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68Y1 -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 Google Patents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68Y1
KR200451668Y1 KR2020100012348U KR20100012348U KR200451668Y1 KR 200451668 Y1 KR200451668 Y1 KR 200451668Y1 KR 2020100012348 U KR2020100012348 U KR 2020100012348U KR 20100012348 U KR20100012348 U KR 20100012348U KR 200451668 Y1 KR200451668 Y1 KR 200451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urgery
carpal tunnel
wrist
tunnel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호
Original Assignee
백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호 filed Critical 백승호
Priority to KR2020100012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있어서, 선형의 파지부의 양측 끝단에서 판형의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절곡된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파지부와 접하는 단면으로부터 타측방향인 끝단 단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두께가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피부 거상기를 사용함으로써, 절개 부위를 최소화(도 12 및 도 15 참조)하면서도 횡인대의 절제가 용이하도록 하여 수술시간 및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중신경의 압박 또는 정중신경 가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고, 또한, 파지부의 양측에 길이가 각각 다른 거상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손목 말단부 수술과 손목 원위부 수술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거상부가 파지부로부터 절곡되어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최소화로 절개시킨 손목원 위부 또는 말단부의 절개면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고, 거상부 단면 면적을 최소화하여 수술을 하기 위한 시야 및 수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섬세한 수술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Skin elevator for carpal tunnel syndrome surgery}
본 고안은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절개면을 수술부위로부터 들어올려 조명내시경 등을 삽입하여 수술이 용이하도록 내부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면서도 횡인대의 절제가 용이하도록 하여 수술시간 및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중신경의 압박 또는 정중신경 가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근관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손목뼈와 횡인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지나간다.
수근관 증후군은 이 통로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 신경이 압박,손상되고, 이로 인해 정중신경의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평생 이 질환에 걸릴 확률은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하다.
이론적으로는 수근관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떤 경우라도 원인이 될 수 있으나,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원인이 비교적 잘 알려진 것들로는 수근 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그리고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있다.
손목 부위의 골절 및 탈구로 수근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정중 신경이 눌리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골절이 잘못 붙거나(부정유합) 또는 붙지 않는(불유합) 등의 후유증으로 처음에는 증상이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증세를 보이는 지연성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감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통풍 등 활액막염을 초래하는 질환에서는 수근관 속에서 굴곡건 활액막이 붓거나(종창) 증식되어 정중신경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일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generalized amyloidosis) 등에서 특정 단백질이 손목 인대에 침착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아울러, 여성, 비만,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서도 흔하게 발생하는데 임신 중에만 일시적으로 이 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하며,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지만 40~60세 사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고,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많다.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특징적인 증상은 손목 통증과 함께, 정중신경의 지배 영역인 엄지, 검지 및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유발 증상이 있으면 수근관 증후군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간혹 정중신경의 압박이 심한 경우 저림 및 감각 저하를 넘어 엄지 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은 통증과 감각이상 및 운동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저리고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이상 감각을 호소한다. 통증 및 이상 감각의 성격은 불확실하고 모호한 경우도 있다. 1~2분 동안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고, 손목을 두드릴 때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잠자는 도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서 잠에서 깨고 난 후 손목을 터는 것과 같이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도 있다.
질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엄지 쪽에 감각이 떨어져 엄지 근육의 위약(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하며, 손의 힘이 약해지고 손목을 잘 못쓰는 것과 같은 운동마비 증세가 발생하기도 한다. 손가락 및 손바닥이 부은 것 같은 부종감을 호소하나 일반적으로 실제적으로 부어있지는 않다. 찬물에 손을 넣거나 날씨가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 증상도 흔히 관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근관 증후근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크게 나누어진다.
비수술적 치료는 발병 원인이 분명하지 않고 무지구(손바닥에서 엄지 손가락 쪽 두툼한 부분) 근육의 위축도 없으면서 기타 증세가 비교적 가벼운 초기의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다. 무리한 손목의 사용의 금지, 손목에 부목 고정, 소염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 및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가능하다.
수면 중 통증이 주된 증상인 경우에는 손목을 중립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거가 용이한 부목을 대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깨어 있는 경우에도 가벼운 통증이 있고,‘감염에 의하지 않은 굴곡건의 활액막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 주입으로 연부 조직의 위축을 일으켜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증세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많은 경우에 증세 완화는 일시적이며 재발되는 비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확실한 병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데, 통증은 비교적 심하나 전기적으로 이상 소견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 임신과 같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원인이 자연적으로 해소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수근관 증후군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써, 외과적인 수술로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이다. 수술적 치료의 대상은 종양과 같이 제거하여야 할 확실한 병리가 발견된 경우, 무지구의 위축이 분명한 경우, 전기적 검사에서 신경손상의 정도가 심하다고 나온 경우, 또는 증세가 심하지 않더라도 3~6개월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했으나 호전이 없거나 악화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장기적으로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반해 수술적 치료는 비교적 간단하며 결과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장기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보다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수술적 치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9개의 힘줄과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지나가는 통로를 감싸고 있는 횡인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의 피부를 절제한 다음 황인대의 절제 수술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평면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견인부의 가닥이 4개인 피부 견인기(F)를 사용하여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각각 피부의 절개면 부위를 벌림으로써, 수술방법이 복잡하고, 수술 소요시간이 길뿐만 아니라 특히 수술 후에도 수술자국이 크고, 회복시간이 길며,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인대를 절제하여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으로, 수근관 유리술(carpal tunnel release)이라 한다.
