. An example in which a clamp 90a having a length of more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상기 장착 브라켓트(80)와 도관코일걸이(90)의 사이에 장착되는 클램프(90a)에 대해서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클램프(90a)는 상부에 감지선(42)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홀(92a)은 끼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방출도관(6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홀(94a)은 끼움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clamp 90a mount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80 and the conduit coil hanger 90 will be further described. The clamp 90a has an upper hole 92a for mounting the sensing line 42 thereon. The fitting space is formed and the lower hole 94a for supporting the discharge conduit 60 is formed at the bottom.

즉,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를 통과한 감지선(42)과 방출도관(60)은 클램프(90a)를 통해서 정렬되면서 장착 브라켓트(80)와 도관코일걸이(90)를 통해서 고 정지지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ensing line 42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are stopped by the mounting bracket 80 and the conduit coil hanger 90 while being aligned through the clamp 90a. .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트(8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A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B부분 확대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C부분 확대도이다. 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mounting bracket 80 form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orti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나 장소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절단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에 상기 방출도관(60)의 장착을 위한 도관 장착홀(82)이 중앙에 형성되면서 그 양측에는 온도감지센서(40)와 연결되는 감지선(42)의 장착을 위한 감지선 장착홀(83)이 연장형성되는 통로(81)를 프레스나 절곡장치를 이용해서 십자형상으로 형성한다.First, th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to b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a location or a place where a desired thickness is used, and then the conduit mounting holes 82 for mounting the emission conduit 60 on the metal plate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passage 81 is formed in the cross shape by using a press or a bending device, the passage 81 in which the sensing line mounting hole 83 for mounting the sensing line 42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formed.

이때, 상기 통로(81)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85)은 꺾어지는 방출도관(60)에 형상 변경에 따른 부하와 압력을 줄일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corner portion 85 formed at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passage 81 is formed to be curved to reduce the load and pressure due to the shape change in the discharged conduit 60 is bent.

그리고 상기 방출도관(60)이 빠져나가는 배출통로(81b, 81c)의 끝단(84)을 프레스나 절단장치를 이용해서 끝단(84)의 일부를 절개형성한 후 가장자리 부분에 다수의 결합공(87)을 형성하면 장착 브라켓트(80)는 완성된다.In addition, the end 84 of the discharge passages 81b and 81c through which the discharge conduit 60 exits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end 84 by using a press or a cutting device, and the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87 are formed at the edge portion. ), The mounting bracket 80 is completed.

다음으로 링이나 바를 이용해서 상부는 코일 형상의 고정부(9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92)와 연결되는 하부에는 고리형상의 장착고리(94)가 형성되는 도관코일걸이(90)를 준비한다.Next, a conduit coil hanger 90 having a ring-shaped mounting ring 94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formed with a coil-shaped fixing portion 92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92. do.

더불어 상기 장착 브라켓트(80)와 도관코일걸이(90)를 통과하는 감지선(42)과 방출도관(6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상부홀(92a)과 하부홀(94a)이 절개형성되는 클램프(90a)를 소정구간 형성한다. In addition, an upper hole 92a and a lower hole 94a are formed in an upper / lower portion to support the sensing line 42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and the conduit coil hanger 90. The predetermined clamp 90a is 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레인지(10)나 오븐의 상부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20)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상부에는 장착되고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기(30)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 및 상기 소화기(30)와 방출도관(60)을 통해서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0)과, 상기 가스레인지(10)나 레인지 후드(20)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40)의 입력신호에 따른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1)에 장착 브라켓트(80), 도관코일걸이(90), 클램프(90a)를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The range hood 20 for discharging the smell and smoke generated when cooking the food in the gas range 10 or the oven for cooking food in the above state,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nge hood 20 Fire extinguisher 30 is store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and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ange hood 2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the fire extinguisher 30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for detecting whether a fire occurs The control unit 7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fluid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operat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40 to one side of the gas range 10 or the range hood 20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ount the mounting bracket 80, the conduit coil hook 90, and the clamp 90a to the discharge conduit fixing means 1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즉,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는 상기 소화기(30)와 분사노즐(50)을 연결하는 방출도관(60)이 꺾이는 부분(C)에 내면(86)을 밀착시킨 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공(87)에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해서 레인지 후드(20)에 고정결합하게 되고, 상기 도관코일걸이(90)는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고리(94)를 통해서 방출도관(60)을 지지하면서 상부에 형성되는 코일 형상의 고정부(92)를 통해서 레인지 후드(20)에 고정결합하게 되며, 상기 클램프(90a)는 도중에 형성되는 감지선(42)과 방출도관(60)을 상부홀(92a)과 하부홀(94a)를 통해서 정렬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unting bracket 80 is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edge portion after the inner surface 86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C) where the discharge conduit 60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3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is folded. The 87 is fixed to the range hood 20 using screws or bolts, and the conduit coil hook 90 supports the discharge conduit 60 through the mounting ring 94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t is fixed to the range hood 20 through the coil-shaped fixing portion 92 formed in the, the clamp 90a is a detection line 42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hole (92a) And through the lower hole 94a is to be aligned.

이를 통해서 상기 감지선(42)과 방출도관(60)은 흔들림 없이 고정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50)의 장착 위치에 따른 배출통로(81b, 81c)로 방출도관(60)을 안내하여 상기 분사노즐(50)과 방출도관(60)이 원활한 연결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the sensing line 42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may be fixedly supported without shaking, and guide the discharge conduit 60 to the discharge passages 81b and 81c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injection nozzle 50. The injection nozzle 50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will be able to make a smooth connection.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소화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of a gener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2 (a) and 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관코일걸이를 나타낸 정면도. Figure 3 (a) and 3 (b)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duit coil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A부분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B부분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D부분 확대도.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s]

10 : 가스레인지, 20 : 레인지 후드,10: gas range, 20: range hood,

30 : 소화기, 40 : 온도감지센서, 30: fire extinguisher, 40: temperature sensor,

42 : 감지선, 50 : 분사노즐, 42: detection line, 50: injection nozzle,

60 : 방출도관, 70 : 제어부, 60: discharge conduit, 70: control unit,

80 : 장착 브라켓트, 81 : 통로, 80: mounting bracket, 81: passage,

82 : 도관 장착홀, 83 : 감지선 장착홀, 82: conduit mounting hole, 83: sensing line mounting hole,

84 : 끝단, 90 : 도관코일걸이,84: end, 90: conduit coil hook,

92 : 고정부, 94 : 장착고리.92: fixing part, 94: mounting ring.