이때 수술시 평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피부의 절개면을 벌리는 피부 견인기(F)는 피부 절개부의 크기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의 가닥이 4개인 피부 견인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의 가닥이 2개인 피부 견인기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의 가닥이 1개인 피부 견인기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견인부 가닥의 단면(도 7c의 견인부의 A-A'의 절단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견인이 용이한 구조로서, 견인부 가닥의 폭(d)과 두께(t)의 비(d/t)가 5~10이고, 견인부 가닥의 끝단이 피부의 절개시 절개된 수술 부위의 시야 확보를 위해 피부의 견인이 용이하도록 굴곡된 구조로서, 피부의 절개 면이 큰 경우에만 사용하는 용도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술 방법은 정중신경과 횡인대 사이에서 작업하여 지방층이 나올 때까지 횡인대를 여러번 절제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절제도구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중신경 상부에 원통형의 작업통을 삽입한 후, 수술을 진행하는데 이는 수술시간 내내 작업통 아래에 있는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게되며 작업통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정중신경의 가지를 손상시켜 원치 않는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크날 형태의 견인부를 갖는 피부 견인기(F)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개방시킨 후, 횡인대를 절제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위를 좌우 방향으로 벌려 수술을 위한 평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절개부위가 커짐에 따라 수술방법이 복잡하고, 수술 소요시간이 길뿐만 아니라 특히 수술 후에도 수술자국이 크고, 회복시간이 길며,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의 절개면을 수술부위로부터 들어올려 조명내시경 등을 삽입하여 수술이 용이하도록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피부 거상기를 사용함으로써, 절개 부위를 최소화(도 12 및 도 15 참조)하면서도 횡인대의 절제가 용이하도록 하여 수술시간 및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중신경의 압박 또는 정중신경 가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파지부의 양측에 길이가 각각 다른 거상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손목 말단부 수술과 손목 원위부 수술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거상부는 파지부로부터 절곡되어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최소화로 절개시킨 손목원 위부 또는 말단부의 절개면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절개 피부를 수술부위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거상부 단면은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거상부 폭(d)과 두께(t)의 비가 1~4이고, 파지부와 접하는 단면으로부터 타측방향인 끝단 단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두께가 좁아지도록 형성시켜 거상부의 단면 면적을 최소화하여 수술을 하기 위한 시야 및 수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섬세한 수술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근관 유리술(carpal tunnel release)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시야를 넓이기 위해 피부의 절개면 부위를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벌리기 위한 피부 견인기(F)를 사용한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부분의 피부와 피하조직 간의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 거상기만을 사용함에 따라 수술 부위의 절개 면을 최소화하여 시술이 간단하고, 수술 후 부작용이 적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있어서,
선형의 파지부의 양측 끝단에서 판형의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절곡된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파지부와 접하는 단면으로부터 타측방향인 끝단 단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두께가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거상부 폭(d)과 두께(t)의 비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거상부와 제 2거상부는 서로 길이가 같거나 또는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의 절개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로부터 피부를 들어올리는 피부 거상기를 사용함으로써, 절개 부위를 최소화(도 12 및 도 15 참조)하면서도 횡인대의 절제가 용이하도록 하여 수술시간 및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중신경의 압박 또는 정중신경 가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지부의 양측에 길이가 각각 다른 거상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손목 말단부 수술과 손목 원위부 수술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거상부가 파지부로부터 절곡되어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최소화로 절개시킨 손목원 위부 또는 말단부의 절개면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고, 거상부 단면 면적을 최소화하여 수술을 하기 위한 시야 및 수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섬세한 수술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수근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일반적인 피부 견인기의 종류를 나타낸 실물 사진
도 8은 일반적인 피부 견인기의 견인부 가닥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나타낸 실물 사진
도 10은 도 9의 B-B' 부분의 거상부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C 부분의 거상부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도 9의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부분의 거상부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C 부분의 거상부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9의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써,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의 파지부(10) 양끝단에 판형의 피부 거상부(11,12)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부 거상기를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사용하여 피부를 수술부위로부터 들어올려 조명내시경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술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한다.