Claims (4)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레인지(10)나 오븐의 상부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레인지 후드(2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상부에는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기(30)가 장착되며,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저면에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와 상기 소화기(30)와 방출도관(60)을 통해서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0)이 장착되고, 상기 가스레인지(10)나 레인지 후드(20)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40)의 입력신호에 따른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0)가 장착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1)에 있어서, A range hood 20 for discharging odors and smoke generated when cooking food to a gas cooker 10 for cooking food or an oven is installed, and an extinguishing liquid is disposed inside the range hood 20. Fire extinguisher 30 to be stored is moun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range hood 20 is connect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40 for detecting whether a fire occurs and the fire extinguisher 30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and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n the event of fire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50 for spraying, the control unit 70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gas range 10 or the range hood 20 In the discharge conduit fixing means (1)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상기 소화기(30)와 분사노즐(50)을 연결하는 방출도관(60)이 꺾이는 부분(C)에 도관 장착홀(82)이 중앙에 형성되면서 그 양측에는 감지선 장착홀(83)이 연장형성되는 통로(81)가 내면(86)을 따라 십자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 브라켓트(80)를 고정장착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를 통과하고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방출도관(60)의 도중에는 고리 형상으로 탄성을 지닌 고정부(92)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면서 상기 고정부(92)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장착고리(94)가 상기 방출도관(60)을 지지하는 도관코일걸이(90)를 더 장착하여, The conduit mounting hole 82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C of the discharge conduit 60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er 3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and the sensing line mounting hole 83 i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discharge passage 60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is fixedly mounted to the mounting bracket 80, the passage 81 is formed in the cross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86) In the middle of the annular fixing portion 9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ange hood 20, the ring-shaped mounting ring 9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92 is the discharge conduit ( 60 is further attached to the conduit coil hanger (90), 상기 온도감지센서(40)와 연결되는 감지선(42)과 방출도관(60)을 레인지 후드(20)에 고정지지하면서 더불어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방출도관(60)의 방향을 장착 브라켓트(80)의 통로(81)를 통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The mounting bracket 42 and the discharge conduit 6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40 are fixed to the range hood 20 whil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60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is mounted. Emission conduit fix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through the passage (81) of (8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관코일걸이(90)는 코일 형상의 고정부(92)가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저면에 고정장착되면서 상기 고정부(92)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장착고리(94)가 상기 방출도관(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 The conduit coil hanger 90 has a ring-shaped mounting ring 94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92 while the fixing portion 92 of the coil shape is fixed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nge hood 20. Emission conduit fix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support the discharge conduit (6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출도관(60)의 꺾임 작동시 접촉하는 상기 통로(81)의 끝단(84)의 일부를 절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Ejection conduit fix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distal end (84) of the passage (81) in contact with the folding conduit (60)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nduit.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장착 브라켓트(80)를 통과하고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방출도관(60)의 도중에 장착되는 도관코일걸이(90)는 다수개수로 구성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장치용 방출도관 고정수단.The conduit coil hanger 90 which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conduit 60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80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5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conduit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ixing means.
KR2020080005174U 2008-04-18 2008-04-18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04516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174U KR200451684Y1 (en) 2008-04-18 2008-04-18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174U KR200451684Y1 (en) 2008-04-18 2008-04-18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93U KR20090010793U (en) 2009-10-22
KR200451684Y1 true KR200451684Y1 (en) 2011-01-05

Family

ID=4153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174U KR200451684Y1 (en) 2008-04-18 2008-04-18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84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487A (en) 1987-01-20 1989-03-21 Mikulec Conrad S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KR100289967B1 (en) 1998-11-07 2001-12-12 김승제 Extension bar folding device for gas fire extinguisher
KR100300544B1 (en) 1998-11-17 2002-02-19 김승제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hood integrated gas range
JP2002355325A (en) 2001-05-31 2002-12-10 Hochiki Corp Fire extinguish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487A (en) 1987-01-20 1989-03-21 Mikulec Conrad S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KR100289967B1 (en) 1998-11-07 2001-12-12 김승제 Extension bar folding device for gas fire extinguisher
KR100300544B1 (en) 1998-11-17 2002-02-19 김승제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hood integrated gas range
JP2002355325A (en) 2001-05-31 2002-12-10 Hochiki Corp Fire extinguish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93U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553B2 (en) Water mist protection for forced ventilation interstitial spaces
WO2009103006A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fire protection for storage occupancies
US20070246232A1 (en) Extended coverage, storage, automatic fire protection sprinkler
EP1883459B1 (en) Nozzle assembly with blow-off cap for use i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37005B1 (en) Spray nozzle for fier-extinguishing prevention of smoke-proliferation
US7857069B2 (en) System valve activation methods for deluge-like wet pipe sprinkler system
US4341267A (en) Chimney fire extinguisher
KR200451684Y1 (en) A pipe fixing mean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0451603Y1 (en) A pipe bracket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N113993597A (en) Window sprayer capable of being hidden
US7267289B2 (en) Shrouded hose filter
US5537096A (en) Fire detecting device
KR20180010798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aratus for restaurant hood
CN107289467B (en) Burner and gas cooker
KR101167696B1 (en) range hood assembly containing the fire extinguisher
KR20060036228A (en) Automatic extinguish device
CN108888888A (en) A kind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kitchen
KR100300544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hood integrated gas range
KR101301436B1 (en) Cup-type burner device
AU2015321072B2 (en) Inert gas extinguishing system
KR200492692Y1 (en) Fire sprinkler using moisture sensor
CN206285373U (en) A kind of steam curtain for preventing naked light from being contacted with fuel gas
JPH10248954A (en)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100297918B1 (en) Extinguishing agent diffusing device for an automatic extinguisher for a ags range
KR20100090380A (en) Rang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