한편, 상기 피부 거상부(11,12)는, 수술부위의 삽입각도와 사용자의 파지각도를 고려할 때, 상기 파지부(10)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피부 거상부(11,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의 양측으로 제 1거상부(11) 및 제 2거상부(12)가 각각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길이, 바람직하게는 제 2거상부(12)의 길이가 제 1거상부(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2거상부(12)는 지방층이 두터운 손목 말단부 수술에 사용되고, 제 1거상부(11)는 지방층이 얇은 손목 원위부에 사용됨으로써, 하나의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로 손목의 말단부와 원위부 양방향 접근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제 2거상부(12) 및 제 1거상부(11)의 길이는 상기의 구조에만 반드시 한정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 1거상부(11) 및 제 2거상부(12)는 서로 길이가 같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거상부와 제 2거상부는 각각 파지부로부터 절곡된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도 11a는 도 10의 C 부분 거상부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0의 C 부분 거상부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 1거상부와 제 2거상부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파지부 끝단(E)과 접하는 단면으로부터 타측방향인 끝단(E) 단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d)(도 11a)과 두께(t)(도 11b)가 좁아지도록 형성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로 절개시킨 손목원 위부 또는 말단부의 절개면 내에 본 고안에 따른 피부 거상기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피부를 수술부위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거상부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거상부 폭(d)과 두께(t)의 비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상부의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수술시 시야 및 수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섬세한 수술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상기 거상부의 폭과 두께(d/t)의 비가 1 미만이 될 경우에는 거상부의 폭(d)이 좁아 피부를 들어올리는 거상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거상부 폭과 두께(d/t)의 비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상부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최소화시켜 피부를 절개한 절개면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거나 또는 거상으로 확보한 내부공간에서 시야를 방해하여 수술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피부 거상기를 이용한 수근관 증후군 수술의 과정을 살펴보면,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를 사용하여 횡인대 상측부에 있는 피부를 수술부위로부터 들어올려 수술을 하기 위해 조명내시경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정중신경 상방으로 통상의 가이더(guider)를 넣어 정중 신경과 횡인대 사이를 벌려놓은 후, 통상 무릎 연골 수술시 사용하는 연골 절제기로 횡인대를 절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최소화된 폭으로 제작된 피부 거상부(11,12)가 파지부(10)의 양끝에 형성됨으로써, 절개 부위를 최소화(도 12 및 도 15 참조)하면서도 횡인대의 절제가 용이하도록 하고, 정중신경의 압박 또는 정중신경의 가지를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부(10)의 양측에 길이가 각각 다른 거상부(11,12)를 형성시킴으로써, 손목 말단부 수술과 손목 원위부 수술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파지부
11 : 제 1거상부
12 : 제 2거상부

Claims (3)

  1.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에 있어서,
    선형의 파지부의 양측 끝단에서 판형의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절곡된 끝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파지부와 접하는 단면으로부터 타측방향인 끝단 단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과 두께가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거상부 및 제 2거상부는 각각 거상부 폭(d)과 두께(t)의 비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거상부와 제 2거상부는 서로 길이가 같거나 또는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KR2020100012348U 2010-07-15 2010-11-30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KR200451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48U KR200451668Y1 (ko) 2010-07-15 2010-11-30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66 2010-07-15
KR2020100012348U KR200451668Y1 (ko) 2010-07-15 2010-11-30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668Y1 true KR200451668Y1 (ko) 2011-01-05

Family

ID=4424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48U KR200451668Y1 (ko) 2010-07-15 2010-11-30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6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US20080021283A1 (en) 2006-07-24 2008-01-24 Joseph Kuranda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cting tissue of a patient during an orthopaedic surgical procedure
JP2009502441A (ja)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JP2009502441A (ja)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US20080021283A1 (en) 2006-07-24 2008-01-24 Joseph Kuranda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cting tissue of a patient during an orthopaedic surgical proced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8051A (en)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 and instrument for implementation thereof
Choi et al. Percutaneous Kirschner-wire pinning for severely displaced distal radial fractures in children. A report of 157 cases
Gelberman et al. Peripheral nerve compression
Bai et al. Carpal tunnel release with a new mini-incision approach versus a conventional approach,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U680532B2 (en) Instrument for mesh cutting of the flexor retinaculum
Schroeder Uniportal endoscopic gastrocnemius recession for treatment of gastrocnemius equinus with a dedicated EGR system with retractable blade
Zook et al. Nail surgery and traumatic abnormalities
Yung et al. Carpal tunnel release with a limited palmar incision: clinical results and pillar pain at 18 months follow-up
KR200451668Y1 (ko) 수근관 증후군 수술용 피부 거상기
Hallock An endoscopic technique for decompressive fasciotomy
Lui Arthroscopic release of first metatarsophalangeal arthrofibrosis
RU2525214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европатии срединного нерва
Calandruccio Proximal row carpectomy
CN204931780U (zh) 一种腓骨截骨保护器
RU242116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гибательно-разгибательной контрактуры пальцев кисти
RU2639021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контрактуры дюпюитрена ii-iii степени выраженности
RU2098031C1 (ru) Способ закрытой ахиллотомии
Thakur Indications, surgical techniques and safety of open versus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RU2729716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внутритканевого давления пальцев кисти
Shimbo et al. Effectiveness of flexor tenotomy with a transpositional skin flap for the treatment of severe claw toe deformity with mild-to-moderate joint contracture
Alkhuzai Prospective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Minimally Invasive Surgical Decompressions versus Traditional Surgical Decompress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CN209316027U (zh) 一种治疗骨性锤状指的弹性外支架
Isac et al. DEFINITION AND ANATOMY
Jyothiprasanth et al. A novel arthroscopic technique for carpal tunnel release
Sivakumar et al. Short term outcome analysis of surgical release for deQuervain’s disease: A case series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